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166Y1 -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 Google Patents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166Y1
KR920000166Y1 KR2019880017082U KR880017082U KR920000166Y1 KR 920000166 Y1 KR920000166 Y1 KR 920000166Y1 KR 2019880017082 U KR2019880017082 U KR 2019880017082U KR 880017082 U KR880017082 U KR 880017082U KR 920000166 Y1 KR920000166 Y1 KR 920000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plate
fixed
groov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7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099U (ko
Inventor
노재달
Original Assignee
노재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달 filed Critical 노재달
Priority to KR2019880017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166Y1/ko
Publication of KR900008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0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5Supports, e.g. poles on rollers or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pecial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제1도는 본 고안을 역기대로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역기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역기대에 대한 일측면도.
제4도의 (a)는 본 고안 제3도의 A부 확대도. (b)는 본 고안의 제4도의 (a)의 B-B선 단면도.
제5도의 (a)는 본 고안의 제4도의 (a)에서 유동관을 상향 조절한 상태도. (b)는 본 고안 제5도 (a)의 C-C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을 의자로 조립한 상태의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역기대 1' : 의자
2 : 좌판 5 : V홈
7 : 가이드핀 8 : 캐스터
10 : 유동관 11 : 절개홈
13, 14 : 지지간 15 : 요홈
16 : 등받이 17 : 삽지대
20 : 보조좌판 21 : 연결간
22 : 협지구 23 : 회동간
26 : 절곡봉 30 : 역기
31,32,32' : 바아 33 : 체결나사
본 고안은 실내의 좁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여 평소에는 의자로 사용하다가 체력단련을 할때에는 역기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역기대와 같은 운동 기구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기구를 각각 제작하거나 몇가지 종류의 운동기구를 복합적으로 제작하여 하나의 운동기구로 여러 종류의 운동을 할수 있도록 한 것이 보급되었으나 이들 운동 기구중 여러가지의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운동기구를 각각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들어야 할 뿐만 아니라 넓은 설치 면적이 요구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복합적으로 제작된 운동 기구는 구입 비용과 설치면적이 적어지기는 하지만 항상 일정한 공간을 운동기구 설치 장소로 차지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운동기구에 대한 결점을 감안하여 평소에는 의자로 사용하다가 필요할때에만 역기대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역기대 설치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이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체력 단련을 할수 있도록한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역기대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좌판(2)의 각 모서리에 고정된 고정간(3)(4)을 통상의 지지간(13)(14)으로 고정하되 좌,우측의 지지간(13)에는 다수의 요홈(15)을 형성하고 3단 바아(31)(32)(32')로 구성된 역기 (30)가 안착될 고정간(3)의 상단에는 V홈(5)과 통공(6)을 형성시키며 좌판(2)에 수평이 되도록 등받이(16)의 삽지대(17)를 고정간(3)에 삽입하여 괘지핀(18)으로 삽지대(17)를 좌판(2)에 고정하고 보조 좌판(20)에 용접고정된 연결간(21)을 좌판(2)의 선단에 결합시킨후 보조좌판(20) 저면의 헙지구(22)에 축착된 회동간(23)을 수직으로 세우고 고정핀(25)으로 회동간(23)을 고정하여 등받이(16)와 좌판(2) 및 보조좌판(2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역기대(1)를 구성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역기대의 단면도로서 바벨(35)이 고정되는 좌,우측의 바아(32)(32')에는 암나사(34)를 형성시키고 중앙의 바아(31)에는 체결나사 (33)를 형성시켜 체결나사(33)와 암나사(34)를 체결함으로서 역기(30)를 구성한 것이며, 제4도의 (a)(b)와 제5도의 (a)(b)는 본 고안 제3도의 A부 화대도 및 단면도로서 좌판(2)을 지지하는 고정간(3)(4)의 하단에는 캐스터(8)를 고정시키고 양측으로 가이드핀(7)을 형성시켜 하단에 패킹(12)이 삽입된 유동관(10)의 절개홈(11)을 가이드핀 (7)에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제6도는 본 고안의 의자로 조립한 상태의 일측면도로서 등받이(16)를 고정간(3)의 상단에 삽입 고정하고 보조좌판(27)은 좌판(2)의 저면에 형성된 절곡봉 (26)에 삽입시키며 바아(31)(32)(32')는 3단으로 분해하여 지지간(13)의 요홈 (15)에 올려 놓은후 유동관(10)을 상향 조절하여 캐스터(8)를 돌출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운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제6도와 같이 의자(1')로 조립하여 사용을 하며 역기 운동을 할때에만 등받이(16)와 보조좌판(2) 및 바아(31) (32)(32')를 제1도와 같이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평소에는 제6도와 같이 등받이(16)를 고정간(3)의 V홈(5) 내측으로 삽입하고 통공(6)을 통해 괘지핀(18)을 삽입하여 등받이(16)의 삽지대(17)를 고정간(3)에 고정하며 역기(30)의 바아(31)(32)(32')는 각각 분해하여 지지간(13)의 요홈(15)에 올려 놓은후 보조좌판 (20)을 좌판(2) 저면의 절곡봉(26)에 삽입시키면 의자(1')로 사용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좌판(2)을 받히고 있는 고정간(3)(4) 하단의 유동관(10)을 절개홈(11)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핀(7)을 따라 상향 이동시키면 제5도의 (a)(b)와 같이 유동관(10)하단의 팽킹(12)하측으로 캐스터(8)가 돌출되므로 의자(1')의 이동이 편리해지는 것이다.
한편 역기 운동을 할때에는 좌판(2)밑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좌판(20)을 빼내어 연결간(21)을 좌판(2)의 선단에 결합시키고 헙지구(22)에 축착된 회동간(23)을 수직으로 회동시킨후 고정핀(25)으로 회동간(23)을 고정시키며 등받이(16)는 제1도 및 제3도와 같이 좌판(2)과 보조좌판(20)에 수평이 되도록 괘지핀(18)으로 고정시킨 후 바아(31)(32)(32')의 체결나사(33)와 암나사(34)를 체결하여 조립된 역기(30)를 고정간(3)의 V홈(5)에 올려놓으면 역기대(1)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므로 역기대 설치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이 효과적으로 운동할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정간(3)(4)하측에 설치된 유동관(10)을 제4도의 (a)(b)와 같이 하향조절하면 고정간(3)(4)하단에 설치된 캐스터(8)가 유동관(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역기대(1)는 유동되지 않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역기대와 의자로 겸용하여 사용할수가 있고 역기대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음은 물론 의자로 사용할때에는 캐스터를 돌출시켜 의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역기대로 사용할때에는 캐스터를 유동관의 내측으로 삽입함으로서 운동 도중 역기대의 유동을 방지할수가 있는 것으로서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체력 단련용 운동기구로 십분 활용할수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Claims (1)

  1. 의자(1')의 등받이(16)에 삽지대(17)를 형싱시켜 고정간(3)의 상단과 좌판 (2)의 후단에 괘지핀(18)으로 고정토록 하고 지지간(13)에는 요홈(15)을 형성하여 암나사(34)와 체결나사(33)로 조립된 역기(3)의 3단 바아 (31) (32) (32')를 분해하여 보관시키며 고정간(3)(4)의 하단에는 가이드핀(7)과 캐스터(8)를 설치하고 패킹(12)이 삽입된 유동관(10)의 절개홈(11)을 가이드핀(7)에 삽입시킨후 회동간(23)이 체결되는 협지구(22)가 설치되는 보조좌판(20)에는 연결간(21)을 용접 고정시켜 저면에 절곡봉(26)이 형성된 좌판(2)과 보조좌판(20)을 착탈할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KR2019880017082U 1988-10-20 1988-10-20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KR920000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7082U KR920000166Y1 (ko) 1988-10-20 1988-10-20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7082U KR920000166Y1 (ko) 1988-10-20 1988-10-20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099U KR900008099U (ko) 1990-05-01
KR920000166Y1 true KR920000166Y1 (ko) 1992-01-15

Family

ID=1928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7082U KR920000166Y1 (ko) 1988-10-20 1988-10-20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1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368A (ko) * 2016-08-09 2018-02-21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368A (ko) * 2016-08-09 2018-02-21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099U (ko) 199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91040A (en) Display stand
US3180288A (en) Knock-down stand
US2556105A (en) Shelving
US4928833A (en) Storage organizer system and means for installing the same
US5184737A (en) Display system having suspended channels and method of assembly
US5641083A (en) Adjustable cantilever shelving system
US5456391A (en) Suit hanger with adjustable shoulders
CA2401262A1 (fr) Ensemble de rangement a double penderie evolutive
KR960013284A (ko) 선반 구조물
JPS6033482B2 (ja) 物品支持用台わく
KR920000166Y1 (ko) 의자를 겸한 조립식 역기대
US3343506A (en) Four post shelving with insertable shelves
GB2213367A (en) Combined wire basket and wire shelf storage system
US5626393A (en) Footrest
US3450270A (en) Support standard
CA2364049C (en) Wall mounted display fixture system
US4191298A (en) Railing display rack
US3468507A (en) Upright for shelves
KR200496538Y1 (ko) 선반
CN213248706U (zh) 一种适用厨房水槽的置物架
KR970000255Y1 (ko) 조립식 선반
JPH0715498Y2 (ja) 植木鉢棚の鉢受装置
CN221083211U (zh) 一种公寓床置物架装配结构
CN219515658U (zh) 带有躺板的桌板和书斗易拆课桌
KR200485271Y1 (ko) 벽면 설치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