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004A - 회전식 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004A
KR20180016004A KR1020160099811A KR20160099811A KR20180016004A KR 20180016004 A KR20180016004 A KR 20180016004A KR 1020160099811 A KR1020160099811 A KR 1020160099811A KR 20160099811 A KR20160099811 A KR 20160099811A KR 20180016004 A KR20180016004 A KR 20180016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ocket
nut member
spiral shaft
soc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229B1 (ko
Inventor
강선우
Original Assignee
강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우 filed Critical 강선우
Priority to KR102016009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2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 H05B3/0076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for cooking, e.g. in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는 함체(100)가 제어박스부(110)와, 회전구이통(20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열 조리부(120)와, 조리된 음식물을 담아놓기 위한 식판부(130)로 구성되고, 제어박스부(110)와 식판부(130) 사이에 가열 조립부(120)가 배치되며, 회전구이통(200)이 가열 조리부(120)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구이통(200)에 배출수단(300)이 장착되어, 배출수단(300)에 의해 회전구이통(200)에서 구워진 고기가 식판부(130)로 배출되며, 회전구이통(200)의 일측단에 장착된 제 1 너트부재(210)에 대해 배출수단(300)의 나선축(310)에 장착된 제 2 너트부재(320)가 상대회전할 수 있으며, 제어박스(110)에 제 1 전동소켓(410)과 제 2 전동소켓(42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전동소켓(410)에 제 1 너트부재(2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전동소켓(420)에 제 2 너트부재(3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전동소켓(420)의 종동 스프라켓(430)으로 체인(440)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며, 종동 스프라켓(440)의 측면에 튜브관(450)이 장착되고, 튜브관(450)에 커넥팅 로드(460)가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 끼워지면, 커넥팅 로드(460)에 의해 제 1 전동소켓(410)이 제 2 전동소켓(42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서 분리되면, 회전구이통(200)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2 전동소켓(420)의 회전동력이 제 2 너트부재(320)를 통해 나선축(310)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구이기{ROLLING ROASTER}
본 발명은 회전식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구이통이 함체의 가열조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회전구이통의 제 1 너트부재와, 회전구이통에 장착된 고기 배출수단의 제 2 너트부재가 제 1 전동소켓 및 제 2 전동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전동소켓에 장착된 커넥팅 로드를 눌러, 커넥팅 로드의 선단 연결부를 제 1 전동소켓에 연결하면, 커넥팅 로드에 의해 제 1 전동소켓과 제 2 전동소켓이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회전구이통이 설정된 시간동안 회전하게 되며, 회전구이통이 회전하는 동안 원적외선 히터에서 회전구이통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회전구이통의 고기가 원적외선에 의해 구워지게 되는 회전식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401393호(2014년 5월 23일, 등록)에 "회전식 구이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회전식 구이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열원; 상기 열원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이통; 상기 구이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열원과 상기 구이통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제1 차단부 프레임, 상기 제1 차단부 프레임과 마주보는 제2 차단부 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 차단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차단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열원의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방출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메시벨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회전식 구이장치는 구이통을 분리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지 않고, 자동으로 고기를 굽고 배출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구이통이 함체의 가열조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회전구이통의 제 1 너트부재와, 회전구이통에 장착된 고기 배출수단의 제 2 너트부재가 제 1 전동소켓 및 제 2 전동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전동소켓에 장착된 커넥팅 로드를 눌러, 커넥팅 로드의 선단 연결부를 제 1 전동소켓에 연결하면, 커넥팅 로드에 의해 제 1 전동소켓과 제 2 전동소켓이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회전구이통이 설정된 시간동안 회전하게 되며, 회전구이통이 회전하는 동안 원적외선 히터에서 회전구이통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회전구이통의 고기가 원적외선에 의해 구워지게 되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는 함체가 제어박스부와, 회전구이통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열 조리부와, 조리된 음식물을 담아놓기 위한 식판부로 구성되고, 제어박스부와 식판부 사이에 가열 조립부가 배치되며, 회전구이통이 가열 조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구이통에 배출수단이 장착되어, 배출수단에 의해 회전구이통에서 구워진 고기가 식판부로 배출되며, 회전구이통의 일측단에 장착된 제 1 너트부재에 대해 배출수단의 나선축에 장착된 제 2 너트부재가 상대회전할 수 있으며, 제어박스에 제 1 전동소켓과 제 2 전동소켓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전동소켓에 제 1 너트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전동소켓에 제 2 너트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전동소켓의 종동 스프라켓으로 체인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며, 종동 스프라켓의 측면에 튜브관이 장착되고, 튜브관에 커넥팅 로드가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의 선단 연결부가 제 1 전동소켓의 결합홈에 끼워지면, 커넥팅 로드에 의해 제 1 전동소켓이 제 2 전동소켓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커넥팅 로드의 선단 연결부가 제 1 전동소켓의 결합홈에서 분리되면, 회전구이통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2 전동소켓의 회전동력이 제 2 너트부재를 통해 나선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박스부는 상부면에 메인 전원 스위치, 나선축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는 방향절환스위치, 조리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회전구이통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 스위치, 식판부의 열선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보온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박스부는 내측벽에 제 1 전동소켓이 제 1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전동소켓의 중공부에 제 2 전동소켓의 일단이 끼워지고, 제 1 전동소켓과 제 2 전동소켓 사이에 제 2 베어링이 배치되어, 제 2 베어링에 의해 제 2 전동소켓이 제 1 전동소켓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전동소켓의 타단에 종동 스프라켓이 장착되어, 감속기의 출력 동력이 체인을 통해 종동 스프라켓으로 전달되고, 모터의 동력이 감속기로 공급되며, 종동 스프라켓의 측면에 튜브관이 장착되고, 튜브관에 커넥팅 로드가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의 선단 연결부가 제 1 전동소켓의 결합홈에 끼워지면, 커넥팅 로드에 의해 제 1 전동소켓이 제 2 전동소켓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커넥팅 로드의 선단 연결부가 제 1 전동소켓의 결합홈에서 분리되면, 회전구이통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2 전동소켓의 회전동력이 제 2 너트부재를 통해 나선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동소켓은 중공부의 일단에 육각홈이 형성되며, 육각홈에 제 1 너트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제 1 전동 소켓의 회전력이 제 1 너트부재로 전달되어, 제 1 너트부재가 제 1 전동소켓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전동소켓은 일단에 육각 결합홈이 형성되어, 육각 결합홈에 제 2 너트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제 2 전동 소켓의 회전력이 제 2 너트부재로 전달되고, 제 2 너트부재의 회전에 의해 배출수단의 나선축이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 조립부는 회전구이통이 배치되고, 제어박스부의 내측벽과 세워진 식판부 그리고, 프론트 경사부과 후방벽에 의해 회전구이통의 사방이 막혀 있어,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프론트 경사부의 하부에 원적외선 히터가 회전구이통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후방벽의 상단에 후드가 배치되고, 후드의 중간에 배기통이 배치되며, 배기통의 상부에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판부는 회전구이통에서 구워진 고기를 담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열선이 배선되어 있어, 고기가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구이통이 회전하는 동안,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열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이통은 원통형 망체의 양 단부에 제 1 마감판과 제 2 마감판이 각각 결합되고, 원통형 망체에 고기를 넣기 위한 도어가 형성되고, 원통형 망체의 내부에 구워진 고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배치되며, 원통형 망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안내홈이 형성되어, 배출수단의 가이드 로드가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마감판은 중앙에 나선축이 끼워지는 센터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 반원 형태의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구워진 고기가 배출구멍을 통해 식판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이통은 제 2 마감판에 밀착되게 밀폐원판이 배치되어, 밀폐원판에 의해 제 2 마감판의 배출구멍이 밀폐되며, 밀폐원판이 상하로 수직 장홈이 형성되어, 수직 장홈에 나선축의 타단이 끼워지며, 밀폐원판이 상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고리가 제 2 마감원판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수단은 회전구이통에 담긴 고기가 다 익으면, 구워진 고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나선축이 원통형 망체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나선축의 일단이 제 1 마감판의 센터구멍에 제 3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나선축의 타단이 제 2 마감판의 센터구멍에 제 4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나선축의 일단에 제 2 너트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나선축의 타단에 베어링이 장착되어, 베어링이 축받침 부재에 반원 지지부에 지지되며, 나선축에 이송너트가 체결되고, 이송너트에 배출원판이 장착되며, 배출원판에 가이드 로드가 부착되며, 가이드 로드의 상단부가 배출원판에서 돌출되어, 회전구이통의 안내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는 고기를 넣는 회전구이통을 함체에서 분리할 수 있어, 함체와 회전구이통을 각각 별도로 세척할 수 있고, 자동으로 고기를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자동 방식으로 구워진 고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으로 고기를 구워 고기가 따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함체에서 회전구이통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및 일부확대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를 도시한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 가열 조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회전구이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회전구이통을 도시한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는 함체(100)가 제어박스부(110)와, 회전구이통(20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열 조리부(120)와, 조리된 음식물을 담아놓기 위한 식판부(130)로 구성되고, 제어박스부(110)와 식판부(130) 사이에 가열 조립부(120)가 배치되며, 회전구이통(200)이 가열 조리부(120)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구이통(200)에 배출수단(300)이 장착되어, 배출수단(300)에 의해 회전구이통(200)에서 구워진 고기가 식판부(130)로 배출되며, 회전구이통(200)의 일측단에 장착된 제 1 너트부재(210)에 대해 배출수단(300)의 나선축(310)에 장착된 제 2 너트부재(320)가 상대회전할 수 있으며, 제어박스(110)에 제 1 전동소켓(410)과 제 2 전동소켓(42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전동소켓(410)에 제 1 너트부재(2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전동소켓(420)에 제 2 너트부재(3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전동소켓(420)의 종동 스프라켓(430)으로 체인(440)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며, 종동 스프라켓(440)의 측면에 튜브관(450)이 장착되고, 튜브관(450)에 커넥팅 로드(460)가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 끼워지면, 커넥팅 로드(460)에 의해 제 1 전동소켓(410)이 제 2 전동소켓(42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서 분리되면, 회전구이통(200)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2 전동소켓(420)의 회전동력이 제 2 너트부재(320)를 통해 나선축(310)으로 전달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어박스부(110)는 상부면(111)에 메인 전원 스위치(111), 나선축(310)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는 방향절환스위치(112), 조리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14), 회전구이통(2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 스위치(115), 식판부(130)의 열선(도시하지 않음)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보온 스위치(116) 등이 장착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제어박스부(110)는 내측벽(117)에 제 1 전동소켓(410)이 제 1 베어링(B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전동소켓(410)의 중공부(411)에 제 2 전동소켓(420)의 일단이 끼워지고, 제 1 전동소켓(410)과 제 2 전동소켓(420) 사이에 제 2 베어링(B2)이 배치되어, 제 2 베어링(B2)에 의해 제 2 전동소켓(420)이 제 1 전동소켓(410)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전동소켓(420)의 타단에 종동 스프라켓(430)이 장착되어, 감속기(450)의 출력 동력이 체인(440)을 통해 종동 스프라켓(430)으로 전달되고, 모터(460)의 동력이 감속기(450)로 공급되며, 종동 스프라켓(440)의 측면에 튜브관(450)이 장착되고, 튜브관(450)에 커넥팅 로드(460)가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 끼워지면, 커넥팅 로드(460)에 의해 제 1 전동소켓(410)이 제 2 전동소켓(42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서 분리되면, 회전구이통(200)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2 전동소켓(420)의 회전동력이 제 2 너트부재(320)를 통해 나선축(310)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 1 전동소켓(410)은 중공부(411)의 일단에 육각홈(413 ; 도 2 참조)이 형성되며, 육각홈(413)에 제 1 너트부재(210)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제 1 전동 소켓(410)의 회전력이 제 1 너트부재(210)로 전달되어, 제 1 너트부재(210)가 제 1 전동소켓(41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 전동소켓(420)은 일단에 육각 결합홈(422 : 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육각 결합홈(422)에 제 2 너트부재(320)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제 2 전동 소켓(420)의 회전력이 제 2 너트부재(320)로 전달되고, 제 2 너트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배출수단(300)의 나선축(310)이 회전하게 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 조립부(120)는 회전구이통(200)이 배치되고, 제어박스부(110)의 내측벽(117)과 세워진 식판부(130) 그리고, 프론트 경사부(121)과 후방벽(122)에 의해 회전구이통(200)의 사방이 막혀 있어,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프론트 경사부(121)의 하부에 원적외선 히터(140)가 회전구이통(20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후방벽(122)의 상단에 후드(150)가 배치되고, 후드(150)의 중간에 배기통(152)이 배치되며, 배기통(152)의 상부에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154)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가열 조립부(120)는 회전구이통(200)이 회전하는 동안, 원적외선 히터(140)에서 회전구이통(200)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회전구이통(200)에 담겨진 고기(도시하지 않음)가 원적외선에 의해 구워지게 되고, 회전구이통(200)의 사방이 막혀 있어,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후드(150)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됨으로써, 원적외선 히터(140)에서 방사되는 열이 회전구이통(200)을 자연스럽게 통과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식판부(130)는 회전구이통(200)에서 구워진 고기를 담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열선이 배선되어 있어, 고기가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구이통(200)이 회전하는 동안,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열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구이통(200)은 원통형 망체(220)의 양 단부에 제 1 마감판(230)과 제 2 마감판(240)이 각각 결합되고, 원통형 망체(200)에 고기를 넣기 위한 도어(221)가 형성되고, 원통형 망체(220)의 내부에 구워진 고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300)이 배치되며, 원통형 망체(2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안내홈(223)이 형성되어, 배출수단(300)의 가이드 로드(350)가 안내홈(223)을 따라 이동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마감판(240)은 중앙에 나선축이 끼워지는 센터구멍(241)이 형성되고 하부에 반원 형태의 배출구멍(243)이 형성되어, 구워진 고기가 배출구멍(243)을 통해 식판부(130)로 배출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또한, 상기 회전구이통(200)은 제 2 마감판(240)에 밀착되게 밀폐원판(250)이 배치되어, 밀폐원판(250)에 의해 제 2 마감판(240)의 배출구멍(243)이 밀폐되며, 밀폐원판(250)이 상하로 수직 장홈(251)이 형성되어, 수직 장홈(251)에 나선축(310)의 타단이 끼워지며, 밀폐원판(250)이 상단에 고리(252)가 형성되어, 고리(252)가 제 2 마감원판(240)에 걸리게 된다.
도 7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배출수단(300)은 회전구이통(200)에 담긴 고기가 다 익으면, 구워진 고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나선축(310)이 원통형 망체(22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나선축(310)의 일단이 제 1 마감판(230)의 센터구멍(232)에 제 3 베어링(B3)에 의해 지지되고, 나선축의 타단이 제 2 마감판(240)의 센터구멍(241)에 제 4 베어링(B4)에 의해 지지되며, 나선축(310)의 일단에 제 2 너트부재(320)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나선축(310)의 타단에 베어링(340)이 장착되어, 베어링(340)이 축받침 부재(360)에 반원 지지부(342)에 지지되며, 나선축(310)에 이송너트(315)가 체결되고, 이송너트(315)에 배출원판(330)이 장착되며, 배출원판(330)에 가이드 로드(350)가 부착되며, 가이드 로드(350)의 상단부가 배출원판(330)에서 돌출되어, 회전구이통(200)의 안내홈(223)에 끼워진다.
상기 배출원판(330)은 수직부(331)의 하부에 경사부(333)가 형성되고, 수직부(331)의 일면에 가이드 로드(35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는 배출원판(330)을 회전구이통(200)의 우측단(도 7에서 보았을 때)에 배치하고, 도어(221)를 열어 회전구이통(200)에 고기를 넣고, 식판부(130)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세우고, 커넥팅 로드(460)를 눌러,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를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 끼워, 제 1 전동소켓(410)과 제 2 전동소켓(420)이 함께 회전하도록 한 상태에서, 조리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114)와 회전구이통(2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 스위치(115)를 세팅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460)의 동력이 감속기(450)와 체인(440)을 통해 제 2 전동소켓(420)으로 전달되면, 커넥팅 로드(460)에 의해 제 1 전동소켓(410)과 제 2 전동소켓(42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 1 전동소켓(410)에 회전구이통(200)의 제 1 너트부재(210)가 끼워지고, 제 2 전동소켓(420)에 배출수단(300)의 제 2 너트부재(320)가 끼워짐으로써, 회전구이통(200)이 설정된 시간동안 회전하게 되며, 회전구이통(200)이 회전하는 동안 원적외선 히터(140)에서 회전구이통(200)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회전구이통(200)의 고기가 원적외선에 의해 구워지게 된다.
이후, 세팅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사용자는 세워진 식판부(130)를 눕히고,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를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서 분리한 후, 밀폐원판(250)을 위로 올린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방향절환스위치(112)를 화살표(113) 방향으로 밀면, 회전구이통(200)이 정지된 상태에서, 배출수단(300)의 나선축(310)이 정회전되어, 이송너트(315)에 장착된 배출원판(330)이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이동하면서 구워진 고기를 밀어냄으로써, 구워진 고기가 제 2 마감판(240)의 배출구멍(243)을 통해 식판부(130)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는 사용후 회전구이통(200)을 분리하여 회전구이통(200)을 별도로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체(100)의 가열 조리부(120)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함체 110 : 제어박스부
120 : 가열 조리부 130 : 식판부
200 : 회전구이통 300 : 배출수단

Claims (11)

  1. 함체(100)가 제어박스부(110)와, 회전구이통(20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열 조리부(120)와, 조리된 음식물을 담아놓기 위한 식판부(130)로 구성되고, 제어박스부(110)와 식판부(130) 사이에 가열 조립부(120)가 배치되며, 회전구이통(200)이 가열 조리부(120)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구이통(200)에 배출수단(300)이 장착되어, 배출수단(300)에 의해 회전구이통(200)에서 구워진 고기가 식판부(130)로 배출되며, 회전구이통(200)의 일측단에 장착된 제 1 너트부재(210)에 대해 배출수단(300)의 나선축(310)에 장착된 제 2 너트부재(320)가 상대회전할 수 있으며, 제어박스(110)에 제 1 전동소켓(410)과 제 2 전동소켓(42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전동소켓(410)에 제 1 너트부재(2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전동소켓(420)에 제 2 너트부재(3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전동소켓(420)의 종동 스프라켓(430)으로 체인(440)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며, 종동 스프라켓(440)의 측면에 튜브관(450)이 장착되고, 튜브관(450)에 커넥팅 로드(460)가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 끼워지면, 커넥팅 로드(460)에 의해 제 1 전동소켓(410)이 제 2 전동소켓(42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서 분리되면, 회전구이통(200)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2 전동소켓(420)의 회전동력이 제 2 너트부재(320)를 통해 나선축(310)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부(110)는 상부면(111)에 메인 전원 스위치(111), 나선축(310)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는 방향절환스위치(112), 조리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14), 회전구이통(2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 스위치(115), 식판부(130)의 열선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보온 스위치(116)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부(110)는 내측벽(117)에 제 1 전동소켓(410)이 제 1 베어링(B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전동소켓(410)의 중공부(411)에 제 2 전동소켓(420)의 일단이 끼워지고, 제 1 전동소켓(410)과 제 2 전동소켓(420) 사이에 제 2 베어링(B2)이 배치되어, 제 2 베어링(B2)에 의해 제 2 전동소켓(420)이 제 1 전동소켓(410)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전동소켓(420)의 타단에 종동 스프라켓(430)이 장착되어, 감속기(450)의 출력 동력이 체인(440)을 통해 종동 스프라켓(430)으로 전달되고, 모터(460)의 동력이 감속기(450)로 공급되며, 종동 스프라켓(440)의 측면에 튜브관(450)이 장착되고, 튜브관(450)에 커넥팅 로드(460)가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 끼워지면, 커넥팅 로드(460)에 의해 제 1 전동소켓(410)이 제 2 전동소켓(42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커넥팅 로드(460)의 선단 연결부(462)가 제 1 전동소켓(410)의 결합홈(412)에서 분리되면, 회전구이통(200)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2 전동소켓(420)의 회전동력이 제 2 너트부재(320)를 통해 나선축(310)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동소켓(410)은 중공부(411)의 일단에 육각홈(413)이 형성되며, 육각홈(413)에 제 1 너트부재(210)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제 1 전동 소켓(410)의 회전력이 제 1 너트부재(210)로 전달되어, 제 1 너트부재(210)가 제 1 전동소켓(410)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동소켓(420)은 일단에 육각 결합홈(422)이 형성되어, 육각 결합홈(422)에 제 2 너트부재(320)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제 2 전동 소켓(420)의 회전력이 제 2 너트부재(320)로 전달되고, 제 2 너트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배출수단(300)의 나선축(31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조립부(120)는 회전구이통(200)이 배치되고, 제어박스부(110)의 내측벽(117)과 세워진 식판부(130) 그리고, 프론트 경사부(121)과 후방벽(122)에 의해 회전구이통(200)의 사방이 막혀 있어,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프론트 경사부(121)의 하부에 원적외선 히터(140)가 회전구이통(20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후방벽(122)의 상단에 후드(150)가 배치되고, 후드(150)의 중간에 배기통(152)이 배치되며, 배기통(152)의 상부에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15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부(130)는 회전구이통(200)에서 구워진 고기를 담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열선이 배선되어 있어, 고기가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구이통(200)이 회전하는 동안,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열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이통(200)은 원통형 망체(220)의 양 단부에 제 1 마감판(230)과 제 2 마감판(240)이 각각 결합되고, 원통형 망체(200)에 고기를 넣기 위한 도어(221)가 형성되고, 원통형 망체(220)의 내부에 구워진 고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300)이 배치되며, 원통형 망체(2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안내홈(223)이 형성되어, 배출수단(300)의 가이드 로드(350)가 안내홈(223)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감판(240)은 중앙에 나선축이 끼워지는 센터구멍(241)이 형성되고 하부에 반원 형태의 배출구멍(243)이 형성되어, 구워진 고기가 배출구멍(243)을 통해 식판부(13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이통(200)은 제 2 마감판(240)에 밀착되게 밀폐원판(250)이 배치되어, 밀폐원판(250)에 의해 제 2 마감판(240)의 배출구멍(243)이 밀폐되며, 밀폐원판(250)이 상하로 수직 장홈(251)이 형성되어, 수직 장홈(251)에 나선축(310)의 타단이 끼워지며, 밀폐원판(250)이 상단에 고리(252)가 형성되어, 고리(252)가 제 2 마감원판(240)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300)은 회전구이통(200)에 담긴 고기가 다 익으면, 구워진 고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나선축(310)이 원통형 망체(22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나선축(310)의 일단이 제 1 마감판(230)의 센터구멍(232)에 제 3 베어링(B3)에 의해 지지되고, 나선축의 타단이 제 2 마감판(240)의 센터구멍(241)에 제 4 베어링(B4)에 의해 지지되며, 나선축(310)의 일단에 제 2 너트부재(320)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나선축(310)의 타단에 베어링(340)이 장착되어, 베어링(340)이 축받침 부재(360)에 반원 지지부(342)에 지지되며, 나선축(310)에 이송너트(315)가 체결되고, 이송너트(315)에 배출원판(330)이 장착되며, 배출원판(330)에 가이드 로드(350)가 부착되며, 가이드 로드(350)의 상단부가 배출원판(330)에서 돌출되어, 회전구이통(200)의 안내홈(223)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KR1020160099811A 2016-08-05 2016-08-05 회전식 구이기 KR10188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11A KR101880229B1 (ko) 2016-08-05 2016-08-05 회전식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11A KR101880229B1 (ko) 2016-08-05 2016-08-05 회전식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04A true KR20180016004A (ko) 2018-02-14
KR101880229B1 KR101880229B1 (ko) 2018-07-30

Family

ID=6122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811A KR101880229B1 (ko) 2016-08-05 2016-08-05 회전식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2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8021A (zh) * 2018-11-23 2019-03-29 何钜昌 一种自动烧烤炒菜机
KR102038034B1 (ko) * 2019-06-03 2019-10-29 김문겸 고기 구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073B1 (ko) * 2021-11-02 2022-07-25 (주)다담푸드 족발용 인덕션 조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062A (en) * 1985-01-07 1986-02-25 Widdowson Richard E Rotisserie grill
KR950002947B1 (ko) * 1990-04-11 1995-03-28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유압 제어 밸브용 전자 솔레노이드
US20050217491A1 (en) * 2002-03-01 2005-10-06 Cilliers De Kock Apparatus for cook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US20090277339A1 (en) * 2008-05-12 2009-11-12 Andrade Joseph R Rotisserie grill basket for cooking small food pie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691Y1 (ko) 2006-04-07 2006-06-22 민병익 회전식 구이기용 로스트
KR100617385B1 (ko) 2006-05-18 2006-09-01 박상술 회전식 바비큐 그릴
CN203029009U (zh) 2013-01-10 2013-07-03 广东伊立浦电器股份有限公司 上出式炸锅
KR200478957Y1 (ko) 2014-07-23 2015-12-04 안요성 회전식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062A (en) * 1985-01-07 1986-02-25 Widdowson Richard E Rotisserie grill
KR950002947B1 (ko) * 1990-04-11 1995-03-28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유압 제어 밸브용 전자 솔레노이드
US20050217491A1 (en) * 2002-03-01 2005-10-06 Cilliers De Kock Apparatus for cook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US20090277339A1 (en) * 2008-05-12 2009-11-12 Andrade Joseph R Rotisserie grill basket for cooking small food pie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8021A (zh) * 2018-11-23 2019-03-29 何钜昌 一种自动烧烤炒菜机
CN109528021B (zh) * 2018-11-23 2021-09-07 何钜昌 一种自动烧烤炒菜机
KR102038034B1 (ko) * 2019-06-03 2019-10-29 김문겸 고기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229B1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674B1 (ko) 곡물볶음장치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KR101880229B1 (ko) 회전식 구이기
KR200223262Y1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KR101582180B1 (ko) 근적외선 초벌구이기
CN108903679B (zh) 一种具有循环加热风道结构的烤箱
KR101968249B1 (ko)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101167254B1 (ko) 곡물 볶음기
KR101497606B1 (ko) 비어 치킨 구이기
US20170172197A1 (en) Coffee roasting device
KR100738839B1 (ko) 고기 구이용 황토가마
KR200452706Y1 (ko) 농산물용 볶음장치
KR101910557B1 (ko) 회전식 맥반석 구이기
KR20160003168U (ko) 누드 군밤 제조장치
KR200260154Y1 (ko) 밤 구이기
KR200386595Y1 (ko) 자동꼬치구이장치
KR102410672B1 (ko) 회전고기구이시스템
KR20160131362A (ko) 곡물 로스터
KR20080003993U (ko)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KR102402310B1 (ko) 자동 고기구이 장치
KR20160095553A (ko) 휴대용 바베큐 구이기
KR101439197B1 (ko) 수평 회전식 구이장치
KR200260515Y1 (ko) 밤 구이기
KR20030033823A (ko) 통닭 구이장치
KR102437820B1 (ko) 커피 로스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