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976A -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976A
KR20180015976A KR1020160099675A KR20160099675A KR20180015976A KR 20180015976 A KR20180015976 A KR 20180015976A KR 1020160099675 A KR1020160099675 A KR 1020160099675A KR 20160099675 A KR20160099675 A KR 20160099675A KR 20180015976 A KR20180015976 A KR 2018001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rtition
sensor
drainag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090B1 (ko
Inventor
정태윤
김대일
최창영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0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01N5/04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removing a component, e.g. by evaporation, and weighing the remainder
    • G01N5/045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removing a component, e.g. by evaporation, and weighing the remainder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액 저장 수조는, 배액 저장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되,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높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격벽;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2 격벽과 대향되는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장착된 센서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된 배액 배출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격벽의 제1 높이는 본체의 측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의 제2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액이 상기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 및 제2 격벽의 상부 공간을 거쳐 배액 배출구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2개의 격벽을 각각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센서부가 있는 공간을 항상 배액에 잠겨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센서들이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항상 센서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Storage tank for culture medium and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apparatus by using the storage tank}
본 발명은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센서가 항상 배액에 잠겨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배액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가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실시간의 정확한 측정을 제공할 수 있는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988273호는 "온실 생작물의 함수율 측정을 위한 슬라브 무게와 배액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온실 환경에서 슬라브에 재배되는 생작물의 함수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주변 환경에 따른 최적화된 양액의 공급을 위해 슬라브 무게와 배액량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특허에서는 센서부를 배액조의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배액을 배출시키는 경우 센서들이 공기중에 노출되고, 이로 인해 센서들이 고장나거나 오작동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배액조내에 저장된 배액의 양이 적은 경우, 센서부의 상부까지 완전이 배액이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센서들이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 10-1404518호는 "식물의 근권부 함수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의 함수율 측정에 따른 미세 오차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특허에서는 티핑 버킷형 우량계를 사용하여 배액의 양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는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고장 발생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기서는 티핑 버킷으로 배액양을 측정함으로써 티핑 버킷의 양정도의 오차를 항상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배액의 EC 및 PH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티핑 버킷으로 버려지는 배액을 별도로 수거하여 수동 측정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수거된 배액을 사용자가 직접 처리해야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98827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404518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가 항상 배액에 잠겨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배액의 상태를 실시간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가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 배액 저장 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배액 저장 수조를 이용하여 배지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배액 저장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본체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나누어지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제1 공간에 장착된 센서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제1 격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제2 공간에 형성된 배액 배출구;를 구비하여, 배액이 상기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제1 격벽의 상부 공간을 거쳐 배액 배출구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배액 저장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되,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높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격벽;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2 격벽과 대향되는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장착된 센서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된 배액 배출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격벽의 제1 높이는 본체의 측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의 제2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액이 상기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 및 제2 격벽의 상부 공간을 거쳐 배액 배출구로 배출된다.
전술한 제1 특징 및 제2 특징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는, 배지가 올라가는 배지 선반; 상기 배지 선반 및 배지 선반에 놓인 배지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제1 무게 측정 센서; 배지의 함수율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지 선반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액이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배액의 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센서부를 구비한 배액 저장 수조; 상기 배액 저장 수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제2 무게 측정 센서; 상기 배액 저장 수조의 배액 배출을 조정하는 자동 밸브;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무게 측정 센서 및 배액 저장 수조의 센서부로부터 센서 측정값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센서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배지 함수율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3 특징에 따른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액 저장 수조는, 전술한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일정 높이의 격벽을 설치하여 본체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분리하고,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1 공간에 센서부를 설치하고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배액이 유입되도록 하며, 제2 공간에 배액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격벽에 의해 배액이 제1 공간에 머무르게 되고 센서부가 항상 배액에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배액이 계속 유입되는 경우, 배액이 격벽을 넘어 제2 공간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배액 배출구를 통해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센서부가 항상 배액에 잠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실시간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센서들이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고 항상 배액에 잠겨 있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본체내에 2개의 격벽을 설치하되, 제1 격벽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제2 격벽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제2 격벽과 측벽의 사이에 센서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배액이 유입되어 제2 격벽과 본체의 바닥면과의 이격 공간을 거쳐 제1 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배액 배출구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격벽의 높이 차이에 의해 센서부가 항상 배액에 잠겨 있을 수 있게 되며, 센서부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데이터 측정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전면부에 대한 개략도이며, (b)는 후면부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들과 외부의 데이터 수집 장치 및 서버와 연결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2개의 격벽을 각각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센서부가 있는 공간을 항상 배액에 잠겨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센서들이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항상 센서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배액 저장 수조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10)는 본체(100), 제1 격벽(110), 제2 격벽(120), 센서부(130), 배액 배출구(140) 및 오버플로우 방지 배출구(15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부로부터 유입된 배액이 저장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은 개방되거나 배액의 증발을 막기 위한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120)은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하여, 본체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분리한다. 상기 제1 격벽은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높이(h1)는 본체의 측벽보다 낮게 설정되며 센서부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된다.
상기 제2 격벽(120)은 상기 본체의 제2 공간을 다시 제3 공간과 제4 공간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3 공간은 제1 격벽과 제2 격벽의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하며, 제4 공간은 제2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2 격벽(120)은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해 이루어지되,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높이(h2)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2 격벽의 하부에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높이(h2)는 상기 제1 격벽의 제1 높이(h1)보다 낮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제4 공간인 상기 제2 격벽과 상기 본체의 측벽의 사이의 공간에 장착된다. 상기 제1 격벽의 높이(h1)를 상기 센서부(1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센서부가 항상 배액에 잠겨 있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센서부의 센서들이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센서부는 배액의 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센서들을 포함하는데, 염도(Electronic Conductivity;'EC') 측정 센서, 산도(Potential of Hydrogen Ion;'PH') 측정 센서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본체의 외부에 추가의 센서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의 센서부는 배지 온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CO2 센서, 조도 센서, 비접촉 온도 센서 등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접촉 온도 센서는 잎이나 과실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기 배액 배출구(140)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제1 공간인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배액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방지 배출구(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방지 배출구(150)는 본체의 측벽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제1 공간에 있는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의 제1 높이(h1)는 본체의 측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의 제2 높이(h2)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액이 상기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 및 제2 격벽의 상부 공간을 거쳐 배액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배액이 유입되면, 제4 공간, 제3 공간 및 제1 공간으로 순차적으로 흘러가게 되며, 배액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체내에 2개의 격벽을 형성하고, 격벽에 의해 배액이 유입되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에 센서부를 장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배액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배액이 배출되더라도 센서가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고 항상 배액에 잠겨 있을 수 있으며, 센서부에 대한 새로운 배액으로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본체내에 단일의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은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본체의 측벽보다 낮은 제1 높이로 구성된다. 상기 격벽에 의해 본체는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분리되며, 제2 공간의 바닥면에는 센서부가 장착되며, 제2 공간의 상부로부터 배액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공간의 바닥면에는 배액 배출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의 격벽은 센서부가 배액에 잠길 수 있도록 센서부보다 높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는 배액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공간의 본체의 측벽의 상단부에 오버플로우 방지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의 본체, 센서부, 배액 배출구, 오버플로우 방지 배출구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
전술한 구성을 갖는 배액 저장 수조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전면부에 대한 개략도이며, (b)는 후면부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1)는 배지가 올라가는 배지 선반(15), 배지 선반 및 배지 선반에 놓인 배지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제1 무게 측정 센서(12), 배지의 함수율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본체부(3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30)는 배액 저장 수조(10), 배액 저장 수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제2 무게 측정 센서(14), 상기 배액 저장 수조의 배액 배출을 조정하는 자동 밸브(16), 표시부(40), 키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42),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 및 신호 송수신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하, 전술한 각 구성 요소들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배지 선반(15)은 생작물 등과 같은 배지가 놓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지 선반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액은 배액 저장 수조(1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지 선반의 하단에는 제1 무게 측정 센서(12)가 장착되며, 상기 제1 무게 측정 센서는 배지 선반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50)로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30)는 배액 저장 수조를 구비하고, 배액 저장 수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제2 무게 측정 센서(14)를 배액 저장 수조의 하단에 장착하며, 제2 무게 측정 센서는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50)로 제공한다. 상기 제1 무게 측정 센서 및 제2 무게 측정 센서는 로드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배액 저장 수조(10)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액 저장 수조 중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 밸브(16)는 배액 저장 수조의 배액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구동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배액 저장 수조에 저장된 배액의 배출을 관리하게 된다.
상기 배액 저장 수조의 센서부는 각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을 상기 컨트롤러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40)는 모니터 또는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화면에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42)는 키패드나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되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들을 상기 컨트롤러로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측정값들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방식에 따라 함수율을 계산하며, 각 측정값들과 계산된 함수율을 상기 표시부(40)를 통해 출력하거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데이터 수집 장치 또는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부 또는 외부의 서버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정보나 사전 설정된 로직(logic)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배액이 배액 저장 수조로부터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 밸브 등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 또는 외부의 데이터 수집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배지의 무게 및 배액 저장 수조의 무게를 측정하고, 자동 밸브의 개폐 제어, 각 센서데이터 등을 외부의 서버로 제공하거나 서버로부터 제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들과 외부의 데이터 수집 장치 및 서버와 연결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는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 또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유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선반 및 상기 배액 저장 수조는 각각 제1 및 제2 무게 감지 센서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필요한 경우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배지 선반의 무게, 배액 저장 수조의 무게, 각종 센서의 값을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측정을 하며, 측정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 또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함수율 측정 장치의 컨트롤러와 데이터 수집 장치에는 일정 용량의 메모리와 RTC(Real Time Clock)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통신이 원활하지 아니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측정 시간과 데이터 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배액 저장 수조의 배액이 일정 무게에 도달하면, 컨트롤러는 자동 밸브를 제어하여 배액 저장 수조에 저장된 배액을 배출시키며 해당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배액이 일정 무게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서버로부터 강제 배출 명령 신호가 수신되r거나 키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개폐 명령이 입력되면 자동 밸브를 제어하여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키 조작부를 이용하여 밸브 수동 개폐하거나, 센서나 무게 측정 센서들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15 : 배지 선반
12 : 제1 무게 측정 센서
30 : 본체부
10 : 배액 저장 수조
14 : 제2 무게 측정 센서
16 : 자동 밸브
40 : 표시부
42 : 키 입력부
50 : 컨트롤러
100 : 배액 저장 수조의 본체
110 : 제1 격벽
120 : 제2 격벽
130 : 센서부
140 : 배액 배출구
150 : 오버플로우 방지 배출구

Claims (10)

  1. 배액 저장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본체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나누어지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제1 공간에 장착된 센서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제1 격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제2 공간에 형성된 배액 배출구;
    를 구비하여, 배액이 상기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제1 격벽의 상부 공간을 거쳐 배액 배출구로 배출되는 배액 저장 수조.
  2. 배액 저장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되,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높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격벽;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2 격벽과 대향되는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장착된 센서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된 배액 배출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격벽의 제1 높이는 본체의 측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의 제2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액이 상기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 및 제2 격벽의 상부 공간을 거쳐 배액 배출구로 배출되는 배액 저장 수조.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저장 수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 저장 수조는 본체의 측벽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액 오버플로우 방지 배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액 오버플로우 방지 배출구는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저장 수조.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염도(Electronic Conductivity;'EC') 측정 센서 및 산도(Potential of Hydrogen Ion;'PH')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저장 수조.
  6. 배지가 올라가는 배지 선반;
    상기 배지 선반 및 배지 선반에 놓인 배지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제1 무게 측정 센서;
    배지의 함수율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본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지 선반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액이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배액의 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센서부를 구비한 배액 저장 수조;
    상기 배액 저장 수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제2 무게 측정 센서;
    상기 배액 저장 수조의 배액 배출을 조정하는 자동 밸브;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무게 측정 센서 및 배액 저장 수조의 센서부로부터 센서 측정값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센서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배지 함수율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 저장 수조는,
    배액 저장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본체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나누어지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제1 공간에 장착된 센서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제1 격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제2 공간에 형성된 배액 배출구;
    를 구비하여, 배액이 상기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제1 격벽의 상부 공간을 거쳐 배액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 저장 수조는,
    배액 저장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되,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본체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높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격벽;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2 격벽과 대향되는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장착된 센서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제1 격벽과 본체의 측벽의 사이에 형성된 배액 배출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격벽의 제1 높이는 본체의 측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의 제2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액이 상기 센서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제2 격벽의 하부의 이격 공간 및 제2 격벽의 상부 공간을 거쳐 배액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9.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 저장 수조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격벽의 제1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10.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염도(Electronic Conductivity;'EC') 측정 센서 및 산도(Potential of Hydrogen Ion;'PH')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KR1020160099675A 2016-08-04 2016-08-04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KR101838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75A KR101838090B1 (ko) 2016-08-04 2016-08-04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75A KR101838090B1 (ko) 2016-08-04 2016-08-04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976A true KR20180015976A (ko) 2018-02-14
KR101838090B1 KR101838090B1 (ko) 2018-03-14

Family

ID=6122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675A KR101838090B1 (ko) 2016-08-04 2016-08-04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303B1 (ko) * 2019-07-19 2020-02-07 재단법인 한국환경수도연구원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KR20220164646A (ko) 2021-06-05 2022-12-13 김용현 레이저 거리측정센서를 활용한 식품 3d 프린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73B1 (ko) * 2010-07-22 2010-10-18 (주)티아이에스 온실 생작물의 함수율 측정을 위한 슬라브 무게와 배액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1404518B1 (ko) * 2014-03-04 2014-06-10 (주) 이레아이에스 식물의 근권부 함수율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303B1 (ko) * 2019-07-19 2020-02-07 재단법인 한국환경수도연구원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KR20220164646A (ko) 2021-06-05 2022-12-13 김용현 레이저 거리측정센서를 활용한 식품 3d 프린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090B1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1694B2 (en) Climate control unit with germ-proof separated sections
US20170167783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38090B1 (ko) 배액 저장 수조 및 이를 이용한 배지 함수율 측정 장치
CN106536711A (zh) 模块化培养器系统
KR20080076654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005B1 (ko) 음료 공급 장치
US20090165477A1 (en) Fill leve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fill level of liquid food in a container
US20020100752A1 (en) Single and double sided ventless humidity cabinet
KR101608959B1 (ko) 소규모급수시설의 통합관리시스템
KR101855205B1 (ko) 고설재배용 스마트 베드
ES2330242T3 (es) Sistema de fermentacion y control de fermentacion automatico.
JP2010281488A (ja) 定量給水装置および自動製氷装置
WO2024078572A1 (zh) 自动填充水壶过度填充关闭机构
KR101183613B1 (ko) 강우량 측정기
CN110208482A (zh) 一种工业锅炉水汽质量在线检测系统
US20070107491A1 (en) Measuring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dewatering rates of paper machines
KR101842848B1 (ko) 분포형 근적외선 우량계
KR20080000707A (ko) 논 담수위 계측장치
KR101845066B1 (ko) 강우량 측정계 검증장치
JPS6036915A (ja) 連続的あるいは断続的に循環する液体のサンプルを採取し且つ流量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US20020140324A1 (en) Leveling device and method for laboratory incubators
US970261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JP6962970B2 (ja) 加湿装置
CN213787262U (zh) 集气盒、气压式液位检测装置及洗碗机
JP2008020110A (ja) ショーケースの水位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