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692A -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692A
KR20180016692A KR1020160099894A KR20160099894A KR20180016692A KR 20180016692 A KR20180016692 A KR 20180016692A KR 1020160099894 A KR1020160099894 A KR 1020160099894A KR 20160099894 A KR20160099894 A KR 20160099894A KR 20180016692 A KR20180016692 A KR 20180016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gestion
service providing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석
류현기
배상민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9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6692A/ko
Publication of KR2018001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18Start-stop drive, e.g. in a traffic j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도로 상황을 고려하여 일시적으로 시동을 꺼주는 ISG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정체구간에서의 불필요한 ISG 수행을 제한하여 이로 인한 연비 감소 및 차량 부품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유해가스 발생을 감소시켜 보다 친환경적인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은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위치 및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제1 단계와,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집된 차량 위치를 도로맵에 적용하여 도로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 분포 밀도를 산출함으로써, 교통상태를 분석하는 제2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산출된 차량 분포 밀도 및 제1 단계에서 수집된 차량 속도를 근거로 기 설정된 기준 속도 이하로 주행하는 정체구간을 설정함과 더불어, 정체구간 및 해당 정체구간의 차량 평균 주행속도를 포함하는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3단계에서 설정된 차량정체구간의 중심위치와 일정 거리 이격된 차량정체구간 이전 도로에 위치하는 주행 차량을 탐색하는 제4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 탐색된 주행 차량으로 제3 단계에서 생성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하는 제5 단계 및, ISG 모드가 설정된 차량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체구간을 포함하는 차량정체정보를 저장함과 더불어, 자신의 현재 위치와 정체구간을 비교하여 정체구간에 대해서는 ISG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INTELLIGENT IDLE STOP AND GO CONTROL METHOD ADAPTIVE TO ROAD STATUS}
본 발명은 현재 도로 상황을 고려하여 일시적으로 시동을 꺼주는 ISG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정체구간에서의 불필요한 ISG 수행을 제한하여 이로 인한 연비 감소 및 차량 부품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유해가스 발생을 감소시켜 보다 친환경적인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개발은 배기가스 규제 및 연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차량 운전자들 또한 고연비의 차량을 선택 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주행중 차량 정차 후(아이들(Idle) 상태)에 자동적으로 엔진을 정지시키고, 엔진 정지 후 운전자의 주행 의지가 감지되면 이그니션 키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시동을 하는 아이들 스톱 앤드 고(Idle Stop and Go, 이하 "ISG"라 칭함) 시스템이 주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ISG시스템은 소형 일부의 차종에만 적용되고 있으나 점차 적용 폭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본기능으로 탑재되도록 추진되고 있다.
상기한 ISG시스템 기능이 제공되는 ISG 차량은 엑셀레이터만 밝으면 가는 차량과는 다르게, 특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시동이 꺼졌다 켜지는 시스템으로, 시동이 꺼지고 켜지는 시간이 필요함은 물론, 엔진이 꺼졌 있다가 출발하기 때문에 시동이 켜지는 타이밍이 늦어지게 되면 차량이 뒤로 밀리게 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어, 운전시 주의를 요한다.
또한, 차량 시동을 자주 껐다 켜는 것은 차량내 시동 계동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에어컨 등을 사용하는 경우 엔진이 꺼지면 함께 에어컨을 끄지 못함으로 인해 차량내 배터리 계통에 부하를 줄 수 있다.
특히, 교통 체증이 발생되는 도로상에서 ISG 차량은 반복적으로 가다 서다를 반복하게 됨에 따라 매번 짧은 시간 동안 엔진이 정지되었다가 다시 재 시동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아이들 스톱 시간이 짧은 경우, 빈번한 재시동으로 인해 연비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차량내 시동 계통 및 배터리 계통에 무리를 주어 그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재시동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량이 증가될 수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4-0051573호 (2014.05.02) 2. 한국등록특허 제1295044호 (2013.08.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현재 도로 상황을 고려하여 일시적으로 시동을 꺼주는 ISG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정체구간에서의 불필요한 ISG 수행을 제한하여 이로 인한 연비 감소 및 차량 부품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유해가스 발생을 감소시켜 보다 친환경적인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위치 및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제1 단계와,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집된 차량 위치를 도로맵에 적용하여 도로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 분포 밀도를 산출함으로써, 교통상태를 분석하는 제2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산출된 차량 분포 밀도 및 제1 단계에서 수집된 차량 속도를 근거로 기 설정된 정체 기준 속도 이하로 주행하는 정체구간을 설정함과 더불어, 정체구간 및 해당 정체구간의 차량 평균 주행속도를 포함하는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3단계에서 설정된 차량정체구간의 중심위치와 일정 거리 이격된 차량정체구간 이전 도로에 위치하는 주행 차량을 탐색하는 제4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 탐색된 주행 차량으로 제3 단계에서 생성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하는 제5 단계 및, ISG 모드가 설정된 차량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체구간을 포함하는 차량정체정보를 저장함과 더불어, 자신의 현재 위치와 정체구간을 비교하여 정체구간에 대해서는 ISG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V2M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내 운전자 단말로부터 차량 위치 및 차량 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V2M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내 운전자 단말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6 단계에서 ISG모드가 설정된 차량은 차량내 운전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정체정보를 근거로 정체구간에 대해 ISG 동작을 일시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V2I 통신을 이용하여 인프라 구조물을 통해 구조물 관할 구역내 차량 위치 및 차량 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집함과 더불어,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V2I 통신을 이용하여 인프라 구조물을 통해 해당 관할 구역내 탐색 주행차량으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6 단계에서 ISG모드가 설정된 차량은 인프라 구조물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정체정보를 근거로 정체구간에 대해 ISG 동작을 일시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도로맵에서 기 구획된 기준구간 단위별 주행중인 차량 수를 근거로 차량분포밀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차량분포밀도가 기 설정된 기준 밀도 이하인 구간에 대해서는 차량정체정보를 생성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차량분포밀도가 기 설정된 기준 밀도를 초과하면서, 해당 구간에 위치하는 모든 차량에 대한 평균 주행속도가 정체 기준 속도 미만인 구간을 정체대상구간으로 설정함과 더불어, 정체대상구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비율 구간을 차량정체구간으로 설정하여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ISG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차량 정체구간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ISG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ISG 기능 수행에 따른 최적의 연비 절감 효과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의 시동계통 및 배터리 계통 부품들에 대한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재시동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적인 고유가 및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적합한 친환경, 고연비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지능형 IGS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서비스제공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도3에서 정체구간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지능형 IGS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시스템은 서비스제공장치(100)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200)이 V2M(Vehicle to Mobile) 또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수집된 차량정보를 근거로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200)으로 제공한다.
상기 차량(200)은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자신의 차량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서비스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정체정보를 근거로 ISG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상기 차량(200)은 기본적으로 서비스제공장치(100)와 각종 정보를 V2M 또는 V2I 방식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차량 위치를 수집하기 위한 GPS 수신기 및, 차량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차량(200)은 차량 속도와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제공함과 더불어, ISG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정체정보를 근거로 정체구간에 대해서는 ISG 동작을 일시 중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200)이 V2M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차량내 구비된 운전자 단말(201)을 매개로 하여 상호간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200)으로부터 차량내 GPS 수신기(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차량 위치정보와,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상태정보 및, 차량내 위치한 운전자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등, 201)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200)이 V2I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인프라 구조물(예컨대, 신호등이나 가로등 등)을 매개로 하여 상호간 통신을 수행한다. 즉, 인프라 구조물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200)으로부터 차량내 GPS 수신기(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차량 위치정보와,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제공함과 더불어, 서비스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정체정보를 차량(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해당 차량정보를 제공한 인프라 구조물, 예컨대 신호등 위치정보가 추가로 포함된 차량정보가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1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개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또는 V2M(Vehicle to Mobile) 또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정보제공센터(미도시)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서비스제공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차량정보 수집모듈(110)과, 교통상태 분석모듈(120), 차량정체정보 제공모듈(130) 및, 저장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량정보 수집모듈(110)은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차량정보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 번호 및 운전자 단말 위치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또는 인프라 구조물 고유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상태 분석모듈(120)은 상기 차량정보 수집모듈(110)에서 수집된 차량위치 정보를 도로맵에 적용하여 차량에 대한 주행도로를 매칭시킴과 더불어, 해당 도로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 분포 밀도를 산출함으로써, 교통상태를 분석한다.
즉, 상기 교통상태 분석모듈(120)은 해당 도로 구간을 주행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속도를 근거로 평균 주행속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주행속도가 기설정된 정체 기준속도 미만인 구간을 정체구간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정체구간 분석모듈(120)은 주행 도로를 일정 거리 단위로 미리 구획하여 기준 구간을 설정하고, 하나의 기준 구간에 대해 기준 차량수 미만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는 기준 밀도 이하인 구간에 대해서는 정체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구간에 대한 차량 속도를 산출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구간은 예컨대 100m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 차량수는 예컨대 "5"로서, 정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충분히 정체기준속도 이상의 속도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상태 분석모듈(120)은 하나의 기준 구간에 대해 기준 차량수 이상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는 기준 밀도 초과 구간이면서 해당 구간에 위치하는 차량의 평균 주행속도가 정체 기준 속도 미만인 구간을 정체대상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통상태 분석모듈(120)은 정체대상구간 내 일정 비율의 구간을 정체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로상태정보 제공모듈(130)은 상기 정체구간 분석모듈(120)로부터 제공되는 정체구간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함과 더불어, 해당 정체구간에 위치하는 주행 차량으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도로상태정보 제공모듈(130)은 V2M 또는 V2I 통신을 통해 정체구간정보를 해당 차량(200)으로 제공한다.
상기 저장모듈(100)은 도로맵과 차량등록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차량등록정보는 차량번호별 운전자 단말번호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도로맵에 대해서는 미리 구획된 기준 구간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정체구간 판단을 위한 정체 기준 속도, 기준 밀도 및 기준 차량수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들이 저장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을 도3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제공장치(100)는 V2M 통신 또는 V2I 통신을 이용하여 주행 중인 차량(200)으로부터 해당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한다(ST10). 이때, 차량정보는 기본적으로 차량 위치와, 차량 속도를 포함한다. 또한, V2M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차량 위치정보는 운전자 단말 위치정보와 차량내 GPS 수신기(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차량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V2I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해당 인프라 구조물(미도시) 고유정보 및 구조물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상기 ST10단계에서 수집된 차량정보를 도로맵에 적용하여 해당 도로 구간에서의 차량 분포 밀도를 산출한다(ST20).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도로맵에서 기 구획된 기준구간 단위별 주행중인 차량 수를 근거로 차량분포밀도를 산출한다. 이때, 차량분포밀도가 기 설정된 기준 밀도 이하인 구간에 대해서는 정체구간이 아닌것으로 판단하여, 이하의 정체구간 판단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ST20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V2M 통신을 이용하여 수집된 차량상태정보에 대해 기등록된 차량 운전자의 단말번호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 단말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차량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 등록된 차량 운전자의 단말번호 이외 단말번호에 대한 위치정보는 무시하며, 기 등록된 차량 운전자의 단말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 GPS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차량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상기 ST20단계에서 산출된 차량 분포 밀도 및 상기 ST10단계에서 수집된 차량 속도를 근거로 기 설정된 정체 기준 속도 이하로 주행하는 정체구간을 설정함과 더불어, 정체구간 및 해당 정체구간의 차량 평균 주행속도를 포함하는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한다(ST30). 이때,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서비스제공장치는 차량분포밀도가 기 설정된 기준 밀도 이상이면서, 해당 구간에 위치하는 모든 차량에 대한 평균 주행속도가 정체 기준 속도 미만인 구간을 정체대상구간으로 설정함과 더불어, 정체대상구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비율 구간을 차량정체구간으로 설정하여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L)상에서 정체대상구간이 (A)구간인 경우, A 구간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A구간의 일정 비율범위, 예컨대 80% 구간을 ISG 제어용 정체구간(B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차량분포밀도가 기 설정된 기준 밀도 이상이면서, 해당 구간에 위치하는 모든 차량에 대한 평균 주행속도가 정체 기준 속도 미만인 정체구간이 기설정된 거리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00)는 도4에서 B구간이 기설정된 거리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상기 ST30 단계에서 설정된 차량정체구간의 중심위치와 일정 거리 이격된 차량정체구간 이전 도로에 위치하는 주행 차량을 탐색한다(ST40). 이때,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해당 차량정체구간과 일정 거리 이내 범위 이내, 예컨대 해당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중 차량정체구간과 이격거리가 10Km 이내인 차량을 탐색한다.
그리고,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상기 ST40 단계에서 탐색된 차량에 대해 상기 ST30 단계에서 생성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한다(ST50).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00)는 V2M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내 운전자 단말을 통해 탐색 주행차량으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V2I 통신을 이용하여 인프라 구조물을 통해 해당 관할 구역내 탐색 주행차량으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ISG 모드가 설정된 차량(200)은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정체구간을 포함하는 차량정체정보를 저장함과 더불어, 자신의 현재 위치와 정체구간을 비교하여 정체구간에 대해서는 ISG 동작을 일시 중단한다(ST60). 이때, ISG 모드가 설정된 차량(200)은 차량내 운전자 단말 또는 인프라 구조물을 통해 차량정체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차량(300)은 차량정체구간을 벗어나는 위치에서 ISG 동작을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ISG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차량 정체구간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ISG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ISG 기능 수행에 따른 최적의 연비 절감 효과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의 시동계통 및 배터리 계통 부품들에 대한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100 : 서비스제공장치, 200 : 차량,
201 : 운전자 단말,
110 : 차량정보 수집모듈, 120 : 교통상태 분석모듈,
130 : 차량정체정보 제공모듈, 140 : 저장 모듈.

Claims (5)

  1.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위치 및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제1 단계와,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집된 차량 위치를 도로맵에 적용하여 도로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 분포 밀도를 산출함으로써, 교통상태를 분석하는 제2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산출된 차량 분포 밀도 및 제1 단계에서 수집된 차량 속도를 근거로 기 설정된 정체 기준 속도 이하로 주행하는 정체구간을 설정함과 더불어, 정체구간 및 해당 정체구간의 차량 평균 주행속도를 포함하는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3단계에서 설정된 차량정체구간의 중심위치와 일정 거리 이격된 차량정체구간 이전 도로에 위치하는 주행 차량을 탐색하는 제4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 탐색된 주행 차량으로 제3 단계에서 생성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하는 제5 단계 및,
    ISG(Idle Stop and Go)모드가 설정된 차량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체구간을 포함하는 차량정체정보를 저장함과 더불어, 자신의 현재 위치와 정체구간을 비교하여 정체구간에 대해서는 ISG(Idle Stop and Go)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V2M(Vehicle to Mobile)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내 운전자 단말로부터 차량 위치 및 차량 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V2M(Vehicle to Mobile)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내 운전자 단말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6 단계에서 ISG(Idle Stop and Go)모드가 설정된 차량은 차량내 운전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정체정보를 근거로 정체구간에 대해 ISG(Idle Stop and Go) 동작을 일시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이용하여 인프라 구조물을 통해 구조물 관할 구역내 차량 위치 및 차량 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집함과 더불어,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이용하여 인프라 구조물을 통해 해당 관할 구역내 탐색 주행차량으로 차량정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6 단계에서 ISG(Idle Stop and Go)모드가 설정된 차량은 인프라 구조물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정체정보를 근거로 정체구간에 대해 ISG(Idle Stop and Go) 동작을 일시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도로맵에서 기 구획된 기준구간 단위별 주행중인 차량 수를 근거로 차량분포밀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차량분포밀도가 기 설정된 기준 밀도 이하인 구간에 대해서는 차량정체정보를 생성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차량분포밀도가 기 설정된 기준 밀도를 초과하면서, 해당 구간에 위치하는 모든 차량에 대한 평균 주행속도가 정체 기준 속도 미만인 구간을 정체대상구간으로 설정함과 더불어,
    정체대상구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비율 구간을 차량정체구간으로 설정하여 차량정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KR1020160099894A 2016-08-05 2016-08-05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KR20180016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94A KR20180016692A (ko) 2016-08-05 2016-08-05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94A KR20180016692A (ko) 2016-08-05 2016-08-05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692A true KR20180016692A (ko) 2018-02-19

Family

ID=6138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894A KR20180016692A (ko) 2016-08-05 2016-08-05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6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3908A (zh) * 2019-09-03 2019-12-03 浙江创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路测设备的道路施工管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3908A (zh) * 2019-09-03 2019-12-03 浙江创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路测设备的道路施工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21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traffic signal information
KR10176563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774383B (zh) 一种红绿灯的提示方法及提示装置
JP6877368B2 (ja) 地理ゾーンに関する履歴データに基づいた車両制御戦略の適合
WO2017152671A1 (zh) 车辆控制方法、控制装置、车载系统以及车辆控制系统
KR101500358B1 (ko)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9591794A (zh) 一种智能启停方法及系统
CN205469048U (zh) 发动机管理装置和车辆
CN109973274A (zh) 一种发动机启停控制方法、装置、系统及汽车
US10854021B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9813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fuel economy of a hybrid powertrain in a vehicle
US10906526B2 (en) Dynamic hybrid vehicle system for stabilizing cylinder deactivation or turbocharger boosting
JP5835126B2 (ja) 運転支援装置
US2022017697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hibiting stop-start functionality
CN111344204A (zh) 用于自动设定车辆功能的系统和方法
CN111284447B (zh) 车辆位置跟踪
US11475765B2 (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later stopping point of a vehicle
KR20180016692A (ko) 도로 상황에 적응적인 지능형 isg 제어방법
US1144851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motor vehicle
JP2009030571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CN114519936B (zh) 一种基于v2x的红绿灯路口发动机启停智能控制方法及系统
JP2001207883A (ja) エンジンの自動制御システム及び当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自動制御装置
KR20190017184A (ko)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90031175A1 (en) Heating control method of hybrid vehicle
CN110856323A (zh) 路灯控制方法及车联网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