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741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741A
KR20180017741A KR1020160102042A KR20160102042A KR20180017741A KR 20180017741 A KR20180017741 A KR 20180017741A KR 1020160102042 A KR1020160102042 A KR 1020160102042A KR 20160102042 A KR20160102042 A KR 20160102042A KR 20180017741 A KR20180017741 A KR 20180017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rol unit
preference
f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520B1 (ko
Inventor
김기형
홍윤정
김보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 상기 복수의 저장부 각각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외부 영상획득유닛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미리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저장물이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다.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저장실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는, 사용자에 따라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의 종류나, 각각의 저장부의 선호도를 파악하지 않고, 단순히 도어스위치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냉장고 저장실에 광원이 작동된다.
따라서, 종래의 냉장고는 사용자가 원하거나 선호는 식품의 위치를 쉽게 파악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사용자의 선호도와 취향에 맞추어 사용자에게 식품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 상기 복수의 저장부 각각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외부 영상획득유닛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미리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빈도, 취향에 따라 사용자에게 식품의 위치를 빛으로 가이드 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빈도에 따라 순서대로 저장부들에 광을 공급하여서 사용자가 자주 찾는 식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저장실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본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4)를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가 형성된 본체(3), 본체(3)를 개폐하는 도어(4), 도어(4)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160), 복수의 저장부(S1, S2, S3) 각각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140),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외부 영상획득유닛(110) 및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광원(14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30)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출입감지부(120) 및 통신부(150)를 더 포함한다.
본체(3)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S)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3)는 복수개의 저장실(S)이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저장실(S)이 베리어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본체(3)는 상측 저장실과 하측 저장실을 포함하거나 좌측 저장실과 우측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는 상측에 위치하는 냉장실과, 냉장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3)는 이너 케이스(2)에 의해 저장실(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2)는 아우터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체(3)에는 아우터 케이스(10)와 이너 케이스(2) 사이에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2)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2)는 좌측판(21)과 우측판(22)과 상판(23)과 하판(24) 및 후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가 형성된다. 복수의 저장부(S1, S2, S3)는 서로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고, 서로 연결되는 공간이 논리적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저장부(S1, S2, S3)는 본체(3)의 저장실(S)이 셀프(6)에 의해 구획되어 정의될 수 있다.
셀프(6)는 저장실(S)에 저장하고자 하는 음식물 등의 물품이 올려지는 것으로서, 저장실(S)에 적어도 하나 위치되어서 저장실(S)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체(3)는 저장실(S)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와,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는 저장실(S)의 냉기를 증발기로 유동시킨 후 저장실(S)로 공급하는 저장실(S)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실(S)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덕트(14)에는 안내되는 냉기를 저장실(S)로 토출하는 냉기 토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4)는 단수개가 저장실(S)을 여닫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가 함께 저장실(S)을 여닫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4)와 본체(3)에는 도어(4)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1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스위치(160)는 도어(4)가 본체(3)를 개폐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유닛(130)에 송신한다. 도어스위치(160)는 도어(4)의 오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은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은 일예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은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은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유닛(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성별, 나이, 얼굴 및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은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여 제어유닛(130)에 제공한다. 여기서,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은 사용자가 도어(4)에 근접하거나, 도어(4)를 터치하거나, 도어(4)를 여는 것을 포함한다.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는, 제어유닛(130) 내에서 신호 처리될 수 있다.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은 도어(4)의 주변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의 본체(3)의 외면 또는 도어(4)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140)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 각각에 광을 공급한다. 광원(140)은 소정의 광도를 가지는 광을 출력하여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해준다. 광원(140)은 저장실(S) 보다 작은 영역이 저장부에 집중적인 광을 제공하기 위해 점광원(14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140)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배치된다. 광원(140)은 하나의 저장부에 단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광원(140)은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소자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다이오드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다른 색을 출광하거나,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연색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제어유닛(130)에 의해 그 색상과 밝기가 제어될 수 있다.
출입감지부(120)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식품의 출입을 감지하여 제어유닛(130)에 제공한다. 출입감지부(120)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입출되는 식품의 종류, 그 위치 등의 식품출입 정보를 감지한다. 제어유닛(130)은 출입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식품출입 정보와 추출한다. 출입감지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복수의 저장부(S1, S2, S3) 중 선호하는 저장부와, 선호하는 식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출입감지부(120)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식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가압센서, 근접센서 및 내부 영상획득유닛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내부에 위치되는 식품의 존재를 감지하여서 제어유닛(130)에 제공한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근접센서는 셀프(6)에 설치되어서 셀프(6)의 상부에 위치되는 식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가압센서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 그 압력 값을 제어유닛(130)으로 출력한다. 제어유닛(130)은 가압센서에서 입력된 압력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식품이 존재하는 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가압센서는 셀프(6)에 설치되어서 셀프(6)의 상부에 위치되는 식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일예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유닛(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의해 식품의 출입, 출입되는 식품의 종류, 저장된 식품의 종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각각의 저장부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셀프(6) 또는/및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통신부(150)은 서버(200)와 냉장고 또는/및 복수 개의 냉장고들 사이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통신부(150)은 서버(200)에서 수신된 정보를 제어유닛(130)에 전달하고, 제어유닛(130)의 제어신호를 다른 냉장고 또는 서버(200)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5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다른 예를 들면, 통신부(150)는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서버(200)는 복수의 냉장고에서 축적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을 저장하고, 제어유닛(130)과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된다. 서버(200)는 제어유닛(130)에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냉장고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광원(1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광원(140)의 동작 또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사용자를 감지하여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알맞은 저장부를 조명하는 광원(14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광원(14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유닛(130)은 논리적인 판단을 하는 프로세서(131)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유닛(13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제어유닛(13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각각의 냉장고에 구비될 수도 있고, 냉장고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서버(2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냉장고와 서버(200)에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메모리(132)에는 냉장고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정장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32)는 추출된 사용자, 식품의 영상, 사용자의 특성정보, 사용자의 사용패턴 등이 저장된다.
이하, 복수의 저장부(S1, S2, S3)와, 복수의 광원(140)의 배치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저장실(S)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본체(3)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3)의 저장실(S)은 복수 개의 저장부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저장부(S1, S2, S3)는 본체(3)의 저장실(S)이 셀프(6)에 의해 구획되어 정의될 수 있다.
셀프(6)는 저장실(S)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셀프(6)는 복수개가 하나의 저장실(S)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프(6)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셀프(6)는 저장실(S)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케이스(2)에 셀프(6)가 착탈되는 셀프(6) 홀더(5)를 포함할 수 있고, 셀프(6)는 셀프(6) 홀더(5)(도 6 참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셀프(6)는 각각의 저장부에 배치된 광원(140)에서 생성된 광이 다른 저장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투과성 재질 또는 반투과성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저장실(S)은 제1셀프(6a)와 제1셀프(6a)에서 하부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셀프(6b)에 의해 제1 저장부(S1)와, 제2 저장부(S2) 및 제3 저장부(S3)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저장부(S1)는 이너 케이스(2)의 상판과 제1셀프(6a) 사이의 공간이고, 제2 저장부(S2)는 제1셀프(6a)와 제2셀프(6b) 사이의 공간이며, 제3 저장부(S3)는 제2셀프(6b)와 이너 케이스(2)의 바닥 사이의 공간이다.
복수 개의 광원(140)은 각각의 저장부에 광을 공급하기 용이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광원(140)은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배치되거나, 셀프(6)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40)은 셀프(6)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셀프(6)의 상부에 식품이 배치되는 경우, 식품에 의해 광이 차단되게 되면, 저장부에 원할한 광 공급이 어렵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광원(140)은 제1 저장부(S1)에 광을 제공하는 제1 광원(141)과, 제2 저장부(S2)에 광을 제공하는 제2 광원(142)과, 제3 저장부(S3)에 광을 제공하는 제3 광원(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141)은 이너 케이스(2) 상판에 배치되어 제1셀프(6a) 상면으로 광을 제공하고, 제2 광원(142)은 제1셀프(6a)의 하면에 배치되어 제2셀프(6b) 상면으로 광을 제공하며, 제3 광원(143)은 제2셀프(6b) 하면에 배치되어 이너 케이스(2)의 바닥으로 광을 제공한다.
이 때, 출입감지부(120)의 일 구성인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제1 저장부(S1)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 내부 영상획득유닛(121)과, 제2 저장부(S2)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 내부 영상획득유닛(122)과, 제3 저장부(S3)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 내부 영상획득유닛(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 영상획득유닛(121)은 이너 케이스(2) 상판과 제1셀프(6a) 사이의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2 내부 영상획득유닛(122)은 제1셀프(6a)와 제2셀프(6b) 사이의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3 내부 영상획득유닛(123)은 제2셀프(6b)와 이너 케이스(2)의 바닥 사이의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유닛(130)은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광원(140)을 제어한다. 제어유닛(130)은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미리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광원(14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을 제어하여 도어(4)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제어유닛(130)은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유닛(130)은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성정보는 사용자의 동일성을 식별하기 위한 자료이다. 예를 들면,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정보, 연령 정보, 얼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성 정보는 사용자에 따라 선호되는 저장부에 광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초가 되는 정보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특성정보는 제어유닛(130)의 메모리(132)에 저장되고,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추출된 특성정보를 미리 저장된 특성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은 사용자의 영상 추출을 위해서 예컨대 파프제오르지우(Papgeorgiou)와 포기오(Poggio)에 의해서 제안된 폴리노미알 서포트 벡터 머신(Polynomial Support Vector Machine)을 결합한 하(Haar) 기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가브릴라(Gavrila)와 필로민(Philomin)에 의해서 제안된 경계선 영상과 예제 데이터베이스간의 챔퍼(chamfer) 거리를 이용하는 방식, 또는 비올라(Viola)에 의해서 제안된 확장된 유사 하웨이블렛(Harr wavelet) 방식 등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인지 기 사용자인지 판별한다.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가 기 사용자인 경우, 특정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한다.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는 사용자가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대한 선호도(사용빈도), 복수의 식품에 대한 선호도(사용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는 메모리(132)에 저장된 정보거나,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정보이다.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는 출입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식품출입 정보와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을 바탕으로, 특정 사용자의 저장부의 사용빈도, 식품의 선호도이다.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특정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로딩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유닛(130)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 저장부를 특정하고, 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1 광원(141)이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저장부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 중에 출입감지부(120)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을 분석하여서,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저장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사용자의 이전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선호 저장부를 제1 저장부(S1)로 특정하고, 제1 저장부(S1)에 광을 공급하는 제1 광원(141)이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두번 째로 선호하는 차선호 저장부를 특정하고, 차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2 광원(142)이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선호 저장부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 중에 출입감지부(120)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을 분석하여서,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2번째로 높은 저장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사용자의 이전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차선호 저장부를 제2 저장부(S2)로 특정하고, 제2 저장부(S2)에 광을 공급하는 제2 광원(142)이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유닛(130)은 차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2 광원(142)이 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1 광원(141)과 다른 색상 또는/및 다른 밝기로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유닛(130)은 제1광원(140)과 제2광원(140)을 같은 밝기 또는 색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유닛(130)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 식품을 특정하고, 선호 식품이 저장된 제1 저장부(S1)에 대응되는 제1 광원(141)이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식품은 출입감지부(120)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을 분석하여서,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특정 사용자의 선호 식품을 특정하고, 선호 식품의 위치를 출입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정보로 판단하여 제1 저장부(S1)라고 확정하고, 제1 광원(141)이 온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유닛(130)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두번째로 선호하는 차선호 식품을 특정하고, 차선호 식품이 저장된 제2 저장부(S2)에 대응되는 제2 광원(142)이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2 저장부(S2)에 대응되는 제2 광원(142)이 제1 저장부(S1)에 대응되는 제1 광원(141)과 다른 색상 또는/ 다른 밝기로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유닛(130)은 제1광원(140)과 제2광원(140)을 같은 밝기 또는 색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유닛(130)은 선호식품을 가이드하는 광원(140)(제1 광원(141))이 온(on)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복수의 광원(140) 전체가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차 선호식품을 가이드하는 제2 광원(142)이 온(on)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복수의 광원(140) 전체가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어유닛(130)은 제1 광원(141)이 온(on)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복수의 광원(140) 전체가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제2 광원(142)이 온(on)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복수의 광원(140) 전체가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출입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식품출입 정보와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을 바탕으로, 특정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를 축적한다. 제어유닛(130)은 축적한 특정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셀프(6)는 프레임(17)과, 프레임(17)에 설치되고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판체(1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핀(20)은 프레임(17)과 판체(18) 중 하나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프레임(17)과 판체(18)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단수개의 셀프(6) 홀더(5)가 하나의 셀프(6)를 위치 고정할 경우, 단수개의 셀프(6) 홀더(5)는 본체(3) 특히 이너 케이스(2)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제1셀프(6a)와 제2셀프(6b) 사이의 공간에는 2개 이상의 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2)와 상판과 제1셀프(6a) 사이의 공간에도 2개 이상의 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케이스(2)와 상판과 제1셀프(6a) 사이의 제1 저장부(S1)는 제1 서브저장부(S11)와 제2 서브저장부(S12)로 구획된다. 제1 서브저장부(S11)와 제2 서브저장부(S1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물리적으로 구획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연결되어 잇다. 제1 서브저장부(S11)는 제1 서브광원(141a)에 의해 광이 제공되고, 제2 서브저장부(S12)는 제2 서브광원(141b)에 의해 광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실시예는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구획벽(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벽(170)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를 다수 복수의 서브 저장부로 구획하는 파티션이다. 구획벽(170)은 셀프(6)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획벽(170)은 불투과성 또는 반투과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광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의 도광부재(180)는 광원(140)에서 생성된 광을 저장부 전체로 확산하여서, 광원(140)의 개수를 줄인다. 도광부재(180)는 셀프(6)에 배치되어 각각의 광원(140)에서 생성된 광을 확산한다. 이 때, 광원(140)은 셀프(6)에 매설되고, 도광부재(180)에 광을 공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광부재(180)는 셀프(6)의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 또는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40)은 셀프(6)의 후방에 배치되고, 도광부재(180)는 셀프(6)의 후방에서 전방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광부재(180)는 광원(140)에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입사된 광의 휘도와 균일하게 하고, 입사된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저장부로 제공할 수 있다. 도광부재(180)는 예를 들면,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제1 단계, 추출된 영상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미리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광원(140)을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상세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이 도어(4)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S10).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을 제어하여 도어(4)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제어유닛(130)은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는 지 판단한다 (S20).
제1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외부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중에 추출한다 (S30).
제2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한다 (S40).
제3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S60), 특정된 사용자가 기 사용자인 경우, 특정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한다 (S75).
제3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특정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로딩하고(S70),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 저장부를 특정하고, 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광원(140)이 온(on)되게 제어한다.
제3단계에서 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광원(140)이 온된 후, 제어유닛(130)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두번째로 선호하는 차선호 저장부를 특정하고, 차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광원(140)이 온(o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3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서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광원(140)이 온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후 저장실(S) 전체에 광을 제공하기 위해 전체 광원(140)이 온되게 제어한다 (S90).
제3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출입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식품출입 정보와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을 바탕으로, 특정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를 축적한다 (S95). 제어유닛(130)은 축적한 특정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식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
    상기 복수의 저장부 각각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외부 영상획득유닛;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미리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 저장부를 특정하고, 상기 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1 광원이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두번째로 선호하는 차선호 저장부를 특정하고, 상기 차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2 광원이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두번째로 선호하는 차선호 저장부를 특정하고, 상기 차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2 광원이 상기 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1 광원과 다른 색상으로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광원이 온(on)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상기 복수의 광원 전체가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 광원이 온(on)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상기 복수의 광원 전체가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식품의 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에 제공하는 출입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출입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복수의 저장부의 식품출입 정보와 추출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바탕으로, 특정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를 축적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식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가압센서, 근접센서 및 내부 영상획득유닛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냉장고에서 축적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유닛과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식품의 출입 및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저장된 식품의 종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에 제공하는 내부 영상획득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 식품을 특정하고, 상기 선호 식품이 저장된 제1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1 광원이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두번째로 선호하는 차선호 식품을 특정하고, 상기 차선호 식품이 저장된 제2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2 광원이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두번째로 선호하는 차선호 식품을 특정하고, 상기 차선호 식품이 저장된 제2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2 광원이 상기 제1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1 광원과 다른 색상으로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광원이 온(on)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상기 복수의 광원 전체가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 광원이 온(on)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상기 복수의 광원 전체가 온(on)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장실에 착탈되어 상기 저장실을 복수개의 저장부로 구획하는 셀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는 상기 저장실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상기 셀프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확산하는 도광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5항 있어서,
    상기 셀프는 불투과성 재질을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1항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도어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제1 단계;
    추출된 영상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미리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60102042A 2016-08-10 2016-08-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500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42A KR102500520B1 (ko) 2016-08-10 2016-08-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42A KR102500520B1 (ko) 2016-08-10 2016-08-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41A true KR20180017741A (ko) 2018-02-21
KR102500520B1 KR102500520B1 (ko) 2023-02-15

Family

ID=6152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042A KR102500520B1 (ko) 2016-08-10 2016-08-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112A (ko) * 2019-08-09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냉장고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235715A1 (ko) * 2019-05-22 2020-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3124636A (zh) * 2019-12-31 2021-07-16 海信集团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86A (ko) * 2004-12-13 2006-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식품위치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756731B1 (ko) * 2005-05-13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별 아바타 표시기능을 지닌 냉장고
KR20090074973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조명장치
KR20120134443A (ko)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카이젠 냉장고 조명 시스템
KR20140059978A (ko) * 2012-11-09 2014-05-1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지능형 냉장고 및 지능형 냉장고를 제어하는 방법
KR20140105901A (ko) * 2013-02-25 201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66244A (ko) * 2013-12-06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에 의해 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냉장고
KR20160073046A (ko) * 2014-12-16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86A (ko) * 2004-12-13 2006-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식품위치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756731B1 (ko) * 2005-05-13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별 아바타 표시기능을 지닌 냉장고
KR20090074973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조명장치
KR20120134443A (ko)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카이젠 냉장고 조명 시스템
KR20140059978A (ko) * 2012-11-09 2014-05-1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지능형 냉장고 및 지능형 냉장고를 제어하는 방법
KR20140105901A (ko) * 2013-02-25 201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66244A (ko) * 2013-12-06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에 의해 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냉장고
KR20160073046A (ko) * 2014-12-16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715A1 (ko) * 2019-05-22 2020-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232329B2 (en) 2019-05-22 2022-0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food information
KR20190100112A (ko) * 2019-08-09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냉장고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501250B2 (en) 2019-08-09 2022-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i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3124636A (zh) * 2019-12-31 2021-07-16 海信集团有限公司 冰箱
CN113124636B (zh) * 2019-12-31 2022-05-24 海信集团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520B1 (ko)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909B2 (en) Refrigerators having internal content camera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09631456A (zh) 冰箱
JP2019174106A (ja) システム、方法
KR10250052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WO2017190517A1 (zh) 冰箱及其间室的分区控制方法、分区控制装置
CN105358924A (zh) 包括摄像模块的制冷器具
CN105605869B (zh) 具有被照明的内部的制冷或冷冻设备
US20140137587A1 (en) Method for storing food items within a refrigerator appliance
KR20180048089A (ko) 냉장고
KR20180015971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US11335010B2 (en) Methods for viewing and tracking stored items
WO2021212993A1 (zh) 制冷电器摄像头模块和用于防止镜头起雾的方法
US1067032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45607B1 (ko) 전기제품
JP2018013272A (ja) 冷蔵庫
CN112556267B (zh) 冰箱间室的照明控制方法及冰箱
CN112629101B (zh) 冰箱
JP2017020697A (ja) 冷蔵庫
JP2017072335A (ja) 冷蔵庫
US9739525B2 (en) Chamber switch for refrigerator
KR101679001B1 (ko) 냉장냉동고의 에너지 절감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60713A (ko) 내부 투시가 가능한 냉장고
US11852402B2 (en) Home appliance and refrigerator
WO2018069986A1 (ja) 冷蔵庫
US20230316695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