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758B1 -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758B1
KR101195758B1 KR1020120061204A KR20120061204A KR101195758B1 KR 101195758 B1 KR101195758 B1 KR 101195758B1 KR 1020120061204 A KR1020120061204 A KR 1020120061204A KR 20120061204 A KR20120061204 A KR 20120061204A KR 101195758 B1 KR101195758 B1 KR 10119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unit
load current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이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희 filed Critical 이태희
Priority to KR102012006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 트래킹형(load tracking type)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전원 장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비접촉식 방식으로 감싸는 것에 의해, 부하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을 통과시키는 코어; 상기 코어에 권취되어 상기 코어를 통과하는 자속에 의해 유기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코일; 각각 상기 출력 코일의 다른 지점에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달리하는 복수의 탭; 상기 복수의 탭에 연결되어 전압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부하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부하전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LOAD TRACKING TYPE NON-CONTACT POWER SUPPLIER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드 트래킹형(load tracking type)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하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용 전기기기 예를 들어, 개폐기 및 차단기 등에 제어 전원 또는 보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용 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가 사용된다. 지중선로에서 자동화용 중전기기류(전동조작형)는 전원용 변압기가 중전기기의 부속품으로 규정되어 있어 전원 확보가 가능하나, 수동형 개폐기의 경우에는 변압기를 이용한 전원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변압기를 이용한 직접 접촉 방식의 경우 별도의 전원 확보용 접속재나 붓싱(bushing)이 필요하고, 활성 상태에서는 부착이 어렵다.
이와 같이 변압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절연 케이블의 도체 외부에 전원용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를 설치하여 전원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 경우, 부하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속을 이용하여 제어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부하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속을 이용하는 경우, 부하 전류의 변동에 따라 전원 장치의 출력이 변동한다. 따라서, CT를 이용한 전원 장치의 경우, 부하 전류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원 장치를 설정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대용량 부하에 의해 전원 장치에 과도한 전압이 유기되는 경우, 전원 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부하 전류가 변동하더라도 출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전원 장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비접촉식 방식으로 감싸는 것에 의해, 부하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을 통과시키는 코어; 상기 코어에 권취되어 상기 코어를 통과하는 자속에 의해 유기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코일; 각각 상기 출력 코일의 다른 지점에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달리하는 복수의 탭; 상기 복수의 탭에 연결되어 전압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부하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부하전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된 부하전류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탭을 선택하고,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선택된 탭이 상기 출력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기 설정된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탭 중 제 1 탭은 상기 출력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체 전압을 출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탭이 출력하는 전체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부하 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부하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부하전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은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을 사용하여 전원 장치가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상의 부하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코일의 출력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케이블을 흐르는 부하 전류를 계측하는 계측 단계; 및 상기 출력 코일에 연결된 복수의 탭 중 상기 부하 전류에서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출력하는 탭과 상기 전원 장치의 출력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절체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가 출력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대응하여,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측 단계는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하 전류에 따라 출력 코일과 출력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탭의 선택적 연결을 통해 출력 전압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전원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비접촉식 전원장치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비접촉식 전원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저장부에 저장된 부하전류에 매칭되는 탭 정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원 장치는 부하 전류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출력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 내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원 장치는 부하 전류를 계측하고, 그 계측된 부하 전류에 기초하여, 출력 코일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전원 장치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전원 장치는 로드 트래킹(load tracking) 방식으로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전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전원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비접촉식 전원장치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비접촉식 전원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저장부에 저장된 부하전류에 매칭되는 탭 정보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비접촉식 전원 장치(1)는 케이스(1100), 케이블 통과부(1200), 코어(1300), 출력부(1400), 기판(1500), 출력 코일(16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0)는 내측에 양측이 개방된 중공형의 공간을 포함하며, 중공형의 공간은 케이블 통과부(1200)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0)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내측에 위치시키기 용이하도록 일측 상의 축을 중심으로 타측의 개방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0)는 클램프(clamp)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블 통과부(1200)를 통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케이스(11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코어(1300)는 케이블 통과부(1200) 또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코어(1300) 상에 케이블 상의 부하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이 통과할 수 있다. 코어(1300)는 링 형상 또는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코어(1300)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 상의 부하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인 한 본 발명의 코어에 속할 수 있다.
출력부(1400)는 케이스(1100) 일측에 형성되어, 배전용 전기기기에 제어 전원 또는 보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기판(1500)은 절체부(1510), 제어부(1520), 저장부(1530), 동기화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체부(1510)는 복수의 스위치(S1, S2, …, Sn)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스위치 각각은 탭(T1, T2, …, Tn)을 통해 출력 코일(1600)의 소정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탭(T1, T2, …, Tn)은 출력 코일(1600)의 각각 상이한 지점에 연결되어, 기준탭(T기준)을 기준으로 각각 상이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탭(T1, T2, …, Tn)은 기준탭(T기준) 관의 사이에 각각 상이한 턴(turn) 수가 포함되도록, 출력 코일(16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탭의 수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탭의 수는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경부하, 일반 부하, 중부하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절체부(1510)에 연결되는 탭은 3 개일 수 있다. 절체부(1510)는 제어부(15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On)/오프(Off)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 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체부(1510) 내의 스위치가 3개(n=3)인 경우를 가정하면, 중부하에 따른 부하 전류인 경우,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절체부(1510)의 스위치 중 S3이 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반 부하에 따른 부하 전류인 경우, 제어부(15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절체부(1510)의 스위치 중 S2가 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경부하에 따른 부하 전류인 경우,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절체부(1510)의 스위치 중 S1이 온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로서 반도체 스위칭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반도체 스위칭 소자는 전원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그 동작 속도가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20)는 전류 계측부(1521)와 출력 전압 조정부(15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20)는 상시 또는 기 설정된 주기로 활성 모드(Active mode)에서, 부하 전류를 계측하고, 그 계측된 부하 전류를 토대로 절체부(1510)의 절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520)는 평상시에는 아이들 모드(idle mode, 저전력 모드 또는 sleep mode)에 있다가, 동기화부(1540)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활성 모드로 전환되어 위와 같은 부하 전류의 계측 및 절체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520)는 계속하여 활성 모드에 있다가, 동기화부(154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 때에만, 위와 같은 부하 전류의 계측 및 절체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류 계측부(1521)는 케이블을 통과하는 부하 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류 계측부(1521)는 기준탭(T기준)과 전류 계측용 탭(T계측)을 통해 출력 코일(16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계측용 탭(T계측)은 출력 코일(1600)에 의해 유도되는 전체 전압을 출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류 계측부(1521)는 기 공지된 방식으로 출력 코일(1600)이 출력하는 전압을 사용하여 부하 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계측부(1521)는 기준탭(T기준)과 전류 계측용 탭(T계측)과 폐루프를 형성하는 저항을 포함하고, 그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부하 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에 불과하며, 전류 계측용 탭(T계측)은 출력 코일 임의의 지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 계측용 탭(T계측)의 위치를 부하 전류값의 산정시 반영하는 것에 의해, 부하 전류가 계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계측용 탭(T계측)이 출력 코일(1600) 중간에 연결된 경우, 기준탭(T기준)과 전류 계측용 탭(T계측) 간의 전압을 사용하여 산출한 부하 전류값에 2를 곱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상의 부하 전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종래 CT(Current Tranformer)를 사용해 케이블 상의 전류를 계측하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부하 전류 계측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한다.
출력 전압 조정부(1522)는 전류 계측부(1521)가 산출한 부하 전류에 기초하여, 절체부(1510)의 절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출력 전압 조정부(1520)는 저장부(1530)에 저장된 도 4에서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절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530)는 도 4와 같은 출력부(1400)가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부하 전류 범위 별 탭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이 10 내지 15V인 경우, 부하 전류 i1~i2에서 T1이 10 내지 15V를 출력하도록 T1이 출력 코일(1600) 상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부하 전류 i3~i4에서 T2가 10 내지 15V를 출력하도록 T2가 출력 코일(1600) 상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부하 전류 in~in+1에서 Tn이 10 내지 15V를 출력하도록 Tn이 출력 코일(1600) 상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30)에는 이와 같은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부하 전류 범위 별 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출력 전압 조정부(1522)는 전류 계측부(1521)가 산출한 부하 전류 및 위와 같이 저장부(1530)에 저장된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부하 전류 범위 별 탭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부하 전류에서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탭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절체부(1510) 상의 복수의 탭 중 그 선택된 탭 만이 온되도록 제어 신호를 절체부(1510)로 출력하는 것에 의해,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 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1530)에는 전류 계측부(1521)가 부하 전류를 계측하는데 사용하는 알고리즘 및 변수, 줄력 전압 조정부(1522)가 탭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부하 전류 범위 별 탭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동기화부(1540)는 출력부(14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 동기화부(1540)는 제어부(1520)로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1520)가 전류 계측 및 절체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부(1540)는 기 설정된 범위의 하한값을 기준 전압으로 하는 제 1 비교기, 기 설정된 범위의 상한값을 기준 전압으로 하는 제 2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400)의 출력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 제 1 비교기가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부(1400)의 출력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 초과인 경우, 제 2 비교기가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출력부(1400)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기화부(1540)는 출력부(1400)의 모니터링에 따라,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 제어부(1520)로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코일(1600)은 코어에 권취되어, 코어를 통과하는 자속에 의해 유기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코일(1600)의 소정 지점에 앞서 본 바와 같이, 절체부(1510) 상의 탭(T1, T2, …, Tn), 기준탭(T기준), 전류 계측용 탭(T계측)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탭의 수 및 위치는 전원 장치 설계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3의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 요소는 생략된 채로 실시될 수도 있다. 예들 들어, 상시로 또는 기 설정된 주기로 부하 전류를 계측하는 경우, 동기화부는 생략된 채로 실시될 수 있다. 다만, 전원 장치가 소모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기화부를 포함시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는 예시에 불과하며, 앞서 설명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별도의 모듈 또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전원 장치를 사용한 전원 공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 의해, 앞서 본 비접촉식 전원 장치의 구성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가장 먼저, 전류 계측부(1510)가 동기화부(1540)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부하 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S501, S502). 이때, 제어부(1520)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아이들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류 계측부(1510)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동기화 신호 수신시까지 대기할 수 있다(S501).
그리고,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출력 전압 조정부(1522)는 전류 계측부(1510)에 의해 계측된 부하 전류에 매칭되는 탭을 선택할 수 있다(S503). 이때, 출력 전압 조정부(1522)는 저장부(1530)에 저장된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부하 전류 범위 별 탭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전압 조정부(1522)는 절체부(151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절체부(1510)가 복수의 스위치 중 S503에서 선택된 탭 만을 온시키는 절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504).
도 5의 프로세스는 그 전체 또는 일부로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501이 생략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류 계측부(1521) 및 출력 전압 조정부(1522)는 동기화 신호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주기로 부하 전류를 계측하고, 그 계측된 부하 전류를 토대로 절체부의 절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전원 장치 1100: 케이스 1200: 케이블 통과부
1300: 코어 1400: 출력부 1500: 기판
1510: 절체부 1520: 제어부 1521: 전류 계측부
1522: 출력 전압 조정부 1530: 저장부
540: 동기화부 1600: 출력코어

Claims (6)

  1. 내측에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양측이 개방된 케이블 통과부를 포함하는 밀폐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 통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비접촉식 방식으로 감싸는 것에 의해, 부하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을 통과시키는 하나의 코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에 권취되어 상기 코어를 통과하는 자속에 의해 유기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코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각각 상기 출력 코일의 다른 지점에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달리하는 복수의 탭;
    상기 케이스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탭에 연결되어 전압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하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부하전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탭 중 제 1 탭은 상기 출력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체 전압을 출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탭이 출력하는 전체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부하 전류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된 부하전류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탭을 선택하고,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선택된 탭이 상기 출력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기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원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부하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부하전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원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20061204A 2012-06-08 2012-06-08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KR10119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04A KR101195758B1 (ko) 2012-06-08 2012-06-08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04A KR101195758B1 (ko) 2012-06-08 2012-06-08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758B1 true KR101195758B1 (ko) 2012-11-05

Family

ID=4756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204A KR101195758B1 (ko) 2012-06-08 2012-06-08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7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981B1 (ko) * 2013-06-25 2015-03-05 정동열 버스 바 연결 자계 변환 전원 공급 장치
KR101498978B1 (ko) * 2013-06-25 2015-03-05 정동열 자계 변환 전원 공급 장치
KR20170099037A (ko) * 2016-02-22 2017-08-31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KR20170121551A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WO2018026233A1 (ko) * 2016-08-05 2018-02-08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1925182B1 (ko) * 2016-08-04 2018-12-06 장성일 변류기 기반의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KR101925183B1 (ko) 2016-08-04 2018-12-06 장성일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WO2021049757A1 (ko) * 2019-09-09 2021-03-18 주식회사 이진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981B1 (ko) * 2013-06-25 2015-03-05 정동열 버스 바 연결 자계 변환 전원 공급 장치
KR101498978B1 (ko) * 2013-06-25 2015-03-05 정동열 자계 변환 전원 공급 장치
KR20170099037A (ko) * 2016-02-22 2017-08-31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KR102519908B1 (ko) * 2016-02-22 2023-04-11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KR20170121551A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KR102512780B1 (ko) 2016-04-25 2023-03-22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KR101925183B1 (ko) 2016-08-04 2018-12-06 장성일 변류기 기반의 전자기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KR101925182B1 (ko) * 2016-08-04 2018-12-06 장성일 변류기 기반의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CN109690902A (zh) * 2016-08-05 2019-04-26 阿莫善斯有限公司 电流互感器模块和包括该电流互感器模块的电源
KR20190105529A (ko) * 2016-08-05 2019-09-17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US10923274B2 (en) 2016-08-05 2021-02-16 Amosense Co., Ltd. Current transformer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74091B1 (ko) * 2016-08-05 2021-07-08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CN109690902B (zh) * 2016-08-05 2022-07-19 阿莫善斯有限公司 电流互感器模块和包括该电流互感器模块的电源
WO2018026233A1 (ko) * 2016-08-05 2018-02-08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WO2021049757A1 (ko) * 2019-09-09 2021-03-18 주식회사 이진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758B1 (ko) 로드 트래킹형 비접촉식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CN105467184B (zh) 无线罗戈夫斯基线圈系统
ES2798754T3 (es) Aparato controlable para cortar una corriente eléctrica y conjunto eléctrico que comprende este aparato
KR101759598B1 (ko) 변류기 2차 회로 개방 감지 기능을 갖는 디지털 계전기
KR101740861B1 (ko)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CA2815464C (en) Inrush current suppressing device
CN111194411A (zh) 用于测量预期短路电流的方法和设备
NL2002457C2 (nl) Eindgebruiker-elektriciteitsnetwerk, gebruik, werkwijze en samenstel.
JP2009089574A (ja) 漏電遮断器
US7711502B2 (en) Power switching control apparatus
KR100765344B1 (ko) 전기식 및 전자식 겸용 전압전류검출장치
KR102565466B1 (ko) 퓨즈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컷 오프 스위치
KR101878824B1 (ko) 휴대용 지중케이블 활선 검출장치
US10424912B2 (en) Phase control device
US202201020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operation of a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ed switching applications
KR101679024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정격전류 가변식 전류차단기 및 전류차단 시스템
JP6771179B2 (ja) 電力計測システム
US8817442B2 (en) Switch comprising a testable current transformer, and method for testing a current transformer of a switch
JP6249211B2 (ja) 通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配線遮断器、並びに分電盤
CN109391211A (zh) 具有增强编程的pow切换装置
EP2875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dentifying or locating current sensors
US9455564B2 (en) Current and voltage module and methods of monitoring current and voltage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JP2019002812A (ja) 絶縁抵抗計測システム、分電盤、絶縁抵抗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68700B1 (ko) 과전류 보호장치가 없는 누전차단기 및 그의 감도전류 설정방법
KR101679027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정격전류 가변식 전류차단기 및 전류차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