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981B1 -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981B1
KR101205981B1 KR1020110067890A KR20110067890A KR101205981B1 KR 101205981 B1 KR101205981 B1 KR 101205981B1 KR 1020110067890 A KR1020110067890 A KR 1020110067890A KR 20110067890 A KR20110067890 A KR 20110067890A KR 101205981 B1 KR101205981 B1 KR 10120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bamboo
broom
cor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102011006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 A46B3/1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 A46B3/14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treet-cleaning or rail-cleaning broo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the bristles being fixed on or between belt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Broom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자루부와 빗살부를 구성하여 별도의 빗살 제작과 재료 사용 없이 자루부의 일단을 직접 빗살 부분으로 구성함으로 빗자루의 내구성, 제작성, 경제성을 향상시킨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루부(100)와 낱개의 빗살(120)들이 일체형 대나무로 구성되어 상부측은 자루부(100)로 구성되고 하부측은 빗살부(110)를 형성하여 자루부(100)와 빗살부(110) 일체형 대나무 빗자루로 구성되며, 상기 빗살(120)은 상기 자루부(100)의 하부측을 여러 개의 가닥으로 절결하여 갈라 놓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루부(100)와 빗살(120)의 경계면이 되는 지점인 빗살부(110)의 내부에는 낱개의 빗살(120)들을 가지런히 정열시키고 형상을 유지시키는 심체(130)를 삽입하여 구성되며, 상기 낱개의 빗살(120)들을 심체(130)를 중심으로 결속끈(140)으로 묶어 전체 빗살(120)을 심체(130)를 중심으로 정열시키고 빗자루 모양으로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BAMBOO BROOMSTI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자루부와 빗살부를 구성하여 별도의 빗살 제작과 재료 사용 없이 자루부의 일단을 직접 빗살 부분으로 구성함으로 빗자루의 내구성, 제작성, 경제성을 향상시킨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형 빗자루는 상부가 자루부로 구성되고 하부는 빗살부재로 되어 있다.
자루부는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통상적으로 목재를 봉 형상의 막대로 길게 가공하여서 된 것, 합성수지 재료를 막대 형상으로 성형하여서 된 것, 길이가 긴 대나무를 이용한 것 등이 대표적이다.
빗살부재는 자루부에 결합 되어 바닥을 쓸어 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빗살을 뭉쳐서 모아놓은 부분으로서, 가닥 모양으로 성형된 합성수지재를 가닥으로 뭉쳐서 이루어진 것, 대나무를 가늘게 가닥 모양으로 잘라 이것을 뭉쳐서 이루어진 것, 또는 천연재로서 나뭇가지 등을 사용하여 된 것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빗살부재는 자루부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하거나 접착물질을 통해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봉형 빗자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가 손잡이(11)로 처리된 자루부(10)로 되어 있고, 하부는 자루부(10)에 결합수단(12)을 통해 결합된 빗살부(13)의 예가 나타나 있다.
구조적으로 보면 자루부(10)와 빗살부(13)는 서로 직접 관련이 없으며 각각 독립된 과정을 통해 별도로 만들거나 채취한 뒤 결합수단(12)을 통해 고정 결합된다. 참고로 빗살부(13)는 합성수지 성형 가공물 이거나 자연에서 채취된 가지류, 예를 들면 대나무, 싸리나무 등이다.
결합수단(12)의 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2는 대표적인 예이다. 빗살부(13)를 자루부(10)에 결합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구조 및 형식의 결합수단(12)이 사용된다.
결합수단(12)은 통상적으로 빗살부(13)의 윗부분을 모아서 지지한 상태로 자루부(10)의 하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하부는 빗살부(13)를 지지하는 지지공간(14)을 갖고 상부는 자루부(10)를 끼워서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15)을 일체형으로 갖는 통체로 된 결합용 바디(16)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빗살부(13)을 바디(16)의 지지공간(14)에 넣고 고정하는데 있어서 구조적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면 여러 개로 분리되어 있는 빗살부(13)를 빠지지 않도록 바디(16)를 통해 고정하기 위해서는 빗살부(13)를 바다(16)의 지지공간(14)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시키거나 또는 바디(16)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속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빗살부(13)를 바디(16)에 고정시키고 다시 바디(16)를 자루부(13)에 견고한 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복잡한 결합 및 체결부재들이 필요하고 빗살부(13)가 바디(16)로부터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빗살부(13)를 바디(16)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 및 생산이 어렵고 경제성도 낮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10-0046728호, '고정부재를 이용한 매듭 없는 빗자루'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16)의 결합홈(15)에 자루부(10)를 설치하고 바디(16)에 형성한 지지공간(14)에 고정부재(17)를 공급하며, 고정부재(17)에 빗살부(13)를 삽입하여 고정부재(17)가 일정 시간 동안 응고되도록 함으로서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매듭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정부재를 이용한 매듭 없는 빗자루'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빗살부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빗살부(1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사용되는 우레탄, 시멘트, 접착제 등의 물질이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접착성 물질들은 온도 및 수분 접촉 등에 취약해 견고한 상태로 빗살을 잡아주지 못해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봉형 빗자루는 구조적으로 빗살부(13)를 바디(16)에 고정할 때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견고한 고정이 어려웠으며, 빗살부(13)를 바디(16)에 고정 후 빗살부(13)가 바디(16)로부터 이탈되고 빗살부(13)를 구성하는 낱개의 빗살들이 이탈이 지속되어 빗자루의 성능저하가 빠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빗살을 고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결속제나 유해 물질을 사용함에 따라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루부와 빗살부가 상호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수단(12)를 중심으로 결합 되도록 되어 있어 반복 사용과 작은 충격이 전달되어도 자루부(10)가 결합수단(1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부러지는 등 내구성이 취약하여 장기간 사용이 어렵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자루부와 빗살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빗살부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대나무 빗자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살부와 자루부를 대나무 원목으로 일체화시켜 빗살부를 자루부에 결합하기 한 별도의 고정부재 사용 없이 간단한 구조로 빗자루를 구성할 수 있는 대나무 빗자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살부를 결속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 물질 사용을 억제하여 친환경성이 강화된 대나무 빗자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재료의 사용 없이 대나무 원목을 이용하여 빗자루를 간단하고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는,
상부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자루부로 구성되고, 하부는 바닥에 있는 물질을 쓸어 낼 수 있는 다수의 빗살을 묶음으로 뭉쳐 놓은 빗살부로 구성되며, 상기 자루부에 빗살부를 고정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빗자루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와 낱개의 빗살들이 일체형 대나무로 구성되어 상부측은 자루부로 구성되고 하부측은 빗살부를 형성하여 자루부와 빗살부 일체형 대나무 빗자루로 구성되며,
상기 빗살은 상기 자루부의 하부측을 여러 개의 가닥으로 절결 하여 갈라 놓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루부와 빗살의 경계면이 되는 지점인 빗살부의 내부에는 낱개의 빗살들을 가지런히 정열시키고 형상을 유지시키는 심체를 삽입하여 구성되며,
상기 낱개의 빗살들을 심체를 중심으로 결속끈으로 묶어 전체 빗살을 심체를 중심으로 정열시키고 빗자루 모양으로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체는 자루부에 조우하는 상부측 직경이 좁고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심체의 본체에는 보조결속끈을 통과시켜 빗살과 결속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살을 결속끈을 통해 묶을 때 낱개의 빗살들을 여러 개의 군으로 묶도록 빗살의 상부와 하부를 반복적으로 가로지르도록 교차형 결속으로 결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살의 갯 수 증설을 위하여 상기 자루부에 형성된 중공공간에는 상기 자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빗살과 구분되는 별도의 빗살이 형성된 빗살 형성 모체를 끼워넣어 다중 빗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대나무 빗자루 제조방법에 있어서,
봉 형상으로 길이를 갖는 대나무 원목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준비된 대나무 원목의 전체 길이를 자루부와 빗살부의 길이를 감안하여 정하고 그 정해진 길이에 맞게 대나무 원목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절단된 대나무의 일단을 빗살부로 형성하기 위하여 대나무 원목에 빗살부를 형성할 지점을 정하고 그 지점까지 절결하여 빗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빗살부의 상부측 안쪽으로 심체를 밀어 끼워넣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빗살부에 끼워진 심체를 빗살부에 보조결속끈으로 고정하여 빗살부에 심체가 위치 결정되도록 고정하고, 빗살부에 고정된 심체를 중심으로 개개의 빗살들을 심체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결속끈으로 묶어 빗살부의 형상을 유지시켜 대나무 빗자루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대나무 빗자루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봉형 빗자루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대나무를 사용하여 자루부와 빗살을 일체형으로 구조로 구성함으로서 빗살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대나무 빗자루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살과 자루부를 일체화된 상태로 구성하여 빗살을 자루부에 결합하기 한 별도의 고정부재 사용 없이 간단한 구조로 빗자루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 제작성,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봉형 빗자루 구조에서 빗살을 결속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 물질 사용을 없애 친경친화적인 빗자루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봉형 빗자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봉형 빗자루를 구성하는 결합수단 설명도.
도 3은 또 다른 봉형 빗자루의 결합수단 종래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결속끈을 이용한 빗살 묶음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결속끈을 이용한 빗살 묶음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는, 대나무 원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대형의 대나무를 가공하여 상부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자루부(100)로 구성하고, 하부는 바닥에 있는 물질을 쓸어 낼 수 있는 다수의 빗살(120)을 묶음으로 뭉쳐 놓은 빗살부(110)로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루부(100)와 낱개의 빗살(120)들이 일체형 대나무로 구성되어 상부측은 자루부(100)로 구성되고 하부측은 빗살부(110)를 형성하여 자루부(100)와 빗살부(110) 일체형 대나무 빗자루로 구성된다.
그리고, 빗살(120)은 대나무로 이루어진 자루부(100)의 하부측을 여러 개의 가닥으로 절결 하여 갈라 놓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따로 빗살을 제작하거나 제작된 빗살을 자루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루부(100)와 빗살(120)의 경계면이 되는 지점인 빗살부(110)의 안쪽 내부에는 낱개의 빗살(120)들을 가지런히 정열 시키고 형상을 유지시키는 심체(130)를 삽입하여 구성된다. 심체(130)는 빗살(120)을 묶어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목재 및 금속을 가공하여 형성한 것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 제작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낱개의 빗살(120)들을 심체(130)를 중심으로 결속끈(140)으로 묶어 전체 빗살(120)이 심체(130)의 외부를 따라 둥글게 원형상으로 배열되도록 심체(130)를 중심으로 정열시켜 빗살(120)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심체(130)는 자루부(100)에 조우하는 상부측 직경이 좁고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심체(130)의 본체에는 보조결속끈(150)을 통과시켜 빗살(120)과 결속시키기 위한 구멍(160)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심체(130)의 테이퍼 형상은 심체(13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빗살(120)들이 하부로 갈수록 배열 폭이 넓어지는 스커트 모양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자루는 빗살의 지면 접촉 면적을 넓혀주기 위해 상부에 비해 하부가 넓은 스커트 모양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또한, 빗살(120)을 결속끈(140)을 통해 묶을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낱개의 빗살(120)들을 여러 개의 군으로 묶도록 빗살의 상부와 하부를 반복적으로 가로지르도록 교차형 결속으로 결속하여 구성된다,
또한, 빗살(120)의 갯 수 증설을 위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부(100)에 형성된 중공공간(170)에는 자루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빗살(120)과 구분되는 별도의 빗살(120a)을 갖는 빗살 형성 모체(180)를 끼워넣어 구성된다. 여기서, 중공공간(170)은 대나무 원재료에 자체적으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별도로 형성되는 부분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의 제조공정을 도 8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봉 형상으로 길이를 갖는 대나무 원목을 준비한다(S100).
준비된 대나무 원목의 전체 길이를 자루부(100)와 빗살부(110)의 길이를 감안하여 정하고 그 정해진 길이에 맞게 절단한다(S200).
빗살부(110)의 형성은 대나무 원목에 빗살부(110)를 형성할 지점을 정하고 그 지점까지 절결하여 형성한다(S300). 원통 형상의 대나무 원목 기준으로 1차로 대략 5 ~ 8등분으로 갈라 여러 쪽으로 등분된 쪽으로 가르고, 그 등분된 개개의 쪽들을 다시 3 ~ 5개로 갈라 여러 개의 빗살(120)들을 형성한다(S300).
빗살부(110)의 형성이 완료되면, 빗살부(110)의 상부측 안쪽으로 심체(130)를 밀어 넣어 끼운다(S400).
빗살부(110)에 끼워진 심체(130)를 빗살부(110)에 보조결속끈(150)으로 고정하여 빗살부(110)에 심체(130)가 위치 결정되도록 고정한다(S500).
빗살부(110)에 고정된 심체(130)를 중심으로 개개의 빗살(120)들을 심체(130)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결속끈(140)으로 묶어 빗살부(1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대나무 빗자루의 제조를 완료한다(S600).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의 제조공정에서는 빗살(120)의 갯수를 증가시켜 조밀도가 높은 빗살부(110)를 얻기 위하여 대나무의 중공공간(170)에 빗살 형성 모체(180)를 삽입하여 빗살(120)의 갯 수를 증가시키는 제조가 가능하다.
빗살 형성 모체(180)는 대나무의 중공공간(170)을 따라 끼워질 수 있도록 직경이 외부측 대나무 보다 작은 대나무의 일단을 갈라 외부측과 동일하게 빗살(120a)을 형성한 대나무로서 외부측 빗살(120)과 빗살 형성 모체(180)의 빗살(120a)이 합쳐져 전체 빗살부(110)의 조밀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바닥에 접촉하는 빗살부(110)의 면적이 증가 되어 청소시 물질을 빠짐없이 쓸어낼 수 있는 빗자루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는, 대나무 원목을 사용하여 빗자루의 자루부(100)와 빗살부(110)가 구성된다.
즉, 막대형 대나무 원목을 가공하여 상부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자루부(100)로 구성하고 하부는 바닥에 있는 물질을 쓸어 낼 수 있는 다수의 빗살(120)을 묶음으로 뭉쳐 놓은 빗살부(110)로 구성한 것으로 다른 재료의 추가 없이 대나무 원목을 가공하여 빗자루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빗살(120)은 대나무로 이루어진 자루부(100)의 하부측을 여러 개의 가닥으로 절결 하여 갈라 빗살부(11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빗살을 별도로 제작하거나 빗살을 자루부에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빗자루를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나무 원목에서 여러 가닥을 절결되어 형성되는 빗살(120)은 심체(130)를 중심으로 그 외부를 따라 둥근 모양으로 배열하여 빗살부(110)가 완성된다. 즉, 빗살부(110)를 자루부(100)와 빗살(110)의 경계면이 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빗살부(110)의 안쪽 내부에 심체(130)를 삽입하여 이 심체(130)를 중심으로 빗살(120)을 가지런히 배열하여 둥근 모양의 빗살부(110)가 구성된다.
낱개의 빗살(120)들은 심체(130)를 중심으로 결속끈(140)으로 묶어져 결속되고, 심체(130)는 구멍(160)에 보조결속끈(150)을 통과시켜 빗살(120)과 결속된다.
심체(130)는 자루부(100)에 조우하는 상부측 직경이 좁고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 형상의 심체(130)는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빗살(120)들이 하부로 갈수록 배열 폭이 넓어지는 스커트 모양을 갖도록 빗살부(11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한편, 도 7과 같이, 자루부(100)에 형성된 중공공간(170)에 빗살(120a)을 갖는 빗살 형성 모체(180)를 끼워 넣어 외부측 빗살(120)과 내부측 빗살(120a)을 함께 전자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심체(130)를 이용하여 결속끈(140) 및 보조결속끈(150)을 통해 엮으면 빗살(120)의 갯 수가 증가된 보다 촘촘한 빗살부(110)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빗자루는 자루부(100)와 빗살부(11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부러지지 않는 이상 빗살부(110)의 분리 및 이탈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좋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빗살부(110)와 자루부(100)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빗살부를 자루부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빗살부를 결속하기 위한 유해성 접착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다른 재료의 사용 없이 대나무 원목을 이용하여 빗자루를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자루부
110: 빗살부
120: 빗살
130: 심체
140: 결속끈
150: 보조결속끈
160: 구멍
170: 중공공간
180: 빗살형성모체

Claims (5)

  1. 상부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자루부(100)로 구성되고, 하부는 바닥에 있는 물질을 쓸어 낼 수 있는 다수의 빗살(120)을 묶음으로 뭉쳐 놓은 빗살부(110)로 구성되며, 상기 자루부(100)에 빗살부(110)를 고정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빗자루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100)와 낱개의 빗살(120)들이 일체형 대나무로 구성되어 상부측은 자루부(100)로 구성되고 하부측은 빗살부(110)를 형성하여 자루부(100)와 빗살부(110) 일체형 대나무 빗자루로 구성되며,
    상기 빗살(120)은 상기 자루부(100)의 하부측을 여러 개의 가닥으로 절결하여 갈라 놓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루부(100)와 빗살(120)의 경계면이 되는 지점인 빗살부(110)의 내부에는 낱개의 빗살(120)들을 가지런히 정열시키고 형상을 유지시키는 심체(130)를 삽입하여 구성되며,
    상기 낱개의 빗살(120)들을 심체(130)를 중심으로 결속끈(140)으로 묶어 전체 빗살(120)을 심체(130)를 중심으로 정열시키고 빗자루 모양으로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빗자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체(130)는 자루부(100)에 조우하는 상부측 직경이 좁고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심체(130)의 본체에는 보조결속끈(150)을 통과시켜 빗살(120)과 결속시키기 위한 구멍(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빗자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120)을 결속끈(140)을 통해 묶을 때 낱개의 빗살(120)들을 여러 개의 군으로 묶도록 빗살의 상부와 하부를 반복적으로 가로지르도록 교차형 결속으로 결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빗자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120)의 갯 수 증설을 위하여 상기 자루부(100)에 형성된 중공공간(170)에는 상기 자루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빗살(120)과 구분되는 별도의 빗살(120a)이 형성된 빗살 형성 모체(180)를 끼워넣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빗자루.
  5. 대나무 빗자루 제조방법에 있어서,
    봉 형상으로 길이를 갖는 대나무 원목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준비된 대나무 원목의 전체 길이를 자루부(100)와 빗살부(110)의 길이를 감안하여 정하고 그 정해진 길이에 맞게 대나무 원목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절단된 대나무의 일단을 빗살부(110)로 형성하기 위하여 대나무 원목에 빗살부(110)를 형성할 지점을 정하고 그 지점까지 절결하여 빗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빗살부(110)의 상부측 안쪽으로 심체(130)를 밀어 끼워넣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빗살부(110)에 끼워진 심체(130)를 빗살부(110)에 보조결속끈(150)으로 고정하여 빗살부(110)에 심체(130)가 위치 결정되도록 고정하고, 빗살부(110)에 고정된 심체(130)를 중심으로 개개의 빗살(120)들을 심체(130)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결속끈(140)으로 묶어 빗살부(110)의 형상을 유지시켜 대나무 빗자루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빗자루 제조방법.
KR1020110067890A 2011-07-08 2011-07-08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90A KR101205981B1 (ko) 2011-07-08 2011-07-08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90A KR101205981B1 (ko) 2011-07-08 2011-07-08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981B1 true KR101205981B1 (ko) 2012-11-28

Family

ID=4756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890A KR101205981B1 (ko) 2011-07-08 2011-07-08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368A (ko) * 2016-08-09 2018-02-21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WO2022270652A1 (ko) * 2021-06-23 2022-12-29 마음담은협동조합 빗살 교체가 가능한 청소용 빗자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3848A (ja) 2008-05-12 2009-11-26 Ryozo Odo 竹箒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3848A (ja) 2008-05-12 2009-11-26 Ryozo Odo 竹箒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368A (ko) * 2016-08-09 2018-02-21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KR101875096B1 (ko) 2016-08-09 2018-08-02 권영일 청소용 빗자루
WO2022270652A1 (ko) * 2021-06-23 2022-12-29 마음담은협동조합 빗살 교체가 가능한 청소용 빗자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7164B1 (en) Toothbrus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RU2001124817A (ru) Головка зубной щетки с гибкоустановленными щетинками
KR101205981B1 (ko)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CN103442614A (zh) 牙刷
KR102260581B1 (ko) 오버몰딩된 브러시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40051458A (ko) 분지를 갖는 헤어브러시 빗살, 및 분지를 갖는 빗살을 포함하는 헤어브러시
WO2015200775A2 (en) Personal-care applicator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same
US20060076031A1 (en) Mascara brush
US20090227180A1 (en) Process for making a quick installation foundation frame
WO2015200774A1 (en) Bristled component for personal-care applicator
KR20160006661A (ko) 플라스틱 모노필라멘트, 그리고 상응하는 모노필라멘트로 제조된 칫솔 강모
KR20130042318A (ko) 대나무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KR101085782B1 (ko) 모발용 섬유의 부착방법
KR101174972B1 (ko) 조립식 빗자루
KR101875096B1 (ko) 청소용 빗자루
WO2009101675A1 (ja) 回転歯ブラシ用素材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80003191U (ko) 훌치기낚시채비
KR102143857B1 (ko) 칫솔 제조방법
JP2023518557A (ja) シート素材の自動裁断機における吸引裁断用のモジュール式支持要素
KR20080046150A (ko) 빗자루 및 그 제조방법
KR100467194B1 (ko) 장식용 헤어피스
JP2009247531A (ja) 歯間ブラ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18670Y1 (ko) 빗자루
US2696628A (en) Broom
KR200417570Y1 (ko) 도로 청소용 빗자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