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250A -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250A
KR20200056250A KR1020180140333A KR20180140333A KR20200056250A KR 20200056250 A KR20200056250 A KR 20200056250A KR 1020180140333 A KR1020180140333 A KR 1020180140333A KR 20180140333 A KR20180140333 A KR 20180140333A KR 20200056250 A KR20200056250 A KR 2020005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oom
shelf
unit
management system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356B1 (ko
Inventor
박창현
최고
강정구
김범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3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4Ammon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은, 선체의 일부 구역에 탑재되며 식자재가 보관되는 냉동창고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냉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보관 룸이 구획되어 마련된 지능형 창고부; 보관 룸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로드 셀이 있는 전자저울 선반들을 구비한 선반부; 보관 룸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선반부에 설치되며 온도센서와 로드 셀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에 연결되며 온도센서와 로드 셀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모니터링부에는, 보관 룸에 있는 식자재의 고유 정보와 보관 룸의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선반부의 로드 셀에 의해 측정된 식자재의 무게가 통신부의 송신에 의해 표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냉동창고 내에 남은 식자재의 잔여 량과 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확인하며, 식자재의 보관온도 및 부패확인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INTELLIGENT COLD STORAGE MANAGEMENT SYSTEM FOR SHIP}
본 발명은 냉동 창고 기술로서, 선박의 식자재 냉동창고에 대한 관리를 지능형으로 자동 구현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식자재 냉동창고는, 승조원의 항해에 필요한 식료품을 장기 보관하는 것으로서, 선체에 탑재된 냉동형 창고이다.
냉동창고 내에서 식자재는 박스 단위로 보관된다. 냉동창고 내에 음식물 보관을 위한 선반과 냉동창고 내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냉동창고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조리실 내에서 냉동창고의 온도 및 식자재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냉동창고 외부에 온도 조절을 위한 컨트롤 판넬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식자재의 잔여량, 유통기한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냉동창고 내부의 잔여량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기존에는 선박의 식자재를 냉동창고 내에 보관 시 주로 박스 단위로 보관하고 있고, 별도의 전자식 관리 장치가 없어, 남은 식자재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해야 했다.
기존에는 냉동창고에 보관된 식자재의 유통기한을 별도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없었으므로, 보관 중인 식자재의 유통기한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식자재의 부패확인이 불가능 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 선박용 냉동창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창고 내에 남은 식자재의 잔여 량과 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확인하며, 식자재의 보관온도 및 부패확인이 가능한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은, 선체의 일부 구역에 탑재되며 식자재가 보관되는 냉동창고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냉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보관 룸이 구획되어 마련된 지능형 창고부; 상기 보관 룸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로드 셀이 있는 전자저울 선반들을 구비한 선반부; 상기 보관 룸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선반부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와 로드 셀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며 상기 온도센서와 로드 셀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에는, 상기 보관 룸에 있는 식자재의 고유 정보와 상기 보관 룸의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상기 선반부의 로드 셀에 의해 측정된 식자재의 무게가 상기 통신부의 전송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 복수의 보관 룸은, 식자재를 냉동 보관하는 영하의 냉동 보관 룸과 식자재를 상온 보관하는 냉장 보관 룸을 포함하며, 상기 냉장 보관 룸에서 암모니아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센서의 측정정보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되어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은, 상기 식자재가 수용되는 바스켓을 탑재할 수 있는 복수의 적층형 랙 선반으로 구성되되, 각 선반의 전면부에는 상기 식자재의 품명과 무게를 표시하는 선반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거나 상기 통신부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반부의 선반들 각각의 무게를 표시하는 무게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보관 룸의 각각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식자재가 상기 바스켓에 담긴 상태에서 통과하면서 상기 식자재에 있는 바코드 정보가 수집되는 바코드 리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수집된 식자재의 고유 정보가 상기 전자저울 선반의 선반 표시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며, 상기 식자재의 고유 정보에는, 품명, 수량, 무게, 입고일자, 유통기한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에는 각각 식별 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의 각각의 식별 번호가 표시되며, 상기 전자저울 선반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를 선택 시에는 선택된 전자저울 선반에 위치하는 상기 식자재의 고유정보가 표시되되, 상기 식자재의 입고날짜와 유통기한이 표시되며, 상기 유통기한 전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상기 선반부에 있는 식자재의 암모니아 가스농도가 표시되며, 상기 암모니아 가스농도의 정해진 수준에서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어부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관 룸은, 육류를 보관하기 위한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을 구비한 선반부와 함께 일반 선반부가 배치된 제1 보관 룸; 어류를 보관하기 위한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을 구비한 선반부와 함께 일반 선반부가 배치된 제2 보관 룸; 및 채소류를 보관하기 위한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을 구비한 선반부와 함께 일반 선반부가 제3 보관 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관 룸과 상기 제2 보관 룸은 냉동 보관 룸으로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 보관 룸은 냉장 보관 룸으로서 제1 보관 룸과 이격되어 상기 제2 보관 룸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창고부는, 상기 제1 보관 룸, 상기 제2 보관 룸, 및 상기 제3 보관 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식자재를 일시 보관 가능한 일반 선반부가 배치된 건조 식품 스토어; 상기 건조 식품 스토어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보관 룸, 상기 제2 보관 룸, 및 상기 제3 보관 룸의 동선 경로에 배치되는 로비; 및 상기 제2 보관 룸과 제3 보관 룸 사이에 배치되며, 일반 선반부가 배치된 다이어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은, 상기 건조 식품 스토어에 연결되며, 상기 식자재를 운반하는 식자재 엘리베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냉동창고 내에 남은 식자재의 양과 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확인하며, 식자재의 보관온도 및 부패확인이 가능한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의 배치도,
도 2는 도 1의 전자저울 선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의 식자재 보관관리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의 터치스크린의 제1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의 터치스크린의 제2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선체의 일부 구역에 탑재되며 식자재가 보관되는 냉동창고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선박의 장기간의 향해 중 발생할 수 있는 식자재의 부족 및 부패, 잘못된 식자재 관리로 인한 유통기한 만료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을 통한 정확한 식자재의 잔여량, 유통기한, 부패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식자재의 무게를 확인 할 수 있는 전자 저울, 냉동창고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온도 센서, 식자재의 부패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스센서, 식자재의 유통기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 센서, 이를 모두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와 그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식자재의 정확한 잔여량을 확인 가능하며, 식자재의 잔여량이 전체의 10% 내일 경우 알람이 발생하여 추가 식자재 구매 시기를 알 수 있으며, 바코드에 식자재의 유통기한 정보를 입력하여 식자재의 정확한 유통기한 및 식자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가스센서를 이용하여 냉동창고 내부 식자재의 부패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질된 식자재의 양을 체크하여 기항지까지의 거리와 소요기간을 기준으로 가용 식자재량을 통해 선원의 식사 메뉴를 결정할 수 있고, 각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위성통신 등의 수단으로 발신하여 기항지에서 필요한 식자재를 사전에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은, 냉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보관 룸이 구획되어 마련된 지능형 창고부(100), 보관 룸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로드 셀(124)이 있는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을 구비한 선반부(120), 보관 룸에 설치되는 온도센서(131), 선반부(120)에 설치되며 온도센서(131)와 로드 셀(124)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35), 및 통신부(135)에 연결되며 온도센서(131)와 로드 셀(124)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부(150)에는, 보관 룸에 있는 식자재의 고유 정보와 보관 룸의 온도센서(131)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선반부(120)의 로드 셀(124)에 의해 측정된 식자재의 무게가 상기 통신부(135)의 전송에 의해 표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은, 일일이 창고를 들여다보지 않고도, 냉동창고 내에 남은 식자재의 양과 유통기한을 모니터링부(150)를 통해서 자동으로 확인 가능하며, 식자재의 보관온도 및 부패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지능형 창고부(100)는, 식자재를 일시 보관 가능한 일반 선반부(130)가 배치된 건조 식품 스토어(101)를 포함한다. 또한 건조 식품 스토어(101)의 한쪽에는 건조 식품 스토어(101)에 연결되며, 식자재를 운반하는 식자재 엘리베이터(105)가 마련된다.
식자재는 식자재 엘리베이터(105)를 통해서 건조 식품 스토어(101)로 반입되거나 반대로 사용이나 폐기를 위해서 반출될 수 있다.
건조 식품 스토어(101)에는, 식자재가 바스켓에 담긴 상태에서 통과하면서 식자재에 있는 바코드(108)의 정보가 수집되는 바코드 리더기(107)가 설치된다. 바코드 리더기(107)는 식자재의 바코드 정보를 통해 식자재의 고유 정보를 수집한다.
건조된 식품 예를 들면, 라면, 통조림, 음료 수 등 상온에서 보관 가능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건조 식품 스토어(101)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후, 바스켓에 담긴 상태에서 바코드 리더기(107)를 거쳐 냉동이나 냉장 보관되며, 그 반대로 반출될 수 있다. 식자재는 그 고유 정보가 바코드 리더기(107)를 거치면서 모니터링부(150)에 저장된다. 반대로 냉동이나 냉장 보관된 식자재는 건조 식품 스토어(101)를 거쳐 외부로 반출되며, 반출되기 전에 바코드 리더기(107)를 거치게 된다.
모니터링부(150)는 창고로 반입 시에 바코드 리더기(107)를 거친 식자재를 보관 목록으로 저장하거나 반대로 창고 반출 시에 바코드 리더기(107)를 거친 식자재를 보관 목록에서 삭제할 수 있다.
식자재가 보관되는 복수의 보관 룸(111, 112, 113)은, 식자재를 냉동 보관하는 영하의 냉동 보관 룸(111, 112)과 식자재를 상온 보관하는 냉장 보관 룸(113)을 포함한다. 냉동과 냉장 보관은 냉기의 세기 조절에 따라 온도가 조절되도록 모니터링부(150)에서 설정된다.
냉동 보관 룸(111, 112)은 주로 육류나 어류를 보관하는 장소이며, 냉장 보관 룸(113)은 채소류를 보관하는 장소이다. 냉동 보관 룸(111, 112)은 육류와 어류를 보관하기 위한 두 개의 장소로 구분될 수 있으며, 냉장 보관 룸(113)은 하나의 구획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능형 창고부(100)에는 육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을 구비한 선반부(120)와 함께 일반 선반부(130)가 배치된 제1 보관 룸(111), 어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을 구비한 선반부(120)와 함께 일반 선반부(130)가 배치된 제2 보관 룸(112), 및 채소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을 구비한 선반부(120)와 함께 일반 선반부(130)가 제3 보관 룸(113)이 마련된다.
제1 보관 룸(111)과 제2 보관 룸(112)은 냉동 보관 룸으로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3 보관 룸(113)은 냉장 보관 룸으로서 제1 보관 룸(111)과 이격되어 제2 보관 룸(1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지능형 창고부(100)에서 상기의 건조 식품 스토어(101)는 제1 보관 룸(111), 제2 보관 룸(112), 및 제3 보관 룸(113)에 선택적으로 통로가 연결된다. 건조 식품 스토어(101)와 1 보관 룸, 제2 보관 룸(112), 및 제3 보관 룸(113) 사이에는 사용자 출입을 위한 개폐도어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능형 창고부(100)는 건조 식품 스토어(101)와 분리된 내부에는 건조 식품 스토어(101)에 인접하며, 제1 보관 룸(111), 제2 보관 룸(112), 및 제3 보관 룸(113)의 동선 경로에 배치되는 로비(115), 및 제2 보관 룸(112)과 제3 보관 룸(113) 사이에 배치되며 일반 선반부(130)가 배치된 다이어리(117)가 마련된다.
로비(115)는 제1 보관 룸(111), 제2 보관 룸(112), 및 제3 보관 룸(113)으로 모두 통하는 중앙부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필요한 식자재를 일시 반출하여 놓을 수 있는 장소이며, 다이어리(117)는 매일 주로 사용하는 채소류의 반출이 용이하게 로비(115)에 가깝게 배치한 보관 장소이다.
상기와 같이 식자재는 제1 보관 룸(111), 제2 보관 룸(112), 및 제3 보관 룸(113), 또는 다이어리(117)에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식자재의 보관에서 중요한 점은 식자재가 보관되는 공간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식자재를 신선하게 보관하는 것이며, 식자재의 사용량을 확인하고, 유통기한을 넘기지 않으면서 식자재를 적절히 사용하고, 식자재의 부패를 확인하여 폐기 처리하는 것이다.
제1 보관 룸(111)에는 두 지점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131)가 설치되며, 제2 보관 룸(112)에는 중앙부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131)가 있으며, 냉장 보관 룸인 제3 보관 룸(113)에는 온도센서(131)와 암모니아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센서(132)가 설치된다.
제1 보관 룸(111), 제2 보관 룸(112), 및 제3 보관 룸(113)의 온도센서(131)의 온도 정보 및 제3 보관 룸(113)의 가스센서(132)의 측정정보는 각각의 보관 룸에 설치된 통신부(135)를 통해 모니터링부(150)로 전송되어 모니터링부(150)에 표시된다.
상기 제1 보관 룸(111), 제2 보관 룸(112), 및 제3 보관 룸(113)에는 식자재의 무게를 측정하여 모니터링부(150)에 표시하기 위한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을 구비한 선반부(120)가 설치된다.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은, 식자재가 수용되는 바스켓을 탑재할 수 있는 복수의 적층형 랙 선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저울 선반(121, 122)의 전면부에는 식자재의 품명과 무게를 표시하는 선반 표시부(125)가 마련된다. 선반 표시부(125)는 정보 변환이 가능한 엘이디나 디스플레이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 표시부(125)는 바코드 리더기(107)에서 수집된 식자재의 일부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의 모니터링부(150)는, 통신부(135)에 연결되어 통신부(135)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거나 통신부(135)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160), 및 제어부(160)에 연결되며 통신부(135)에서 제어부(160)로 전송된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170)을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컴퓨터의 일종으로서 저장과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수행이 가능한 보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에는 데이터 관리를 위한 일반 컴퓨터 및 바코드 리더기(107)에 연결되는 PLC(161)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부(120)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PLC 통신을 사용한다.
한편, 식자재의 고유 정보에는, 품명, 수량, 무게, 입고일자, 유통기한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70)에는, 창고 배치를 표시하여 보관 장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지능형 창고부(100)의 보관 영역들을 표시하는 창고 정보 터치부(171), 선반부(120)의 배치를 나타내며 각 선반의 정보를 터치에 의해 나타내는 선반 정보 터치부(172), 선반에 보관된 식자재의 무게, 입고 및 유통 기한 날짜를 표시하는 자재 정보 표시부(175), 식자재가 보관된 보관 장소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174), 보관 장소의 가스농도를 표시하는 가스 표시부(177), 식자재의 바코드 정보를 표시하는 바코드 정보부(176)가 구현된다.
제어부(160)에 의해 선반부(120)의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 각각의 식자재의 무게를 표시하는 무게 표시부(178)는 자재 정보 표시부(175)에 포함된다. 자재 정보 표시부(175)의 한쪽 영역에 복수의 보관 룸의 각각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174)가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의 각각의 로드 셀(124)에 통신부(13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로드 셀(124)에 의해 측정된 각 선반에 있는 식자재의 무게를 수집하여 터치스크린(170)의 무게 표시부(178)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제1 보관 룸(111), 제2 보관 룸(112), 및 제3 보관 룸(113)에 있는 온도센서(131)의 측정 정보를 온도 표시부(174)에 표시한다. 제1 보관 룸(111), 제2 보관 룸(112), 및 제3 보관 룸(113)이 터치스크린(170)에서 선택되며, 그 온도 및 선반의 무게 정보가 수집되어 표시된다.
터치스크린(170)에는 온도 표시부(174)와 함께 가스 표시부(177)가 있으며, 가스 표시부(177)에는 가스센서(132)가 측정된 가스 농도가 표시된다. 가스는 식자재의 부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암모니아 가스이다.
터치스크린(170)에는 바코드 리더기(107)에 의해 수집된 식자재의 고유 정보가 바코드 정보부(176)에 표시된다. 이러한 고유 정보 중 품명과 같은 일부 정보로서, 통신부(135)를 통해서 전자저울 선반(121, 122)의 표시부에 자동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바코드 리더기(107)에 의해서 수집된 식자재의 고유 정보를 수집한 후, 식자재 별 전자저울 선반(121, 122)으로 전송하여 선반 표시부(125)에 표시한다. 전자저울 선반(121, 122)에 놓인 식자재는 무게가 측정되어 선반 표시부(125)에 표시되며, 그 무게는 통신부(135)를 통해서 제어부(160)로 전송된 후 터치스크린(170)에 표시된다.
상기의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에는 각각 식별 번호가 부여되며, 터치스크린(170)에 전자저울 선반(121, 122)들의 각각의 식별 번호가 표시되며, 전자저울 선반(121, 122)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를 선택 시에는 선택된 전자저울 선반(121, 122)에 위치하는 식자재의 고유정보가 표시된다.
이처럼 터치스크린(170)에는 식자재의 품명과 무게와 함께 입고날짜와 유통기한이 날짜 표시부(179, 179`)에 표시된다.
제어부(160)는 바코드 리더기(107)를 통해서 또는 수동으로 입력된 각 식자재의 유통기한 전에 알람을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은 터치스크린(170)에 유통기한 날짜의 문자 점멸이나 강조 또는 소리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0)에는 선반부(120)에 있는 식자재의 암모니아 가스농도가 표시되며, 암모니아 가스농도의 정해진 수준에서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부(160)가 설정될 수 있다.
100: 지능형 창고부 101: 건조 식품 스토어
105: 식자재 엘리베이터 107: 바코드 리더기
111: 제1 보관 룸 112: 제2 보관 룸
113: 제3 보관 룸 115: 로비
117: 다이어리 120, 130: 선반부
121, 122: 전자저울 선반 125: 선반 표시부
131: 온도센서 132: 가스센서
135: 통신부 150: 모니터링부
160: 제어부 170: 터치스크린
171: 창고 정보 터치부 172: 선반 정보 터치부
173: 자재 정보 표시부 174: 온도 표시부
176: 바코드 정보부 177: 가스 표시부

Claims (10)

  1. 선체의 일부 구역에 탑재되며 식자재가 보관되는 냉동창고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냉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보관 룸이 구획되어 마련된 지능형 창고부;
    상기 보관 룸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로드 셀이 있는 전자저울 선반들을 구비한 선반부;
    상기 보관 룸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선반부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와 로드 셀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며 상기 온도센서와 로드 셀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에는, 상기 보관 룸에 있는 식자재의 고유 정보와 상기 보관 룸의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상기 선반부의 로드 셀에 의해 측정된 식자재의 무게가 상기 통신부의 전송에 의해 표시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관 룸은, 식자재를 냉동 보관하는 영하의 냉동 보관 룸과 식자재를 상온 보관하는 냉장 보관 룸을 포함하며,
    상기 냉장 보관 룸에서 암모니아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센서의 측정정보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되어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은,
    상기 식자재가 수용되는 바스켓을 탑재할 수 있는 복수의 적층형 랙 선반으로 구성되되, 각 선반의 전면부에는 상기 식자재의 품명과 무게를 표시하는 선반 표시부가 마련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거나 상기 통신부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반부의 선반들 각각의 무게를 표시하는 무게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보관 룸의 각각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가 구현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가 상기 바스켓에 담긴 상태에서 통과하면서 상기 식자재에 있는 바코드 정보가 수집되는 바코드 리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수집된 식자재의 고유 정보가 상기 전자저울 선반의 선반 표시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며,
    상기 식자재의 고유 정보에는, 품명, 수량, 무게, 입고일자, 유통기한이 포함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에는 각각 식별 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의 각각의 식별 번호가 표시되며, 상기 전자저울 선반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를 선택 시에는 선택된 전자저울 선반에 위치하는 상기 식자재의 고유정보가 표시되되, 상기 식자재의 입고날짜와 유통기한이 표시되며, 상기 유통기한 전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설정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상기 선반부에 있는 식자재의 암모니아 가스농도가 표시되며, 상기 암모니아 가스농도의 정해진 수준에서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어부가 설정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관 룸은,
    육류를 보관하기 위한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을 구비한 선반부와 함께 일반 선반부가 배치된 제1 보관 룸;
    어류를 보관하기 위한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을 구비한 선반부와 함께 일반 선반부가 배치된 제2 보관 룸; 및
    채소류를 보관하기 위한 상기 전자저울 선반들을 구비한 선반부와 함께 일반 선반부가 제3 보관 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관 룸과 상기 제2 보관 룸은 냉동 보관 룸으로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 보관 룸은 냉장 보관 룸으로서 제1 보관 룸과 이격되어 상기 제2 보관 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창고부는,
    상기 제1 보관 룸, 상기 제2 보관 룸, 및 상기 제3 보관 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식자재를 일시 보관 가능한 일반 선반부가 배치된 건조 식품 스토어;
    상기 건조 식품 스토어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보관 룸, 상기 제2 보관 룸, 및 상기 제3 보관 룸의 동선 경로에 배치되는 로비; 및
    상기 제2 보관 룸과 제3 보관 룸 사이에 배치되며, 일반 선반부가 배치된 다이어리를 포함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식품 스토어에 연결되며, 상기 식자재를 운반하는 식자재 엘리베이터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KR1020180140333A 2018-11-14 2018-11-14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KR102576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33A KR102576356B1 (ko) 2018-11-14 2018-11-14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33A KR102576356B1 (ko) 2018-11-14 2018-11-14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50A true KR20200056250A (ko) 2020-05-22
KR102576356B1 KR102576356B1 (ko) 2023-09-08

Family

ID=7091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33A KR102576356B1 (ko) 2018-11-14 2018-11-14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3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3920A (zh) * 2021-07-09 2021-10-15 浙江省交通集团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仓库物料监测系统及监测方法
KR102408748B1 (ko) * 2022-01-24 2022-06-13 최진철 식자재 보관 관리 시스템
WO2022171025A1 (zh) * 2021-02-11 2022-08-18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具有可重量检测的搁架组件的冰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054Y1 (ko) * 1995-03-03 1999-03-20 윤종용 냉장고의 냉기조절장치
JP2009102131A (ja) * 2007-10-24 2009-05-14 Shimizu Corp 冷蔵倉庫におけるエレベータ設備
KR101336949B1 (ko) * 2012-05-29 2013-12-04 이인기 의료용 냉동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5157713A (ja) * 2015-05-29 2015-09-03 株式会社ダイフク 自動冷凍倉庫
KR20170115699A (ko) * 2016-04-08 2017-10-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20180018174A (ko) * 2016-08-12 2018-0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054Y1 (ko) * 1995-03-03 1999-03-20 윤종용 냉장고의 냉기조절장치
JP2009102131A (ja) * 2007-10-24 2009-05-14 Shimizu Corp 冷蔵倉庫におけるエレベータ設備
KR101336949B1 (ko) * 2012-05-29 2013-12-04 이인기 의료용 냉동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5157713A (ja) * 2015-05-29 2015-09-03 株式会社ダイフク 自動冷凍倉庫
KR20170115699A (ko) * 2016-04-08 2017-10-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20180018174A (ko) * 2016-08-12 2018-0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해양플랜트의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1025A1 (zh) * 2021-02-11 2022-08-18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具有可重量检测的搁架组件的冰箱
CN113503920A (zh) * 2021-07-09 2021-10-15 浙江省交通集团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仓库物料监测系统及监测方法
KR102408748B1 (ko) * 2022-01-24 2022-06-13 최진철 식자재 보관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356B1 (ko)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4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erature based placement of an item within a storage unit
KR102576356B1 (ko) 선박용 지능형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
Mercier et al. Time–temperature management along the food cold chain: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CN110135788B (zh) 一种冷链物流运输设备和冷链物流系统
US7861542B2 (en) Refrigerator including food product management system
RU2307296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или морозильный аппарат
US10935310B2 (en) Inventory system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JP4774631B2 (ja) 生鮮食料品の管理システム
US7628107B2 (en) Food product timing system
US6411916B1 (en) Food safet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80324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content descriptions to reusable containers
Jedermann et al. Semi-passive RFID and beyond: steps towards automated quality tracing in the food chain
US200800522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epletion of an item
CN101147051A (zh) 监控食物的系统和方法
SE1550502A1 (en) A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for a product holding arrangement and a product holding arrangement with such a system
US20070119195A1 (en) Cooling appliance
KR20140125154A (ko)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KR20190070700A (ko)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을 갖춘 냉장고
JP2009009294A (ja) 配送物の温度管理システム
KR20120123978A (ko) 냉장고 보관 식품의 이력 관리 시스템
US9062908B2 (en) System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 fleet of refrigerated autonomous containers
GB2283845A (en) Food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CN111707034A (zh) 食品取用管理方法和装置及设备、存储介质
JP2022071658A (ja) 食材管理システム
WO2021187979A1 (en)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