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864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864A
KR20180016864A KR1020160100807A KR20160100807A KR20180016864A KR 20180016864 A KR20180016864 A KR 20180016864A KR 1020160100807 A KR1020160100807 A KR 1020160100807A KR 20160100807 A KR20160100807 A KR 20160100807A KR 20180016864 A KR20180016864 A KR 20180016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um
stirring
rotating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866B1 (ko
Inventor
장용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866B1/ko
Priority to PCT/KR2017/008460 priority patent/WO2018030718A1/en
Priority to AU2017309084A priority patent/AU2017309084B2/en
Priority to US15/670,490 priority patent/US10704186B2/en
Priority to CN201710670304.2A priority patent/CN107700142B/zh
Publication of KR2018001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9/0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06F2202/085
    • D06F2202/10
    • D06F2204/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드럼에 저장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단계, 교반부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분산단계, 분산단계에 설정된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큰 회전수로 교반부만을 360도 이상 회전시켜 챔버로 물을 공급하며, 필터를 통해 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 분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여과단계에 설정된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교반부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교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 상기 드럼 내부의 물을 상기 드럼의 외부로 배출시킨 뒤 상기 드럼 내부로 재공급하는 챔버, 상기 챔버로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교반부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을 진행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교반부의 기준시간당 회전수(예: revolution per minute, 이하 '회전수'라 함)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 내부의 물이 상기 챔버를 통해 순환되게 하고, 이를 통해 물을 여과한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성능, 헹굼성능 및 여과성능은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즉, 세탁성능이나 헹굼성능을 높이려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를 높여 드럼 내부에 강한 수류를 형성시키면 되고, 여과성능을 높이려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를 높여 많은 양의 물이 필터를 통과하게 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를 높이면 세탁성능이나 헹굼성능이 향상되지만 수류 때문에 의류가 상기 드럼 내부에서 서로 엉키게 되고, 의류가 엉킨 상태에 있으면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오물, 보푸라기 등)은 엉킨 의류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갇힐 것이므로 여과성능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세탁이나 헹굼행정에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를 낮추면 세탁성능이나 헹굼성능이 저하되어 의류에서 이물질이 분리되지 않을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여과성능까지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헹굼과정에서 의류에서 분리된 보푸라기(lint)가 배수 후 의류에 잔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지면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이용하는 장치, 지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및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된 교반부를 이용하는 장치로 구분될 수 있는데, 배수 후 의류에 보푸라기가 잔류하는 문제는 교반부를 이용하는 장치에서 더 빈번히 발생한다.
지면에 나란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을 이용하는 장치는 의류의 낙차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므로 보푸라기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반면 교반부를 이용하는 장치는 교반부와 의류의 마찰을 통해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보푸라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탁이나 헹굼과정에서 의류에서 분리된 보푸라기는 물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의류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갇혀 있기 때문에 배수 시 의류나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잔류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세탁성능, 헹굼성능 및 여과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탁성능의 향상을 위해 구비된 수류형성단계의 진행 전이나 수류형성단계의 완료 후 의류를 드럼 내부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세탁성능 및 여과성능을 향상시킨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단계의 진행 전이나 물을 여과하는 단계의 완료 후 의류의 분산 또는 엉킨 의류를 풀어주는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여과성능을 높인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터브에 저장된 물의 배수 시 터브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킴으로써 이물질이 터브나 드럼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보푸라기가 드럼, 터브 또는 의류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의 외부로 배출된 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로 안내하는 챔버,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챔버로 물을 이동시키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로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단계; 상기 교반부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켜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산키는 분산단계; 상기 분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큰 회전수로 상기 교반부만을 360도 이상 회전시켜 상기 챔버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필터를 통해 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 상기 분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여과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상기 교반부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교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산단계, 상기 여과단계 및 상기 제1교반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분산단계는 상기 제1급수단계의 진행 중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분산단계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교반단계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교반단계의 완료 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단계; 상기 분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여과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상기 교반부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제2교반단계;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을 동일한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시켜, 상기 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류를 형성시키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교반단계 및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개시되어 상기 배수단계의 종료 전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급수단계 이전에 진행되고,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급수단계는 측정된 포량에 설정된 기준수위보다 낮은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2급수단계는 상기 기준수위 이상의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성능, 헹굼성능 및 여과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성능의 향상을 위해 구비된 수류형성단계의 진행 전이나 수류형성단계의 완료 후 의류를 드럼 내부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세탁성능 및 여과성능을 향상시킨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단계의 진행 전이나 물을 여과하는 단계의 완료 후 의류의 분산 또는 엉킨 의류를 풀어주는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여과성능을 높인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브에 저장된 물의 배수 시 터브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킴으로써 이물질이 터브나 드럼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푸라기가 드럼, 터브 또는 의류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수류형성단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여과단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3),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4), 상기 드럼의 외부로 배출된 물을 여과한 뒤 상기 드럼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여과부(5),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여과부로 물을 공급하는 교반부(7), 상기 교반부 및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9)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캐비닛 투입구(11)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 투입구(11)는 캐비닛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1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캐비닛(1)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1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3)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이나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3)는 터브지지부(311)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 터브 바디(31),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드럼(4)이 상기 터브(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터브 바디(31)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지지부(311)는 상기 터브(3)에 발생한 진동을 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스프링이나 댐퍼 등이 상기 터브지지부(311)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32)에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를 상기 터브 바디(31)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투입구(33)가 구비되는데, 상기 터브투입구(33)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3)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3)에 저장된 물을 배수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된 급수관(611),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밸브(613)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는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펌프(617),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61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4)은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바디(41),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투입구(42)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 바디(41)는 의류가 저장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지만, 회전 시 진동을 고려할 때 원통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 바디(41)의 원주면 및 바닥면에는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를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41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3)에 저장된 물을 상기 관통홀(411)을 통해 드럼 바디(4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의 물을 상기 관통홀(411)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1)는 상기 투입구(42), 상기 터브투입구(33) 및 캐비닛 투입구(11)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의류는 상기 투입구(42)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41)에 공급되고,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의류는 상기 투입구(4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1)의 원주면에는 챔버(45)가 구비되는데, 상기 챔버(45)는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드럼 바디(41)의 외부로 인출한 뒤 상기 드럼 바디(41)로 재 공급하는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45)에는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각각 연통하는 제1연통홀(451) 및 제2연통홀(4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홀(451)은 상기 챔버(45)로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의 물을 유입시키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453)은 상기 챔버(45) 내부의 물을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로 배출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제1연통홀(451) 및 제2연통홀(453)은 상기 드럼 바디(41)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제1연통홀(451)은 상기 드럼 바디(41)의 원주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453)은 상기 드럼 바디(41)의 원주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연통홀(451)은 상기 교반부(7)에 의해 유동하는 물이 상기 챔버(45)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교반부(7)의 가장자리와 소정거리 이격되되 상기 교반부(7)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교반부(7)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연통홀(451)의 최상단은 상기 교반부(7)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교반부(7)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부(5)는 상기 챔버(45)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2연통홀(45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5)는 상기 제2연통홀(45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여과부 하우징(51), 상기 여과부 하우징으로 물을 유입시키며 상기 제1연통홀(451)에 연통하는 유입구(511), 상기 여과부 하우징으로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여과부 하우징에 고정되는 필터(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홀(453)은 상기 제1연통홀(451)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 하우징(51)은 상기 제2연통홀(453)에 구비되므로, 상기 필터(53)는 상기 교반부(7)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의 물을 상기 교반부(7)의 시간당 회전수(RPM등, 이하, '회전수'라 함)가 높은 경우에만 상기 필터(53)가 위치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여과부 하우징(51) 내부에는 필터(53)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의류에서 분리된 오물, 의류에서 분리된 보푸라기 등)이 상기 드럼 바디(41)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여과부(5)는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제2연통홀(453)에 구비되는 필터(53)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교반부(7)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나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교반부(7)가 디스크(disk)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상기 드럼 바디(41) 및 교반부(7)는 구동부(9)에 의해 회전한다.
도 1에 도시된 구동부(9)는 상기 교반부(7)만을 회전시킬 수도 있고, 상기 드럼(4) 및 교반부(7)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도 있는 구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9)는 상기 드럼(4)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95), 상기 드럼 회전축(95)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7)를 회전시키는 교반부 회전축(94), 상기 교반부 회전축(94)을 회전시키는 모터(91), 상기 모터(91)에서 발생한 회전동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95)에 전달하는 클러치(9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91)는 상기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고정된 스테이터(91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9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회전축(95)은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4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드럼 회전축(95)의 내부에는 상기 드럼 회전축(95)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축관통홀(951) 및 상기 축관통홀(951)에 구비되는 연결기어(9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교반부 회전축(94)은 상기 축관통홀(951)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로터에 고정된 제1축(949), 상기 축관통홀(9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축(949)에 고정된 주동기어(941), 상기 주동기어(941)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주동기어(941)와 연결기어(953)을 연결하는 다수의 종동기어(943), 상기 축관통홀(9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수의 종동기어(943)들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케이지(945), 상기 케이지(945)의 상부면과 상기 교반부(7)를 연결하는 제2축(948)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948)은 일단은 상기 케이지(945)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 바디(4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교반부(7)에 고정된다.
상기 클러치(99)는 상기 드럼 회전축(95)을 상기 로터(913)에 연결하는 수단으로, 별도의 클러치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드럼 회전축(95)과 상기 로터(913)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913)에는 상기 로터와 상기 클러치를 기어 결합시키는 클러치 체결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 회전축(95)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 회전축과 클러치를 기어 결합시키는 클러치 체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구동부에 의해 상기 클러치(99)가 상기 드럼 회전축(95)과 상기 로터(913)를 연결하면, 상기 로터의 회전 시 상기 드럼 회전축(95)도 함께 회전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상기 클러치(99)가 상기 로터(913)와 상기 드럼 회전축(95)을 연결하면(A), 상기 드럼 및 교반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99)가 상기 로터(913)와 상기 제1축(949)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로터(9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드럼 회전축(9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므로 상기 드럼(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한편,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9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축(949) 및 주동기어(9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주동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기어들(943)들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케이지(94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지(945)에 고정된 제2축(948)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고, 상기 제2축(948)에 의해 상기 교반부(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클러치(99)가 상기 로터(913)와 상기 제1축(949)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로터(9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교반부(7)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드럼(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미도시)한다. 상기 클러치(99)가 상기 로터(913)와 드럼 회전축(95)을 연결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드럼 회전축(95)이 회전하는 것은 상기 종동기어들(943)의 회전 시 상기 연결기어(953)에 작용하는 반발력 때문이다.
상기 클러치(99)가 상기 로터(913)와 상기 제1축(949)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로터(913)가 회전할 때 상기 드럼 회전축(95)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9)에는 상기 드럼 회전축(95)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97)는 브레이크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드럼 회전축(95)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99)가 상기 로터(913)와 상기 제1축(949)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로터(913)가 회전하고, 상기 브레이크(97)가 드럼 회전축(95)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드럼 회전축을 구속하면, 상기 로터의 회전 시 상기 교반부(7)만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구동부(9)는 상기 교반부의 회전만을 제어하는 모터, 상기 드럼의 회전만을 제어하는 모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교반부(7)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고, 상기 드럼(4)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한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를 높여 상기 드럼 내부의 물이 상기 챔버(45)를 통해 순환되게 하고, 이를 통해 물에 포함된 오물이나 보푸라기를 여과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세탁성능, 헹굼성능 및 여과성능은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세탁성능이나 헹굼성능을 높이려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를 높여 상기 드럼(4) 내부에 강한 수류를 형성시키면 되고, 여과성능을 높이려면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를 높여 많은 양의 물이 필터(53)를 통과하게 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를 높이면 세탁성능이나 헹굼성능이 향상되지만 수류 때문에 의류가 상기 드럼(4) 내부에서 서로 엉키게 되고, 의류가 엉킨 상태에 있으면 의류에서 분리된 오물이나 보푸라기 등은 엉킨 의류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갇힐 것이므로 여과성능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세탁이나 헹굼행정에서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를 낮추면 세탁성능이나 헹굼성능이 저하되어 의류에서 이물질이 분리되지 않을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여과성능까지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세탁행정(S10), 중간탈수행정(S30, 제1탈수행정), 헹굼행정(S50) 및 탈수행정(S70, 제2탈수행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S10)은 물과 세제를 상기 터브(3)에 공급하여 의류에서 이물질(오물, 보푸라기 등)을 제거하는 행정으로, 급수단계(S11), 제1모션 실행단계(S13), 제2모션 실행단계(S15), 제3모션 실행단계(S17) 및 배수단계(S1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단계(S11)는 제어부(미도시)가 밸브(613)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터브(3)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13)는 세탁성능을 높이기 위한 모션(motion)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13)는 상기 드럼(4)과 교반부(7)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터브(3)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1수류형성단계(S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에서 상기 드럼과 교반부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1회전 이상 회전(360도 이상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 커버(32)까지 상승시켜 물이 드럼의 투입구(42)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에서 의류는 수류 및 인접한 의류와 마찰하고, 상기 투입구(42)를 통해 낙하하는 물에 충돌되므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를 통해 이물질을 의류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의 진행 시 의류가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서 엉킨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므로,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13)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의 개시 전 진행되는 제1분산단계(S131) 및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의 완료 후 진행되는 제2분산단계(S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산단계(S131)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의 개시 전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의 진행 시 의류가 엉키게 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분산단계(S131)는 상기 교반부(7)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로, 상기 제1분산단계(S131)에서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에 설정된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제1분산단계(S131)는 상기 교반부만를 시계방향으로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교반부만을 반시계방향으로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분산단계(S135)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의 완료 후 엉켜있는 의류를 풀어주는 단계로, 상기 제2분산단계(S135)에서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7)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2분산단계(S135)에서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에 설정된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분산단계 역시 상기 교반부(7)만를 시계방향으로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교반부만을 반시계방향으로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13)에서 상기 제1분산단계(S131), 제1수류형성단계(S133) 및 제2분산단계(S135)는 순차적으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13)는 2회 이상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는 급수단계(S11)의 완료 후 곧바로 실행됨이 바람직하고, 전체 세탁행정(S10)에 설정된 시간 중 10~30%의 시간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13)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2모션 실행단계(S15)를 실행한다.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15)는 의류에서 분리되어 물에 혼합된 오물이나 보푸라기 등을 여과부(5)로 이동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제1여과단계(S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여과단계(S153)는 상기 교반부(7)만을 1회전 이상(360도 이상) 회전시켜 상기 필터(53)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여과단계(S153)에서 상기 교반부(7)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하며, 상기 제1여과단계에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는 물이 상기 필터(53)가 위치된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수압을 형성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여과단계(S153)에 설정된 교반부(7)의 회전수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133)에 설정된 회전수보다는 작고, 상기 분산단계(S131, S135)에 설정된 회전수보다는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여과단계(S153)의 진행 시 비교적 강한 수류가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형성될 것이므로,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15)는 상기 제1여과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는 제1교반단계(S151) 및 상기 제1여과단계의 완료 후 진행되는 제2교반단계(S1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교반단계(S151)는 상기 제1여과단계(S153)의 개시 전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킴으로써 의류에 마찰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킴으로써 제1여과단계(S153)의 진행 시 의류가 엉키게 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교반단계(S151)는 상기 교반부(7)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되, 상기 제1교반단계(S151)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는 상기 분산단계(S131, S135)에 설정된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제1여과단계에 설정된 교반부의 회전수보다는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교반단계(S151)에서 상기 드럼 바디 내부의 물을 상기 필터(53)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교반단계(S155)는 상기 제1여과단계(S153)의 완료 후 드럼 바디(41) 내부에 엉킨 의류를 풀어주는 과정이다. 상기 제2교반단계(S155)에서 제어부는 상기 교반부(7)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제2교반단계에 설정된 교반부의 회전수는 상기 분산단계(S131, S135)에 설정된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제1여과단계에 설정된 교반부의 회전수보다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교반단계(S151) 및 제2교반단계(S155)는 각각 상기 교반부(7)를 시계방향으로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교반부(7)를 반시계방향으로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15)에서 상기 제1교반단계(S151), 제1여과단계(S153) 및 제2교반단계(S155)는 순차적으로 진행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15)는 2회 이상 연속적으로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2모션 실행단계(S15)는 세탁성능을 결정하는 단계이므로, 세탁행정(S10)에 설정된 시간 중 70~90%의 시간동안 진행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15)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3모션 실행단계(S17)와 배수단계(S19)를 실행한다.
상기 제3모션 실행단계(S17)는 상기 교반부(7)만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시켜 상기 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제2여과단계(S171), 상기 교반부(7)와 상기 드럼(4)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시키는 제2수류형성단계(S1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단계(S171)에서 상기 교반부는 앞서 설명한 제1여과단계(S153)에서의 교반부 제어와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173)는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는 점에서는 제1수류형성단계(S133)와 동일하지만,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에 설정된 드럼과 교반부의 회전수는 제1수류형성단계에서 설정된 드럼과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작다는 점에서 제1수류형성단계와 구별된다. 즉,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173)에서 물은 상기 터브 바디(31)의 원주면을 따라 순환하는 수류(드럼의 투입구로 물이 유입되지 않지 않도록 터브 원주면을 따라 순환하는 수류)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여과단계(S171) 및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173)는 순차적으로 진행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펌프(617)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에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S19)는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173)와 함께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단계(S19)가 제2수류형성단계(S173)와 함께 진행되도록 구비된 것은 배수 시 의류에서 분리된 오물이나 보푸라기가 터브 바디의 내주면이나 드럼 바디의 내주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173)의 개시 시점은 상기 배수단계(S19)의 개시 전 설정되고,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173)의 종료 시점은 상기 배수단계(S19)의 종료 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세탁행정(S10)이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탈수행정(S30)을 진행하는데, 상기 제1탈수행정(S30)은 상기 드럼(4)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물과 이물질을 원심력으로 분리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1탈수행정(S30)의 진행 중 제어부는 상기 펌프(617)를 작동시켜 의류에서 분리된 물과 이물질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탈수행정(S30)이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헹굼행정(S50)을 진행하는데, 상기 헹굼행정(S50)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이물질과 세제를 제거하는 행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헹굼행정(S50)은 상기 터브(3)에 물을 공급하는 헹굼 제1급수단계(S51, 제1급수단계), 제4모션 실행단계(S53), 상기 터브(3)에 물을 추가로 공급하는 헹굼 제2급수단계(S54, 제2급수단계), 제5모션 실행단계(S55) 및 배수단계(S5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급수단계(S51)는 제어부가 상기 밸브(613)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3)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4모션 실행단계(S53)는 상술한 제3모션 실행단계(S17) 및 배수단계(S19)에도 불구하고 의류나 터브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제4모션 실행단계(S53)는 헹굼 여과단계(S533)를 포함한다.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는 상기 교반부(7)만을 360도 이상 회전시켜 상기 필터(53)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물에 포함된 오물이나 보푸라기 등을 여과하는 과정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에서 상기 교반부(7)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하며, 상기 헹굼 여과단계에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는 물이 상기 필터(53)가 위치된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수압을 형성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는 상술한 제1탈수행정(S30)의 완료 후 진행되고, 상기 제1탈수행정(S30)에서 의류는 원심력 때문에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 있는 의류를 드럼에서 분리시키는 과정 없이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를 진행하면, 의류와 드럼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갇힌 이물질(오물, 보푸라기 등)은 헹굼 여과단계(S533)를 통해 여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4모션 실행단계(S53)는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의 개시 전 실행되는 헹굼 분산단계(S5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는 상기 교반부(7)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에 의해 형성된 수류나 상기 교반부(7)와 의류의 마찰력 때문에 의류는 상기 드럼(4)의 내주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는 상기 제1급수단계(S51)의 완료 후 개시될 수도 있고, 상기 제1급수단계(S51)의 진행 중 개시될 수도 있다.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에서 상기 교반부(7)가 의류에 큰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단일 의류의 내부나 의류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물이나 보푸라기 등을 의류에서 분리시키기 용이할 것이다.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에서 교반부가 의류에 제공하는 마찰력은 제1급수단계(S51)를 통해 상기 터브(3)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극대화할 수 있다. 터브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적으면, 상기 교반부(7)가 의류를 직접 타격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급수단계(S51)에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의류의 헹굼을 위해 설정된 기준수위보다 낮은 수위의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헹굼 제1급수단계 이전에 본 발명 제어방법은 드럼(4)에 저장된 의류의 양(포량)을 판단하는 포량판단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량판단단계는 상기 드럼을 일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911)에 공급된 전류량을 통해 포량을 판단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에 설정된 교반부(7)의 회전수는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에 설정된 교반부(7)의 회전수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는 상기 교반부만를 시계방향으로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교반부만을 반시계방향으로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가 완료되면, 상기 제4모션 실행단계(S53)는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헹굼 제1교반단계(S535)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헹굼 제1교반단계(S535)는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7)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에 설정된 교반부(7)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상기 교반부(7)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헹굼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헹굼 제1교반단계(S535)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7)를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7)를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헹굼 제1교반단계(S535)는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와 헹굼 여과단계(S533) 사이에서도 실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를 통해 구현되는 여과성능이 향상될 것이다.
상술한 제4모션 실행단계(S53)에서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 헹굼 여과단계(S533) 및 헹굼 제1교반단계(S535)는 순차적으로 진행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4모션 실행단계(S53)는 2회 이상 연속적해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제4모션 실행단계(S15)는 헹굼성능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과정이다.
상기 제4모션 실행단계(S53)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밸브(613) 및 수위감지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수위(측정된 포량의 헹굼을 위해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의 물을 상기 터브(3)에 공급하는 제2급수단계(S54)를 진행한다.
상기 제2급수단계(S54)가 완료되면, 본 발명은 제5모션 실행단계(S55) 및 배수단계(S57)를 실행한다.
상기 제5모션 실행단계(S55)는 상기 교반부(7)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헹굼 제2교반단계(S551), 상기 교반부(7)와 드럼(4)을 동일한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시키는 제3수류형성단계(S5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헹굼 제2교반단계(S551)에 설정된 교반부(7)의 회전수는 상기 헹굼 분산단계(S531)에 설정된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헹굼 여과단계(S533)에 설정된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헹굼 제2교반단계(S551)는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로, 상술한 헹굼 제1교반단계(S53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S553)는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터브 바디(31)의 원주면을 따라 순환하는 수류를 상기 터브 내부에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헹굼 제2교반단계(S551) 및 제3수류형성단계(S553)는 순차적으로 진행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펌프(617)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S57)는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S533)와 함께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단계(S57)가 제3수류형성단계(S533)와 함께 진행되도록 구비된 것은 배수 시 오물이나 보푸라기 등이 터브 바디의 내주면이나 드럼 바디의 내주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S533)의 개시 시점은 상기 배수단계(S57)의 개시 전 설정되고,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S553)의 종료 시점은 상기 배수단계(S57)의 종료 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캐비닛 투입구
13: 컨트롤패널 15: 도어 3: 터브
31: 터브 바디 311: 터브지지부 32: 터브 커버
33: 터브투입구 4: 드럼 41: 드럼바디
411: 관통홀 42: 투입구 45: 챔버
451: 제1연통홀 453: 제2연통홀 5: 여과부
51: 여과부 하우징 511: 유입구 53: 필터
55: 밸브 7: 교반부 9: 구동부
91: 모터 94: 교반부 회전축 941: 주동기어
943: 종동기어 945: 케이지 947:케이지 관통홀
948: 제2축 949: 제1축 95: 드럼 회전축
951: 축관통홀 953: 연결기어 97: 브레이크
99: 클러치

Claims (10)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의 외부로 배출된 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로 안내하는 챔버,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챔버로 물을 이동시키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로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단계;
    상기 교반부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켜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산키는 분산단계;
    상기 분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큰 회전수로 상기 교반부만을 360도 이상 회전시켜 상기 챔버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필터를 통해 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
    상기 분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여과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상기 교반부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교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단계, 상기 여과단계 및 상기 제1교반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단계는 상기 제1급수단계의 진행 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단계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단계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단계의 완료 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단계;
    상기 분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여과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상기 교반부만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제2교반단계;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을 동일한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시켜, 상기 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류를 형성시키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반단계 및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개시되어 상기 배수단계의 종료 전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단계 이전에 진행되고,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급수단계는 측정된 포량에 설정된 기준수위보다 낮은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2급수단계는 상기 기준수위 이상의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00807A 2016-08-08 2016-08-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36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07A KR102536866B1 (ko) 2016-08-08 2016-08-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7/008460 WO2018030718A1 (en) 2016-08-08 2017-08-0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U2017309084A AU2017309084B2 (en) 2016-08-08 2017-08-0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5/670,490 US10704186B2 (en) 2016-08-08 2017-08-0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710670304.2A CN107700142B (zh) 2016-08-08 2017-08-08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07A KR102536866B1 (ko) 2016-08-08 2016-08-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864A true KR20180016864A (ko) 2018-02-20
KR102536866B1 KR102536866B1 (ko) 2023-05-25

Family

ID=6107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07A KR102536866B1 (ko) 2016-08-08 2016-08-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4186B2 (ko)
KR (1) KR102536866B1 (ko)
CN (1) CN107700142B (ko)
AU (1) AU2017309084B2 (ko)
WO (1) WO2018030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1713B2 (ja) * 2019-09-17 2022-08-18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機
US11598043B2 (en) 2021-02-18 2023-03-07 Whirlpool Corporation Vertical axis washer standalone fil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295A (ja) * 2001-02-26 2002-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洗浄方法
KR20060009080A (ko) * 2004-07-20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풀기 행정이 적용된 세탁기의 동작방법
KR20110013061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10063059A (ko) * 2009-12-04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4805A (en) 1983-02-21 1985-11-26 Kaisha, Kentetsuco., Ltd. Agitating type washing machine
KR950018821A (ko) 1993-12-24 1995-07-22 기따오까 다까시 전기 세탁기
JP3513221B2 (ja) * 1994-08-19 2004-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洗濯機
KR0122423Y1 (ko) * 1995-03-23 1998-10-01 김광호 전자동 세탁기
JP3141742B2 (ja) 1995-08-18 2001-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全自動洗濯機
KR100218970B1 (ko) * 1997-06-30 1999-09-01 윤종용 세탁기
TW389805B (en) 1997-06-30 2000-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er
ID20692A (id) * 1997-08-16 1999-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untuk mesin cuci
KR100223415B1 (ko) * 1997-08-16 1999-10-15 윤종용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역류차단구조
TW366015U (en) * 1997-08-16 1999-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KR100701937B1 (ko) * 2003-05-28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배수방법
CN2692184Y (zh) 2004-02-29 2005-04-1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冲浪水流洗衣机
MXPA06011181A (es) * 2004-06-01 2007-01-25 Lg Electronics Inc Una lavadora de ropa y su filtro de pelusa.
JP2006223572A (ja) * 2005-02-17 2006-08-31 Toshiba Corp 洗濯機
KR101432585B1 (ko) 2007-03-06 2014-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의 청소방법
JP2009000197A (ja) * 2007-06-20 2009-01-08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および洗濯機の運転方法
CN101338506B (zh) 2007-07-04 2011-07-13 海尔集团公司 冲浪洗衣机及冲浪洗衣方法
US8601836B2 (en) * 2009-07-31 2013-12-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101835334B1 (ko) * 2011-04-1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492498B1 (ko) 2011-04-19 2015-02-11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CN103547727B (zh) * 2012-05-03 2016-10-12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用于洗衣机的过滤装置
RU2639265C2 (ru) * 2013-08-06 2017-12-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CN104695168B (zh) 2013-12-06 2018-11-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波轮洗干一体机的控制方法
KR20160059489A (ko) * 2014-11-07 2016-05-2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방법
CN205000143U (zh) 2015-09-07 2016-01-27 宁波奇帅电器有限公司 一种可自动清洁的洗衣机甩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295A (ja) * 2001-02-26 2002-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洗浄方法
KR20060009080A (ko) * 2004-07-20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풀기 행정이 적용된 세탁기의 동작방법
KR20110013061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10063059A (ko) * 2009-12-04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8030A1 (en) 2018-02-08
US10704186B2 (en) 2020-07-07
CN107700142A (zh) 2018-02-16
KR102536866B1 (ko) 2023-05-25
AU2017309084A1 (en) 2019-02-14
CN107700142B (zh) 2020-08-18
AU2017309084B2 (en) 2020-05-14
WO2018030718A1 (en)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752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apparatus
AU2010313954B2 (en) Washing machine including a whirling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US94288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an unbalanced load in a washing machine
RU2537162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CN104862920B (zh) 具有球平衡器的洗衣机及控制其振动的方法
US20190382934A1 (en) Clothes treating device
KR101457163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KR2018001686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1686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10032794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vent
EP2557218B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method to reduce drum excursions
JP2013085787A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69273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70094648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8996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2075687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577091B1 (ko) 의류처리장치
JP6060369B2 (ja) 洗濯機
WO2020084870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5918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KR20180106059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0050095A (zh) 洗衣机的控制方法
KR20110013058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