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174A -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174A
KR20180018174A KR1020160103220A KR20160103220A KR20180018174A KR 20180018174 A KR20180018174 A KR 20180018174A KR 1020160103220 A KR1020160103220 A KR 1020160103220A KR 20160103220 A KR20160103220 A KR 20160103220A KR 20180018174 A KR20180018174 A KR 20180018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nformation
divided
ventilation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8174A/ko
Publication of KR2018001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선박/해양플랜트에서 식자재를 저장하는 냉동창고의 공간을 가상의 선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댐퍼를 설치하여 구획 공간별로 개별적인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해양플랜트에서 식자재를 저장하는 냉동창고의 공간을 가상의 선으로 구획하여 분할 공간을 생성하는 공간 구획부; 상기 공간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분할 공간에 설치된 댐퍼; 상기 구획된 분할 공간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정보 검출부;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구획된 분할 공간의 환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분할 공간의 환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환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의 개폐 및 환기 팬을 동작시키는 환기 동작부를 포함하여,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Refrigerated warehouse management system of the ship and offshore plants}
본 발명은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해양플랜트에서 식자재를 저장하는 냉동창고의 공간을 가상의 선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댐퍼를 설치하여 구획 공간별로 개별적인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에서는 냉동창고(cold chamber)에 일정기간 동안의 식자재를 싣고, 운항하거나 해상에 머물게 된다.
식자재를 관리하는 선원은 남아있는 식자재의 현황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냉동창고에 음식으로 인한 부패가 발생하여 악취가 발생하면, 수동 조작을 통해 냉동창고 전체를 환기하게 된다.
한편,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소에서 부패나 이산화탄소를 검출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식품 저장고 내부에 위치한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정보 획득 단계, DB로부터 식품의 식품 보관 정보를 획득하는 식품 보관 정보 획득 단계, 식품 저장고의 저장고 운영 정보를 획득하는 저장고 운영 정보 획득 단계, 및 상기 센싱 정보, 상기 식품 보관 정보, 및 상기 저장고 운영 정보를 미리 작성된 추론 규칙에 적용하여, 식품 저장고의 상황을 추론함으로써, 보관 식품 각각의 식품 부패 여부, 신선등급 및 신선 유지 기간을 산출하는 식품 상태 출력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센싱 정보, 저장고 운영 정보, 식품 보관 정보, 식품 속성 정보를 추론 규칙에 적용하여 저장고 보관 식품의 부패 여부, 신선 등급, 신선 유지 기간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76140호(2013.07.08. 공개)(온톨로지 기반 식품 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식품 저장고에 부패가스가 검출하여 식품 상태를 추론하고, 그 추론 결과를 기반으로 보관 식품의 부패 여부, 신선 등급 및 신선 유지 기간 등을 계산하는 것은 가능하나, 부패가스 검출 시 자동으로 환기를 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 방법은 식자재를 관리하는 선원이 직접 육안으로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이므로, 식자재 관리가 복잡해짐은 물론 관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냉동창고에 음식으로 인한 부패가 발생하여 악취가 발생하면, 수동 조작을 통해 냉동창고 전체를 환기하는 방식이므로, 환기시간 동안 냉동제품이 해동되어 변질 될 우려가 있고, 냉동창고 전체에 대한 환기이므로 환기에 의해 냉기 손실로 추후 재냉동시 전력 낭비를 유발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선박/해양플랜트에서 식자재를 저장하는 냉동창고의 공간을 가상의 선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댐퍼를 설치하여 구획 공간별로 개별적인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 마련된 냉동창고에 IT 기술과 환기 시스템을 접목하여, 스마트 냉동창고를 구현하고, 이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냉동창고의 구현을 통해, 부패가 발생한 위치 및 상황을 실시간으로 스크린에 표시해주어, 스마트 냉동창고 관리자가 용이하게 스마트 냉동창고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냉동창고의 구현을 통해, 잔여 식량, 부패한 음식 상황, 유통기간에 관한 전반적인 상황 등을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은 선박/해양플랜트에서 식자재를 저장하는 냉동창고의 공간을 가상의 선으로 구획하여 분할 공간을 생성하는 공간 구획부; 상기 공간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분할 공간에 설치된 댐퍼; 상기 구획된 분할 공간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정보 검출부;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분할 공간의 환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분할 공간의 환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환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의 개폐 및 환기 팬을 동작시키는 환기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공간 구획부는 냉동창고 전체의 레이아웃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구획 정보를 기초로 냉동창고의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공간 구획부는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에서 사용하는 센서의 감지 범위를 기초로 냉동창고의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냉동창고에 저장되는 제품의 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태정보 검출부는 부패 제품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가스 검출 센서를 이용하며, 상기 가스 검출 센서는 분할 공간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가스 검출 센서는 분할 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가스 검출 센서는 분할된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태정보 검출부 내의 가스 검출 센서에서 가스 검출시 전송된 가스 검출 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가스가 검출한 구획된 분할 공간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구획된 분할 공간별로 검출한 가스 농도 및 가스 검출 공간을 표시부에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저장 제품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갱신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저장 제품의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해주며, 저장 제품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품 일정표를 생성하여 표시부의 화면에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해양플랜트에서 식자재를 저장하는 냉동창고의 공간을 가상의 선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댐퍼를 설치하여 구획된 분할 공간별로 개별적인 환기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부패 초기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여 저장고 전체로 부패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 마련된 냉동창고에 IT 기술과 환기 시스템을 접목하여, 스마트 냉동창고의 구현이 가능하고, 냉동창고의 저장 제품의 관리에 용이함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표시부를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하고, 냉동창고 관리 정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냉동창고 공간을 분할 공간으로 구획하고, 특정 분할 공간에 가스 검출 시 이를 표시해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은 입력 장치(101), 공간 구획부(102), 상태정보 검출부(103), 제어부(104), 메모리(105), 표시부(106), 환기 동작부(107), 환기 팬(108), 알람 발생부(109) 및 댐퍼(11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장치(101)는 사용자가 냉동창고(1)에 저장할 제품의 정보를 입력하고, 냉동창고(1)에 저장된 제품의 정보 변경 시 이를 갱신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키패드나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표시부(106)는 냉동창고(1) 분할 공간, 구획된 분할 공간의 가스 검출 상태, 검출 가스 농도, 저장 제품의 일정표 등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표시부(106)를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할 경우, 상기 입력장치(101)를 제거하고, 표시부(106)로 정보 표시와 입력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표시부(106)는 정보 입력, 정보 갱신, 구획 공간 정보, 구획 공간의 가스 검출 상황 정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공간 구획부(102)는 선박/해양플랜트에서 식자재를 저장하는 냉동창고(1)의 공간을 가상의 선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가상의 선을 이용하여 냉동창고(1) 공간을 구획하는 방법은, 전체 냉동창고(1)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여 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구획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기반으로 냉동창고(1) 전체 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상태 정보 검출부(103)에서 사용하는 상태 검출 센서의 감지 범위를 기초로 전체 공간을 구획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간 구획 방법 이외에 하나의 공간을 분할하여 다수의 구획 공간으로 만드는 알려지는 모든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구획된 공간을 분할 공간이라고 명명한다.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103)는 상기 공간 구획부(102)에 의해 구획된 분할 공간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태정보 검출부(103)는 부패 제품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가스 검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가스 검출 센서는 이산화탄소 검출센서로 간주하고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패를 판별할 수 있는 알려진 다른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스 검출 센서는 구획된 분할 공간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가스 검출 센서는 구획된 분할 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유정보에는 가스 검출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설치 위치 정보는 구획 공간을 의미하므로, 고유정보만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획된 분할 공간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 검출 센서는 이산화탄소(co2) 검출센서를 이용하되, 상기 이산화탄소는 산소보다 농도가 무겁기 때문에 상기 가스 검출 센서는 구획된 분할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103)에서 검출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구획된 분할 공간의 환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구획된 분할 공간의 환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어부(104)는 각각의 구획 공간별로 검출한 가스 농도 및 가스 검출 공간을 상기 표시부(106)에 표시해주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입력장치(101)를 통해 입력된 저장 제품을 메모리(105)에 저장하고, 갱신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저장 제품의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해주며, 저장 제품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품 일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104)의 화면에 표출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환기 동작부(107)는 상기 제어부(104)에서 출력되는 환기 제어신호에 따라 댐퍼(11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고, 환기 팬(108)을 동작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105)는 냉동창고(1) 전체 레이아웃, 구획된 분할 공간의 상태 정보, 가스 농도, 구획된 분할 공간에 설치된 가스 검출 센서의 고유정보, 저장되는 제품의 제품 정보, 제품 갱신 정보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람 발생부(109)는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부패 가스 검출에 따른 알람을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1)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1)에 대한 공간을 구획한다. 공간 구획은 메모리(105)에 저장된 냉동창고(1) 설계도면을 기반으로 레이아웃을 통해 구획할 수 있다. 실제 표시부(106)에 냉동창고(1) 설계도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가상 선(도 3의 10)을 그려 전체 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입력장치(101)를 통해 전체 공간을 몇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분할 공간의 개수를 입력하는 방식으로도 공간 구획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태정보 검출부(103)에서 사용하는 상태 검출 센서의 감지 범위를 기초로 공간 구획이 가능하다.
공간 구획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공간 구획부(102)는 그 공간 구획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냉동창고(1) 설계도면에 공간을 구획하여 레이아웃을 형성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분할 공간의 개수를 입력한 경우, 전체 공간을 상기 분할 공간의 개수로 일정하게 나누어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가상의 선을 입력한 경우에는 그 가상의 선을 기반으로 냉동창고(1) 전체 공간을 구획하여 분할 공간을 생성한다. 만약, 상태 검출 센서로 이산화탄소 검출 센서를 이용하게 되면, 이산화탄소 검출 센서의 감지 범위를 고려하여 0.5M를 기준으로 공간을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획된 냉동창고(1) 구획정보는 제어부(104)를 통해 메모리(105)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냉동창고(1)에 저장할 제품을 저장하고, 입력장치(101)를 통해 저장할 제품 정보를 입력한다. 예컨대, 저장할 제품이 가공 식품이면 가공 식품의 이름과 유통기한 등의 제품 정보를 입력한다.
제어부(104)는 상기 입력장치(101)를 통해 제품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냉동창고(1) 레이아웃 도면에 매칭시켜 제품을 등록한다. 사용자는 냉동창고(1)에 저장된 제품의 사용시 사용 정보를 입력하게 되고, 그러면 제어부(104)는 실시간으로 냉동창고(1)의 제품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제어부(104)는 제품의 등록 시, 또는 제품 정보의 갱신으로 제품 정보가 변경되면, 그때마다 해당 제품의 일정표를 갱신한다. 여기서 일정표는 가공 식품의 경우, 유통기한 등을 이용하여 사용 가능일 수를 계획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제어부(104)는 유통 기한을 기반으로 제품의 일정표를 스케줄링할 때, 유통기한별로 제품의 일정을 별도로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는 제품부터 사용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냉동창고(1)의 각각의 분할 공간에 수용되는 제품의 정보를 표시한 예시이다. ROOM NAME, 온도, 종류, 양, 만기일, 사용 가능 기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냉동창고(1)의 일정표를 이용하면, 냉동창고(1) 관리자가 식재료를 관리하는데 편리하고, 자신이 직접 일정표를 스케줄링하거나 식자재 상태를 일일이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간 구획부(102)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상부(천정)에는 환기를 위한 댐퍼(1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냉동창고(1)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한 레이아웃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10, 111, 112, 113 등이 댐퍼를 의미한다. 도 3에서 공간은 16개로 분할한 것을 예시로 한 것이며, 결과적으로 댐퍼도 16개가 필요하다.
아울러 각각의 구획 공간에는 저장한 제품의 부패시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정보 검출부(103)가 마련된다. 상태정보 검출부(103)는 가스 검출 센서를 이용하며, 구획 공간이 16개이면 가스 검출 센서도 16개 설치된다.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103)는 저장한 제품에서 가스가 발생하는지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를 제어부(104)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탄소 검출 센서를 이용하므로, 검출되는 가스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된다.
상기 제어부(104)는 상태정보 검출부(103)를 통해 검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값과 환기를 제어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산화탄소 농도 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기준 이산화탄소 농도 값보다 크면 사람이 접근했을 시 위험이 따르게 되므로, 환기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냉동창고(1) 내부를 복수의 분할 공간으로 구획한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도 분할된 공간의 개수만큼 검출된다. 따라서 제어부(104)는 미리 순서를 정하여 순차적으로 모든 상태정보 검출부(103)의 출력을 분석하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검출되는 상태정보 검출부의 출력만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산화탄소 농도 발생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검출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분석하여, 환기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검출된 위치를 찾아야 한다. 실제 음식물의 부패 등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발생하는 데, 냉동창고(1)의 내부는 분할된 것이 아니고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형태이므로, 실제 한 장소에서 음식물 부패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검출되는 경우, 다른 장소에 수용된 음식물에서 부패가 발생하지 않아도 다른 장소에서 이산화탄소가 검출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냉동창고(1)는 밀폐된 상태이고, 특정 장소에서 음식물 부패로 가스가 발생하면 부패 가스가 확산하는 것은 자명하나, 해당 분할 공간에 가장 근접하게 설치된 가스 센서에서 부패 가스(이산화탄소)를 제일 먼저 검출하거나 검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장 높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확률 정보를 환기 제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소로 활용하여, 환기를 제어한다. 환기 제어를 위해서는 부패 가스가 발생한 위치에 설치된 댐퍼(예를 들어, 110)를 개방해야 한다. 부패 가스가 발생한 위치에 설치된 댐퍼를 찾기 위해서는 각각의 이산화탄소 센서에 고유번호(ID)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센서에 고유번호 부여시 설치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해당 정보를 메모리(105)에 사전에 저장해 놓은 것으로 간주한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검출한 센서의 고유번호만 알면 메모리(105)를 검색하여 부패 가스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부패 가스가 발생한 위치가 추적되고, 그에 대응하는 댐퍼 위치를 알게 되면, 환기 동작부(107)에 환기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환기 제어신호에는 해당 댐퍼의 위치 정보와 구동 신호, 그리고 환기 팬의 구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동작부(107)는 환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댐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댐퍼만을 개방하고, 동시에 환기 팬(108)을 동작시켜, 냉동창고(1)에서 음식물 부패로 인해 발생하는 부패 가스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부패 가스가 발생한 댐퍼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냉기 손실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력 낭비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환기 동작을 수행한 후, 지속적으로 상태정보 검출부(103)를 통해 검출한 이산화탄소 농도와 상기 기준 이산화탄소 농도를 비교하여, 검출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기준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낮으면 개방한 댐퍼를 폐쇄하고, 환기 팬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는 상태정보 검출부(103)에 의해 검출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높으면, 음식물 부패로 간주하고, 상기와 같이 즉시 환기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표시부(106)를 통해 어느 위치에서 음식물 부패가 발생했는지를 디스플레이해준다. 따라서 냉동창고(1) 관리자는 냉동창고(1)에 수용된 식자재를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이,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표시부(106)를 통해서 신속하게 부패가 이루어진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에 알맞은 후속 조치를 취하는데 매우 편리함을 도모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획된 냉동창고(1)의 특정 위치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환기 동작과 표시 동작을 수행하고, 그와 동시에 알람 발생을 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게 냉동 창고에서 부패 가스가 발생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제어부(104)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높으면, 상기와 같이 환기 동작과 표시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알람 발생신호를 알람 발생부(109)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알람 발생부(109)는 경보 알람을 발생하여, 냉동창고(1)에 떨어진 관리자에게 냉동창고(1)에 부패 가스가 발생하였음을 청각적으로 알려주게 된다. 이로 인해 냉동창고(1) 관리자는 원격에 위치하여도, 경보 알람을 통해 냉동창고(1)에 음식물 부패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표시부(106)에 표시되는 정보의 예시로서, ROOM NAME은 해당 공간에 저장된 식자재의 정보로서, MEAT ROOM은 고기를 저장하는 구획공간을 의미하지만 구획에 의해 분할한 분할 공간(구획 공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냉동창고(1) 전체 공간을 구획한 경우, MEAT ROOM에 구획 공간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면, 구획 공간의 정보와 위치를 인지하는 데 더욱 편리함을 제공해줄 수 있다. 예컨대, MEAT ROOM(2)이라고 표시하면, 도 3에서 가상 선(10)으로 구획한 분할 공간 중 고기 저장소의 2번째 위치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창고(1) 전체 공간을 가상의 선을 이용하여 구획하여 분할 공간을 생성하고, 각각의 분할 공간마다 환기를 위한 댐퍼를 설치하고, 부패 가스가 감지되는 위치의 댐퍼만 신속히 개방하여, 신속한 환기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전체 공간에서 특정 댐퍼만을 개방함으로써, 전력 낭비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냉기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선박 및 해양플랜트에서 냉동창고(1)에 수용되는 식자재를 관리하는 기술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1: 냉동창고
10: 가상 선
101: 입력장치
102: 공간 구획부
103: 상태정보 검출부
104: 제어부
105: 메모리
106: 표시부
107: 환기 동작부
108: 환기 팬
109: 알람 발생부
110: 댐퍼

Claims (9)

  1.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부패가스를 외부에 배출하고, 냉동창고에 저장된 식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선박/해양플랜트에서 식자재를 저장하는 냉동창고의 공간을 가상의 선으로 구획하여 분할 공간을 생성하는 공간 구획부;
    상기 공간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분할 공간에 설치된 댐퍼;
    상기 구획된 분할 공간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정보 검출부;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구획된 분할 공간의 환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분할 공간의 환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환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의 개폐 및 환기 팬을 동작시키는 환기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공간 구획부는 냉동창고 전체의 레이아웃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구획 정보를 기초로 냉동창고의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공간 구획부는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에서 사용하는 상태 검출 센서의 감지 범위를 기초로 냉동창고의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4. 청구항 2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냉동창고에 저장되는 제품의 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는 부패 제품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가스 검출 센서를 이용하며, 상기 가스 검출 센서는 구획된 분할 공간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가스 검출 센서는 구획된 분할 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6. 청구항 5에서, 상기 가스 검출 센서는 구획된 분할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7.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 내의 가스 검출 센서에서 부패가스 검출시 전송된 가스 검출 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가스가 검출된 분할 공간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8.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부는 구획된 분할 공간별로 검출한 가스 농도 및 가스 검출 공간을 표시부에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9. 청구항 3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저장 제품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갱신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저장 제품의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해주며, 저장 제품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품 일정표를 생성하여 표시부의 화면에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KR1020160103220A 2016-08-12 2016-08-12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KR20180018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220A KR20180018174A (ko) 2016-08-12 2016-08-12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220A KR20180018174A (ko) 2016-08-12 2016-08-12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174A true KR20180018174A (ko) 2018-02-21

Family

ID=6152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220A KR20180018174A (ko) 2016-08-12 2016-08-12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81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50A (ko) * 2018-11-14 2020-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50A (ko) * 2018-11-14 2020-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595B1 (ko) 냉각 또는 냉동 장치
Joshi et al. Impact of cold chain and product variability on quality attributes of modified atmosphere packed mushrooms (Agaricus bisporus) throughout distribution
EP3390934B1 (en) Controlling a refrigeration unit in response to a specific cargo load
US202303944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ishable product monitoring along a supply chain
Flick et al. Combined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approaches for modeling the evolution of food products along the cold chain. Part I: Methodology
CN109073316A (zh) 运输制冷单元的自动诊断
US20210364004A1 (en) Product fan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20180018174A (ko)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James Food transportation and refrigeration technologies—Design and optimization
KR102576356B1 (ko)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CN100552333C (zh) 利用电波识别的食品管理冰箱
JP2000234832A (ja) 急速冷却機の警報装置
EP3390994B1 (en) Determining hot cargo load condition in a refrigerated container
JP2003042631A (ja) 冷設機器管理システム
JPH10201431A (ja) 食品監視装置
CN117043532A (zh) 信息处理装置以及程序
Novaes et al. Routing effects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refrigerated vehicles in the distribution of perishable products
Novaes et al. Dynamic temperature control in the distribution of perishable food
KR102635331B1 (ko) 변온 조건에서의 식중독균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1786929B1 (ko) 김치 냉장고의 제어방법
WO2020189733A1 (ja) 設定温度算出装置、低温処理システム、設定温度算出方法及び設定温度算出プログラム
Maldonado et al. Cold chain conditions of meat and dairy products in mexican retail food stores
CN113639518A (zh) 冰箱内食材监管方法、系统、服务器和可读存储介质
CN117073299A (zh) 一种冰箱控制方法及冰箱
KR20200122759A (ko) 유통물류창고 자동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