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368A - 청소용 빗자루 - Google Patents

청소용 빗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368A
KR20180017368A KR1020160101082A KR20160101082A KR20180017368A KR 20180017368 A KR20180017368 A KR 20180017368A KR 1020160101082 A KR1020160101082 A KR 1020160101082A KR 20160101082 A KR20160101082 A KR 20160101082A KR 20180017368 A KR20180017368 A KR 2018001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ousing
comb
connecting rod
centr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096B1 (ko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권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일 filed Critical 권영일
Priority to KR102016010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096B1/ko
Priority to PCT/KR2017/008477 priority patent/WO2018030724A1/ko
Publication of KR2018001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Broom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관 형상의 하우징,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고리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중앙봉, 하우징 내부의 고리형 공간부에 삽입 및 고정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내는 복수의 빗살부재 및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하우징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봉과 연통되어 이어지는 중공의 연결봉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팅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청소용 빗자루{Broomstick for cleaning}
본 발명은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소용 빗자루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청소용 빗자루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보통의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자루부와, 자루부의 하단에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해 빗살부재들이 다발로 묶여 있는 빗살부 및 자루부와 빗살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빗자루의 구성은 위와 같이 매우 간단한 편이지만 빗살부재를 자루부에 결합시키는 구성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의 청소용 빗자루들이 나타나 있는 사진이다. 도 1의 사진에서 가장 좌측의 빗자루는 빗살부재가 일렬로 넓게 퍼져 있는 형태로서 빗살부재들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구성이다. 가장 우측에 있는 빗자루는 복수의 빗살부재를 자루의 둘레에 배치한 상태에서 끈으로 빗살부재들을 묶어서 고정시킨 형태로서, 빗살부재들이 다발로부터 쉽게 이탈해서 견고하지 못하다.
공업용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태는 좌측의 2번째 배치된 빗자루이다. 이 빗자루의 경우 자루의 단부에 오목한 소켓(파란색 부분)이 결합되어 있고, 빗살부재들은 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빗살부재들을 소켓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빗살부재들을 소켓에 삽입한 상태에서 아래로부터 접착제를 소켓의 내부쪽으로 주입한다. 그러나 소켓의 상부가 막혀 있기 때문에 제조자는 빗살부재들이 소켓의 내측 상부 끝까지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그리고 빗살부재의 상단부들이 서로간에 정확하게 접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빗살부재들 중에서 상부까지 깊숙하게 삽입이 안된 빗살부재는 다발에서 쉽게 빠져 버리고, 다발에서 몇 개의 빗살부재가 빠져나가면 다발 전체가 헐거워져서 다른 빗살부재들의 이탈을 가속화시킨다. 내구성이 떨어지고 품질에 문제가 생기는 원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빗살부재들을 별도로 끼우기 위한 구성들이 마련되고 있지만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공정도 함께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교한 구성을 채택하기 위해서는 빗살부재들이 모두 동일한 굵기와 사이즈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싸리나무나 코코넛 나무 등의 줄기와 같은 자연 재료들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공업용 플라스틱 빗살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재료 선택의 한계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자루 중에는 빗살부재들을 넓게 펼쳐서 한 번에 넓은 영역을 쓸거나 또는 빗살부재들을 좁게 모아서 모서리 등의 좁은 영역을 쓸 수 있도록 빗살부의 형상이 변경가능한 형태가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빗자루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빗살부재들(1)은 오목한 소켓(2)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밴드(3,4)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자루(5)가 소켓(2)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면 하부의 지지판(6)이 빗살부재(1)를 밀어내서 빗살부재들이 넓게 퍼지게 되고, 지지판(6)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빗살부재(1)들이 모아져서 좁아지게 된다.
위와 같은 형태의 빗자루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자루(5)를 소켓(2)에 끼운다. 그리고 빗살부재(1)들을 자루(5)의 주변에 배치하면서 빗살부재(1)들이 소켓(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소켓(2)의 내부 상면에는 미리 접착제를 발라 놓는다. 그리고 빗살부재(1)들을 소켓(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빗자루를 뒤집어서 빗살부재가 위로 올라오게 한 후, 빗살부재들을 헤집어서 빗살부재 상단부(소켓쪽)로 접착제를 도포한다. 또는 미리 접착제를 빗살부재에 도포한 후 삽입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조자는 빗살부재(1)들이 소켓(2)의 끝까지 삽입되었는지도 정확하게 파악이 안 되고, 접착제들이 빗살부재(1)의 상단부까지 정확하게 침투되었는지도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빗살부재의 결합력을 보증할 수 없게 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결과로 나타나기 십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살부재와 자루의 견고한 결합이 보장되어 내구성이 강화되며, 제조 공정이 용이하여 경제성과 양산성이 향상된 청소용 빗자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관 형상의 하우징;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고리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중앙봉;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고리형 공간부에 삽입 및 고정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내는 복수의 빗살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앙봉과 연통되어 이어지는 중공의 연결봉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과 중앙봉에 끼워져 결합되는 봉 형상의 자루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빗살부재들이 상기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상기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가 조절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지지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자루는 상기 연결봉과 중앙봉에 끼워지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제1자세로,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2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의 수나사산의 상부에는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조임부가 형성되며,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져 상기 연결봉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으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조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가압부가 마련된 결합체를 더 구비하여, 상기 결합체가 상기 연결봉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를 상기 자루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봉이 상기 자루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지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봉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봉과 상기 지지판은 나사체결에 의하여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봉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게 하도록, 상기 중앙봉의 상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복수의 거치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 사이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과 조건에 적합하게 빗살부재들이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빗살부재들이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빗자루의 내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빗살부재와 자루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이렇게 변경된 구조를 통해 제조자는 빗살부재와 자루, 빗살부재들 사이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견고하게 결합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제품의 하자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렇게 빗자루의 제조 과정에서 빗살부재의 결합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빗자루의 양산시에도 제품의 하자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소용 빗자루가 나타나 있는 사진이다.
도 2는 빗살부의 각도가 변경가능한 청소용 빗자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가 결합된 상태에서 주요 부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가 넓은 모드 상태로 자세 변경한 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봉과 결합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커넥터들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커넥터들이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된 후의 상태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빗자루 제조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가 결합된 상태에서 주요 부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가 넓은 모드 상태로 자세 변경한 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100)는 자루(10)와 빗살부(50) 및 변환유닛을 구비한다.
자루(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0)의 길이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도로, 마당, 광장 등과 같은 실외에서 사용할 목적인 경우 자루가 길게 형성되지만, 실내용인 경우 사람의 허리 높이 정도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자루(1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보통 나무 재질로 제조되지만,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루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연결봉(42)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자루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 공간에서 사용될 때에는 별도의 자루가 필요없이 연결봉(42)으로 자루를 대체할 수도 있다.
빗살부(50)는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빗살부재(51)들이 다발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빗살부재(51)는 수십Cm의 길이와 수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얇고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빗살부재(51)는 자루(10)에 결합된다.
기존의 빗살부재(51)는 싸리나무, 플라스틱, 대나무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재료들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코코넛 나무가지를 사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코코넛 나무를 사용하는데에는 2가지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코코넛 나무는 다른 종류의 나무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탄성이 우수하여 빗살부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즉, 싸리나무나 대나무 재질의 경우 강도와 내마모성이 떨어져서 일정 시간 사용하면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금방 닳아서 사용년한이 짧은 문제가 있었으나, 코코넛 나무는 내마모성이 높아 충분히 오랜 기간 사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코코넛 나무는 다른 나무들에 비하여 탄성이 우수하다. 빗살부재는 잘 휘어지면서도 일정 정도 이상의 탄성적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빗자루를 지면에 접촉시켜 누르면 빗살부재들이 휘어지면서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며, 빗살부재들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지면을 누르게 되므로 처리 대상물을 잘 쓸어낼 수 있다. 그러나 빗살부재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잘 휘어지지 않고 반발하게 되므로 청소 작업에 힘이 들고 청소 효율도 떨어진다. 코코넛 나무 재질은 내모성과 탄성에 있어서 빗살부재(51)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코코넛 나무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기 때문에 플라스틱은 물론 대나무, 싸리나무 등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이점들이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로서 코코넛 나무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이다.
기존의 빗자루는 빗살부재들을 자루의 하단에 단순히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완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50)가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좁게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변환유닛을 구비한다.
변환유닛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쪽으로 모이게 하는 제1자세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빗살부재(51)들의 자세를 변경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변환유닛은 지지판(21), 하우징(30), 중앙봉(35), 커넥팅부재(40) 및 결합체(47)로 이루어진다.
지지판(21)은 자루(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지지판(21)의 횡단면적은 자루(10)의 횡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21)은 원판 형태 또는 바람직하게는 고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21)의 반경은 자루(21)보다 크므로 지지판(21)이 자루(10)에 대하여 돌출되게 설치된다. 다만, 지지판의 형태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을 포함하여 다각형 형상이나, 타원형 등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판(21)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27)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형이란 돌출부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뚫려 있는 관 형상은 물론, 지지판(21)에 의하여 전면은 막혀 있는 형태로 내부에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7)는 오목한 홈부로 형성된다. 이 돌출부(27)에 자루(1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지지판(21)과 자루(10)가 상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7)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8)이 형성된다.
하우징(30)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구되어 있다. 외주면 상부에는 수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0)의 상단에는 홈부(32)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32)는 하우징(30) 상부에 90° 각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중앙봉(35)이 배치된다. 중앙봉(35)은 관 형상으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되, 직경이 하우징(30)에 비하여 훨씬 작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봉(35)은 하우징(30)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중앙봉(35)의 외주면과 하우징(30)의 내주면 사이에 고리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에는 빗살부재(51)들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중앙봉(35)은 하우징(3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봉(35)을 하우징(30)에 고정하기 위하여 중앙봉(35)의 상부에 거치대(36)가 마련된다. 예컨대, 거치대(36)는 중앙봉(35)의 상단의 4지점으로부터 각각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거치대(36)의 단부는 하우징(30)의 각 홈부(32)에 끼워짐으로써 중앙봉(35)이 하우징(30)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과 중앙봉이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과 중앙봉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봉(35)이 하우징(30)에 장착되더라도 거치대(36) 이외의 부분에서는 하우징(30)의 상단은 개구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중앙봉(35)의 내주면 하부에는 암나사산(37)이 형성된다. 이 암나사산(37)은 지지판(21)의 돌출부(27)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8)과 나사체결되어 자루(10)를 위치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중앙봉(30)의 하단부 내경은 자루(10) 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 내주면에 암나사산(37)이 형성되고, 자루(10)의 하단부에는 지지판(21)의 돌출부(27)가 끼워지는데 이 돌출부(27)의 외주면에 나사산(28)이 형성된다. 지지판(21)이 중앙봉(35)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지지판(21)과 결합되어 있는 자루(10)는 위치고정된다. 물론 나사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자루(10)는 다시 중앙봉(3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다. 다만 지지판(21)과 중앙봉(35) 사이의 결합은 나사체결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판(21)과 중앙봉(35)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봉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구조적 변경을 통해 중앙봉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돌출부에 고리형의 부재를 설치하여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커넥팅부재(40)는 덮개(41)와 연결봉(42)을 구비한다.
덮개(41)는 하우징(3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도록 하우징(3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4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3)이 형성되어 하우징(30)의 외주면의 수나사산(31)과 나사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41)와 하우징(30)이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기계적 구성을 이용하여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봉(42)은 중공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면이 개구되며, 덮개(41)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우징(30) 내부에는 중앙봉(35)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봉(42)은 중앙봉(35)과 상호 연통되어 이어진다. 연결봉(42)의 중앙 외주면에는 수나사산(44)이 형성된다. 수나사산(44)의 상부에는 조임부(45)가 형성된다. 조임부(45)는 연결봉(42)의 상부를 형성하는데,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조임부(45)에는 길이방향(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46)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 슬릿(46)은 조임부(45)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봉(42)에 결합되는 결합체(47)를 구비한다. 결합체(47)는 전체적으로 하우징(30), 중앙봉(35), 커넥팅부재(40)를 자루(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하우징(30)과 중앙봉(35)은 상호 결합되며, 중앙봉(35)이 자루(10)에 끼워진다. 그리고 커넥팅부재(40)의 덮개(41)가 하우징(30)에 결합되고, 연결봉(42)은 자루(10)에 끼워진다. 즉, 하우징(30), 중앙봉(35) 및 커넥팅부재(40)는 모두 결합되어 있고, 결합된 전체가 자루(10)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다. 결합체(47)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자루(10)에 끼워지되 연결봉(42)에 나사체결되면서 연결봉(42)을 자루(10)에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체(47)의 하단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8)이 형성되어 연결봉(42)의 수나사산(44)에 나사체결 및 분리가능하다. 그리고 결합체(47)에는 암나사산(48)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압부(49)가 형성된다.
도6 및 도 7을 참고하면, 연결봉(42)의 조임부(45)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도면에서 점선 k로 표시된 두께로부터 점선 p로 표시된 두께까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결합체(47)의 가압부(49)의 내경은 점선 k와 점선 p로 표시된 두께 사이에서 형성되거나, 또는 점선 p로 표시된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부(45)가 시작하는 부분은 부드럽게 곡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42)과 결합체(47)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체(47)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연결봉(42)에 나사체결하면 도 7과 같이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결합체(47)의 가압부(49)가 연결봉(42)의 조임부(45)를 강하게 압착시킨다. 즉, 결합체(47)의 가압부(49)의 내경은 연결봉(42)의 조임부(45)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연결봉(42)과 결합체(47)가 나사체결되는 과정에서 가압부(49)가 조임부(45)에 억지끼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결봉(42)은 결합체(47)에 의해 가압되어 자루(10)의 외주면에 완전하게 밀착됨으로써 연결봉(42)은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특히, 연결봉(42)의 조임부(45)에 형성되어 벌어져 있던 슬릿(46)은 결합체의 가압에 의하여 닫히면서 연결봉을 자루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결합시킬 수 있다. 역으로, 연결봉(42)과 결합체(47)의 결합을 해제하면 가압부(49)의 가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연결봉(42)과 자루(10) 사이의 밀착력이 떨어지므로 연결봉(42)과 자루(10)는 다시 상대이동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100)에서는 빗살부재(51)들이 제1자세와 제2자세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자루(10)를 빗살부재(51)의 중앙부 정도로 하강시키면 지지판(21)과 빗살부재(51) 사이의 간섭이 적어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부재(51)는 자루(10)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자세, 즉 좁은 모드로 자세 변경된다. 좁은 모드에서 빗살부재(51)들은 도면상의 d1 정도의 길이로 퍼지게 된다(원을 가정한다면 직경이 d1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봉(42)과 결합체(47)를 분리한 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0)를 빗살부재(51)의 상단부로 이동시키면 지지판(21)이 빗사부재(51)들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빗살부재(51)들은 자루(10)의 배치방향에 대하여 상당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교차된다. 즉 빗살부재(51)들이 넓게 벌어지면서 제2자세인 넓은 모드로 변경된다. 빗살부재(51)들은 도면상의 d2의 길이로 퍼지게 된다(원으로 가정하면 d2의 직경을 가진다). 물론 좁은 모드에서의 d1보다 넓은 모드에서의 d2의 길이가 훨씬 길다.
넓은 모드로 변경된 후, 연결봉(42)과 결합체(47)를 다시 결합시키면, 연결봉(42)이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빗자루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모드에서는 지지판(21)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려난 빗살부재(51)들이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원되고자 하므로, 빗살부재(51)들은 지지판(21)을 가압한다. 따라서, 넓은 모드에서는 자루(10)와 변환유닛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넓은 모드에서 중앙봉(35)의 암나사산(37)과 지지판(21) 돌출부(27)의 수나사산(28)을 상호 나사체결시켜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다만, 넓은 모드에서는 지지판(21)을 완전히 위로 끌어올려 중앙봉(35)과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일정 정도만 끌어올릴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중앙봉(35)과 지지판(21)이 상호 결합되지는 않는다. 즉, 사용자는 지지판(21)의 위치를 변경하여 빗살부재(51)들이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100)는 빗살부재(51)가 자루(1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각도를 넓게 형성하면서 교차되게 배치됨으로써 좁은 모드와 넓은 모드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좁은 모서리를 쓸거나 힘을 많이 주어서 비질을 해야하는 경우라면 좁은 모드로 빗자루를 사용하며, 낙엽을 쓰는 경우와 같이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 한 번에 넓은 영역을 쓸고자 하는 경우에는 넓은 모드로 자세를 변경하여 사용한다. 즉, 청소해야할 대상의 상태나 영역의 특성에 따라 좁은 모드와 넓은 모드 사이에서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하여, 매우 간단한 구성을 택하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빗자루와 같은 생활필수품의 경우 기능이 아무리 좋다고 하여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과다한 생산비가 투입된다면 실용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빗자루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 비용을 획기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기존에 빗자루를 넓은 모드와 좁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빗자루의 경우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경제적인 제조가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내구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구조가 복잡하다는 것은 부품수의 증대는 물론, 조립비용도 증대시키며, 부품들 사이의 결합구조도 늘어나므로 비용과 내구성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기능, 경제성,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실용적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더욱이, 빗살부재의 자세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하여, 생활 필수품으로서 매우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를 좁게 또는 넓게 자세변경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빗살부의 넓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빗자루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점에 있다. 빗자루 제조의 간편성은 빗자루의 구조로부터 나온다.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의 제조과정, 특히 가장 문제가 되는 빗살부재(51)와 자루(10)를 통합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빗자루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 즉 자루(10), 복수의 빗살부재(51), 지지판(21), 하우징(30), 중앙봉(35), 커넥팅부재(40)을 준비한다. 하우징(30)과 중앙봉(35)은 일체로 성형하여 하나의 부재로 사용하는 것이 조립의 관점에서는 간편하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실제 빗자루를 제작하는 과정을 사진으로 촬영한 것이다. 이하 빗자루 제조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8 내지 도 15의 도면은 사진인 바 참고번호를 기입하지 않았는 바, 앞의 도 3a 내지 도 7의 도면을 함께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과 같이 중앙봉(35)을 세워놓은 후, 도 9와 같이 중앙봉(35)이 하우징(30) 내부에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중앙봉(35)을 하우징(30)에 고정한다. 물론 중앙봉(35)과 하우징(3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라면 위 과정은 불필요하다.
이렇게 하우징(30)과 중앙봉(35)을 결합시키면, 고리형의 중앙붕(35)의 둘레를 따라 공간부가 형성된다. 공간부는 거치대(36)가 지나가는 부분만 제외하고 상면과 하면이 모두 뚫려 있어서 개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0의 사진과 같이 빗살부재(51)들을 공간부에 삽입시키면, 최종적으로 도 11의 사진과 같이 빗살부재(51)가 공간부에 빽빽하게 설치된다. 보다 확실하게 빗살부재가 삽입되도록, 빗자루를 뒤집어서 하우징의 상면을 바닥에 몇 번 두드려서 다짐한다. 빗살부재 삽입이 완료되면 도 12의 사진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2의 사진은 도 11의 상태에서 하우징이 위로 오도록 뒤집은 상태이다. 도 12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자는 빗살부재(51)들이 공간부에 빠짐없이 빽빽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여분의 공간이 남아 있다면 빗살부재를 더 집어 넣고 다진 후에 공간부의 상단에서 다시 확인을 할 수 있다.
빗살부재의 삽입이 끝나면 접착제를 빗살부재(51)의 상부로부터 도포하여 빗살부재(51)들끼리 상호 접착되도록 한다. 위에서 하부로 흘리는 것이므로 접착제가 잘 스며드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커넥팅부재(40)의 덮개(41)를 하우징(30)에 나사결합시키면 도 13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결합체(47)를 연결봉(42)에 나사체결하면 도 14와 같은 상태가 되어 빗자루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14의 상태에서도 빗자루로서 충분히 기능한다. 도 14의 상태는 자루(10)와 지지판(21)을 끼우지 않은 상태인데, 사용자는 연결봉(42)을 손잡이로 활용하여 빗자루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빗자루를 매우 견고하게 만들 수 있도록 빗자루의 구조를 개선한 데에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최선 실시예는 위의 구조에 더하여 빗살부의 넓이를 가변할 수 있는 형태이지만, 빗살부의 확장 기능은 없어도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조가 용이한 위와 같은 구성의 빗자루도 본 발명의 일 예라고 할 것이다.
또한 도 14의 상태에서 별도의 자루를 연결봉 및 중앙봉에 삽입시켜 결합하면 길이가 더 긴 빗자루를 완성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빗살부의 넓이 가변 기능은 없다. 단지 사용자가 일어선 채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길이만 늘린 것이다. 이러한 형태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루를 설치하고 자루의 하단부에 지지판을 설치하게 되면 본 발명의 베스트 형태로서 빗살부의 넓이를 가변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도 15의 사진에는 자루와 함께 지지판을 설치한 경우가 나타나 있다. 도 15의 사진을 참고하면 자루를 최대한 하방으로 삽입시켜 지지판이 빗살부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였다. 이 상태에서 자루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16의 상태가 된다.
위 조립과정에서 종래와 가장 다른 점은 빗살부재(51)들을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앞의 도 2의 종래기술에서 빗살부재(1)들을 소켓(2) 내부에 삽입하는 것과, 본 발명에서 빗살부재(51)들을 하우징(30)에 삽입하는 것은 서로 동일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30)과 덮개(41)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0)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은 빗살부재(51)들이 하우징(30)의 공간부에 빽빽이 삽입되어 있는지를 하우징(30)의 상단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도 2와 같이 상부가 막혀 있는 소켓(2)에 빗살부재(1)를 삽입하면 빗살부재들이 빈 공간없이 빽빽하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빗살부재들은 하부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거칠고 딱딱하므로 빗살부재들을 헤집어서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도포할 때도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30)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도포할 수 있다. 빗살부재들이 상호 접착되어야 하는 상부에 직접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소켓(2)은 상단면이 막혀 있으므로 접착제를 위에서 도포할 수 없다. 따라서 처음에 빗살부재들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삽입을 하던지 소켓(2) 내면에 접착제를 미리 발라 놓아야 한다. 접착제를 빗살부재에 미리 도포하게 되면 소켓에 완전히 삽입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다른 빗살부재에 접착되어 버려서 오히려 제조가 곤란해지기도 한다.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끼리 접착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데 이를 확인할 수 없다.
정리하면, 도 2의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할 때, 종래에는 소켓이 상부가 막혀 있는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하우징(30)에 분리가능하게 덮개(41)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것 같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조과정에서 큰 차이를 발생시킨다.
빗자루의 내구성은 빗살부재와 자루가 얼마나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가로 판가름된다. 빗자루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와 자루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위와 같이 하우징과 덮개를 상호 분리하는 구성을 채택하였다. 제조자가 작업의 과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실제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면, 작업에 오류가 있을 때 이를 고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또한 하우징과 덮개를 상호 분리함으로써 접착제를 상부에 서 도포할 수 있어서 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조의 변경을 통해, 작업의 용이성, 작업 결과를 육안 확인 가능성을 높였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내구성과 견고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구조적으로는 간단할 수 있지만 공업적 양산성을 고려하면 실제적으로는 매우 큰 변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청소용 빗자루 10 ... 자루
21 ... 지지판 27 ... 돌출부
28 ... 나사산 30 ... 하우징
35 ... 중앙봉 36 ... 거치대
32 ... 제1체결부 33 ... 조임부
40 ... 커넥팅부재 41 ... 덮개
42 ... 연결봉 45 ... 조임부
47 ... 결합체 49 ... 가압부
50 ... 빗살부 51 ... 빗살부재

Claims (8)

  1.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관 형상의 하우징;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고리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중앙봉;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고리형 공간부에 삽입 및 고정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내는 복수의 빗살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앙봉과 연통되어 이어지는 중공의 연결봉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과 중앙봉에 끼워져 결합되는 봉 형상의 자루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상기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상기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지지판을 구비하며,
    상기 자루는 상기 연결봉과 중앙봉에 끼워지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제1자세로,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2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의 수나사산의 상부에는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조임부가 형성되며,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져 상기 연결봉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으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조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가압부가 마련된 결합체를 더 구비하여,
    상기 결합체가 상기 연결봉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를 상기 자루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봉이 상기 자루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6. 제4항에 있어서,
    싱기 지지판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지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봉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봉과 상기 지지판은 나사체결에 의하여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봉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게 하도록, 상기 중앙봉의 상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복수의 거치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 사이는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KR1020160101082A 2016-08-09 2016-08-09 청소용 빗자루 KR101875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82A KR101875096B1 (ko) 2016-08-09 2016-08-09 청소용 빗자루
PCT/KR2017/008477 WO2018030724A1 (ko) 2016-08-09 2017-08-07 청소용 빗자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82A KR101875096B1 (ko) 2016-08-09 2016-08-09 청소용 빗자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368A true KR20180017368A (ko) 2018-02-21
KR101875096B1 KR101875096B1 (ko) 2018-08-02

Family

ID=6116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82A KR101875096B1 (ko) 2016-08-09 2016-08-09 청소용 빗자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5096B1 (ko)
WO (1) WO20180307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7951A1 (ko) * 2019-12-13 2021-06-17 마음담은협동조합 조립이 용이한 체결구조를 구비한 청소용 빗자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15161A (zh) 2021-06-23 2023-02-24 玛达姆协同组合 具有可更换帚须的用于清洁的扫帚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0929A2 (fr) * 1983-06-30 1985-01-09 Jackie André De Ruyter Corps de balai à ramures artificielles
KR920000154Y1 (ko) * 1989-11-15 1992-0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풍구와 블로우파이프와의 접합면 누풍검지장치
KR920000166Y1 (ko) * 1988-10-20 1992-01-15 노재달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JP2002125902A (ja) * 2000-10-24 2002-05-08 Junko Yamada ケレンボーキ
KR20100004607U (ko) * 2008-10-27 2010-05-07 송효숙 빗자루
KR20120031570A (ko) * 2010-09-27 2012-04-04 성다빈 접이식 빗자루
KR101205981B1 (ko) * 2011-07-08 2012-11-28 김태수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1533A (ko) * 2013-07-23 2015-02-02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KR20150033255A (ko) * 2013-09-24 2015-04-01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5525B1 (fr) * 1989-12-08 1992-01-31 Leroy Henri Balai notamment pour voieri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0929A2 (fr) * 1983-06-30 1985-01-09 Jackie André De Ruyter Corps de balai à ramures artificielles
KR920000166Y1 (ko) * 1988-10-20 1992-01-15 노재달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KR920000154Y1 (ko) * 1989-11-15 1992-0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풍구와 블로우파이프와의 접합면 누풍검지장치
JP2002125902A (ja) * 2000-10-24 2002-05-08 Junko Yamada ケレンボーキ
KR20100004607U (ko) * 2008-10-27 2010-05-07 송효숙 빗자루
KR20120031570A (ko) * 2010-09-27 2012-04-04 성다빈 접이식 빗자루
KR101205981B1 (ko) * 2011-07-08 2012-11-28 김태수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1533A (ko) * 2013-07-23 2015-02-02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KR101566078B1 (ko) * 2013-07-23 2015-11-05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KR20150033255A (ko) * 2013-09-24 2015-04-01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7951A1 (ko) * 2019-12-13 2021-06-17 마음담은협동조합 조립이 용이한 체결구조를 구비한 청소용 빗자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724A1 (ko) 2018-02-15
KR101875096B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247B2 (en) Applicato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ascara applicator, cosmetics applicator, in particular mascara applicator comprising an applicator device, and application unit comprising the applicator device
KR101369028B1 (ko) 청소구
KR101875096B1 (ko) 청소용 빗자루
PL181366B1 (pl) Szczoteczka do zebów i sposób wytwarzania szczoteczki do zebów PL PL PL PL PL PL PL
US20050015905A1 (en) Broom, method, and broom display
KR101571211B1 (ko) 청소용 빗자루
US20080313834A1 (en) Interdental Brush
EP3192391B1 (en) Mascara for eyelash makeup
KR102594324B1 (ko) 화장용 브러쉬
KR20100118498A (ko) 회전칫솔용 소재 시트의 제조방법
KR101566078B1 (ko) 청소용 빗자루
KR101302833B1 (ko) 칫솔 및 그 제조방법
RU91268U1 (ru) Метла
KR102143857B1 (ko) 칫솔 제조방법
KR101573039B1 (ko) 야외용 조립식 빗자루
KR200417570Y1 (ko) 도로 청소용 빗자루
KR101775121B1 (ko) 헤어 브러시의 결합구조
KR102143860B1 (ko) 칫솔헤드 킷트를 활용한 칫솔 제조방법
KR20040011987A (ko) 화장용 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
CN109480722B (zh) 一种扫帚连接头
KR20210075713A (ko) 조립이 용이한 체결구조를 구비한 청소용 빗자루
KR102569878B1 (ko) 화장용 브러쉬
KR102634886B1 (ko) 화장용 브러쉬
JP3163855U (ja) ブラシ
KR101608980B1 (ko) 조립식 빗자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