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433A -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Google Patents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7433A KR20180017433A KR1020160101237A KR20160101237A KR20180017433A KR 20180017433 A KR20180017433 A KR 20180017433A KR 1020160101237 A KR1020160101237 A KR 1020160101237A KR 20160101237 A KR20160101237 A KR 20160101237A KR 20180017433 A KR20180017433 A KR 201800174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ten
- housing
- melting
- output
-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25—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fuses with conical end contacts, e.g. fuses used on motor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6—Means for applying mechanical tension to fusible me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대한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는 온도휴즈의 내부에 구비된 용융단자부의 용융부 형상을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하여 과열 또는 과전류의 발생시 용융되는 면적을 감소하여 전원의 단락속도를 상승시켜 내부 전자부품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용융단자부의 일면에 하부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용융부가 용융될 경우 용융단자부를 강압적으로 밀어주어 온도휴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열 또는 과전류의 발생시 용융되는 면적을 감소하여 전원의 단락속도가 상승되도록 온도휴즈의 내부에 구비된 용융단자부의 용융부 형상이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는 모든 전기전자 제품은 항상 회로 내 비정상적인 과전류나 외부 과열원인에 의한 과열에 따른 사고가 내재되어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과전류가 흐르면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용융되어 끊어지는 물질로 형성된 휴즈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휴즈에 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1179546호 및 제10-1514956호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즈는 소형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것에 반해 내부 구성품이 많아 생산단가가 불필요하게 상승하고, 제작 작업이 복잡하여 불량률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열에 의하여 용융되는 휴즈는 고온의 열이 발생되어 용융될 경우 그 용융되어 소모되는 높이 또는 간격이 불균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서 정확하게 전력을 끊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휴즈는 외부에서 침투하는 물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하여 휴즈의 내부를 진공시켜 밀폐하는데 내부를 밀폐하는 절연재질의 마감부를 하우징의 일면에 삽입시켜 억지끼움만으로 마감함으로써, 휴즈의 끊김작업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의 밀폐력이 저하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즈는 외부에서 발생된 충격 또는 고전압 등에 의하여 파괴될 경우 휴즈의 내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하우징 및 마감재로 인하여 파괴시 큰 충격음 또는 충격파가 발생되어 회로 내의 또 다른 전자부품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휴즈의 내부에 구비된 용융단자부의 용융부 형상을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하여 과열 또는 과전류의 발생시 용융되는 면적을 감소하여 전원의 단락속도를 상승시켜 내부 전자부품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용융단자부의 일면에 하부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용융부가 용융될 경우 용융단자부를 강압적으로 밀어주어 온도휴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는 전력이 이동되는 입력와이어와 출력와이어의 사이에 연결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로서 상기 입력와이어가 연결된 컵형상의 리드캡과, 상기 리드캡의 내부에 안착된 파이프형상의 절연커버와, 상기 절연커버의 내측에 삽입된 컵형상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핀고정구와, 상기 출력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핀고정구의 중심부에 관통된 원통형상의 출력연결핀으로 이루어진 출력핀부와; 상기 출력연결핀의 하면에 접촉된 원통형상의 용융봉과, 상기 용융봉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고온의 온도가 발생된 경우 상기 용융봉과 출력연결핀이 이격되도록 용융면적인 감소된 상광하협형상의 용융부로 이루어진 용융단자부와; 상기 용융단자부와 출력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용융부가 용융되면 상기 용융단자부를 하강시키는 스프링형상의 탄성체와; 상기 입력와이어에서 유입된 전력이 상기 출력와이어에 통전되도록 상기 리드캡과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절연커버의 외주면에 권선된 전력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상기 핀고정구가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이탈방지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고정구의 일면에는 내부 부피를 감소시켜 외부충격시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제1방폭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내부 부피를 감소시켜 외부충격시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제2방폭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융단자부에는 상기 탄성체가 안착되도록 그 직경이 확대된 걸림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융단자부는 섭씨 220도의 용융온도를 지닌 납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도휴즈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용융단자부의 용융부 형상을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과열 또는 과전류의 발생시 용융되는 면적을 감소하여 전원의 단락속도를 상승시켜 내부 전자부품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둘째, 용융단자부의 일면에 하부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함으로써, 용융부가 용융될 경우 용융단자부를 강압적으로 밀어주어 온도휴즈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온도휴즈의 내부 구성품을 하나의 스프링과 용융단자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온도휴즈의 생산단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넷째, 온도휴즈의 일면에 내부 부피가 감소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방폭홈을 형성함으로써, 회로기판의 외부충격시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하여 온도휴즈의 파괴시 발생되는 큰 충격음 또는 충격파로 인하여 회로 내의 또 다른 전자부품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휴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휴즈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휴즈를 나타내 보인 일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휴즈의 전원흐름도를 나타내 보인 일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단자가 용융되는 작용을 나타내 보인 일단면도로서 (a)는 고전압 및 고온이 발생된 경우의 도면이고, (b)는 용융단자가 용융된 후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휴즈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휴즈를 나타내 보인 일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휴즈의 전원흐름도를 나타내 보인 일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단자가 용융되는 작용을 나타내 보인 일단면도로서 (a)는 고전압 및 고온이 발생된 경우의 도면이고, (b)는 용융단자가 용융된 후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이 이동되는 입력와이어(2)와 출력와이어(3)의 사이에 연결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1)로서 상기 입력와이어(2)가 연결된 컵형상의 리드캡(11)과, 상기 리드캡(11)의 내부에 안착된 파이프형상의 절연커버(12)와, 상기 절연커버(12)의 내측에 삽입된 컵형상의 하우징(13)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10)와; 상기 하우징(13)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핀고정구(21)와, 상기 출력와이어(3)와 연결되며 상기 핀고정구(21)의 중심부에 관통된 원통형상의 출력연결핀(22)으로 이루어진 출력핀부(20)와; 상기 출력연결핀(22)의 하면에 접촉된 원통형상의 용융봉(31)과, 상기 용융봉(31)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13)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고온의 온도가 발생된 경우 상기 용융봉(31)과 출력연결핀(22)이 이격되도록 용융면적인 감소된 상광하협형상의 용융부(32)로 이루어진 용융단자부(30)와; 상기 용융단자부(30)와 출력핀부(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용융부(32)가 용융되면 상기 용융단자부(30)를 하강시키는 스프링형상의 탄성체(40)와; 상기 입력와이어(2)에서 유입된 전력이 상기 출력와이어(3)에 통전되도록 상기 리드캡(11)과 하우징(13)에 연결되며 상기 절연커버(12)의 외주면에 권선된 전력선(5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커버(12)와, 핀고정구(21)는 전력이 통전되지 않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온도휴즈(1)의 외부면에는 외부로 전력이 누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에폭시(E)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3)의 상단부에는 상기 핀고정구(21)가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이탈방지절곡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고정구(21)의 일면에는 내부 부피를 감소시켜 외부충격시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제1방폭홈(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3)의 일면에는 내부 부피를 감소시켜 외부충격시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제2방폭홈(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융단자부(30)에는 상기 탄성체(40)가 안착되도록 그 직경이 확대된 걸림단턱부(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융단자부(30)는 섭씨 220도의 용융온도를 지닌 납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이 이동되는 입력와이어(2)와 출력와이어(3)의 사이에 연결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1)이다.
즉, 상기 온도휴즈(1)는 회로기판의 내부에 과열 또는 과전류가 발생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입력와이어(2)에서 유입된 전원이 상기 리드캡(11)을 통하여 상기 전력선(50)으로 전달되고, 다수회 권선된 전력선(50)에 전달된 전원은 상기 전력선(50)의 상단부가 연결된 케이스부(10)에 전달되며, 상기 케이스부(10)의 전원은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 삽입되되 하단면이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 바닥면과 접촉된 용융단자부(30)에 전달되고, 상기 용융단자부(30)의 전원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출력핀부(20)로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입력와이어(2)와 출력와이어(3)가 도통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회로기판의 내부에 과열 또는 과전류가 발생될 경우 상기 용융단자부(30)는 도 5와 같이 상기 용융단자부(30)의 용융부(32)가 과열 또는 과전류로 인하여 용융 즉, 높이에 대한 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용융단자부(30)의 상면과 상기 출력와이어(3)의 하면을 이격시킴으로써, 과부하로 유입된 전력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용융부(32)는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면적을 최대한 작게 형성 즉, 상기 용융단자부(30)의 평균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과열 또는 과전류의 발생시 용융되는 면적을 감소하여 속도를 상승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기 출력와이어(3)와 용융단자부(30)의 이격되는 거리를 증가시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융단자부(30)의 일면에는 하부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4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용융부(32)가 용융될 경우 그 거리만큼 상기 용융단자부(30)를 하부로 밀어주어 온도휴즈(1)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형화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온도휴즈(1)의 내부 구성품을 상기 탄성체(40)와 용융단자부(30)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온도휴즈(1)를 매우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생산단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3)의 상부에는 상기 핀고정구(21)가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이탈방지절곡부(14)가 형성됨으로써, 회로기판의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온도휴즈(1)의 내부를 밀폐하는 핀고정구(21)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있어 견고한 제품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핀고정구(21)와 하우징(13)의 일면에는 내부 부피가 감소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제1방폭홈(23)과 제2방폭홈(15)을 형성함으로써, 회로기판의 외부충격시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온도휴즈(1)의 파괴시 발생되는 큰 충격음 또는 충격파로 인하여 회로 내의 또 다른 전자부품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온도휴즈 2 : 입력와이어
3 : 출력와이어 10 : 케이스부
11 : 리드캡 12 : 절연커버
13 : 하우징 14 : 이탈방지절곡부
15 : 제2방폭홈 20 : 출력핀부
21 : 핀고정구 22 : 출력연결핀
23 : 제1방폭홈 30 : 용융단자부
31 : 용융봉 32 : 용융부
33 : 걸림단턱부 40 : 탄성체
50 : 전력선 E : 에폭시
1 : 온도휴즈 2 : 입력와이어
3 : 출력와이어 10 : 케이스부
11 : 리드캡 12 : 절연커버
13 : 하우징 14 : 이탈방지절곡부
15 : 제2방폭홈 20 : 출력핀부
21 : 핀고정구 22 : 출력연결핀
23 : 제1방폭홈 30 : 용융단자부
31 : 용융봉 32 : 용융부
33 : 걸림단턱부 40 : 탄성체
50 : 전력선 E : 에폭시
Claims (6)
- 전력이 이동되는 입력와이어(2)와 출력와이어(3)의 사이에 연결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1)에 있어서,
상기 입력와이어(2)가 연결된 컵형상의 리드캡(11)과, 상기 리드캡(11)의 내부에 안착된 파이프형상의 절연커버(12)와, 상기 절연커버(12)의 내측에 삽입된 컵형상의 하우징(13)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10)와;
상기 하우징(13)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핀고정구(21)와, 상기 출력와이어(3)와 연결되며 상기 핀고정구(21)의 중심부에 관통된 원통형상의 출력연결핀(22)으로 이루어진 출력핀부(20)와;
상기 출력연결핀(22)의 하면에 접촉된 원통형상의 용융봉(31)과, 상기 용융봉(31)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13)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고온의 온도가 발생된 경우 상기 용융봉(31)과 출력연결핀(22)이 이격되도록 용융면적인 감소된 상광하협형상의 용융부(32)로 이루어진 용융단자부(30)와;
상기 용융단자부(30)와 출력핀부(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용융부(32)가 용융되면 상기 용융단자부(30)를 하강시키는 스프링형상의 탄성체(40)와;
상기 입력와이어(2)에서 유입된 전력이 상기 출력와이어(3)에 통전되도록 상기 리드캡(11)과 하우징(13)에 연결되며 상기 절연커버(12)의 외주면에 권선된 전력선(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의 상단부에는 상기 핀고정구(21)가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이탈방지절곡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구(21)의 일면에는 내부 부피를 감소시켜 외부충격시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제1방폭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의 일면에는 내부 부피를 감소시켜 외부충격시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제2방폭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단자부(30)에는 상기 탄성체(40)가 안착되도록 그 직경이 확대된 걸림단턱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단자부(30)는 섭씨 220도의 용융온도를 지닌 납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237A KR101831279B1 (ko) | 2016-08-09 | 2016-08-09 |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237A KR101831279B1 (ko) | 2016-08-09 | 2016-08-09 |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7433A true KR20180017433A (ko) | 2018-02-21 |
KR101831279B1 KR101831279B1 (ko) | 2018-02-23 |
Family
ID=6138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1237A KR101831279B1 (ko) | 2016-08-09 | 2016-08-09 |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127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87303A (zh) * | 2018-09-12 | 2019-02-26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轴温传感器的检测方法及装置 |
CN114429890A (zh) * | 2022-01-15 | 2022-05-03 | 深圳市威可特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低倍数小分断熔断器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72064A (ja) * | 2002-11-22 | 2004-06-17 | Nec Schott Components Corp | 感温変位材を用いた温度ヒュ−ズ |
KR101389709B1 (ko) * | 2012-11-15 | 2014-04-28 | (주)엠에스테크비젼 | 과전류 차단 및 서지 흡수 기능을 갖는 복합 방호부품 |
-
2016
- 2016-08-09 KR KR1020160101237A patent/KR10183127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87303A (zh) * | 2018-09-12 | 2019-02-26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轴温传感器的检测方法及装置 |
CN109387303B (zh) * | 2018-09-12 | 2020-09-08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轴温传感器的检测方法及装置 |
CN114429890A (zh) * | 2022-01-15 | 2022-05-03 | 深圳市威可特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低倍数小分断熔断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1279B1 (ko) | 2018-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05037B2 (ja) | ヒューズ部品 | |
US20170004947A1 (en) | High-voltage direct-current thermal fuse | |
TWI383418B (zh) | 熱保險絲電阻器 | |
US20160006235A1 (en) | Anti-lightning stroke overcurrent protection switch | |
KR101627463B1 (ko) |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34492A (ko) | 일체형 복합 안전장치 | |
US20160336136A1 (en) | Integral complex safety apparatus | |
JP2015122311A (ja) | ヒューズ抵抗器 | |
JPH04233121A (ja) | 遅延ヒューズ | |
KR101899403B1 (ko) | 열변형물질이 구비된 고전압용 온도휴즈 | |
KR101831279B1 (ko) |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
KR20220009200A (ko) | 고전압 퓨즈 | |
KR20170111204A (ko) | 이중스프링이 구비된 과열 및 과전류 방지용 복합휴즈 | |
KR20100115981A (ko) | 소형퓨즈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113233A (ko) | 온도변형물질이 구비된 전류단락휴즈 | |
KR101877420B1 (ko) | 세라믹단락수단이 구비된 전류단락휴즈 | |
KR101918156B1 (ko) | 접촉형 스프링단자가 구비된 온도저항휴즈 | |
KR102244234B1 (ko) | 방폭 기능을 갖는 온도 퓨즈 저항기 | |
KR102332881B1 (ko) | 열변형물질이 구비된 고전압용 전류단락휴즈 | |
CN115172100A (zh) | 一种可快速熔断的大电流高电压温度保险丝 | |
KR102067663B1 (ko) | 고전압용 전류단락휴즈 | |
TWI758638B (zh) | 熔斷電阻器組件及製造該熔斷電阻器組件的方法 | |
JP2016162683A (ja) | 高圧電気回路保護用ヒューズ | |
KR101725759B1 (ko) | 저항 발열형 온도퓨즈 조립체 | |
JP6352350B2 (ja) | ヒューズ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