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871A -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871A
KR20180015871A KR1020160099428A KR20160099428A KR20180015871A KR 20180015871 A KR20180015871 A KR 20180015871A KR 1020160099428 A KR1020160099428 A KR 1020160099428A KR 20160099428 A KR20160099428 A KR 20160099428A KR 20180015871 A KR20180015871 A KR 2018001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ower
load
lin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183B1 (ko
Inventor
장성일
김우중
전정표
서상현
Original Assignee
장성일
주식회사 알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일, 주식회사 알비테크 filed Critical 장성일
Priority to KR1020160099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1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02J7/0071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in response to charge current gradient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2차 전류가 유도되는 측정권선(101)을 포함하는 측정용 변류기(100);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2차 전류가 유도되는 전원권선(201)을 포함하는 전원용 변류기(200); 상기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권선(201)으로부터 2차 전류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력변환부(300);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과 개방(open)을 제어하는 단락스위치부(400); 및, 상기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측정된 전력선로의 전류(Iline), 전원용 변류기(200)의 출력전류(Ict) 및 출력전압(Vct), 부하전류(Iload) 및 부하전압(Vload)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단락스위치부(400)에 단락 신호 또는 개방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보호회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Electromagnetic Inductive Power Supply based on Current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선로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전력선로의 전류량, 변류기의 출력전류와 출력전압, 부하전류와 부하전압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여 변류기 기반이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는 전력선, 부스바(Bus Bar) 및 중선선 등과 같이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나 구조물에 설치하고 해당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활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는 기본적으로 전력선로로부터 교류 전류를 유도하는 변류기(CT : Current Transformer), 변류기로부터 유도된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력변환 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과전류 및 이상전압 발생시 이를 차단하기 위한 보호회로 및 선로 전류 차단시 전원공급을 위한 축전지와 같은 전원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종래의 이러한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동작특성 및 한계를 가지고 있다.
(1) 종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을 위하여 전력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한 수준의 정격 동작전류량을 만족하여야 한다. 만일 전력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 동작전류량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종래의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는 부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고,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에너지는 변류기 내에서 손실로 소비됨에 따라 전원 생성 및 공급 중단에 따른 효율 저하가 발생한다.
(2) 전력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 동작전류량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도 전원공급 장치와 연결된 부하가 동작을 하지 않거나, 추가적으로 설치된 전원 저장장치가 완충되어 잔여 충전용량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전원공급 장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없으므로 효율저하 및 손실증가로 인한 장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3) 종래의 전원공급 장치는 연결된 부하 및 전력공급부에서 고장발생시 이를 진단하고 대응하기 위한 보호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보호회로에 별도의 전원공급 방안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보호기능이 구동되거나 전력선로의 전류가 부족하여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보호회로가 정지되어 기기 고장 및 소손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의 운전 안전성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해당 장치의 설치 장소가 전력선로 혹은 전력 설비임을 고려한다면 기기 소손으로 인하여 전력공급 중단 및 전력설비 소실의 대규모 2차 피해를 야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0-1459336호
공개특허 제10-2014-0093498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력선로의 전류가 정격 동작전류량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전원용 변류기(200)의 2차측 단자(전원권선(201))를 자동적으로 단락(close)하여 장치의 고장 및 소손을 방지하고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전력선로의 전류가 정격 동작전류량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전력변환부(300)의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거나, 부하전압 (Vload)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거나(Vload≤Vload min), 부하전류(Iload)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Iload≥Lload max) 전원권선(201)을 자동적으로 단락(close)시키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전력선로의 전류가 정격 동작전류량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부하전류(Iload)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0(zero)'에 근접하고, 전원저장부(600)가 완충되어 충전용량이 남아 있지 않는 경우 전원권선(201)을 단락(close)시키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전력공급 중단시 제어보호회로부(500)의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저장부(600)를 구비하여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의 효율 및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2차 전류가 유도되는 측정권선(101)을 포함하는 측정용 변류기(100);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2차 전류가 유도되는 전원권선(201)을 포함하는 전원용 변류기(200); 상기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권선(201)으로부터 2차 전류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력변환부(300);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과 개방(open)을 제어하는 단락스위치부(400); 및, 상기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측정된 전력선로의 전류(Iline), 전원용 변류기(200)의 출력전류(Ict) 및 출력전압(Vct), 부하전류(Iload) 및 부하전압(Vload)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단락스위치부(400)에 단락 신호 또는 개방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보호회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력선로의 전류가 정격 동작전류량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전원용 변류기(200)의 2차측 단자(전원권선(201))를 자동적으로 단락(close)하여 장치의 고장 및 소손을 방지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전력선로의 전류가 정격 동작전류량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전력변환부(300)의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거나, 부하전압 (Vload)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거나(Vload≤Vload min), 부하전류(Iload)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Iload≥Lload max) 전원권선(201)을 자동적으로 단락(close)하여 장치의 고장 및 소손을 방지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전력선로의 전류가 정격 동작전류량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부하전류(Iload)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0(zero)'에 근접하고, 전원저장부(600)가 완충되어 충전용량이 남아 있지 않는 경우 전원권선(201)을 단락(close)하여 장치의 고장 및 소손을 방지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전력공급 중단시 제어보호회로부(500)의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저장부(600)를 구비하여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의 효율 및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전력변환부(300) 구성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부하를 위한 전원저장부(60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단락권선(202)과 전원권선(201)이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는 측정용 변류기(100), 전원용 변류기(200), 전력변환부(300), 단락스위치부(400), 및 제어보호회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정용 변류기(100)는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측정권선(101)에 2차 전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권선(101)은 제어보호회로부(500)와 연결된다.
전원용 변류기(200)는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전원권선(201)에 2차 전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권선(201)은 단락스위치부(400)를 통하여 전력변환부(300)와 연결된다.
전력변환부(300)는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과 연결되며, 전원권선(201)으로부터 2차 전류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전력변환부(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10), 1차 정류부(320), 스위칭 소자부(330), 2차 정류부(340) 및 피드백 회로부(350)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310)는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으로부터 제공되는 2차 전류를 필터링하는데, 일반적으로 EMI(ElectroMagnectic Interference)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사용된다.
1차 정류부(320)는 필터부(31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데, 브릿지 다이오드 및 평활 커패시터로 구성된 정류기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부(330)는 1차 정류부(32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을 펄스폭 변조(PWM) 방식으로 스위칭하여 출력하는데, MOSFET와 같은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2차 정류부(340)는 스위칭 소자부(33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데, 1차측 권선에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2차측 권선에 유기되는 전류를 출력하는 트랜스포머 및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화하는 평활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회로부(350)는 2차 정류부(340)의 출력을 피드백 받아 스위칭 소자부(330)의 펄스폭 듀티를 조정하는데, PWM 제어 IC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설치 상황에 따라 교류 전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전력변환부(300)에는 직류/교류 변환부가 추가되어 부하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형태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단락스위치부(400)는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과 개방(open)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단락(close)시킨다는 의미는 권선의 양측 단말을 릴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다는 의미로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릴레이 소자가 닫힌다는 의미에서 (close)를 병기한 것이다. 반대로 개방(open)은 단락 상태의 연결을 끊기 위하여 릴레이 소자를 개방한다는 의미이다.
전원용 변류기(200) 철심 내의 자속은 전력선로에 흐르는 전류량과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력선로의 전류가 증가하면 전원용 변류기(200) 철심에 유기되는 자속이 증가하므로 출력 유기전압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전원권선(201)이 단락(close)되면 전원권선(202)이 감겨져 있는 전원용 변류기(200)에서는 유기전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단락스위치부(400)는 제어보호회로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권선(201)의 단락과 개방을 제어하기 위하여 릴레이와 같은 전자식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보호회로부(500)는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측정된 전력선로의 전류(Iline), 전원용 변류기(200)의 출력전류(Ict) 및 출력전압(Vct), 부하전류(Iload) 및 부하전압(Vload)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단락스위치부(400)에 단락 신호 또는 개방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보호회로부(500)는 전원용 변류기(200)의 출력전류(Ict) 및 출력전압(Vct)을 측정하기 위한 교류 전압/전류 센서, 부하전류(Iload) 및 부하전압(Vload)을 측정하기 위한 직류 전압/전류 센서, A/D 컨버터, D/A 컨버터,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저장부(600)는 전력변환부(300)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제공받아 전원공급이 중단된 경우 제어보호회로부(500)의 구동에 사용될 전원으로 충전하는 밧데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원저장부(600)는 전원공급이 중단된 경우 제어보호회로부(500)와 함께 부하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도3과 같이 제어보호회로부(5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저장부(600)와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저장부(600)가 각각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도1과 차이점은 전원용 변류기(200)에 전원권선(201)과 단락권선(202)이 별개로 구성되는 것인데, 전원권선(201)과 단락권선(202)을 분리 구성할 경우 단락 동작 수행시 단락스위치부(400)가 전원용 변류기(200)의 단락권선(202)의 단락(close)과 개방(open)을 제어하고, 전원권선(201)은 전력변환부(300)에 연결된 상태를 상시 유지하여 부하에 전달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의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는 제어보호회로부(500)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1) 제어보호회로부(500)는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에 유도되는 2차 전류를 통하여 측정한 전력선로의 전류(Iline)가 정격 동작전류량의 범위(Iline min Iline≤Iline max)를 벗어날 경우 단락스위치부(400)에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 신호를 인가한다. 만약 도4처럼 단락권선(202)이 별도로 구성될 경우에는 단락권선(202)의 단락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2) 제어보호회로부(500)는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에 유도되는 2차 전류를 통하여 측정한 전력선로의 전류(Iline)가 정격 동작전류량의 범위(Iline min Iline≤Iline max)를 만족하는 상태에서, (ⅰ)전력변환부(300)를 통하여 측정한 전원용 변류기(200)의 출력전류(Ict) 및 출력전압(Vct), 부하전류(Iload) 및 부하전압(Vload)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입력전력(IctVct)과 출력전력(аIloadVload, 여기서, а는 전력변환부(300)의 정상적인 손실률을 고려한 계수)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이 일치하지 않거나, (ⅱ)부하전압 (Vload)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거나(Vload≤Vload min), (ⅲ)부하전류(Iload)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Iload≥Lload max) 단락스위치부(400)에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 신호를 인가한다. 만약 도4처럼 단락권선(202)이 별도로 구성될 경우에는 단락권선(202)의 단락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3) 제어보호회로부(500)는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에 유도되는 2차 전류를 통하여 측정한 전력선로의 전류(Iline)가 정격 동작전류량의 범위(Iline min Iline≤Iline max)를 만족하고, 전력변환부(300)를 통하여 측정한 부하전류(Iload)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0(zero)'에 근접하고, 전원저장부(600)가 완충되어 충전용량이 남아 있지 않는 경우 단락스위치부(400)에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 신호를 인가한다. 만약 도4처럼 단락권선(202)이 별도로 구성될 경우에는 단락권선(202)의 단락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 과정은 도5와 같은 순서도로 정리될 수 있는데, 전원권선(201)이 단락되지 않는 경우는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에 유도되는 2차 전류를 통하여 측정한 전력선로의 전류(Iline)가 정격 동작전류량의 범위(Iline min Iline≤Iline max)를 벗어나지 않고, 입력전력(IctVct)과 출력전력(аIloadVload, 여기서, а는 전력변환부(300)의 정상적인 손실률을 고려한 계수)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고, 부하전압 (Vload)이 정상적으로 출력되고(Vload≥Vload min), 부하전류(Iload)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Iload≤Lload max), 전력변환부(300)를 통하여 측정한 부하전류(Iload)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0(zero)'에 근접하지 않는다는 조건(Iload≠0)을 모두 만족해야만 하고, 상기 조건 가운데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으면 전원권선(201)이 단락되어 전원용 변류기(200)에 유기전압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측정용 변류기
101:측정권선
200:전원용 변류기
201:전원권선
202:단락권선
300:전력변환부
310:필터부
320:1차 정류부
330:스위칭 소자부
340:2차 정류부
350:피드백 회로부
400:단락스위치부
500:제어보호회로부
600:전원저장부

Claims (7)

  1.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2차 전류가 유도되는 측정권선(101)을 포함하는 측정용 변류기(100);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2차 전류가 유도되는 전원권선(201)을 포함하는 전원용 변류기(200);
    상기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권선(201)으로부터 2차 전류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력변환부(300);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과 개방(open)을 제어하는 단락스위치부(400); 및,
    상기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측정된 전력선로의 전류(Iline), 전원용 변류기(200)의 출력전류(Ict) 및 출력전압(Vct), 부하전류(Iload) 및 부하전압(Vload)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단락스위치부(400)에 단락 신호 또는 개방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보호회로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2.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2차 전류가 유도되는 측정권선(101)을 포함하는 측정용 변류기(100);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로의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2차 전류가 유도되는 전원권선(201)과 단락권선(202)이 별개로 구비된 전원용 변류기(200);
    상기 전원용 변류기(200)의 전원권선(201)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권선(201)으로부터 2차 전류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력변환부(300);
    전원용 변류기(200)의 단락권선(202)의 단락(close)과 개방(open)을 제어하는 단락스위치부(400); 및,
    상기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측정된 전력선로의 전류(Iline), 전원용 변류기(200)의 출력전류(Ict) 및 출력전압(Vct), 부하전류(Iload) 및 부하전압(Vload)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단락스위치부(400)에 단락 신호 또는 개방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보호회로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전력변환부(300)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제공받아 전원공급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어보호회로부(500)의 구동에 사용될 전원으로 충전하는 전원저장부(60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전원저장부(600)는 전원공급이 중단된 경우 부하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보호회로부(500)는,
    상기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에 유도되는 2차 전류를 통하여 측정한 전력선로의 전류(Iline)가 정격 동작전류량의 범위(Iline min Iline≤Iline max)를 벗어날 경우 상기 단락스위치부(400)에 상기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어보호회로부(500)는,
    상기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에 유도되는 2차 전류를 통하여 측정한 전력선로의 전류(Iline)가 정격 동작전류량의 범위(Iline min Iline≤Iline max)를 만족하고,
    상기 전력변환부(300)를 통하여 측정한 전원용 변류기(200)의 출력전류(Ict) 및 출력전압(Vct), 부하전류(Iload) 및 부하전압(Vload)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입력전력(IctVct)과 출력전력(аIloadVload, 여기서, а는 전력변환부(300)의 정상적인 손실률을 고려한 계수)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이 일치하지 않거나, 부하전압 (Vload)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거나(Vload≤Vload min), 부하전류(Iload)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Iload≥Lload max) 상기 단락스위치부(400)에 상기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제어보호회로부(500)는,
    상기 측정용 변류기(100)의 측정권선(101)에 유도되는 2차 전류를 통하여 측정한 전력선로의 전류(Iline)가 정격 동작전류량의 범위(Iline min Iline≤Iline max)를 만족하고,
    상기 전력변환부(300)를 통하여 측정한 부하전류(Iload)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0(zero)'에 근접하고, 상기 전원저장부(600)가 완충되어 충전용량이 남아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단락스위치부(400)에 상기 전원권선(201)의 단락(close)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KR1020160099428A 2016-08-04 2016-08-04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KR10192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28A KR101925183B1 (ko) 2016-08-04 2016-08-04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28A KR101925183B1 (ko) 2016-08-04 2016-08-04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871A true KR20180015871A (ko) 2018-02-14
KR101925183B1 KR101925183B1 (ko) 2018-12-06

Family

ID=6122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428A KR101925183B1 (ko) 2016-08-04 2016-08-04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1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10B1 (ko) * 2019-09-09 2020-12-30 주식회사 이진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215424B1 (ko) * 2019-10-08 2021-02-16 한국전력공사 소용량 전원생성기 및 gps송신기가 내장된 절연커버 구조체
KR20210087185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폰 지중 송배전 선로에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개선된 고출력 전원 공급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907A (ko) 2021-12-15 2023-06-22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동물 오름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758B1 (ko) 2012-06-08 2012-11-05 이태희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KR101317220B1 (ko) * 2013-02-21 2013-10-18 (주)테라에너지시스템 센서용 ct와 발전용ct가 선로 상에 병렬로 분리 설치되는 전류 변성 시스템, 및 이를 무선 통신망으로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
KR101459336B1 (ko) 2014-03-04 2014-11-07 (주)테라에너지시스템 단위 변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출력 전력을 선형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10B1 (ko) * 2019-09-09 2020-12-30 주식회사 이진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215424B1 (ko) * 2019-10-08 2021-02-16 한국전력공사 소용량 전원생성기 및 gps송신기가 내장된 절연커버 구조체
KR20210087185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폰 지중 송배전 선로에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개선된 고출력 전원 공급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183B1 (ko)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183B1 (ko)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US8436602B2 (en)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KR101510181B1 (ko) 전원공급회로
US7728456B2 (en) Vehicle auxiliary electric-power-supplying system
AU2018315503B2 (en) System for generating a power output and corresponding use
CN108370221A (zh) 电力转换装置
CN101678995A (zh) 运输系统的电力控制器
KR101925182B1 (ko) 변류기 기반의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US9124087B2 (en) Arc suppression circuit
US10812007B1 (en) Motor undervoltage ride-through circuit controlled by motor protective relay
KR101120429B1 (ko) 지게차의 고주파 배터리 충전회로
KR20070029778A (ko) 스위칭형 충전장치
CN102906962B (zh) 电源以及用于操作电源的方法
CN115968528A (zh) 用于运行开关电源部件的方法和电压供应设备
KR100846201B1 (ko) 선박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기
CN104025445A (zh) 变流器电路
JPH0662577A (ja) 電源装置
KR100719193B1 (ko)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RU197213U1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светодиодов
KR20060118929A (ko) 전압과 전류 동시 제어방식 상호유도리액터식 전기절감장치
RU2124260C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комплекса корабельной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й аппаратуры
IT202000008713A1 (it) Dispositivo di regolazione perfezionato per la regolazione della tensione di alternatori sincroni
KR200417769Y1 (ko) 자동바이패스기능이 장착된 가정용 전기절감장치
KR20090103310A (ko) 역률 개선 회로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회로, 방법 및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20090080495A (ko) 자동바이패스기능이 장착된 전기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