KR20180018216A -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216A
KR20180018216A KR1020160103312A KR20160103312A KR20180018216A KR 20180018216 A KR20180018216 A KR 20180018216A KR 1020160103312 A KR1020160103312 A KR 1020160103312A KR 20160103312 A KR20160103312 A KR 20160103312A KR 20180018216 A KR20180018216 A KR 2018001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module
adhesive
tape
gri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933B1 (ko
Inventor
안종이
김철호
조현구
Original Assignee
안종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이 filed Critical 안종이
Priority to KR102016010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3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킨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이 제공된다.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모듈, 및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고 부착면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의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하는 파지부형성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킨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시스템은 로봇, 기계, 제어설비 등을 포함한다. 자동화 시스템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제품생산이 가능하다. 특정 제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최적화된 형태로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기판 등을 제조하거나 액정 등을 조립하기 위한 생산라인 등에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조립과정에는 기판 등의 일 측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테이프부착장치를 알맞은 형태로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판, 액정, 유리판 등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제품의 경우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테이핑이 요구되며, 상황에 따라 부착되었던 테이프를 다시 제거하여야 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후속작업이 고려되어야 하나 종래의 경우 이러한 부분이 전혀 고려되지 못하였다.
즉, 종래 장치가 부착한 테이프를 제거하기 곤란하였고, 반대로 테이프가 제품에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판, 액정, 유리판 등에 테이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생산공정이나 조립과정 전체가 지연되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1851호, (1999. 09.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킨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자동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모듈; 및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면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의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하는 파지부형성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적어도 일 측에 상기 부착면이 형성되고 회동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한 쌍의 핑거, 및 상기 부착면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키는 인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인출모듈 일 측에 상기 부착면으로 접근하여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는 집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파지부에 가해진 장력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키는 가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접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가압모듈의 접착테이프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공급모듈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모듈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며 접착테이프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일 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접착테이프와 교차되거나 교차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일 측을 절단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에서 분리하는 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첨단부가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또는 비접착면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접착테이프의 내부로부터 인접한 양 측단부를 파단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첨단부가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의 상기 부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부착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를 상기 커터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되 상기 커터의 첨단부는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 절단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시스템은,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레일 일 측에 배치된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로 제품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테이프를 제품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부착하면서도, 후속작업을 고려하여 이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립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 조립작업 등을 매우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정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시스템의 테이핑부 및 보조배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파지부형성모듈의 핑거 및 핑거와 독립된 커터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정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시스템의 테이핑부 및 보조배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2)은 이송레일(10), 및 이송레일(10) 일 측에 배치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를 포함한다.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이송레일(10)을 따라 이송되는 대상물(접착대상)에 자동으로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접착대상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며, 후속작업을 고려하여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형태로 부착한다. 따라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2)을 이용하여 조립과정 전체를 원활하게 진행하고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모듈(도 4의 100참조), 및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도 4의 211참조)을 포함하며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의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도 8의 C1참조)를 형성하는 파지부형성모듈(도 4의 200참조)을 포함한다. 즉,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파지부형성모듈(200)로 접착테이프 말단에 작업자 등이 용이하게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자동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작업자 등은 접착테이프의 파지부를 파지하여 필요에 따라 접착대상에 접착되었던 접착테이프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등 후속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과정 전체를 원활하게 진행하고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시스템(2) 및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과정 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도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조립시스템(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 이송레일(10)을 포함한다. 이송레일(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10a)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대상물과 이송롤러(10a)간 접촉을 통해 대상물이 이동할 수 있다. 이송롤러(10a)들의 사이는 이격되어 있으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이송롤러(10a)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접착대상(즉,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대상물)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송롤러(10a)는 체인이나 벨트 등으로 상호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송롤러(10a)의 외주부에는 마찰을 유발하는 물질(고무 등)로 접촉부를 형성하여 접착대상이 이송롤러(10a)의 회전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송레일(10)의 전단에는 로더(20)가 배치되고, 이송레일(10)의 후단에는 언로더(30)가 배치된다. 로더(20)는 수평 수직 이동이 가능한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더(20)는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판넬 등 대상물을 이송레일(10)로 로딩(loading)한다. 언로더(30) 역시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레일(10)로부터 대상물(예를 들어, 판넬과 글라스의 결합물)을 언로딩(unloading)한다. 로더(2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언로더(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가능한 로봇 암(arm)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더(20)와 언로더(30)에는 대상물에 흡입력을 가하여 파지하는 진공흡착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대상물을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로더(20) 및 언로더(3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송레일(10)의 상방에는 팬필터유닛(40)이 배치된다. 이송레일(10)이 설치된 이송구간, 로더(20)가 배치된 로딩구간, 언로더(30)가 배치된 언로딩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단부에 복수 개의 팬필터유닛(40)을 배치할 수 있다. 팬필터유닛(40)은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필터링 하여 하우징 내부를 청정하게 유지한다. 팬필터유닛(40)은 이송레일(10)의 상방뿐만 아니라 로더(20) 또는 언로더(30)의 상방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예를 들어, 골조프레임에 투명창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일 측에는 도어를 형성하여 이송레일(10) 등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대상물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광 커튼 방식), 비상시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비상스위치, 및 정전기제거 장치 등 다양한 설비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송레일(10)은 서로 다른 작업을 진행 가능한 몇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더(20)와 인접한 진입부(11), 진입부(11)와 연결된 정렬부(12), 정렬부(12)와 연결된 테이핑부(13), 테이핑부(13)와 연결되고 언로더(30)와 인접한 배출부(14), 테이핑부(13)의 상단에 이중으로 배치된 보조배출부(15)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로더(20)로부터 로딩된 판넬 등 대상물은 진입부(11)를 거쳐 정렬부(12)에서 1차 정렬되고, 글라스 등의 다른 대상물과 결합되어 테이핑부(13)로 진입된다. 테이핑부(13)에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가 설치되어 있어 판넬과 글라스가 결합된 대상물에 접착테이프가 부착된다.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대상물(판넬 및 글라스)은 배출부(14)를 통해 배출되어 언로딩되거나, 문제가 있는 경우 보조배출부(15)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정렬부(12)와 테이핑부(13)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정렬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이송레일(10)의 사이에 이송롤러(10a)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연속적으로 배열된 이송롤러(10a)의 사이에 정렬바(12a)가 배치된다. 정렬바(1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에 구름 접촉하는 회전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바(12a)는 판넬(A)의 단부와 밀착되어 판넬(A)의 이동을 저지하고 판넬(A)이 정위치에 놓이도록 정렬한다. 정렬바(12a)는 판넬(A)의 폭과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이송레일(10)을 따라 배치되거나, 판넬(A)이 진행하는 방향(화살표 참조)에 개재되어 판넬(A)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정렬바(12a)를 포함하는 정렬부(12)를 형성하여 판넬(A)과 같은 대상물을 매우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정렬바(12a)에 의해 정렬부(12) 내측에 판넬(A)이 정렬되면 상부에서 글라스(B)를 덮어 중첩시킬 수 있다. 글라스(B)와 판넬(A)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나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나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된 것이 아니므로 외력을 가하면 분리된다. 따라서 조립 중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글라스(B)와 판넬(A)을 테이핑하여 고정한다. 즉, 테이핑 작업을 통해 글라스(B)와 판넬(A)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보다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다. 추후 필요에 따라 부착된 테이프를 제거하여 둘을 분리할 수 있다.
테이핑부(13)는 보조배출부(15)의 하방에 위치한다. 보조배출부(15)는 문제가 있는 대상물(판넬과 글라스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되었거나 테이핑이 잘못된 경우 등)에 보다 신속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테이핑부(13)의 상방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핑부(13)는 이송레일(10)의 상단에 탄성 결합되어 있는 컨택터(13a)를 포함한다. 컨택터(13a)는 이송레일(10)과 연결된 지지부 등에 결합될 수 있으며 글라스(B)와 접촉이 용이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판넬(A)과 글라스(B)가 서로 중첩되어 테이핑부(13)에 진입되면 하부의 이송롤러(10a)와 상부의 컨택터(13a)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지하여 둘을 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방에 설치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가 자동으로 테이핑 작업을 진행한다. 접착테이프는 판넬(A) 표면과, 판넬(A)의 절개부(A1)를 통해 노출된 글라스(B)의 표면에 모두 부착되어 둘을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의 구조와 작동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테이프공급모듈(100), 파지부형성모듈(200), 및 가압모듈(300)을 포함한다.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며, 파지부형성모듈(200)은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211)을 포함하며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 말단에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한다. 가압모듈(300)은 파지부에 가해진 장력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접착테이프에 파지부를 형성하고, 이를 파지하여 접착테이프를 인출하고, 인출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대상(서로 중첩된 판넬 및 글라스)에 파지부가 형성된 접착테이프를 자동으로 부착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파지부형성모듈(200)이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별도의 인출구조를 형성할 필요 없이 파지부형성모듈(200)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파지부를 형성한 후 이를 바로 파지하고 접착테이프에 장력을 가하여 인출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테이핑 작업도 좀 더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이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의 구체적인 구현형태를 설명한다.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접착테이프(C)가 외주부에 감겨 고정되는 롤러 형태로 형성된다. 롤러 형태의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자유롭게 회전하며 롤(roll) 형태로 감긴 접착테이프(C)를 권취(wind) 및 권출(unwind)할 수 있다. 테이프공급모듈(100) 일 측에는 접착테이프에 접하여 장력을 조절하거나 공급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이드롤러(110)가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롤러 형태로 회전하는 테이프공급모듈(100)이 도시되었으나,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한 제한될 필요는 없다. 필요에 따라 접착테이프를 내부에 수용하여 인출할 수 있는 구조 등 또 다른 구조로 테이프공급모듈(100)의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테이프공급모듈(100)은 프레임(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101)에는 제1가이드레일(102), 및 제2가이드레일(103)이 형성된다. 프레임(101)은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의 역할을 한다. 프레임(101)은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프레임(101)의 양면을 모두 활용하여 컴팩트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101)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프레임(10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1) 없이 전술한 이송레일 등을 지지구조로 활용하여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측에 부착면(211)이 형성되고 회동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한 쌍의 핑거(210), 및 부착면(211)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노즐(211a)을 포함한다. 핑거(210)는 회동모터(212) 등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핑거(210)는 평면 형태의 부착면(211)을 포함하며 부착면(211)으로 개구된 음압노즐(211a)로 접착테이프에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가 회전하여 서로 접히면 부착면(211)이 서로 밀착되고 부착면(211) 사이에 압력이 교환된다. 이를 통해 접착테이프에 압력을 가하여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핑거(210)는 가동판(230) 위에 고정된다. 가동판(230)은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24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를 포함하는 파지부형성모듈(200)이 가동판(230)을 따라 평행 이동하여 접착테이프와 교차되거나 교차가 해제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지부를 형성한 후 테이핑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파지부형성모듈(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가동판(230)은 주행부(240)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므로 핑거(210)를 포함하는 파지부형성모듈(200) 역시 주행부(240)를 따라서 제1가이드레일(102) 위를 이동한다. 따라서 파지부형성모듈(200)이 이동하며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핑거(210) 일 측에는 접착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220)가 형성된다. 커터(220)는 테이프공급모듈로(100)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일 측을 절단하여 테이프공급모듈(100)에서 분리한다. 커터(220)는 핑거(210)와 함께 가동판(230)위에 결합될 수 있다. 커터(220)는 슬라이딩되어 접착테이프와 교차되거나 교차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커터(220)를 움직여 접착테이프와 교차시키고 교차된 접착테이프의 일 측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다. 가동판(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핑거(210)의 부착면(211) 역시 가동판(230)과 평행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경사진 부착면(211)을 이용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에 경사를 이루어 개재된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부착면(211)은 핑거(210)의 양 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핑거(21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면(211)을 형성하여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부착면(2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면 전체가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과 평행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면(211)으로 개구된 음압노즐(211a)을 통해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을 가하고 흡입압력을 이용하여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핑거(210)는 한 쌍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핑거(210)는 양 측이 모두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 측만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핑거(210)의 양 측 모두를 회동시키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부착면(211)이 핑거(210) 양 측에 모두 형성된 경우 서로 다른 부착면(211) 사이로 압력을 교환하여 접착테이프를 가압할 수 있고, 핑거(210)의 일 측에만 부착면(211)이 형성된 경우 부착면(211)이 회동하거나, 또는 정지된 상태로 핑거(210)의 타 측과 압력을 교환하여 접착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핑거(210)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고 접착테이프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도 8의 C1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인출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킨다. 예를 들어, 파지부형성모듈(200)이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이동하여 접착테이프를 인출하고, 가압모듈(300)이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 일 측에 위치한 접착대상에 접착테이프를 부착시킬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적어도 일부가 접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를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제2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330)에 결합된다. 가압모듈(300)은 주행부(330)와 결합된 몸체(310)와 몸체(310)에 연결된 가압부재(320)를 포함한다. 가압모듈(300)은 접착테이프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등으로 형성되어 가압부재(320)와 구름 접촉할 수 있다. 몸체(310)와 가압부재(320)는 연결부(321)로 연결되며 연결부(321)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가이드레일(103)과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연결부(321)의 내측에는 신축이 가능한 피스톤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외측에는 스프링 등이 결합되어 가압부재(3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330)에 결합되어 제2가이드레일(103)과 평행하게 이동된다. 또한 연결부(321)의 신축을 통해 가압부재(320)를 이와 수직한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가이드레일(103)은 접착대상(전술한 서로 중첩된 판넬 및 글라스)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가압모듈(300)은 접착대상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연결부(321)의 신축을 통해 그 일부가 인출된 접착테이프와 교차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전술한 제1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방향(전술한 제2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테이프공급모듈(100), 파지부형성모듈(200), 가압모듈(3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테이프(C)는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공급되어 말단이 파지부형성모듈(200)에 지지된다. 접착테이프(C)는 접착물질이 도포된 접착면과 그렇지 않은 비접착면을 포함하며 파지부형성모듈(200)의 핑거(210)에 형성된 부착면(도 4의 211참조)에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이 음압으로 부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핑거(210)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C)를 가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핑거(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C)를 가압하고 접착테이프(C) 말단에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가 회동하여 서로 접히는 등의 방식으로 핑거(210)에 지지된 접착테이프(C)의 말단부에 접착테이프(C)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핑거(210)를 회동시켜 파지부를 형성한 후 이를 파지하고 이동한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 사이에 파지부(C1)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접착테이프(C)를 인출할 수 있다. 즉, 파지부형성모듈(200)의 핑거(210)로 파지부(C1)에 장력을 가하여 접착테이프(C)를 인출할 수 있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레일(102)의 배치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레일(102)과 제2가이드레일(103)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제1가이드레일(102)에 약간의 경사를 주어 파지부형성모듈(200)이 접착테이프(C)를 인출하면서 접착대상을 향해 접근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가압모듈(300)은 인출된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도면 상의 인출된 접착테이프 하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도면 상의 인출된 접착테이프 상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된 판넬(A) 및 글라스(B)가 접착대상이 될 수 있고, 판넬(A) 및 글라스(B)는 컨택터(13a) 및 이송롤러(10a)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연결부(321) 등을 신장시켜 가압부재(320)를 접착테이프(C)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접착테이프(C)를 판넬(A) 및 글라스(B)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대상인 판넬(A) 및 글라스(B)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C)를 부착한다. 즉, 가압모듈(300)은 접착테이프(C)와 교차하는 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판넬(A) 및 글라스(B) 표면에 접착테이프(C)를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특히, 탄성 결합된 가압부재(320)는 판넬(A)의 절개부(A1)를 통과하면서 글라스(B) 표면을 가압할 수 있어 판넬(A) 표면과 글라스(B) 표면 모두 접착테이프(C)를 견고히 부착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형성모듈(200)은 핑거(210)를 펼쳐 파지부(C1)를 놓아두고 원위치로 이동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의 접착테이프(C)를 다시 지지할 수 있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전술한 것처럼 가동판(230)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접착테이프(C)와 교차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압모듈(300)과 충돌하지 않고 우회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도 5 참조). 파지부형성모듈(200)은 경사지게 배열된 부착면(도 4의 211참조)을 이용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에 경사지게 연장된 접착테이프(C)를 지지하며, 부착면(211)에 음압을 제공하여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을 부착면(211)에 다시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터(220)로 접착테이프(C) 일 측을 절단한다. 커터(220)가 움직여 접착테이프(C) 일 측이 절단되면, 접착테이프(C)의 접착대상에 부착된 부분(파지부 포함)이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분리된다. 가압모듈(300)은 제2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왕복하면서 분리된 접착테이프(C)의 파지부(C1)를 제외한 나머지를 판넬(A) 및 글라스(B) 표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대상 표면에 접착테이프(C)를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대상에 부착된 접착테이프(C)에는 파지부(C1)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 등은 필요에 따라 파지부(C1)를 파지하여 부착된 접착테이프(C)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접착테이프(C)는 가압모듈(300)에 의해 판넬(A) 표면과 절개부(A1)로 노출된 글라스(B) 표면 모두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부착되어 판넬(A) 및 글라스(B)가 분리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로 접착대상을 용이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2)은 판넬(A)과 글라스(B)를 조립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판넬(A)은 대차 등에 수용되어 이송레일(10)의 전단으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레일(10) 전단의 로더(20)가 판넬(A)을 파지하여 진입부(11)로 진입시킬 수 있다. 판넬(A)은 이송레일(10) 내측의 이송롤러(10a)를 따라 이동하며 정렬부(12)에서 정렬된다. 정렬부(12)는 전술한 정렬바(도 2의 12a참조)를 이용하여 판넬(A)의 이동을 멈추고 정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렬된 판넬(A) 위에 글라스(B)를 중첩시켜 밀착시킨다.
글라스(B)는 작업자에 의해 취급될 수 있으며 정렬부(12)에 정렬된 판넬(A)의 상방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첩된 판넬(A) 및 글라스(B)를 테이핑부(13)에 진입시켜 자동으로 테이핑한다. 예를 들어 정렬바(도 2의 12a) 중 판넬(A)의 이송경로에 개재된 일부를 승 하강시켜 이송경로에서 배제하는 방식으로 서로 중첩된 판넬(A) 및 글라스(B)를 테이핑부(13)에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서로 중첩된 상태의 판넬(A) 및 글라스(B)를 테이핑부(13)로 진입시킬 수도 있다. 판넬(A) 및 글라스(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핑부(13)에 설치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에 의해 자동으로 테이핑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로 판넬(A) 및 글라스(B) 모두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둘을 상호 고정하는 정확하고 견고한 테이핑이 가능하며, 부착된 접착테이프(도 8의 C참조)의 말단에 파지부(도 8의 C1참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후속하는 작업시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이핑 작업이 끝난 판넬(A) 및 글라스(B)는 테이핑부(13)로부터 배출부(14)로 배출되며 배출부(14) 후단의 언로더(30)에 의해 언로딩 된다. 이때, 예를 들어, 판넬(A)과 글라스(B)의 상호 정렬이 잘못되었거나, 테이핑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그 밖의 문제가 발견된 경우 이를 정상경로로 언로딩하지 않고 보조배출부(15)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14)는 실린더 등에 연결되어 이송레일(10) 전체의 승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문제가 발생한 판넬(A) 및 글라스(B)는 배출부(14)의 상승에 의해 테이핑부(13) 상방에 배치된 보조배출부(15)로 배출될 수 있다. 보조배출부(15)로 배출된 문제가 있는 판넬(A) 및 글라스(B)는 작업자에 의해 신속하게 처리된다.
문제가 없는 판넬(A) 및 글라스(B)는 언로더(30)에 의해 배스킷 등으로 언로딩된 후 후속하는 공정에 공급되거나 다른 시설로 운반된다. 언로더(30)는 진공흡착기 등을 이용하여 판넬(A) 및 글라스(B)를 파지하고 배스킷 등에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판넬(A) 및 글라스(B)를 상호 조립하고 테이핑 할 수 있으며 후속하는 공정에서 필요에 따라 테이핑 부위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공정 전체의 효율을 높이고 제품 생산이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1)는 가압부재(320)가 롤러가 아닌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가압부재(320)는 복수 개가 서로 나란히 배열되며 몸체(310)에 탄성 결합된다. 몸체(310)는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를 나란히 지지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부재(320)는 몸체(310)에 탄성 결합된다. 몸체(310)는 가이드레일 대신 실린더(340)의 피스톤(341)과 결합되어 승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가압모듈(300)은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를 이용하여 접착테이프의 서로 다른 지점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재(320)는 인출된 접착테이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커터(220)는 함체 등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터(220)는 접착테이프의 외측으로부터 접착테이프 내측으로 슬라이딩 하며 절개하는 방식이 아닌, 접착테이프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양 측단부를 동시에 파단하는 방식으로 절단한다. 커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돌출된 첨단부가 형성되며 첨단부가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또는 비접착면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접착테이프의 내부로부터 인접한 양 측단부를 파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면(211)의 음압노즐(211a)을 통해 제공된 음압으로 접착테이프가 부착면(211)에 공고히 부착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보다 효율적인 다양한 방식으로 커터(220)의 구성방식, 가압모듈(300)의 구성방식 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2)는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키는 인출모듈(400)을 포함한다. 인출모듈(400)은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이동하여 접착테이프를 인출하며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이동이 제한된다. 인출모듈(400)이 형성된 경우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접착테이프와 교차되지 않도록 평행이동이 가능한 정도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주행부(430)에 결합된 암(420) 및 암(420)에 연결된 집게부(410)를 포함하고 주행부(430)는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주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인출모듈(400)의 집게부(410)는 인출모듈(400)의 이동에 따라 핑거(210)의 부착면(211)으로 접근한다. 집게부(410)는 접철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며 핑거(210)가 형성한 파지부를 파지할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집게부(410)로 파지부를 파지하여 장력을 가하고 접착테이프를 인출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410)와 핑거(210)가 교차하는 핑거(210) 일 측에 홈부(210a)를 형성하여 집게부(410)가 핑거(210)의 부착면(211)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복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일부가 수직,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로 접착대상의 보다 넓은 범위를 동시에 가압하여 보다 견고히 접착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제2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330)에 연결된 승강가이드(311)와 승강가이드(31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는 몸체(310)에 탄성 결합되어 접착대상의 서로 다른 지점을 동시에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한편,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가압모듈(300)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며 접착테이프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한다. 프레임(101)에는 전술한 제1가이드레일(102)과 제2가이드레일(103) 외에 제3가이드레일(104) 및 제4가이드레일(105)이 형성된다. 제3가이드레일(104)은 제1가이드레일(102) 및 제2가이드레일(103)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4가이드레일(105)은 프레임(101)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제3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움직이도록 형성된다.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제3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주행하는 가동블록(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블록(120)의 일 측에 권취구조(예를 들어 축이나 드럼 등)가 형성되어 접착테이프(C)가 롤 형태로 감겨 고정되는 테이프공급모듈(100)을 구현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110)는 가동블록(120)에 배치되어 가동블록(1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제4가이드레일(10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판(230) 위에 형성되며 가동판(230)에 결합된 핑거(210)를 포함한다. 핑거(210) 일 측에는 커터(220)가 결합된다. 이때, 커터(220)의 위치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접착테이프를 절단하기 용이한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방식으로 커터(220)를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이동하여 인출된 접착테이프와 교차하거나 교차가 해제된다. 예를 들어, 가동판(230)이 제4가이드레일(105)을 따라 프레임(101) 쪽으로 이동하면 핑거(210)를 포함하는 파지부형성모듈(200)의 위치가 바뀌어 접착테이프와의 교차가 해제된다. 따라서, 접착테이프는 가압모듈(300)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에 개재되고 가압모듈(300)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상호간의 움직임에 의해 접착테이프에 가해지는 장력이 조절된다. 특히, 가압모듈(3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3가이드레일(104) 상의 테이프공급모듈(100) 위치를 가변시켜 접착테이프의 장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테이프(C)는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공급되어 말단이 파지부형성모듈(200)에 지지된다. 접착테이프(C)는 파지부형성모듈(200)의 핑거(210)에 형성된 부착면(도 11의 211참조)에 비접착면이 음압으로 부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핑거(210)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C)를 가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가 회동하여 서로 접히는 등의 방식으로 핑거(210)에 지지된 접착테이프(C)의 말단부에 접착테이프(C)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형성모듈(200)로 이동하여 파지부를 파지하고 접착테이프(C)에 장력을 가한다.
인출모듈(4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410) 사이에 파지부(C1)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접착테이프(C)를 인출한다. 즉, 파지부형성모듈(200) 대신 인출모듈(400)로 파지부(C1)에 장력을 가하여 접착테이프(C)를 인출할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레일(102)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출된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을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모듈(300)로 가압한다. 이때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제4가이드레일(105)을 따라 프레임(101) 측으로 이동하여 접착테이프(C)와 교차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된다. 즉 집게부(410)가 파지부(C1)를 파지한 직후,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음압제공을 중단하거나 감소시켜 접착테이프(C)를 분리하고 도 13이 도시된 평면 안쪽 방향으로 이동(도 13 200에 'in'으로 표시함)하여 접착테이프(C)의 인출이 방해되지 않도록 위치를 변경한다.
가압모듈(300)은 이와 같이 인출된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도면 상의 인출된 접착테이프 하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도면 상의 인출된 접착테이프 상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된 판넬(A) 및 글라스(B)가 접착대상이 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승강가이드(311)를 따라 접착테이프(C)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몸체(310)를 상승시킴으로써 접착테이프(C)를 판넬(A) 및 글라스(B)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대상인 판넬(A) 및 글라스(B)와 평행하게 이동하며 접착테이프(C)를 부착한다. 즉, 전술한 것처럼 가압모듈(300)은 접착테이프(C)와 교차하는 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판넬(A) 및 글라스(B) 표면에 접착테이프(C)를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로 판넬(A) 및 글라스(B)의 서로 다른 지점을 동시에 가압하여 접착테이프(C)를 매우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고, 가압모듈(300)의 이동에 따라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가 동일지점을 중복 가압하여 보다 견고하게 접착테이프(C)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형성모듈(200)은 다시 원위치로 이동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의 접착테이프(C)를 지지한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제4가이드레일(105)을 따라 도 14가 도시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도 14 200에 'out'으로 표시함)하여 인출된 접착테이프(C)와 다시 교차된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경사지게 배열된 부착면(도 11의 211참조)을 이용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에 경사지게 연장된 접착테이프(C)를 지지하며, 부착면(211)으로 음압을 제공하여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을 부착면(211)에 다시 고정할 수 있다.
커터(220)가 움직여 접착테이프(C) 일 측이 절단되면, 접착테이프(C)의 파지부(C1)가 형성되고 접착대상에 부착된 부분이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분리된다. 가압모듈(300)은 제2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왕복하면서 분리된 접착테이프(C)의 파지부(C1)를 제외한 나머지를 접착대상인 판넬(A) 및 글라스(B) 표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가압모듈(300)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충돌 위험이 해소되면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다시 파지부형성모듈(200)로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착대상 표면에 접착테이프(C)를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역시, 도시된 것처럼 접착대상에 부착된 접착테이프(C)에 파지부(C1)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 등은 필요에 따라 파지부(C1)를 파지하여 부착된 접착테이프(C)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접착테이프(C)는 가압모듈(300)에 의해 판넬(A) 표면과 절개부(A1)로 노출된 글라스(B) 표면 모두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부착되어 판넬(A) 및 글라스(B)가 분리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접착대상을 판넬과 글라스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접착대상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공정에 적용되어 이와 다른 또 다른 접착대상을 테이핑하는 데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파지부형성모듈의 핑거 및 핑거와 독립된 커터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3)는 커터(220)가 파지부형성모듈(200)의 핑거(210)와 분리되어 형성된다. 커터(220)는 첨단부가 핑거(210)의 부착면(2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며 부착면(2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터(220)는 프레임(101) 등의 일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터(22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고정암(221)에 고정되고, 커터고정암(221)은 슬라이딩구동부(222)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구동부(222)는 리니어 가이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딩구동부(222)에 연결된 커터고정암(221)이 커터(220)와 함께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커터(2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경로에 절단받침부(213)를 형성하여 접착테이프(도 15의 C참조)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절단받침부(213)는 부착면(211)에 부착된 접착테이프를 커터(220)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220)의 첨단부는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213a)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절단받침부(21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의 일 측에 관통공(213a)을 포함하는 고리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핑거(210)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태 등으로 절단받침부(21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터(220)의 첨단부를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213a)을 핑거(210)의 부착면(211)에 형성하여 관통공(213a)과 핑거(210) 일부로 이루어진 절단받침부(21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접착테이프를 커터(220) 반대편에서 지지하되 커터(220)의 첨단부는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양한 구조로 절단받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22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접착테이프(C)를 가압함으로써 접착테이프(C)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특히, 접착테이프(C)를 커터(220)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는 절단받침부(213)를 이용하여 커터(220)에 의해 가압되는 접착테이프(C)가 커터(220)의 가압력에 대응하는 반력을 받아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커터(220)의 첨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받침부(213)의 관통공(도 16의 213a참조)을 통과하게 되므로 접착테이프(C)와 교차되며 접착테이프(C) 일 측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형성모듈(200)은 판넬(A)을 향해 연장된 제5가이드레일(106)에 결합되어 핑거(210)를 포함하는 모듈 전체의 상하 방향 위치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핑거(210) 일 측에 형성된 절단받침부(213)와 커터(220)의 위치 및 관통공(213a)과 커터(220)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정렬하고 접착테이프(C)가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2: 조립시스템
10: 이송레일 10a: 이송롤러
11: 진입부 12: 정렬부
12a: 정렬바 13: 테이핑부
13a: 컨택터 14: 배출부
15: 보조배출부 20: 로더
30: 언로더 40: 팬필터유닛
100: 테이프공급모듈 101: 프레임
102: 제1가이드레일 103: 제2가이드레일
104: 제3가이드레일 105: 제4가이드레일
106: 제5가이드레일 110: 가이드롤러
120: 가동블록 200: 파지부형성모듈
210: 핑거 210a: 홈부
211: 부착면 211a: 음압노즐
212: 회동모터 213: 절단받침부
213a: 관통공 220: 커터
221: 커터고정암 222: 슬라이딩구동부
230: 가동판 240, 330, 430: 주행부
300: 가압모듈 310: 몸체
311: 승강가이드 320: 가압부재
321: 연결부 340: 실린더
341: 피스톤 400: 인출모듈
410: 집게부 420: 암
A: 판넬 A1: 절개부
B: 글라스 C: 접착테이프
C1: 파지부

Claims (15)

  1.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모듈; 및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면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의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하는 파지부형성모듈을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적어도 일 측에 상기 부착면이 형성되고 회동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한 쌍의 핑거, 및
    상기 부착면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노즐을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키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키는 인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모듈 일 측에 상기 부착면으로 접근하여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는 집게부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가해진 장력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키는 가압모듈을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접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를 가압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의 접착테이프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공급모듈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모듈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며 접착테이프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일 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접착테이프와 교차되거나 교차가 해제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일 측을 절단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에서 분리하는 커터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첨단부가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또는 비접착면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접착테이프의 내부로부터 인접한 양 측단부를 파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첨단부가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의 상기 부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부착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를 상기 커터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되 상기 커터의 첨단부는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 절단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15.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레일 일 측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
KR1020160103312A 2016-08-12 2016-08-12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 KR10183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312A KR101830933B1 (ko) 2016-08-12 2016-08-12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312A KR101830933B1 (ko) 2016-08-12 2016-08-12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216A true KR20180018216A (ko) 2018-02-21
KR101830933B1 KR101830933B1 (ko) 2018-02-22

Family

ID=6138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312A KR101830933B1 (ko) 2016-08-12 2016-08-12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9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323B1 (ko) * 2020-07-16 2022-01-20 김규철 지지테이프 부착장치
CN114379101A (zh) * 2021-12-30 2022-04-2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风挡玻璃安装用自动粘胶带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25B1 (ko) * 2019-08-22 2020-01-15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테이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1386B2 (ja) * 1994-02-23 1999-07-19 日立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テープ貼着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323B1 (ko) * 2020-07-16 2022-01-20 김규철 지지테이프 부착장치
CN114379101A (zh) * 2021-12-30 2022-04-2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风挡玻璃安装用自动粘胶带装置
CN114379101B (zh) * 2021-12-30 2023-09-0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风挡玻璃安装用自动粘胶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933B1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933B1 (ko)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
CN106881241B (zh) 自动清胶装置及其清胶方法
CN110416624B (zh) 电芯配对方法
KR101695607B1 (ko) 웹의 이음 장치
CN110416625B (zh) 电芯配对方法
KR20110131075A (ko) 로봇 시스템 및 가공품의 제조 방법
JP2007530336A (ja) 自己接着性保護フィルムを車体に自動的に貼り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
EP4108582A2 (en) Opening system of packaging box
EP3435145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film from a display device
CN109879092B (zh) 生产线原材料补充装置
JP6789018B2 (ja) 長尺体接続装置および接続方法
CN107738793A (zh) 贴料装置
JP2006298507A (ja) ガラス基板の移積装置及び移載方法
JP4070760B2 (ja) 段ボールシートの開函装置
WO2006123508A1 (ja) 脆質部材の処理装置
CN110255271B (zh) 绝缘胶片组装贴附设备
CN109808972A (zh) 一种lcm与屏幕的贴合装置
CN215625782U (zh) 料带处理设备
CN210116974U (zh) 一种智能玻璃组装设备
JP2001287868A (ja) シート剥離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板部材供給システム
KR101136511B1 (ko) 코일강판 연결장치
JP2010017634A (ja) 基板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TW202030092A (zh) 貼膜設備
JP2008068420A (ja) フィルム仮付け装置及びフィルム仮付け方法
CN221065102U (zh) 一种自动背光组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