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193B1 -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193B1
KR100719193B1 KR1020057012388A KR20057012388A KR100719193B1 KR 100719193 B1 KR100719193 B1 KR 100719193B1 KR 1020057012388 A KR1020057012388 A KR 1020057012388A KR 20057012388 A KR20057012388 A KR 20057012388A KR 100719193 B1 KR100719193 B1 KR 10071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output
voltage
direc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665A (ko
Inventor
치요 쿠수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1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60L1/04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fed by the power supply line
    • B60L1/1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fed by the power supply line with provision for using different supp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14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ligh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20AC to 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기동부의 사용 빈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또, 전력 변환부의 출력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전력을 얻을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즉시 기동부로부터 제어부에 전력 공급을 개시함으로써, 전력 변환부를 정상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이다. 가선(Overhead Wire)으로부터의 직류인 제 1 전력을 직류인 제 2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와, 가선으로부터의 제 1 전력을 직류인 제 3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동부와, 전력 변환부 및 기동부에 접속되어 제 2 전력 또는 제 3 전력 중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출력부로부터의 출력을 받고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기동부, 전력 변환부, 가선

Description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VEHICLE AUXILIARY ELECTRIC-POWER-SUPPLYING SYSTEM}
본 발명은 고압 전력을 변환하여 전기 차량용의 에어콘이나 조명 등의 부하에 저압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차량은 차량 내 기기의 백업용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또, 차량 내에는 가선(架線: Overhead Wire)으로부터의 고압 전력을 저압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 내 부하에 저압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가 있다. 백업용 배터리 전압에 의해,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내의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부가 동작함으로써, 처음으로,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전체가 기동 가능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백업용 배터리 전압이 저하하여 상기 제어부의 동작 가능 전압에 이르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기동하지 않고,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전체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개평1-269704호 공보의 도 1 및 도 2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기동 시, 가선으로부터의 고압 전력을 변환하고, 제어부(제어 회로)에 전력(전원)을 주기 위한 기동부(컨버터)를 마련하고 있었다. 기동부의 동작에 의해, 차량의 기동 시 백업용 배터리 전압이 저하되고 있 어도, 기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제어부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기동부는, 그 사용 빈도를 억제하기 위해서,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기동 시에만 동작하고, 전력 변환부의 출력으로부터 전력을 얻을 수 있으면, 그 동작을 정지하고 있었다. 기동부의 정지 시, 전력 변환부로부터 부하까지의 저압측에, 절연 파괴 등의 영향에 의한 합선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력 변환부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어부가 전력 변환부에 동작의 정지를 지령할 필요가 있지만, 합선에 의해 전력 변환부로부터 정상적인 전력을 얻지 못하고, 또 기동부도 정지하고 있으므로, 제어부 전원이 정전하여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정지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기동부의 사용 빈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전력 변환부의 출력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전력을 얻을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즉시 기동부로부터 제어부에 전력 공급을 개시함으로써, 전력 변환부를 정상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는, 가선으로부터의 직류인 제 1 전력을 직류인 제 2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와, 가선으로부터의 제 1 전력을 직류인 제 3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동부와, 전력 변환부 및 기동부에 접속되어 제 2 전력 또는 제 3 전력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출력부로부터의 출력을 받아서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기동부의 사용 빈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전력 변환부의 출력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전력을 얻을 수 없게 된 경우 즉시 기동부로부터 제어부에 전력 공급을 개시함으로써 전력 변환부를 정상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한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한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관한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1 의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1 은 가선, 2 는 팬터그래프(Pantograph)이며, 가선(1)으로부터의 고압 전력이 팬터그래프(2)를 통해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내에 공급된다. 가선(1)으로는, 지상에 설치되는 것이나 지하철의 서드레일(Third Rail)을 들 수 있다.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내의 구성을 설명한다. 3 은 자동 기동부이고, 퓨즈(4), 전자 접촉기부(5), 입력 필터용 반응 장치(6)로 구성된다. 전자 접촉기부(5)에는 코일, 스위치부 및 전압 강하용 저항이 나타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저항과 코일의 사이에는 접촉기가 설치되어 있다. 팬터그래프(2)로부터의 입력 과전압을 후술하는 제어부가 검지하여 접촉기를 여는 것에 의하여,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스위치부가 열린다. 통상은, 접촉기가 닫혀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기동하여 코일이 여자되고, 스위치부가 닫혀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내에 고압 전력이 인가된다. 가선(1)으로부터의 과대한 전류에 대해서는, 퓨즈(4) 절단에 의해, 가선(1)과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회로 간 접속을 끊는다.
7 은 전력 변환부이며, 충전 스위치부(8), 입력 필터용 콘덴서(9), 인버터(10), 변압부 11, 정류부(12) 및 평활 필터(13)로 구성된다. 전력 변환부(7)는 자동 기동부(3)로부터의 직류인 고압 전력을 저압 전력으로 변환하고, 부하 및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내에 공급한다. 입력 필터용 리액터(Reactor)(6) 및 입력 필터용 콘덴서(9)에 의해서 가선(1)으로부터의 전압에 대한 평활화를 행한다. 충전 스위치부(8)는 차량의 기동 시 입력 필터용 콘덴서(9)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후술하는 제어부에 기초하여 그 충전을 조절한다. 인버터(10)는 직류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변압부(11)는 인버터(10)로부터의 교류의 고압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한다. 정류부(12)는 변압부(11)로부터의 교류의 저압 전력을 직류로 변환한다. 평활 필터(13)는 정류부(12)로부터의 직류의 저압 전력을 후단의 부하에 공급 할 수 있도록 평활화한다.
14 는 제어부이며, 통상, 전력 변환부(7)를 제어한다. 제어부(14)는 입력 필터용 콘덴서(9)를 보호하기 위해서 그 충전 상태를 검지하고(미도시), 충전 스위치부(8)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충전 후, 인버터(10)에 변환 동작을 지시한다.
15 는 기동부이며, 인버터(16), 변압부(17), 정류부(18)로 구성된다. 기동부(15)는 자동 기동부(3)로부터의 직류의 고압 전력을 직류의 저압 전력으로 변환한다. 기동부(1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전력 변환부(7)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보다 낮다. 양 전압은 변압부(11), 변압부(17)의 코일의 구성에 의해 조정된다.
19 는 맞닿은 다이오드(Butt-jointed Diode)로서, 다이오드(20) 및 다이오드(21)의 캐소드부가 맞닿아 있고, 제어부(14)에 접속되어 있다. 맞닿은 다이오드(19)의 각 애노드부는 각각 평활 필터(13) 및 정류부(18)에 접속되어 있다. 맞닿은 다이오드(19)에 의해, 전력 변환부(7) 및 기동부(15)로부터 공급된 전력 중 고전압이 제어부(14)에 공급된다. 맞닿은 다이오드(19)에 공급되는 상술한 2개 전력의 전압은 다르지만, 양쪽 모두 제어부(14)를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전력 변환부(7) 및 기동부(15)가 구성된다.
22 는 조명 등의 직류 부하이며, 평활 필터(13)로부터의 직류의 저압 전력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이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는 차량 내에서 최초로 시동하는 장치이며, 가선(1)으로부터 팬터그래프(2)를 통해 직류의 고압 전력이 공급된다. 가선(1)으로부터의 전 력은 1,500V 등의 고압관이므로, 그 상태로는 차량 내의 직류 부하(22)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100V 등의 저압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 부하(22)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 변환을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가 실시한다.
차량이 시동하면, 팬터그래프(2)로부터의 고압 전력이 자동 기동부(3)에 공급된다. 자동 기동부(3)는 후단의 전력 변환부(7)나 기동부(15)로의 과대한 고압 전력에 대한 입력 보호를 하기 위한 보호부이다. 자동 기동부(3)를 통과한 고압 전력은, 전력 변환부(7)의 충전 스위치부(8)와 기동부(15)의 인버터(16)에 공급된다. 쌍방에 공급된 시점에서, 전력 변환부(7)에서는, 제어부(14)로부터 충전 스위치부(8)로의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충전 스위치부(8)는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기동부(15)는 공급된 고압 전력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고압 전력은 인버터(16)에서 직류로부터 교류로 변환되어 변압부(17)에서 저압으로 변환된다. 변환 후의 교류의 저압 전력은 정류부(18)에서 직류의 저압 전력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저압 전력은 맞닿은 다이오드(19)의 다이오드(21)에 공급된다. 전력 변환부(7)에 접속된 다이오드(20)에는 전력 변환부(7)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없고, 맞닿은 다이오드(19)의 다이오드(21)에 공급되어 있는 쪽의 전압이 높게 되므로, 그 전력이 제어부(14)에 전원으로서 공급된다.
전원 공급에 의해 제어부(14)가 동작한다. 제어부(14)는 입력 필터용 콘덴서(9)의 충전 상태(전압 등)를 검지하고, 제어부(14)에 미리 조립되어 있는 제어 정보(미도시)에 기초하여 검지 결과에 응한 제어 신호를 충전 스위치부(8)로 출력한다. 충전 스위치부(8)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동 시 입력 필터용 리액터(6)로부 터 입력 필터용 콘덴서(9)로의 전류를 제어해서, 입력 필터용 콘덴서(9)의 급격한 충전으로부터 보호한다. 입력 필터용 콘덴서(9)는 가선(1)과 같은 전압으로 될 때까지 충전된다.
입력 필터용 콘덴서(9)가 충전 후, 제어부(14)는 인버터(1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인버터(10)에 공급된 직류의 고압 전력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교류로 변환된다. 교류로 변환된 후, 변압부(11)에서 저압으로 변환되고, 정류부(12)에서 직류의 저압 전력으로 변환된다. 그 후, 평활 필터(13)에서 직류의 저압 전력이 평활화되어, 직류 부하(22) 및 맞닿은 다이오드(19)의 다이오드(20)에 공급된다.
맞닿은 다이오드(19)에서 다이오드(21)보다 다이오드(20)에 공급되는 전압 쪽이 높아지므로, 다이오드(20)로부터의 출력이 우선되어 전원으로서 제어부(14)에 공급된다.
전력 변환부(7)로부터 직류 부하(22)까지의 저압측에 합선 고장이 발생하여 전력 변환부(7)로부터의 출력을 얻을 수 없게 된 경우, 다이오드(20)에 공급되고 있던 전력의 전압이 다이오드(21)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의 전압보다 낮아지므로, 다이오드(21)로부터의 전력이 전원으로서 곧바로 제어부(14)에 공급된다. 제어부(14)는 전력 변환부(7)의 충전 스위치부(8), 인버터(10) 등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전력 변환부(7)의 동작의 정지를 실행한다.
다이오드(20)로부터의 전력이 제어부(14)에 공급되고 있는 동안, 비록 다이오드(21)로부터의 전력이 저전압이어서 전원 공급할 수 없지만, 기동부(15)는 동작을 정지하지 않고 제어부(14)에 언제라도 전력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스탠바이하 고 있다. 다이오드(20) 및 다이오드(21)의 전압의 대소 관계가 반전하면, 정류부(18)로부터 다이오드(21)를 통해 제어부(14)에 전원 공급된다.
맞닿은 다이오드(19)의 역할은 3개 있다. 우선, 기동부(15)로부터 직류 부하(22)로의 전력 공급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기동부(15)를 구성하는 회로 소자의 사용 빈도를 줄이기 위해서, 전력 변환부(7)가 기동하여 그 출력이 얻어지면, 제어부(14)로의 전력 공급원을 기동부(15)로부터 전력 변환부(7)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고장 등에 의해 전력 변환부(7)로부터의 출력을 얻을 수 없게 되면 기동부(15)의 출력이 전력 변환부(7)의 출력보다 고전압으로 되므로, 제어부(14)로의 전력 공급원이 전력 변환부(7)의 출력으로부터 기동부(15)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점이다.
또한, 차량 점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팬터그래프(2)와 퓨즈(4) 사이를 끊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직류 부하(22)가 백업용 배터리인 경우에는, 배터리 소비를 방지하기 위해, 평활 필터(13)와 백업용 배터리 사이가 적당히 절리되도록 접촉기를 설치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한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는, 전력 변환부(7)로부터 직류 부하(22)의 저압측에 합선 고장이 생겨 전력 변환부(7)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할 수 없게 된 경우, 스탠바이하고 있던 기동부(15)로부터의 전력이 맞닿은 다이오드(19)를 통해 즉시 제어부(14)로 공급되므로, 제어부(14)의 전원을 정전시키지 않고 제어부(14)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어부(14)로부터 전력 변환부(7)에 정상적으로 동작의 정지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제어부(14)에 의한 제어를 통상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 기동하는 자동 기동부(3)와, 제어부(14)에 의한 제어를 필요로 하는 전력 변환부(7)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동 기동부(3)까지의 동작이 수행된 후 제어부(14)의 기동이 필요하게 될 때, 처음으로 기동부(15)가 동작한다. 따라서, 제어부(14)가 불필요한 동안 기동부(15)의 동작이 억제된다.
또, 백업용 배터리 및 기동부로부터의 각 출력 전압의 맞닿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제어부에 전력 공급하는 것과 같은 구성에서는, 전체의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가 동작하고 있어도, 백업용 배터리 전압이 공급 가능 전압에 이르지 않으면, 공급 가능 전압에 충전될 때까지, 기동부에 의한 제어부로의 출력 공급이 계속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형태 1 과 같이 전력 변환부(7)와 기동부(15)의 각 출력 전압을 맞댄 경우,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에 백업용 배터리 전압이 불필요해지므로, 상기 예에 비해 기동 시 기동부(15)의 사용 시간이 전력 변환부(7)의 출력이 얻어지는 때까지로 되어 짧다. 따라서, 제어부(14)에 전력을 주는 기동부(15)의 사용 빈도가 매우 억제되어, 기동부(15)의 회로 소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 에서는 직류 전력만을 출력하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실시형태 2 에서는 교류 전력과 직류 전력 양쪽 모두를 출력하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 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23 은 전력 변환부, 24 는 인버터, 25 는 평활 필터, 26 및 27 은 변압부, 28 은 교류 부하이다. 교류 부하(28)는 에어콘 등의 교류 부하이다. 다른 부호는 실시형태 1 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이다.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자동 기동부(3)로부터의 직류의 고압 전력이 인버터(24)에 공급되면, 인버터(24)에서 교류의 고압 전력으로 변환된다. 인버터(24)는 교류로 변환하기 위한의 것이지만, 실시형태 1 과 같은 단상 출력에서는 없고, 3상 출력을 채용한다. 변압부(26)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평활 필터(25)에서 교류의 고압 전력을 평활화한다. 변압부(26)에서 저압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교류 부하(28)에 공급된다.
변압부(26)로부터의 교류의 저압 전력(단상 출력)이 변압부(27)에 공급된다. 공급된 전력은 변압부(27)에서 더욱 저압 전력으로 변환되고, 정류부(12)에서 교류로부터 직류로 변환된다. 평활 필터(13)로 평활화된 직류의 저압 전력은 직류 부하(22) 및 맞닿은 다이오드(19)의 다이오드(20)에 공급된다. 여기서는 변압부(27) 및 정류부(12)를 이용했지만, 그 대신 변압부(26)의 교류 3상 출력을 그대로 3상 브릿지 정류 회로를 이용하여 정류해도 된다.
전력 변환부(23)로부터의 출력이 얻어지면,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맞닿은 다이오드(19)의 다이오드(20)로부터의 출력이 제어부(14)에 전원으로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2 의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는 실시형태 1 에서의 차 량용 보조 전원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교류 부하와 직류 부하 양쪽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3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29 는 자동 기동부이며, 퓨즈(30)를 갖는다. 31 은 전력 변환부, 32 는 전자 접촉기부, 33 은 입력 필터용 리액터, 35 는 제어부이다. 다른 부호는 실시형태 1 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실시형태 1, 2 의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에서는, 기동 가능한 전압까지 전압강하시키는 저항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전자 접촉기부(5)를 자동 기동시켰으나, 차량을 사용하는 지역에 따라서는, 가선(1)의 전압이 너무 고압이어서 자동 기동 가능한 내압 특성을 갖는 전자 접촉기부가 없는 경우나, 전자 접촉기부가 자동 기동 가능한 전압까지 전압 강하시키기 위해 큰 저항이 필요하게 되어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대형화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3 의 구성에서는, 기동 시 제어부(35)의 지령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 기동부(29)는 퓨즈(30)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어부(35)의 지령을 필요로 하는 전력 변환부(31)에, 전자 접촉기부(32) 및 입력 필터용 리액터(33)가 설치되어 있다. 퓨즈(30)는 가선(1)으로부터 전력 변환부(31)로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부(35)는, 자동 기동부(29)로부터의 전압 등을 검지하여(미도시), 전자 접 촉기부(32)의 코일을 제어한다. 코일의 작용에 의해, 스위치부가 개폐한다. 전자 접촉기부(32)는 자동 기동을 위한 전압 강하용의 저항을 없게 하고,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다.
기동 시, 제어부(35)는 다이오드(21)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자동 기동부(29)로부터의 전력의 전압을 검지한다(미도시). 전력 변환부(31)가 허용할 수 있는 전압치보다 큰 경우, 전자 접촉기부(32)의 코일을 제어함으로써 스위치부가 오픈되어, 가선(1)으로부터의 과대한 전압에 대해 전력 변환부(31)가 보호된다. 한편, 허용 범위 내의 전압의 경우, 제어부(35)가 전자 접촉기부(32)의 코일을 제어함으로써 코일이 여자되고 스위치부가 닫혀서, 입력 필터용 리액터(33), 충전 스위치부(8), 입력 필터용 콘덴서(9)가 통전한다. 퓨즈(30), 전자 접촉기부(32)는 가선(1)으로부터의 전력에 대한 전력 변환부(31)의 입력 보호를 실행하는 보호부이다. 전자 접촉기부(32)는 제어부(35)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입력 필터용 콘덴서(9)가 충전한 후, 제어부(35)의 제어에 의해 인버터(10)가 동작하여 직류의 고압 전력이 교류로 변환된다. 또, 변압부(11), 정류부(12), 평활 필터(13)에 의해 직류의 저압 전력으로 변환된다. 전력 변환부(31)로부터의 출력이 얻어지면,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맞닿은 다이오드(19)의 다이오드(20)로부터의 출력이 제어부(35)에 전원으로서 공급된다.
실시형태 3 의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가선(1)의 전압이 너무 고압인 경우에도,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대형 화를 부르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동부의 사용 빈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전력 변환부의 출력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전력을 얻을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즉시 기동부로부터 제어부로 전력 공급을 개시함으로써 전력 변환부를 정상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차량에 있어서, 기동부의 사용 빈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전력 변환부의 출력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전력을 얻을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즉시 기동부로부터 제어부로 전력 공급을 개시함으로써, 전력 변환부를 정상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의 실현에 유용하다.

Claims (8)

  1. 가선으로부터의 직류의 제 1 전력을 직류의 제 2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가선으로부터의 상기 제 1 전력을 직류의 제 3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동부;
    상기 전력 변환부 및 상기 기동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력 또는 상기 제 3 전력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의 출력을 받아,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동 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 3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전력 변환부로부터 상기 제 2 전력이 출력된 후에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 2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공급되고 있는 제 2 전력의 전압이 상기 제 3 전력의 전압보다 낮아진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 3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57012388A 2005-06-30 2004-01-29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KR100719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2388A KR100719193B1 (ko) 2005-06-30 2004-01-29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2388A KR100719193B1 (ko) 2005-06-30 2004-01-29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65A KR20060058665A (ko) 2006-05-30
KR100719193B1 true KR100719193B1 (ko) 2007-05-16

Family

ID=3715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388A KR100719193B1 (ko) 2005-06-30 2004-01-29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977B1 (ko) 2008-09-11 2011-08-31 최인용 전동차 자동 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5300B1 (en) 2008-04-30 2013-11-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railway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8254A (ja) * 1996-05-09 1997-11-28 Toshiba Corp 補助電源装置
JP2002027601A (ja) * 2000-07-03 2002-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補助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8254A (ja) * 1996-05-09 1997-11-28 Toshiba Corp 補助電源装置
JP2002027601A (ja) * 2000-07-03 2002-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補助電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977B1 (ko) 2008-09-11 2011-08-31 최인용 전동차 자동 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65A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5874B2 (ja) 車両用補助電源装置
KR101629997B1 (ko)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위한 dc-링크 캐패시터 방전 장치
JP3245334B2 (ja) 電動車両の電源制御装置
KR102565896B1 (ko)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전기 충전 시스템
JP472716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0896245B (zh) 车辆电源装置
KR20120048572A (ko) 자동차 배전용 회로장치
EP3623199A1 (en) Vehicle power supply device
WO2012144079A1 (ja) 充電装置
WO2011055559A1 (ja) 給電システム
US20100109596A1 (en) Power supply appliance of a transport system
KR101220389B1 (ko) 친환경 차량의 전장부하 전원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0719193B1 (ko) 차량용 보조 전원 장치
JP3859105B2 (ja) ハイブリッド車用充電装置
KR20210010699A (ko) 차량용 전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7306778A (ja) Dc/dcコンバータ及びdc/dcコンバータの電源切替え方法
KR20180040004A (ko) 프리 차져
JP3232007B2 (ja) 車両用電源装置
JPH11252701A (ja) 車両用電源の離線補償装置
JPH06115836A (ja) エレベータのインバータ装置
JP6696690B2 (ja) 電力変換装置
JP2001320831A (ja) 電鉄用電気車
JP4449575B2 (ja) バッテリ充電装置
JPH1042550A (ja) 昇降圧チョッパの制御方法
JP3267204B2 (ja) トランス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