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200A - 고전압 퓨즈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200A
KR20220009200A KR1020200087617A KR20200087617A KR20220009200A KR 20220009200 A KR20220009200 A KR 20220009200A KR 1020200087617 A KR1020200087617 A KR 1020200087617A KR 20200087617 A KR20200087617 A KR 20200087617A KR 20220009200 A KR20220009200 A KR 20220009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ner cap
cap
coupled
voltag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200A/ko
Publication of KR2022000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우징과 캡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과전류 인가 시 용단되는 엘리먼트와,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엘리먼트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이너 캡과, 상기 이너 캡이 결합된 상기 하우징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아우터 캡과 상기 아우터 캡에 접합되는 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외주면은 상기 이너 캡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이너 캡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널링(knurling) 처리된다.

Description

고전압 퓨즈{HIGH VOLTAGE FUSE}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하우징과 캡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전기공급원과 전장부품 사이에 설치되어 전장부품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즉, 과전류가 인가될 경우 퓨즈의 내부에 마련된 엘리먼트가 순간적으로 용단되어 과전류를 차단함으로써 회로를 보호한다.
과전류에 의해 엘리먼트가 용단될 때 용단부에서는 아크 방전이 발생한다. 아크 방전은 하우징을 용융시켜 화재를 일으키기도 하고, 전장부품 측으로 전달될 경우 전장부품을 소손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아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내부에는 모래와 같은 소호사가 충전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8-0121153호(2018.11.07.)에는 고전압 퓨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퓨즈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엘리먼트와,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는 이너 캡과, 상기 이너캡이 결합된 상기 하우징의 단부를 감싸는 아우터 캡과, 상기 아우터 캡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고전압 퓨즈의 제작 시 하우징의 단부가 이너 캡에 강제 압입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으나, 이럴 경우 이너 캡이 변형되어 하우징과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세라믹 재질의 하우징을 이너 캡에 강제로 압입할 경우 하우징의 단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8-0121153호(2018.11.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과의 결합 시 캡의 변형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캡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하우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퓨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퓨즈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과전류 인가 시 용단되는 엘리먼트와,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엘리먼트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이너 캡과, 상기 이너 캡이 결합된 상기 하우징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아우터 캡과 상기 아우터 캡에 접합되는 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외주면은 상기 이너 캡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이너 캡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널링(knurling)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양 단부 외주면을 널링 처리함으로써 하우징과 이너 캡의 결합 시 이너 캡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과 이너 캡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하우징과 이너 캡의 결합 시 이너 캡을 가열한 후 하우징의 단부를 압입하면 압입과정에서 하우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 중 외부 캡과 단자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 중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100)는, 중공의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엘리먼트(120)와, 하우징(110)의 양 단부에 결합된 이너 캡(130)과, 이너 캡(130)이 결합된 하우징(110)의 단부를 감싸는 아우터 캡(140)과, 아우터 캡(140)에 접합된 단자(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다. 하우징(110)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중공의 내부에는 엘리먼트(120)가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내부, 즉 엘리먼트(120)를 제외한 부분에는 소호사가 충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양 단부에는 이너 캡(130)이 결합된다. 이너 캡(130)이 결합되는 하우징(110)의 단부 외주면은 널링(knurling) 처리되는데, 이는 이너 캡(130)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이너 캡(130)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링 처리된 하우징(110)의 단부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철(112)이 형성된다. 요철(112)은 하우징(110)의 일단에서 중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이와 같이, 요철(112)이 하우징(110)의 일단에서 중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일 경우, 하우징(110)의 단부가 이너 캡(130)에 쉽게 압입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에 단부에 결합된 이너 캡(13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하우징(110)은 엘리먼트(120)에 인가된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절연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합성수지, 유리, 세라믹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직경이 38mm 이상인 대용량 고전압 퓨즈에는 세라믹 재질의 하우징이 사용된다.
엘리먼트(120)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스트랩(strap) 형태이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엘리먼트(120)의 중단에는 다수의 용단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엘리먼트(120)는 하우징(110)의 양 단부에 결합된 이너 캡(130)과 물리적,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엘리먼트는 도전성 재질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엘리먼트(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그 단부가 이너 캡(13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외부로 돌출된 엘리먼트(120)의 단부는 벤딩된 후 이너 캡(130)의 일면에 접합된다.
이너 캡(130)은 하우징(1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너 캡(130)은 하우징(1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밀폐된 컵 형상이다. 이너 캡(130)의 밀폐된 타단에는 엘리먼트(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114)이 형성된다.
이너 캡(130)은 하우징(110)의 단부에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단부가 이너 캡(130)에 쉽게 압입될 수 있도록 열간압입 방식이 적용된다. 즉, 이너 캡(130)을 소정의 온도로 순간 가열하여 직경을 확장시킨 후 하우징(110)의 단부를 압입하다.
이와 같이, 열간압입 방식으로 하우징(110)과 이너 캡(130)을 결합하면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하우징(110)과 이너 캡(130)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우터 캡(140)은 하우징(1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아우터 캡(140)은 이너 캡(130)이 결합된 하우징(110)의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일단이 밀폐된 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아우터 캡(140)의 내주면에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면 아우터 캡(140)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단자(150)는 고전압 퓨즈(100)를 외부와 물리적,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자(150)는 소정 두께의 박판을 벤딩하여 제작되며, 용접 등을 통해 아우터 캡(140)의 일면에 접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고전압 퓨즈 110: 하우징
120: 엘리먼트 130: 이너 캡
140: 아우터 캡 150: 단자

Claims (5)

  1.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과전류 인가 시 용단되는 엘리먼트;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엘리먼트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이너 캡;
    상기 이너 캡이 결합된 상기 하우징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아우터 캡; 및
    상기 아우터 캡에 접합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외주면은 상기 이너 캡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이너 캡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널링(knurling)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부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중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이너 캡에 압입되되, 상기 이너 캡을 가열한 후 상기 하우징을 압입하는 열간압입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이너 캡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엘리먼트의 단부는 벤딩된 후 상기 이너 캡의 일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세라믹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KR1020200087617A 2020-07-15 2020-07-15 고전압 퓨즈 KR20220009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17A KR20220009200A (ko) 2020-07-15 2020-07-15 고전압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17A KR20220009200A (ko) 2020-07-15 2020-07-15 고전압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200A true KR20220009200A (ko) 2022-01-24

Family

ID=8004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617A KR20220009200A (ko) 2020-07-15 2020-07-15 고전압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2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448A (ko) 2022-05-17 2023-11-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KR20240015460A (ko) 2022-07-27 2024-02-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153A (ko) 2017-04-28 2018-1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153A (ko) 2017-04-28 2018-1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448A (ko) 2022-05-17 2023-11-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KR20240015460A (ko) 2022-07-27 2024-02-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5037B2 (ja) ヒューズ部品
US4992770A (en) Fuse with improved spring timer
JP3970854B2 (ja) 内部の一時的準気密シールを備えるヒューズエレメント
KR20220009200A (ko) 고전압 퓨즈
US2300142A (en) Fusible electric protective device
US10290458B2 (en) Fuse and method of forming a fuse
US3377448A (en) Thermal responsive miniature fuse
KR20180121153A (ko) 고전압 퓨즈
KR20190003083A (ko) 고전압 퓨즈
JPH0787067B2 (ja) 非端末キャップ型電気ヒューズ
US5187463A (en) Compact time delay fuse
KR101831279B1 (ko)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US4386335A (en) Electric plug type fuse
KR20220009201A (ko) 고전압 퓨즈
KR102067011B1 (ko)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06328A (ko) 퓨즈 엘리먼트
KR20220011292A (ko) 고전압 퓨즈
KR101447490B1 (ko) 고용량 휴즈
JPS63314740A (ja) プラスチック成形体を備えた軸方向小型ヒューズ
KR20200099232A (ko) 고전압 퓨즈
WO2017041242A1 (zh) 可回焊式温度保险丝
KR20230050153A (ko) 고전압 퓨즈
KR20200121935A (ko) 고전압 퓨즈
KR20170071936A (ko) 고전압 퓨즈
KR20230160448A (ko) 고전압 퓨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