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680A -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가청식 표시기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가청식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680A
KR20180015680A KR1020177037821A KR20177037821A KR20180015680A KR 20180015680 A KR20180015680 A KR 20180015680A KR 1020177037821 A KR1020177037821 A KR 1020177037821A KR 20177037821 A KR20177037821 A KR 20177037821A KR 20180015680 A KR20180015680 A KR 20180015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lient
state
drug delivery
members
resilient re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530B1 (ko
Inventor
카르슈텐 모제바흐
토마스 마크 켐프
루이즈 호지슨
윌리엄 티미스
Original Assignee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7Means providing feedback signals when administration is comple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5/31505Integral with the syringe barrel, i.e. connected to the barrel so as to make up a single complete piece 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02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only mechan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making noise when used correc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100 dB 볼륨의 청각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가청식 표시기(13, 113, 213, 313, 413, 513, 613)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가청식 표시기
본 발명은 가청식 표시기를 구비한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액을 투여하는 일은 사용자와 의료직 종사자들에게 정신적, 육체적으로 많은 위험과 어려움을 주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주사 장치는 수동 장치 및 자동 주사기 등 두 가지 부류로 나뉜다. 종래 수동 장치에서는 주사바늘을 통해 약제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람이 힘을 가해야 했다. 통상 이 동작은 주사를 놓는 동안 일정 형태의 버튼/플런저를 계속 누르는 것으로 행해진다. 이 접근법은 사용자 입장에서 불리한 점이 많다. 예를 들어, 버튼/플런저가 너무 이르게 해제되면, 주사 동작이 중단되어, 의도한 용량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가 고령자이거나 어린 아이라면) 버튼/플런저를 누르는데 필요한 힘이 너무 클 수도 있다. 또한, 주사 장치를 정렬하고, 주사액을 투여하고, 주사를 놓을 때 주사 장치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일에 정교한 손 동작이 요구될 수 있는데, 일부 환자(예컨대, 고령 환자, 어린이, 관절염 환자 등)는 이를 못 할 수 있다.
자동 주사 장치는 환자들이 더 쉽게 자가주사를 놓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다. 종래의 자동 주사기는 주사액을 투여하기 위한 힘을 스프링을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주사 동작을 활성화하기 위해 트리거 버튼 또는 다른 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자동 주사기는 일회용 장치이거나 또는 재사용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환자 내 약제가 온전한 효력을 발휘하도록 전용량을 투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가청식 표시기를 구비한 약물 전달 장치가 여전히 필요하다. 기존의 표시기는 기존의 자동 주사기 및 기타 다른 약물 전달 장치에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조용하거나 지나치게 부피가 크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이 본원에 기술되는 가청식 표시기에 의해 해결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적어도 100 dB 볼륨의 청각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청각적 신호는 사용자에게 약물 전달 장치의 상태를 알리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청식 표시기는 약물 전달 장치 안에 있던 약제의 전용량이 소모되었음을 환자나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는 약제 전달 종료 및 환자 내 약제의 온전한 효력에 대한 신뢰성 있는 표시를 실현하도록 개선되었다
기계적 가청식 표시기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구성요소만 포함할 뿐, 음향 발생기, 스피커 또는 배터리와 같은 전자적 구성요소들을 전혀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필요한 자원량을 감소시키고 비용을 절감한다.
적어도 100 dB 볼륨의 청각적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고령의 사용자나 그 외에 청각-장애를 지닌 사용자가 약물 전달 장치의 상태를 알게 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가청식 표시기는 약제 컨테이너로부터 약제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플런저의 이동에 의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약제 전달 과정 종료 시에 플런저가 근위 위치 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청식 표시기가 활성화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약물 전달이 끝났음을 사용자가 알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의도된 용량이 전달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약물 전달 장치는 주사 부위로부터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가청식 표시기는 두 개의 상이한 입체형태(conformation)를 갖는 두 가지 상태 중 임의의 하나에 있도록 구성된 탄력복원성 부재를 포함한다. 이완 상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제1 입체형태로 이완된다. 편향 상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상기 제1 입체형태와 상이한 제2 입체형태로 변형되어 에너지를 저장한다. 제2 입체형태에서 제1 입체형태로의 전환으로 인해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바뀔 때 탄력복원성 부재는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하여 청각적 신호를 발생한다.
약제 컨테이너로부터 약물을 이동시키는 데 이용되는 플런저의 이동에 의해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제 전달 과정 종료 시 플런저가 근위 위치를 향해 이동하거나 근위 위치에 도달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축을 갖는 리프 스프링을 포함하며, 여기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축을 중심으로 특정 각도로 굽혀져(bent) 두 개의 각진 날개형상 부분들을 형성한다. 이 덕분에 가청식 표시기의 준비 작업을 매우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리프 스프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진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쌍안정 스프링 요소로 구성된다. 편향 상태에 있는 탄력복원성 부재를 지지함으로써 이완 상태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쌍안정 스프링 요소는 외부 구성요소로부터의 지지 없이 유지될 수 있는 두 가지의 안정 상태 또는 입체형태들을 가진다. 쌍안정 스프링 요소를 한 안정 상태 또는 입체형태에서 다른 한 안정 상태 또는 입체형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써서 쌍안정 스프링 요소를 중간 상태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런 후 이 에너지는 쌍안정 스프링이 중간 상태에서 벗어나 상기 안정 상태들 중 하나로 이동할 때 방출된다.
쌍안정 리프 스프링은 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날개형상 부분의 하나 이상 바깥측 가장자리 상의 장력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쌍안정 리프 스프링이 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날개형상 부분의 가운데 영역 내의 압축력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것 역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전달 장치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지지되며, 약물 전달 장치가 준비 상태(primed state)에 있을 때에는 탄력복원성 부재가 지지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약물 전달 장치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와 준비 상태에 있을 때에는 후방측 용기 상에 배치된 지지 돌출부에 의해 탄력복원성 부재의 근위 스프링 부분이 지지되는 등으로 탄력복원성 부재가 지지되거나, 또는 탄력복원성 부재는 편향 상태에 있을 때 지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근위 플런저 부분이 원위 스프링 부분에 맞닿게 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 있을 때 원위 스프링 부분은 중간 스프링 부분 또는 근위 스프링 부분에 대한 종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굽혀진다.
예를 들어, 가청식 표시기는 돌기(예컨대, 후크-유사 돌기)를 포함하며, 이때 돌기는 원위 스프링 부분 상에 배치되고, 주사바늘 덮개 상에 위치한 지지용 리브에 의해 지지된다. 후크-유사 돌기와 지지용 리브 간의 결합에 의해 보관 및 이송 시 탄력복원성 부재의 조기 활성화가 방지된다.
대안으로, 플런저에 결합되며 원위 스프링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칼라부(collar)가 제공될 수 있다. 원위 스프링 부분과 칼라부 간의 결합에 의해 보관 및 이송 시 탄력복원성 부재의 조기 활성화가 방지된다.
대안적 실시형태에 의하면, 약물 전달 장치가 초기 상태와 준비 상태에 있을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지지되며, 이때 탄력복원성 부재의 근위 스프링 부분은 후방측 용기 상에 배치된 지지 돌출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주사바늘 덮개의 활성화 리브가 근위 스프링 부분에 맞닿게 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바뀔 수 있으며,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 있을 때 근위 스프링 부분은 원위 스프링 부분에 대한 종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굽혀진다.
또 다른 대안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편향 상태일 때 탄력복원성 부재는 지지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력복원성 부재는 근위 스프링 부분과 원위 스프링 부분을 포함하며,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 있을 때 원위 스프링 부분은 근위 스프링 부분에 대한 종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굽혀진다. 이에 따라, 근위 플런저 부분이 원위 스프링 부분에 맞닿게 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대안으로, 탄력복원성 부재는 킹크 팁(kink tip)을 포함하며, 근위 플런저 부분이 꼬인 팁에 맞닿게 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상기 쌍안정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방향 굽힘부를 중심으로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이 서로에 대해 약 130도 내지 약 1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굽혀진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는 130도 내지 140도, 또는 140도 내지 155도, 또는 132도 내지 142도, 또는 134도 내지 140도, 또는 136도 내지 138도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상기 각도는 대략적으로 혹은 정확하게 136도 또는 137도 또는 138도 또는 148도 또는 152도이다.
대안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단안정 스프링 요소로 구성된다. 쌍안정 스프링 요소와 달리, 단안정 스프링 요소는 한 가지 안정 상태만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안정 상태에서 벗어나 탄력적으로 변형된 후 이완된다면, 단안정 스프링 요소는 상기 안정 상태로 되돌아갈 것이다. 단안정 스프링 요소를 불안정 상태에 유지하기 위해서는 불안정 상태에 있는 단안정 스프링 요소를 지지하는 추가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후방측 용기 상에 배치되는 가요성 암의 지지를 받아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 머물게 되며, 가요성 암은 플런저의 외주연에 의해 편향된다. 이에 따라, 가요성 암이 해제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대안으로, 후방측 용기 상에 배치되는 캔틸레버 빔의 지지를 받아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 머물게 되며, 캔틸레버 빔은 플런저의 외주연에 의해 편향된다. 이에 따라, 캔틸레버 빔이 해제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단안정 리프 스프링은 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날개형상 부분의 하나 이상 바깥측 가장자리 상의 장력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단안정 리프 스프링이 에너지를 하나 이상의 날개형상 부분의 가운데 영역 내의 압축력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것 역시 알려져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가청식 표시기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입체형태를 갖는 두 가지 이상의 상태에 있도록 구성된 탄력복원성 부재를 포함하며,
- 이완 상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제1 입체형태로 이완되고,
- 편향 상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상기 제1 입체형태와 상이한 제2 입체형태로 편향되어 에너지를 저장하며,
- 탄력복원성 부재는 상기 제2 입체형태에서 상기 제1 입체형태로 전환됨으로 인해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바뀔 때,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하여 청각적 신호를 발생하고,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축을 가진 리프 스프링을 포함하며,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축을 중심으로 특정 각도로 굽혀져 두 개의 각진 날개형상 부분을 형성하고,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방향 굽힘부를 중심으로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이 서로에 대해 약 130도 내지 약 1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굽혀진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는 130도 내지 140도, 또는 140도 내지 155도, 또는 132도 내지 142도, 또는 134도 내지 140도, 또는 136도 내지 138도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상기 각도는 대략적으로 혹은 정확하게 136도 또는 137도 또는 138도 또는 148도 또는 152도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은:
-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 탄력복원성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 탄력복원성 부재를 종방향 굽힘부를 중심으로 굽혀서 탄력복원성 부재를 서로에 대해 각지게 구부러진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으로 나누어, 탄력복원성 부재가 제1 입체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단계와,
- 탄력복원성 부재를 종방향 굽힘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를 이완 상태에서 편향 상태로 전환시켜, 탄력복원성 부재가 제2 입체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단계와,
- 탄력복원성 부재를 용기 안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방향 굽힘부를 중심으로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이 서로에 대해 약 130도 내지 약 1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굽혀진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는 130도 내지 140도, 또는 140도 내지 155도, 또는 132도 내지 142도, 또는 134도 내지 140도, 또는 136도 내지 138도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상기 각도는 대략적으로 혹은 정확하게 136도 또는 137도 또는 138도 또는 148도 또는 152도이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를 축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이후, 탄력복원성 부재가 활성화되어 제1 입체형태로 되돌아가며, 탄력복원성 부재를 용기 안에 삽입시키는 단계 이전에, 탄력복원성 부재는 축을 중심으로 다시 탄력적으로 편향되어 제2 입체형태를 취하게 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용기는 후방측 용기와 전방측 용기를 포함하며, 탄력복원성 부재는 후방측 용기 안에 삽입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그의 종축이 약물 전달 장치의 종방향 연장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후방측 용기 안에 삽입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가청식 표시기는 스냅 연결에 의해 약물 전달 장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탄력복원성 부재 상의 하나 이상의 탭이 용기에 형성된 다수의 상응하는 개구에 결합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스크류, 리벳 연결과 같은 마찰식 연결에 의하거나 억지 끼워맞춤 등에 의해 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는 제어 서브어셈블리와 구동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서브어셈블리는 플런저, 구동 스프링 및 후방측 용기를 포함한다. 제어 서브어셈블리는 캡, 주사바늘 덮개 및 전방측 용기를 포함한다. 조립 시, 주사바늘과 보호용 주사바늘 집이 부착되어 있는 주사기를 원위 방향으로 상기 제어 서브어셈블리 안에 삽입한다. 그런 후, 구동 서브어셈블리를 원위 방향으로 제어 서브어셈블리 안에 삽입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은 탄력복원성 부재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에 대체로 반대측에 위치한 탄력복원성 부재의 제2 단부까지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종축을 중심으로 탄력복원성 부재를 굽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부는 탄력복원성 부재의 원위 단부일 수 있고, 제2 단부는 탄력복원성 부재의 근위 단부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축을 중심으로 굽혀질 수 있거나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이 서로에 대해 약 130도 내지 약 1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굽혀질 수 있다.
이러한 굽힘 단계는 탄력복원성 부재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종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각지게 구부러진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두 부분이 대략 동일한 형상이나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굽힘 단계를 통해, 탄력복원성 부재가 제1 입체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조립 방법은 탄력복원성 부재를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A)축을 중심으로 휘거나(flex)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굽히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휨 단계는 탄력복원성 부재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의 상태를 이완 상태(S1)에서 편향 상태(S2)로 전환시킨다. 편향 상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상기 제1 입체형태와 상이한 제2 입체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편향 상태는, 제2 입체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어떠한 추가적 힘도 탄력복원성 부재에 가해지지 않는 등,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예컨대, 쌍안정). 또한 편향 상태는, 제2 입체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적 힘 또는 고정력이 탄력복원성 부재에 가해지는 등, 지지를 받아 유지될 수도 있다(예컨대, 단안정). 쌍안정 부재를 S2에서 S1로 전환시키는 일에는 탄력복원성 부재에 추가적 힘을 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는 한편, 단안정 부재를 S2에서 S1로 전환시키는 일에는 탄력복원성 부재로부터 고정력을 적어도 일부 없애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S2에서 S1로 전환되면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놀랍게도 큰 음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약물 전달 장치의 탄력복원성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력복원성 부재를 약물 전달 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품에 고정 결합시키거나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 결합 방식은 공성형(co-molding), 접착제 또는 케미컬 본딩,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능한 결합 방식은 탄력복원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보적 리세스 안에 위치시키는 것, 또는 탄력복원성 부재에 하나 이상의 상보적 리세스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력복원성 부재는 주사기 캐리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상보적 리세스 안에 대체로 끼워 맞춰지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탄력복원성 부재 상의 다양한 위치에 자리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는 또한 하나 이상의 상보적 리세스나, 또는 돌출부-리세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리세스를 배치하면 효율적인 구성요소 이송, 탄력복원성 부재 준비, 구성요소 조립, 또는 장치 조립이 수월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주사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주사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은:
- 적어도 100 dB 볼륨의 청각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종방향 굽힘부를 가진 탄력복원성 부재의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의 이동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의 이동은 플런저의 이동에 의해 활성화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플런저는 약제 전달 과정이 종료되는 무렵에 탄력복원성 부재를 이동시킨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축을 중심으로 특정 각도로 굽혀져, 두 개의 각지게 구부러진 날개형상 부분을 형성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이완 상태로의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지지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지지되며, 약물 전달 장치가 준비 상태에 있을 때에는 탄력복원성 부재가 지지되지 않는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와 준비 상태에 있을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지지되며, 후방측 용기 상에 배치된 지지 돌출부에 의해 탄력복원성 부재의 근위 스프링 부분이 지지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편향 상태에서 지지되지 않는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근위 플런저 부분이 원위 스프링 부분에 맞닿게 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되며,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 있을 때 원위 스프링 부분은 중간 스프링 부분 또는 근위 스프링 부분에 대한 종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원위 스프링 부분에 형성된 돌기는 주사바늘 덮개에 배치된 지지용 리브에 의해 지지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플런저에 칼라부가 결합되어 원위 스프링 단부를 지지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주사바늘 덮개의 활성화 리브가 근위 스프링 부분에 맞닿게 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이되며,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 있을 때 근위 스프링 부분은 원위 스프링 부분에 대해 종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는 킹크 팁(kink tip)을 포함하며, 근위 플런저 부분이 킹크 팁에 맞닿게 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가 편향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쌍안정 탄력복원성 부재는 종방향 굽힘부를 중심으로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이 서로에 대해 약 130도 내지 약 1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굽혀진다.
본 발명의 추가 적용 범위는 이하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이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 내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명백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구체 예들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단지 예시 목적으로 주어지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단지 예시 목적으로 주어지며, 따라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이하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사전 조립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준비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후방측 용기, 플런저 및 준비 상태의,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의 힘-굽힘 변형 곡선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6은 이완 상태에 있는, 도 4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는 후방측 용기, 플런저 및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준비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이완 상태에 있는 도 10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사전 조립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4는 후방측 용기, 플런저 및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5는 준비 상태에 있는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이완 상태에 있는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도 15에 따른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사전 조립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9는 후방측 용기, 플런저 및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0은 편향 상태에 있는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초기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편향 상태에 있는 도 20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준비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이완 상태에 있는 도 20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사전 조립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5는 칼라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6은 후방측 용기, 플런저, 도 25에 따른 칼라부 및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7은 편향 상태에 있는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초기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5에 따른 칼라부를 포함한, 도 23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절결부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준비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이완 상태의 도 27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31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사전 조립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3은 후방측 용기, 플런저 및 상기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4는 편향 상태에 있는 상기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준비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35는 이완 상태에 있는 도 34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7은 사전 조립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8은 후방측 용기, 플런저 및 상기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서브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9는 편향 상태에 있는 상기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준비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40은 이완 상태에 있는 상기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유사한 부분들은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하였다.
본원에서, "원위 부분/단부"란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부분들/단부들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장치 사용 시 환자에 약제가 전달되는 부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다. 유사하게, "근위 부분/단부"란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부분들/단부들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장치 사용 시 환자에 약제가 전달되는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6은 아래에 더 설명되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청식 표시기(13)의 제1 실시형태를 각각 보여 준다.
도 1은 자동 주사기로 구성된 약물 전달 장치(1)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1)는 전방측 용기(2.1)와 후방측 용기(2.2)를 갖춘 용기(2)를 포함한다. 용기(2)는 주사기와 같은 약제 컨테이너(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이하, 약제 컨테이너를 "주사기(3)"로 지칭한다). 주사기(3)는 그 안에 약제(M)를 담고, 원위 단부에 주사바늘(4)이 배치되어 구비된 사전충전식 주사기, 특히 1.0 ml 사전충전식 주사기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약제 컨테이너(3)는 카트리지일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는 약제(M)를 그 안에 담고, 착탈식 주사바늘과 (예컨대, 나사, 스냅, 마찰식 등으로) 결합되어 있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주사바늘(4)에 결합되는 보호용 주사바늘 집(sheath)(5)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호용 주사바늘 집(5)은 주사바늘(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용 주사바늘 집(5)은 고무와 전소성 또는 부분소성 쉘로 이루어진 고무재질의 주사바늘 집이거나 단단한 주사바늘 집일 수 있다.
주사기(3)를 근위 쪽으로 밀봉하고, 주사기(3)에 담겨 있는 약제(M)를 주사바늘(4)을 통해 이동시키기 위해, 주사기(3) 내부에 정지부(6)가 제공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1)는, 용기(2)에 접철식으로 신축성 있게(telescopically) 결합되고 용기(2)에 상대적으로 제1 연장 위치(주사바늘(4)이 커버되는 위치)와 용기(2)에 상대적으로 후퇴 위치(주사바늘(4)이 노출되는 위치) 간에 이동가능한 주사바늘 덮개(7)를 포함한다. 또한, 주사바늘 덮개(7)를 용기(2)에 대하여(對) 원위 쪽으로 편향시키도록 덮개 스프링(8)이 배치된다.
또한, 구동 스프링(9)이 용기(2)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플런저(10)는 구동 스프링(9)의 힘을 정지부(6)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플런저(10)의 속이 비어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플런저(10)의 내부에 구동 스프링(9)이 배치되어 플런저(10)를 용기(2)에 대하여 원위 쪽으로 편향시킨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10)의 속이 꽉 차 있을 수 있으며, 구동 스프링(9)이 플런저(10)의 근위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구동 스프링(9)은 플런저(10)의 외경 둘레를 감고 있으며, 주사기(3) 내부에서 연장된다. 플런저(1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된 근위 플런저 부분(10.1)과 원위 플런저 부분(1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근위 플런저 부분(10.1)의 직경이 원위 플런저 부분(10.2)의 직경보다 크다(도 1, 도 4 및 도 6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
그 외에도, 약물 전달 장치(1)는 용기(2)의 원위 단부에, 구체적으로는 전방측 용기(2.1)의 원위 단부에, 착탈식으로 놓일 수 있는 캡(11)을 포함한다. 캡(11)에는 파지 특징부(11.1)가 포함되어 있어, 예컨대 캡(11)을 비틀고/비틀거나 용기(2)에서 잡아 당겨 캡(11)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캡(11)은 보호용 주사바늘 집(5), 용기(2) 및/또는 주사바늘 덮개(7)와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파지 요소(11.2), 예컨대 바브, 후크, 협소 부분(narrowed sectio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사바늘 덮개(7)가 용기(2)에 상대적으로 후퇴하기 전에 플런저(10)가 해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리고 일단 주사바늘 덮개(7)가 충분히 후퇴한 후에는 플런저(10)를 해제시키기 위해 플런저 해제 기구(12)가 배치된다.
또한, 캡(11)이 제자리에 있을 때 주사바늘 덮개(7)가 용기(2)에 상대적으로 후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덮개 체결 기구(shroud lock mechanism)(14)가 배치되며, 이로써 배송 또는 포장 등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예컨대 바닥에 떨어진 경우 약물 전달 장치(1)가 의도치 않게 활성화되는 것을 피하게 된다. 덮개 체결 기구(14)는 캡(11) 상의 하나 이상의 유연성 빔(compliant beam)(11.3), 및 주사바늘 덮개(7) 안에 형성되어 이들 유연성 빔(11.3) 각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이에 상응하는 개수의 구멍들(7.6)을 포함할 수 있다.
캡(11)이 약물 전달 장치(1)에 부착되어 있을 때, 이들 유연성 빔(11.3)은 용기(2) 상의 반경방향 멈춤부(2.15)에 맞닿게 되어, 유연성 빔(11.3)이 구멍(7.6)에서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캡(11)이 약물 전달 장치(1)에 부착되어 있을 때, 용기(2)에 맞닿은 캡(11)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11.4)는 용기(2)에 상대적인 캡(11)의 축방향 근위 이동을 제한한다.
캡(11)을 용기(2)에서 원위 쪽으로 잡아 당길 때, 유연성 빔(11.3)이 구멍(7.6)의 한 가장자리에 맞닿아 변형될 수 있어 구멍(7.6)과 결합 해제됨으로써 캡(11)과 캡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용 주사바늘 집(5)이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는, 유연성 빔(11.3) 및/또는 구멍(7.6)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유연성 빔(11.3)이 구멍(7.6)으로부터 결합 해제될 때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약제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나 환자에 나타내기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3)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가청식 표시기(13)는 약제(M)의 전용량이 소모되었음을 환자나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3)를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3)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 2는 사전 조립된 상태의, 그리고 도 3은 준비 상태의, 가청식 표시기(13)를 보여 준다.
가청식 표시기(13)는 예컨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탄력복원성 부재(13.1)를 포함하며, 가청식 표시기의 종축(L)이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외주연의 가장 긴 변에 평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다른 실시형태들에서는 탄력복원성 부재(13.1)가 가청식 표시기(13)를 자동 주사기(1)에 결합시키는데 적합한 삼각형 형상 또는 기타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탄력복원성 물질, 예컨대 스프링 스틸 또는 스프링 플라스틱을 함유한 단안정 리프 스프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두 가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즉,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두 개의 상이한 입체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외력이 제한적으로 또는 전혀 가해지지 않았을 때 안정적인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불안정적인 형태이다. 예를 들어, 이들 두 가지 상태는 탄력복원성 부재(13.1)가 제1 입체형태를 갖는 제1 또는 이완 상태(S1)(또는 사전 조립 상태 혹은 트리거된 상태)와, 탄력복원성 부재(13.1)가 제2 입체형태를 가질 수 있는 제2 또는 편향 상태(S2)(또는 준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이완 상태(S1)에 있으며, 이 상태는 사전 조립 상태 및 약제 전달이 종료되었을 때의 상태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종방향 굽힘부(longitudinal bend)(13.2)를 포함한다. 종방향 굽힘부(13.2)는 종축(L)에 평행하게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대체로 가운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종방향 굽힘부(13.2)를 중심으로 가청식 표시기(13)는 180도 미만의 각도로 서로 각을 이루는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사시도에서, 날개형상 부분들은 아래쪽으로 각지게 구부러져 있다.
또한,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외주연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개 이상의 탭(tab)(13.3)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한 개,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탭(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네 개의 탭(13.3)을 포함하며, 이때 한 쌍의 탭(13.3)이 다른 한 쌍의 탭(13.3)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미도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서로 대체로 맞은편에 위치되는 두 개의 탭(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탭 쌍들(13.3)은 종축(L)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탭들(13.3)의 개수 및 배치는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 일 실시형태에서, 탭들(13.3)은 날개형상 부분에 대해 각지게 구부러질 수 있어, 약물 전달 장치(1)의 조립을 용이하게 만든다.
가청식 표시기(1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2)에 결합된다. 자세하게는,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그 종축(L)이 약물 전달 장치(1)의 종방향 연장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후방측 용기(2.2)에 고정된다. 가청식 표시기(13)는 스냅 연결에 의해 약물 전달 장치(1)에 결합되며, 이때 탭들(13.3) 중 하나 이상이 후방측 용기(2.2)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상응하는 개구들(미도시) 안에 결합된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스크류 또는 리벳 연결 또는 억지 끼워맞춤과 같은 마찰식 연결에 의해 후방측 용기(2.2) 안에 고정된다.
가청식 표시기(13)를 약물 전달 장치(1)에 조립하기 위해, 탄력복원성 부재(13.1)를 종축(L)에 수직인 축(A)을 중심으로 가운데 부분에서 굽힌다. 굽힘 각도는 90도 미만이다. 이러한 굽힘 단계는, 후방측 용기(2.2)에 형성된 개구들 안에 탭들(13.3)이 결합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중심점 상에 또는 중심점 가까이에 기정된 힘을 가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결과로,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이완 상태(S1)에서 편향 상태(S2)로 바뀐다. 도 3에 예시된 사시도를 보면, 종축(L)을 따라 서로 맞은편에 놓이는,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두 단부들(13.1.1, 13.1.2)이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각지게 구부러져 있는데, 이는 편향 상태(S2)를 나타낸다. 따라서, 편향 상태(S2)는 준비 상태에 해당되며, 이때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임의의 양의 에너지를 저장한다.
도 4에 나타내었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해진 힘이 제거된 후에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편향 상태(S2)에 유지된다.
도 4는 약물 전달 장치(1)의 구동 서브어셈블리(1.1)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대한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구동 서브어셈블리(1.1)는 약물 전달 장치(1)의 하나의 서브어셈블리이며, 약제(M)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구동 서브어셈블리(1.1)는 후방측 용기(2.2), 플런저(10) 및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3)를 포함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서브어셈블리들의 제조 시간 및 장소, 그리고 주사기(3)와의 최종 조립과 관련하여 융통성을 허용하도록 전방측 서브어셈블리(따로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후방측 용기(2.2)는 보관, 이송 및 약제 전달 시 주사기(3)의 축방향 위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지지 암(15.1)을 포함한다. 이들 지지 암(15.1)은 후방측 용기(2.2)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 쪽으로 돌출된다. 후방측 용기(2.2)는 역시 후방측 용기(2.2)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 쪽으로 돌출되는 추가 가요성 암(15.2)을 더 포함한다. 가요성 암(15.2)은 보관, 이송 및 약제 전달 시 충격력을 완화시키고, 이로써 탄력복원성 부재(13.1)를 편향 상태(S2)에 안정시키도록 구성된다.
탄력복원성 부재(13.1)가 편향 상태(S2)에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스냅 연결에 의해 후방측 용기(2.2) 안에 고정된다.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원위 쪽 지향 단부(13.1.1)는 가요성 암(15.2)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가요성 암(15.2)의 돌기(15.2.1)에 의해 지지된다.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근위 쪽 지향 단부(13.1.2)는 자유로운 상태로서, 다른 어떠한 구성요소와도 접촉되지 않으며, 가요성 암(15.2)의 위에 또는 후방측 용기(2.2)의 다른 부분의 위에 위치한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후방측 용기(2.2)는 복수의 가요성 암(1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암은 후방측 용기(2.2)의 근위 단부의 주연 둘레에 배치된다.
또한, 가요성 암(15.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10)의 외주연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 쪽으로 변형된다.
앞서 설명한 대로 이완 상태(S1)에서 편향 상태(S2)로 바뀐 후에는 탄력복원성 부재(13.1)를 편향 상태(S2)에 유지하는 데에 있어서 약간의 힘만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이완 상태(S1)에서 편향 상태(S2)로 바뀌면서 새로운 형태구조(configuration)로 휘어 변형되는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굽혀진 단면을 제공하는 종방향 굽힘부(13.2)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형태구조에서는 물질 구조의 강성이 현저하게 감소됨에 따라, 탄력복원성 부재(13.1)를 편향 상태(S2)에 유지하는 데에 있어서 약간의 유지력(holding force)만 필요하게 된다. 도 5는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힘-굽힘 변형 곡선(C)을 나타내는 선도를 나타낸다.
본 선도는 가로축 x와 세로축 y를 포함한다. 가로축 x는 굽힘 변형을 나타내고, 세로축 y는 이러한 변형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힘을 나타낸다. 좌표 (x2, y1)은 최대치의 힘을 나타낸다. 변형과 힘이 제로인 이완 상태(S1)에서 시작하여 상기 최대치에 이를 때까지, 힘이 제거되면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언제든 이완 상태(S1)로 되돌아간다. 좌표 (x2, y1)에 해당되는 최대치는 탄력복원성 부재(13.1)가 이완 상태(S1)에서 편향 상태(S2)로 바뀌는 평형점을 나타낸다. 즉, 추가로 힘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변형이 추가로 커짐에 따라, 곡선이 좌표 (x1, y2)에 이르게 된다. 이 시점에서는, 상기 최대치에서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도 탄력복원성 부재(13.1)를 편향 상태(S2)에 유지하는 데에 충분하다. 이에 따라, 유지력을 낮게 유지하면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편향 상태(S2)의 탄력복원성 부재(13.1)에 저장될 수 있다.
편향 상태(S2)에서의 낮은 유지력은 플런저(10) 상에 작은 마찰항력을 야기할 수 있어, 약물 전달 시 구동 스프링(9) 내 에너지의 소량이 딴 데로 전환되며, 이때 플런저(10)는 구동 스프링(9)의 에너지 방출에 의해 원위 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낮은 유지력 때문에, 이렇게 유도되는 에너지는 적다.
도 6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1)의 구동 서브어셈블리(1)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탄력복원성 부재(13.1)가 이완 상태(S1)에 있으며, 이때 약물 전달 장치(1)는 약제 전달 과정이 종료된 상태이다.
약제(M)를 주사바늘(4)을 통해 주사 부위, 예컨대 환자의 피부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 스프링(9)가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플런저(10)가 근위 위치에서 원위 위치까지 원위 쪽으로 이동된다. 구동 스프링(9)의 활성화는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주사바늘 덮개(9)를 내리 누름으로써(주사 부위에 눌려지기 때문) 개시될 수 있다.
도 6에서, 플런저(10)는 원위 위치에 도달한 상태이고, 이때 가요성 암(15.2)은 더 이상 플런저(10)와 결합되어 있지 않다. 플런저(10)의 근위 단부가 가요성 암(15.2)의 원위 단부를 지날 때, 가요성 암(15.2)이 이완될 수 있으며, 이로써 가요성 암은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원위 쪽 지향 단부(13.1.1)에 의해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원위 쪽 지향 단부(13.1.1)가 이동할 때, 탄력복원성 부재(13.1)는 전체적으로 편향 상태(S2)에서 전체적으로 이완 상태(S1)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제2 입체형태에서 제1 입체형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인해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클릭음과 같은 청각적 신호를 발생한다. 많은 양의 에너지가 저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예컨대 최대 100 데시벨 등 높은 세기의 청각적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더 낮은 세기의 신호들도 발생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13.1)의 근위 쪽 지향 단부(13.1.2) 역시 반경 내측 방향으로 선회(swing)할 수 있어, 약물 전달 장치(1)의 가요성 암(15.2) 또는 용기(2)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가격하게 된다. 이 충격 또한 상기 청각적 신호의 발생에 일조한다.
청각적 신호를 인식하는 사용자나 환자는 약제 전달 과정이 종료되었고, 전용량이 소모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조립 과정 동안과 그 후에 주사기(3)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16)를 더 포함한다. 캐리어(16)는 용기(2) 내부에 주사기(3)를 조립, 배치 및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11은 각각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13)를 나타낸다.
도 7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101)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약물 전달 장치(101)는 도 1에 설명된 것과 거의 비슷한 자동 주사기로 구성된다.
후방측 용기(102.2)와 가청식 표시기(113)를 제외한, 약물 전달 장치(101)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6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13)를 도 8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측 용기(102.2)는 도 9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13)의 사시도이다.
가청식 표시기(113)는 탄력복원성 부재(113.1)를 포함하며, 이러한 탄력복원성 부재는 예컨대 스프링 강 또는 스프링 플라스틱 같은 탄력복원성 물질을 함유한 쌍안정 리프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력복원성 부재(113.1)는 두 가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즉, 탄력복원성 부재(113.1)는 외력이 제한적으로 가해지는지 또는 전혀 가해지지 않는지에 따라 두 개의 상이한 입체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두 가지 상태는 탄력복원성 부재(113.1)가 제1 입체형태를 갖는 제1 또는 이완 상태(S1)(또는 사전 조립 상태 혹은 트리거된 상태)와, 탄력복원성 부재(113.1)가 제2 입체형태를 가질 수 있는 제2 또는 편향 상태(S2)(또는 준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113.1)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형상과 탄력복원성 부재(113.1)의 외주연의 가장 긴 변에 평행한 종축(L1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113.1)는 종축(L100)에 평행하게 탄력복원성 부재(113.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된 종방향 굽힘부(113.2)를 더 포함한다. 종방향 굽힘부(113.2)를 중심으로 가청식 표시기(113)는 180도 미만의 각도로 서로 각을 이루는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사시도에서, 날개형상 부분들은 위쪽으로 각지게 구부러져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113.1)는 종축(L100)에 수직일 수 있는 축(A100)에 평행한 횡방향 굽힘부(113.5)를 중심으로 나뉘는 근위 스프링 부분(113.3) 및 원위 스프링 부분(113.4)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종축(L100)에 대해 근위 스프링 부분(113.3)이 원위측 스프링 부분(113.4)보다 길다. 대안적 실시형태들에서는 근위 스프링 부분(113.3)이 원위 스프링 부분(113.4)보다 짧을 수 있거나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어지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력복원성 부재(113.1)가 후방측 용기(102.2)에 결합된다.
도 9는 약물 전달 장치(101)의 구동 서브어셈블리(101.1)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대한 개략 사시도를 나타낸다.
후방측 용기(102.2)는 도 4에 설명한 암들과 비슷한 두 개의 지지 암(115.1)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청식 표시기(113)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들 지지 암(115.1)은 종축(L100)에 대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특히, 탄력복원성 부재(113.1)를 지탱하는 지지 암(115.1)을 다른 지지 암(115.1)보다 짧게 함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113.1)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만든다. 탄력복원성 부재(113.1)는 형상 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지지 암(115.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스프링 부분(113.3)은 지지 암(115.1)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용 리세스 안에 수용되어 예컨대 스냅 연결, 용접, 접착 또는 마찰식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근위 스프링 부분(113.3)의 나머지 부분과 원위 스프링 부분(113.4)은 지지 암(115.1)으로부터 원위 쪽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탄력복원성 부재(113.1)는 편향 상태(S2)에 있으며, 이때 원위 스프링 부분(113.4)은 근위 스프링 부분(113.3)에 대해 플런저(110)의 외주연 쪽을 향해 있다.
원위 플런저 부분(110.2)(도 1에 나타낸 플런저(10)와 유사함)의 짧아진 직경으로 인해, 원위 스프링 부분(113.4)은 원위 플런저 부분(110.2)의 외주연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다. 또한, 원위 스프링 부분(113.4)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약물 전달 장치(101)의 어떠한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지지되지 않는다.
도 10은 탄력복원성 부재(113.1)가 특정 양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상태인 편향 상태(S2)에서의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1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101)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런저(110)는 근위 위치에 있다. 이렇게, 약물 전달 장치(101)는 약제 전달 과정을 시작할 준비가 된다.
약제(M)를 주사바늘(104)을 통해 주사 부위에 전달하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링(109)가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플런저(10)는 도 11에 예시된 것처럼 근위 위치에서 원위 위치까지 원위 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도 11은 플런저(110)가 원위 위치에 있고 가청식 표시기(113)가 이완 상태(S1)에 있는 약물 전달 장치(101)의 근위 단부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약제 전달 종료 시, 근위 플런저 부분(110.1)이 원위 스프링 부분(113.4)에 맞닿게 된다. 이 맞닿음은 탄력복원성 부재(113.1) 상에 영향을 미치는 힘을 발생시켜, 원위 스프링 부분(113.5)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게 만든다. 그 결과, 탄력복원성 부재(113.1), 구체적으로는 원위 스프링 부분(113.4)이 에너지를 방출하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편향 상태(S2)에서 전체적으로 이완 상태(S1)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인식 가능한 청각적 신호를 발생한다.
도 12 내지 도 16은 각각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213)를 나타낸다.
도 12는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2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201)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약물 전달 장치(201)는 도 1에 설명된 것과 비슷한 자동 주사기로 구성된다.
후방측 용기(202.2)와 가청식 표시기(213)를 제외한, 약물 전달 장치(201)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6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213)를 도 13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측 용기(202.2)는 도 14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213)의 사시도이다.
가청식 표시기(213)는 탄력복원성 부재(213.1)를 포함하며, 이러한 탄력복원성 부재는 예컨대 스프링 강 또는 스프링 플라스틱 같은 탄력복원성 물질을 함유한 쌍안정 리프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탄력복원성 부재(213.1)는 두 가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즉, 탄력복원성 부재(213.1)는 외력이 제한적으로 가해지는지 또는 전혀 가해지지 않는지에 따라 두 개의 상이한 입체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두 가지 상태는 탄력복원성 부재(213.1)가 제1 입체형태를 갖는 제1 또는 이완 상태(S1)(또는 사전 조립 상태 혹은 트리거된 상태)와, 탄력복원성 부재(213.1)가 제2 입체형태를 가질 수 있는 제2 또는 편향 상태(S2)(또는 준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213.1)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형상과 탄력복원성 부재(213.1)의 외주연의 가장 긴 변에 평행한 종축(L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213.1)는 종축(L200)에 평행하게 탄력복원성 부재(213.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종방향 굽힘부(213.2)를 더 포함한다. 종방향 굽힘부(213.2)를 중심으로 탄력복원성 부재(213.1)는 180도 미만의 각도로 서로 각을 이루는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도 13에 예시된 사시도에서, 날개형상 부분들은 위쪽으로 각지게 구부러져 있다.
이어지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력복원성 부재(213.1)가 후방측 용기(202.2)에 결합된다.
도 14는 약물 전달 장치(201)의 구동 서브어셈블리(201.1)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대한 개략 사시도를 나타낸다.
후방측 용기(202.2)는 도 4에 설명한 암들과 거의 비슷한 두 개의 지지 암(215.1)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들 지지 암(215.1)은 조립된 상태의 가청식 표시기(213)에서 종축(L200)에 대해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각각의 지지 암(215.1)은 종방향 리세스(215.1.1)를 포함하며, 이러한 지지 암들(215.1) 중 하나에 형성된 종방향 리세스(215.1.1) 안에 탄력복원성 부재(213.1)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탄력복원성 부재(213.1)가 형상맞춤식 연결(positive connection)(예컨대, 스냅 연결)에 의해 지지 암(215.1)에 근위 쪽으로 고정됨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213.1)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213.1)의 날개형상 부분들은 플런저(210)에서 위쪽으로 굽혀진다.
가청식 표시기(213)를 약물 전달 장치(201)에 조립하기 위해, 킹크 팁(213.3)이 형성될 때까지 탄력복원성 부재(213.1)를 축(A200)을 중심으로 가운데 부분에서 추가로 굽히며, 이로써 탄력복원성 부재(213.1)는 전체적으로 이완 상태(S1)에서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편향 상태(S2)로 전환될 수 있고, 이때 킹크 팁(213.3)은 플런저(210)의 외주연 쪽을 가리킨다. 이러한 굽힘 단계는 기정된 힘을 탄력복원성 부재(213.1)의 가운데 지점에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러한 굽힘 단계는 킹크 지점에 가까운 탄력복원성 부재(213.1) 근위 단부를 지지한 다음 기정된 힘(예컨대, 20N)을 탄력복원성(213.1)의 원위 단부에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킹크 팁(213.3)은 종방향 굽힘부(213.2)의 각도와 굽힘 반경이 충분히 작을 경우에만, 그리고 킹크 팁(213.3)을 형성할 때 충분히 작은 굽힘 반경과 충분히 큰 변형이 적용되는 경우에만 얻을 수 있다.
도 15는 탄력복원성 부재(213.1)가 특정 양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상태인 편향 상태(S2)에서의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213)를 포함한 구동 서브어셈블리(201.1)의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런저(10)는 근위 위치에 있고, 킹크 팁(213.3)은 플런저(210)의 외주연에 의해 지지된다. 약물 전달 장치(201)는 약제 전달 과정을 시작할 준비가 된다.
약제(M)를 주사 부위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 16에 예시된 것처럼 플런저(210)가 근위 위치에서 원위 위치까지 원위 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약제 전달 종료 시, 플런저(10)가 킹크 팁(213.3)을 지나 원위 쪽으로, 원위 플런저 부분(210.1)에 비해 직경이 더 큰 근위 플런저 부분(210.1)으로 이동할 때, 킹크 팁(213.3)은 탄력복원성 부재(213.1)에 영향을 미치는 힘을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16에 예시된 것처럼, 킹크 팁(213.3)은 반경 외측 방향으로 변형된다.
도 16은 구동 서브어셈블리(201.1)의 개략적 종단면도로서, 플런저(210)가 원위 위치에 있고 가청식 표시기(213)가 이완 상태(S1)에 있는 것을 보여 준다.
킹크 팁(213.3)의 변형으로 인해, 탄력복원성 부재(213.1)로부터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에 따라 탄력복원성 부재(213.1)가 종축(L200)에 대해 곧게 펴진다.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213.1)는 전체적으로 편향 상태(S2)에서 전체적으로 이완 상태(S1)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식 가능한 청각적 신호를 발생한다.
도 17 내지 도 22는 각각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313)를 나타낸다.
도 17은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3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301)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약물 전달 장치(301)는 도 1에 설명된 것과 비슷한 자동 주사기로 구성된다.
후방측 용기(302.2)와 가청식 표시기(313)를 제외한, 약물 전달 장치(301)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6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313)를 도 18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측 용기(302.2)는 도 19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313)의 사시도이다.
가청식 표시기(313)는 탄력복원성 부재(313.1)를 포함하며, 이러한 탄력복원성 부재는 예컨대 스프링 강 또는 스프링 플라스틱 같은 탄력복원성 물질을 함유한 쌍안정 리프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탄력복원성 부재(313.1)는 두 가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즉, 탄력복원성 부재(313.1)는 외력이 제한적으로 가해지는지 또는 전혀 가해지지 않는지에 따라 두 개의 상이한 입체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두 가지 상태는 탄력복원성 부재(313.1)가 제1 입체형태를 갖는 제1 또는 이완 상태(S1)(또는 사전 조립 상태 혹은 트리거된 상태)와, 탄력복원성 부재(313.1)가 제2 입체형태를 가질 수 있는 제2 또는 편향 상태(S2)(또는 준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313.1)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형상과 탄력복원성 부재(313.1)의 외주연의 가장 긴 변에 평행한 종축(L3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313.1)는 종축(L300)에 평행하게 탄력복원성 부재(313.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종방향 굽힘부(313.2)를 더 포함한다. 종방향 굽힘부(313.2)를 중심으로 탄력복원성 부재(313.1)는 180도 미만의 각도로 서로 각을 이루는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313.1)는 종축(L300)에 평행할 수 있는 축(A300)에 각각 평행한 제1 횡방향 굽힘부(313.6) 및 제2 횡방향 굽힘부(313.7)로 인해 근위 스프링 부분(313.3), 중간 스프링 부분(313.4) 및 원위 스프링 부분(313.5)으로 더 나뉠 수 있다.
아울러, 원위 스프링 부분(313.5)은 원위 스프링 부분(313.5)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어 원위 스프링 부분(313.5)의 근위 단부 쪽으로 사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유사 돌기(313.5.1)를 포함한다.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력복원성 부재(313.1)가 후방측 용기(302.2)에 결합된다.
도 19는 후방측 용기(302.2), 플런저(310) 및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3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1)의 구동 서브어셈블리(301.1)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후방측 용기(302.2)는 도 4에 설명한 암들과 거의 비슷한 두 개의 지지 암(315.1)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들 지지 암(315.1)은 조립된 상태의 가청식 표시기(313)에서 종축(L300)에 대해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대안으로, 탄력복원성 부재(313.1)에 연결되지 않은 지지 암(315.1)은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지지 암(315.1)은 가이드용 리세스(315.1.1)를 포함하며, 이들 지지 암(315.1) 중 하나의 가이드용 리세스(315.1.1) 안에 탄력복원성 부재(313.1)가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근위 스프링 부분(313.3)이 가이드용 리세스(315.1.1) 안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용 리세스는 탄력복원성 부재(313.1)를 형상맞춤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가이드 트랙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스프링 부분(313.3) 상부 반경반향으로 가이드용 리세스(315.1.1)의 횡단면적을 좁히는 두 개의 로킹 탭(315.1.2)에 의해 근위 스프링 부분(313.3)이 가이드용 리세스(315.1.1) 안에 지지되어 배치된다.
중간 스프링 부분(313.4)과 원위 스프링 부분(313.5)은 지지 암(315.1)으로부터 원위 쪽으로 돌출되며, 이때 중간 스프링 부분(313.4)은 도 20에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근위 스프링 부분(313.3)에 대해 각지게 구부러진다. 원위 스프링 부분(313.5)은 도 20에 예시된 것과 같이 중간 스프링 부분(313.4)에 대해 반경반향 내측으로 각지게 구부러져, 플런저(310) 쪽으로 굽혀진다. 원위 스프링 부분(313.5)이 반경 내측 방향으로 굽혀짐에 따라, 탄력복원성 부재(313.1)가 이완 상태(S1)에서 편향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에너지를 저장한다.
도 20은 편향 상태(S2)에 있는,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3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1)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이때 약물 전달 장치(301)는 약제를 전달하기 이전인 초기 상태에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313.1)는 주사바늘 덮개(307)의 내주연 내부에 배치된 지지용 리브(307.7)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후크-유사 돌기(313.5.1)가 지지용 리브(307.7)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후크-유사 돌기(313.5.1)와 지지용 리브(307.7) 간의 결합에 의해 보관 및 이송 시 탄력복원성 부재(313.1)의 조기 활성화가 방지된다. 대안으로, 둘 이상의 지지용 리브(307.7)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은 편향 상태(S2)에 있는,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3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301)의 근위 단부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이때 약물 전달 장치(301)는 준비 상태에 있다.
이로써, 약물 전달 장치(301)는 약제 전달을 위한 준비 작업을 거쳐 사용할 준비가 된 상태이다. 준비 작업 동안, 주사바늘 덮개(307)가 용기(302) 내 근위 쪽으로 이동되었으므로, 지지용 리브(307.7)가 후크-유사 돌기(313.5.1) 뒤로 근위 쪽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도 22에 예시된 것과 같이 원위 스프링 부분(313.5)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변형될 공간이 생긴다. 플런저(310)는 근위 위치에 있고, 약물 전달 장치(301)는 약제를 전달하기 시작할 준비가 된다.
약제(M)를 주사 부위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 22에 예시된 것처럼 플런저(310)가 근위 위치에서 원위 위치까지 원위 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도 22는 약제 전달 이후 이완 상태(S1)에 있는 가청식 표시기(3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301)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약제 전달 종료 시, 근위 플런저 부분(310.1)이 원위 스프링 부분(313.5)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에 의해 탄력복원성 부재(313.1)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 발생하며, 이는 원위 스프링 부분(313.5)을 반경 외측 방향으로 변형시킨다.
원위 스프링 부분(313.5)의 변형으로 인해, 탄력복원성 부재(313.1)로부터 에너지가 방출된다.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313.1)는 전체적으로 편향 상태(S2)에서 전체적으로 이완 상태(S1)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식 가능한 청각적 신호를 발생한다.
도 23 내지 도 30은 각각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413)를 나타낸다.
도 23은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4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401)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약물 전달 장치(401)는 도 1에 설명한 것과 비슷한 자동 주사기로 구성된다.
후방측 용기(402.2)와 가청식 표시기(413)를 제외한, 약물 전달 장치(401)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6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413)를 도 24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측 용기(402.2)는 도 26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413)의 사시도이다.
가청식 표시기(413)는 탄력복원성 부재(413.1)를 포함하며, 이러한 탄력복원성 부재는 예컨대 스프링 강 또는 스프링 플라스틱 같은 탄력복원성 물질을 함유한 쌍안정 리프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탄력복원성 부재(413.1)는 두 가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즉, 탄력복원성 부재(413.1)는 외력이 제한적으로 가해지는지 또는 전혀 가해지지 않는지에 따라 두 개의 상이한 입체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두 가지 상태는 탄력복원성 부재(413.1)가 제1 입체형태를 갖는 제1 또는 이완 상태(S1)(또는 사전 조립 상태 혹은 트리거된 상태)와, 탄력복원성 부재(413.1)가 제2 입체형태를 가질 수 있는 제2 또는 편향 상태(S2)(또는 준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413.1)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형상과 탄력복원성 부재(413.1)의 외주연의 가장 긴 변에 평행한 종축(L4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413.1)는 종축(L400)에 평행하게 탄력복원성 부재(413.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종방향 굽힘부(413.2)를 더 포함한다. 종방향 굽힘부(413.2)를 중심으로 탄력복원성 부재(413.1)는 180도 미만의 각도로 서로 각을 이루는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413.1)는 종축(L400)에 평행할 수 있는 축(A400)에 각각 평행한 제1 횡방향 굽힘부(413.6) 및 제2 횡방향 굽힘부(413.7)로 인해 근위 스프링 부분(413.3), 중간 스프링 부분(413.4) 및 원위 스프링 부분(413.5)으로 더 나뉠 수 있다.
도 24에 따르면, 탄력복원성 부재(413.1)는 편향 상태(S2)에 있으며, 이때 원위 스프링 부분(413.5)은 제2 횡방향 굽힘부(413.7) 상부로 중간 스프링 부분(413.4)에 대해 반경 내측 방향으로 굽혀진다.
도 2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력복원성 부재(413.1)가 후방측 용기(402.2)에 결합된다.
도 25는 도 26에 예시된 것과 같은 구동 서브어셈블리(401.1)에 조립된 칼라부(418)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칼라부(418)는, 칼라부(418)의 외주연에 배치되고 사선방향 경사면으로 구성된 칼라 램프(418.1)를 포함한다.
도 26은 후방측 용기(402.2), 플런저(410),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413), 및 칼라부(418)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401)의 구동 서브어셈블리(401.1)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후방측 용기(402.2)는 도 4에 설명한 암들과 비슷한 두 개의 지지 암(415.1)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들 지지 암(415.1)은 조립된 상태의 가청식 표시기(413)에서 종축(L400)에 대해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탄력복원성 부재(413.1)를 수용하도록 지지 암들(415.1) 사이에 고정 요소(415.2)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 스프링 부분(413.4)과 원위 스프링 부분(413.5)은 고정 요소(415.2)로부터 원위 쪽으로 돌출되며, 이때 중간 스프링 부분(413.4)은 반경 외측 방향으로 근위 스프링 부분(413.3)에 대해 각지게 구부러진다. 원위 스프링 부분(413.5)은 중간 스프링 부분(413.4)에 대해 반경반향 외측으로 각지게 구부러져, 도 27에 예시된 것과 같이 플런저(410) 반대 쪽으로 굽혀진다. 원위 스프링 부분(413.5)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굽혀짐에 따라, 탄력복원성 부재(413.1)가 전체적으로 이완 상태(S1)에서 전체적으로 편향 상태(S2)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에너지를 저장한다.
예컨대 나사식 연결에 의해 원위 플런저 부분(410.2)과 원위 쪽으로 결합되어 있는 칼라부(418)의 외주연에 의해 탄력복원성 부재(413.1), 특히 굽혀진 원위 스프링 부분(413.5)이 지지된다. 따라서, 원위 스프링 부분(413.5)과 칼라부(418) 간의 결합에 의해 보관 및 이송 시 탄력복원성 부재(413.1)의 조기 활성화가 방지된다.
도 27은 편향 상태(S2)에 있는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4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401)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이때 약물 전달 장치(401)는 약제를 전달하기 이전인 초기 상태에 있다.
칼라부(418)는 도 28에 예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체결 리브(407.8)로 인해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도 28은 도 27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401)의 개략적 상세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칼라부(418)와 다수의 체결 리브(407.8)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외주연에 두 개의 체결 리브(407.8)가 형성되어 있는 주사바늘 덮개(407)가 제공된다. 대안으로, 단 하나의 또는 셋 이상의 체결 리브(407.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체결 리브(407.8)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종방향 연장선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칼라 램프(418.1)가 체결 리브들(407.8) 사이로 돌출되어, 보관 및 이송 시 주사바늘 덮개(407)에 대한 칼라부(418)의 회전 이동을 방지한다.
약물 전달 장치(401)를 준비하는 동안, 필요한 힘을 가해 주사바늘 덮개(407)를 후방측 용기(402.2)에 대해 근위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로, 체결 리브들(407.8)이 칼라 램프(418.1)를 따라 이동한다. 이 이동으로 인해 칼라부(418)가 플런저(41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나사식 연결로 인해, 칼라부(418)가 탄력복원성 부재(413.1)에 대해 원위 쪽으로 이동되고, 굽혀진 원위 스프링 부분(413.5)는 도 2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되어 있지 않다.
도 29는 편향 상태(S2)에 있는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4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1)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이때 약물 전달 장치(401)는 준비 상태에 있고, 원위 스프링 부분(413.5)은 지지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401)는 약제를 전달하기 시작할 준비가 된다.
약제(M)를 주사바늘(404)을 통해 주사 부위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링(409)의 활성화로 인해 도 30에 예시된 것처럼 플런저(410)가 근위 위치에서 원위 위치까지 원위 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도 30은 약제 전달 이후 이완 상태(S1)에 있는 가청식 표시기(4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401)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약제 전달 종료 시, 원위 플런저 부분(410.2)에 비해 직경이 더 큰 근위 플런저 부분(410.1)이 원위 스프링 부분(413.5)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에 의해 탄력복원성 부재(413.1)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 발생하며, 이는 원위 스프링 부분(413.5)을 반경 외측 방향으로 변형시킨다.
원위 스프링 부분(413.5)의 변형으로 인해, 탄력복원성 부재(413.1)로부터 에너지가 방출된다.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413.1)는 전체적으로 편향 상태(S2)에서 전체적으로 이완 상태(S1)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식 가능한 청각적 신호를 발생한다.
도 31 내지 도 35는 각각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513)를 나타낸다.
도 31은 상기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5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501)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약물 전달 장치(501)는 도 1에 설명한 것과 비슷한 자동 주사기로 구성된다.
후방측 용기(502.2)와 가청식 표시기(513)를 제외한, 약물 전달 장치(1)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6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513)를 도 32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측 용기(502.2)는 도 33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2는 상기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513)의 사시도이다.
가청식 표시기(513)는 탄력복원성 부재(513.1)를 포함하며, 이러한 탄력복원성 부재는 예컨대 스프링 강 또는 스프링 플라스틱 같은 탄력복원성 물질을 함유한 쌍안정 리프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두 가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즉,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외력이 제한적으로 가해지는지 또는 전혀 가해지지 않는지에 따라 두 개의 상이한 입체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두 가지 상태는 탄력복원성 부재(513.1)가 제1 입체형태를 갖는 제1 또는 이완 상태(S1)(또는 사전 조립 상태 혹은 트리거된 상태)와, 탄력복원성 부재(513.1)가 제2 입체형태를 가질 수 있는 제2 또는 편향 상태(S2)(또는 준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형상과 탄력복원성 부재(513.1)의 외주연의 가장 긴 변에 평행한 종축(L5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종축(L500)에 평행하게 탄력복원성 부재(513.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종방향 굽힘부(513.2)를 더 포함한다. 종방향 굽힘부(513.2)를 중심으로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180도 미만의 각도로 서로 각을 이루는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종축(L50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횡방향 굽힘부(513.5)로 인해 근위 스프링 부분(513.3) 및 원위 스프링 부분(513.4)으로 더 나뉠 수 있다.
도 32에 따르면,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편향 상태(S2)에 있으며, 이때 원위 스프링 부분(513.5)은 근위 스프링 부분(513.3)에 대해 횡방향 굽힘부(513.5) 상부로 대략 특정 각도로 굽혀진다.
종축(L500)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상기 제5 실시형태의 가청식 표시기(413)의 탄력복원성 부재(513.1)보다 작다.
도 3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력복원성 부재(513.1)가 후방측 용기(502.2)에 결합된다.
도 33은 후방측 용기(502.2), 플런저(510) 및 상기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5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501)의 구동 서브어셈블리(501.1)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후방측 용기(502.2)는 도 4에 설명한 암들과 비슷한 두 개의 지지 암(515.1)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들 지지 암(515.1)은 조립된 상태의 가청식 표시기(513)에서 종축(L500)에 대해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탄력복원성 부재(513.1)가 플런저(510)에 결합되며, 이때 원위 스프링 부분(513.4)은 억지 끼워맞춤,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접착 본드에 의해 근위 플런저 부분(510.1)에 고정됨으로써 플런저(510)에 대한 탄력복원성 부재(513.1)의 회전 이동을 방지한다. 근위 스프링 부분(513.3)은 도 34에 예시된 것처럼 근위 플런저 부분(510.1)의 가장자리 너머로 돌출되는 탄력복원성 부재(513.1)의 자유 단부를 형성한다.
근위 스프링 부분(513.3)은 원위 스프링 부분(513.4)에 대해 반경 내측 방향으로 각지게 구부러지므로, 탄력복원성 부재(513.1)가 편향 상태(S2)를 취하게 되면서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탄력복원성 부재(513.1), 구체적으로는 근위 스프링 부분(513.3)은 도 34에 더 상세히 예시 및 설명되는 것처럼 후방측 용기(502.2)에 의해 지지된다.
도 34는 상기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5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501)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약물 전달 장치(501)는 사용 이전인 준비 상태에 있으며, 이때 플런저(510)는 근위 위치에 있다.
근위 스프링 부분(513.3)은 플런저(510)를 향해 원위 쪽으로 돌출되는 후방측 용기(502.2)의 근위 단부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지지 돌기(502.2.1)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돌기(502.2.1)는 돌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원형 링 형상의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근위 스프링 부분(513.3)은 반경 내측 방향에 대해 지지 돌기(502.2.1) 뒤에 배치되므로, 약물 전달 장치(501)의 보관, 이송 및 준비 시에 반경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지 못한다. 또한, 횡방향 굽힘부(513.5)는 탄력복원성 부재(513.1)의 쌍안정성을 가능하게 하는 킹크를 형성한다.
약제(M)를 주사바늘(504)을 통해 주사 부위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링(509)의 활성화로 인해 도 35에 예시된 것처럼 플런저(510)가 근위 위치에서 원위 위치까지 원위 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원위 스프링 부분(513.4)이 근위 플런저 부분(510.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플런저(510)의 축방향 이동을 따른다. 그 결과, 탄력복원성 부재(513.1)가 지지 돌기(502.2.1) 반대 쪽으로 후방측 용기(502.2)에 대해 원위 쪽으로 이동하며, 이때 근위 스프링 부분(513.3)은 지지를 받지 않게 된다.
약제 전달 종료 시, 주사바늘 덮개(507)의 내주연에 배치된 활성화 리브(507.9)가 횡방향 굽힘부(513.5)에서 탄력복원성 부재(513.1)에 맞닿게 된다. 이 맞닿음에 의해 탄력복원성 부재(513.1)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 생성되며, 이는 근위 스프링 부분(413.5)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유발한다.
원위 스프링 부분(513.5)의 변형으로 인해, 탄력복원성 부재(513.1)로부터 에너지가 방출된다.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513.1)는 도 35에 예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편향 상태(S2)에서 전체적으로 이완 상태(S1)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식 가능한 청각적 신호를 발생한다.
도 35는 약물 전달 장치(501)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가청식 표시부(513)는 편향 상태(S2)에 있지만 주사바늘 덮개(507)를 접촉하기 시작하고 있으므로 활성화 시점에 있다.
도 36 내지 도 40은 각각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613)를 나타낸다.
도 36은 상기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6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601)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개략적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약물 전달 장치(601)는 도 1에 설명한 것과 비슷한 자동 주사기로 구성된다.
후방측 용기(602.2)와 가청식 표시기(613)를 제외한, 약물 전달 장치(601)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6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613)를 도 32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측 용기(602.2)는 도 37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7은 상기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613)의 사시도이다.
가청식 표시기(613)는 탄력복원성 부재(613.1)를 포함하며, 이러한 탄력복원성 부재는 예컨대 스프링 강 또는 스프링 플라스틱 같은 탄력복원성 물질을 함유한 쌍안정 리프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탄력복원성 부재(613.1)는 두 가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즉, 탄력복원성 부재(613.1)는 외력이 제한적으로 가해지는지 또는 전혀 가해지지 않는지에 따라 두 개의 상이한 입체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두 가지 상태는 탄력복원성 부재(613.1)가 제1 입체형태를 갖는 제1 또는 이완 상태(S1)(또는 사전 조립 상태 혹은 트리거된 상태)와, 탄력복원성 부재(613.1)가 제2 입체형태를 가질 수 있는 제2 또는 편향 상태(S2)(또는 준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613.1)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형상과 탄력복원성 부재(613.1)의 외주연의 가장 긴 변에 평행한 종축(L6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613.1)는 종축(L600)에 평행하게 탄력복원성 부재(613.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종방향 굽힘부(613.2)를 더 포함한다. 종방향 굽힘부(613.2)를 중심으로 탄력복원성 부재(613.1)는 180도 미만의 각도로 서로 각을 이루는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도 3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력복원성 부재(613.1)가 후방측 용기(602.2)에 결합된다.
도 38은 후방측 용기(602.2), 플런저(610) 및 상기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식 표시기(613)를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601)의 구동 서브어셈블리(601.1)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후방측 용기(602.2)는 도 14에 설명한 암들과 비슷한 두 개의 지지 암(615.1)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들 지지 암(615.1)은 조립된 상태의 가청식 표시기(613)에서 종축(L600)에 대해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각각의 지지 암(615.1)은 종방향 리세스(615.1.1)를 포함하며, 이러한 지지 암들(615.1) 중 하나에 형성된 종방향 리세스(615.1.1) 안에 탄력복원성 부재(613.1)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탄력복원성 부재(613.1)가 형상맞춤식 연결(예컨대, 스냅 연결)에 의해 지지 암(615.1)에 근위 쪽 및 원위 쪽으로 고정됨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613.1)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 탄력복원성 부재(613.1)는 그 단부들이 회전될 수는 있어도 병진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613.1)의 날개형상 부분들은 플런저(610)에서 위쪽으로 굽혀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청식 표시기(613)는 다른 실시형태들 중 몇몇의 쌍안정 탄력복원성 부재들(113.1 내지 513.1)과 달리 단안정성으로만 이루어진다. 이는, 도 39에 예시 및 설명되는 것처럼, 탄력복원성 부재(613.1)가 편향 상태(S2)에 남아있도록 지지될 필요가 있음을 뜻한다.
도 39는 약물 전달 장치(601)의 근위 부분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탄력복원성 부재(613)가 편향 상태(S2)에 있고, 약물 전달 장치(601)는 사용 전인 준비 상태에 있으며, 플런저(610)는 근위 위치에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613.1)는 반경 내측 방향에 대해 탄력복원성 부재(613.1) 뒤의 지지 암(615.1)의 한 부분에 배치된 캔틸레버 빔(602.2.1)에 의해 지지된다. 이런 식으로, 탄력복원성 부재(613.1)가 캔틸레버 빔(602.2.1)에 안착됨에 따라, 탄력복원성 부재(613.1)가 종축(L600)에 대체로 수직인 축(A600)을 중심으로 가운데 부분에서 추가로 굽혀져, 킹크 팁(613.3)을 형성한다.
캔틸레버 빔(602.2.1)은 플런저(610)의 외주연에 의해 반경 외측 방향으로 편향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후방측 용기(602.2)은 두 개의 캔틸레버 빔(602.2.1)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후방측 용기(602.2)는 단 하나의 또는 셋 이상의 캔틸레버 빔(602.2.1)을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탄력복원성 부재(613.1)를 포함한 실시형태들에서, 각각의 캔틸레버 빔(602.2.1)은 각자 대응되는 탄력복원성 부재(613.1)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약제(M)를 주사 부위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 40에 예시된 것처럼 플런저(610)가 근위 위치에서 원위 위치까지 원위 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약제 전달 시, 탄력복원성 부재(613.1)는 캔틸레버 빔(602.2.1)에 의해 지지된다. 플런저(610)가 이동하는 동안, 캔틸레버 빔(602.2.1) 상에 마찰력이 유도된다.
약제 전달 종료 시, 플런저(610)의 근위 단부가 원위 쪽으로 캔틸레버 빔(602.2.1)을 지날 때, 캔틸레버 빔(602.2.1)은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완되기에 자유로워진다. 그 결과, 탄력복원성 부재(613.1)가 이완되며, 이에 따라 인식 가능한 청각적 신호를 발생한다.
도 40은 약물 전달 장치(601)의 근위 단부에 대한 개략적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탄력복원성 부재(613)는 약제 전달 이후 이완 상태(S1)에 있다.
당업자라면 본 가청식 표시기(13)의 적용이 자동 주사기에 국한되지 않음을 쉽게 이해한다. 오히려, 본 가청식 표시기(13)는 플런저(10)가 원위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였음을 표시하는 용도로 수동 조작식 약물 전달 장치(1)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쌍안정 또는 단안정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스테인레스강(예컨대, 스테인레스강 301 풀 하드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특히 길이 70 mm의, 대체로 직사각형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의 공칭 평폭이 대략 8 mm일 수 있다. 종방향 굽힘부(13.2, 113.2, 213.2, 313.2, 413.2, 513.2, 613.2)는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의 폭을 이등분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의 두께는 0.1 mm일 수 있다. 제1 입체형태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종방향 굽힘부(13.2, 113.2, 213.2, 313.2, 413.2, 513.2, 613.2)를 중심으로 굽혀져,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들이 130도 내지 160도 또는 1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는 130도 내지 140도, 또는 140도 내지 155도, 또는 132도 내지 142도, 또는 134도 내지 140도, 또는 136도 내지 138도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상기 각도는 서로에 대해 대략 또는 정확하게 136도 또는 137도 또는 138도 또는 148도 또는 152도이다.
이와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들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상기와 다른 길이(예컨대, 대략 30 mm 또는 43 mm)를 가질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비틀어(kink) 제1 입체형태에서 제2 입체형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3 N 내지 14 N 범위의 힘을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의 자유 단부에 가하거나 상기 자유 단부에 가까운 한 지점(예컨대, 상기 자유 단부로부터 대략 13 mm 떨어진 지점)에 가할 수 있다. 이 힘을 가한 결과로 자유 단부가 제1 입체형태에서의 자신의 위치로부터 2 mm 내지 3.5 mm 연장될 수 있다.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활성화시켜 제2 입체형태에서 제1 입체형태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0.2 N 내지 0.4 N 범위의 힘으로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의 자유 단부에 가해지거나, 상기 자유 단부에 가까운 한 지점(예컨대, 상기 자유 단부로부터 대략 1 mm 내지 2 mm 떨어진 지점)에 가해진다.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안에 삽입하기 전에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비틀고, 활성화시킨 다음, 다시 비틂으로써, 특히 확실한 클릭음을 얻을 수 있고, 비트는 힘과 활성화 힘을 줄일 수 있다.
활성화되었을 때,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대략 0.5 m의 거리에서 측정하였을 때의 볼륨이 적어도 100 dB인 청각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굽힘 각도가 예컨대 152도인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와 대조적으로, 굽힘 각도가 예컨대 136도인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에 의해 발생되는 볼륨이 대략 6 dB만큼 증가될 수 있는데, 이는 진폭이 2배 증가하는 것과 상응한다.
굽힘 각도의 변화와는 별개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의 두께 및/또는 길이 및/또는 폭을 증가시킴으로써 청각적 신호의 볼륨을 더 높일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안에 삽입될 때,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대략 150 mm의 거리에서 측정하였을 때의 볼륨이 적어도 100 dB(A)인 청각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테스트 셋업에서,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를 주사바늘 덮개(7, 307, 407, 507)가 앞에 놓인 테이블 위에, 흡음(방음) 환경 하에 두었다.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를 테이블로부터 음향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주사바늘 덮개(7, 307, 407, 507)와 테이블 사이에 엘라스토머 층을 배치하였다. 두 개의 마이크로폰(예컨대, ROGA MI-17 (IEPE))을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로부터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에 각각 150 mm의 간격을 두고 테이블 위로 170 mm 되는 곳에 두었다. 첫 번째 테스트는 사용자가 오른 손으로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둘레를 막은(close) 상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를 쥐고 작동시켜 수행되었으며, 이때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의 한 쪽을 가렸던(cover) 손의 손가락들은 상기 마이크로폰들 중 하나를 향하였고, 손바닥은 다른 한 마이크로폰을 가리키는 반대 쪽을 가렸다. 손가락 측 마이크로폰에서의 청각적 신호의 볼륨이 적어도 100 dB(A)이었던 반면에, 손바닥 측 마이크로폰에서의 볼륨은 100 dB(A)보다 낮았다. 또 다른 테스트는 사용자가 오른 손의 손가락 끝만 사용하여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를 쥐고 작동시켜 수행되었으며, 이때 손바닥은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와 상기 마이크로폰들 중 하나 사이에 놓이되; 손바닥이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를 건들지(touch) 않게 하였다. 두 마이크로폰에 의해 얻은 청각적 신호의 볼륨이 적어도 100 dB(A)이었으며, 이때 손바닥 측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볼륨은 다른 한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볼륨보다 약간 낮았다.
본원에서 "약물" 또는 "약제"란 용어들은 1종 이상의 약학적 활성 화합물을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아래에 설명하겠지만, 1종 이상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 또는 약제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혹은 고분자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이 다양한 종류의 제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약학적 활성 화합물로는, 저분자 화합물; 폴리펩타이드, 펩타이드 및 단백질(예컨대, 호르몬, 성장 인자, 항체, 항체 조각 및 효소); 탄수화물 및 다당류; 그리고 핵산, 이중가닥 또는 외가닥 DNA(네이키드- 및 cDNA 포함), RNA, 안티센스 핵산(이를테면, 안티센스 DNA 및 RNA, 소간섭 RNA(siRNA), 리보자임, 유전자 및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있을 수 있다. 핵산은 벡터, 플라스미드, 또는 리포솜과 같은 분자 전달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이들 약물 중 1종 이상의 혼합물 역시 고려된다.
"약물 전달 장치"란 용어는 사람 또는 동물의 몸 속에 약물을 분주하도록 구성된 임의 유형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 없이, 약물 전달 장치는 주사 장치(예컨대, 주사기, 펜 주사기, 자동 주사기, 대용량 장치, 펌프, 관류 시스템, 또는 안내(intraocular), 피하, 근육내 또는 혈관내 전달용으로 구성된 다른 장치), 스킨 패치(예컨대, 삼투성, 화학적, 마이크로니들 스킨 패치), 흡입기(예컨대, 코 또는 폐 흡입기), 이식가능한 것(예컨대, 코팅된 스텐트, 캡슐), 또는 위장관을 위한 공급 시스템일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약물들은 주사바늘(예컨대, 작은 게이지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주사 장치들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약물 또는 약제는 약물 전달 장치와 사용하도록 구성된 일차 패키지 또는 "약물 컨테이너"에 저장될 수 있다. 약물 컨테이너는 예컨대 1종 이상의 약학적 활성 화합물을 보관(예컨대, 단기 또는 장기 보관)하는데 적합한 챔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주사기, 통, 또는 다른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예에서, 챔버는 약물을 적어도 하루(예컨대, 1일 내지 적어도 30일)동안 보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챔버는 약물을 약 1개월 내지 약 2년 동안 보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관은 실온(예컨대, 약 20℃) 또는 냉장 온도(예컨대, 약 -4℃ 내지 약 4℃)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약물 컨테이너는 약물 제제의 두 가지 이상의 성분(예컨대, 약물과 희석제, 또는 2가지 상이한 종류의 약물)을 별도로 각 챔버 안에 보관하도록 구성된 이중-챔버 카트리지이거나 이러한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상기 이중-챔버 카트리지의 두 챔버는 사람 또는 동물의 몸 속으로 약물 또는 약제를 분주하기 전 및/또는 분주하는 동안 상기 약물 또는 약제의 두 가지 이상의 성분을 챔버에서 혼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두 챔버는 (예컨대, 두 챔버 사이의 도관을 통해) 서로 유체 연통하고 분주 전 사용자가 원할 때 두 가지 성분을 혼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이들 두 챔버는 상기 성분들이 사람 또는 동물의 몸 속에 분주될 때 혼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약물 전달 장치 및 약물은 많은 다양한 종류의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 질환으로, 예컨대, 당뇨 또는 당뇨 망막 병증과 같은 당뇨-관련 합병증, 심부정맥 또는 폐혈전색전증과 같은 혈전색전증이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질환으로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협심증, 심근 경색증, 암, 황반변성, 염증, 건초열, 죽상경화증 및/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다.
당뇨 또는 당뇨-관련 합병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예시적 약물로, 인슐린, 예컨대 인간 인슐린, 또는 인간 인슐린의 유사체 혹은 유도체, 글루카곤형 펩타이드(GLP-1), GLP-1 유사체 혹은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그의 유사체 혹은 유도체, 디펩티딜 펩티다아제-4 (DPP4) 억제제,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혹은 그의 용매화합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이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유도체"란 용어는 원래의 물질과 충분히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성 또는 활성(예컨대, 치료적 효능)을 갖는 임의의 물질을 가리킨다.
예시적 인슐린 유사체는 Gly(A21), Arg(B31), Arg(B32) 인간 인슐린(인슐린 글라진(insulin glargine)); Lys(B3), Glu(B29) 인간 인슐린; Lys(B28), Pro(B29) 인간 인슐린; Asp(B28) 인간 인슐린; 인간 인슐린으로서 위치 B28에서 프롤린이 Asp, Lys, Leu, Val 또는 Ala로 교체되고, 위치 B29에서 Lys는 Pro로 교체될 수 있는 인간 인슐린; Ala(B26) 인간 인슐린; Des(B28-B30) 인간 인슐린; Des(B27) 인간 인슐린 및 Des(B30) 인간 인슐린이다.
예시적 인슐린 유도체는, 예를 들어, B29-N-미리스토일-des(B30)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des(B30) 인간 인슐린; B29-N-미리스토일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 인간 인슐린; B28-N-미리스토일 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28-N-팔미토일-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30-N-미리스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30-N-팔미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29-N-(N-팔미토일-감마-글루타밀)-des(B30) 인간 인슐린; B29-N-(N-리토콜일-감마-글루타밀)-des(B30) 인간 인슐린; B29-N-(ω-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des(B30) 인간 인슐린; 및 B29-N-(ω-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 인간 인슐린이다. 예시적 GLP-1, GLP-1 유사체 및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예를 들어, 릭시세나타이드(Lixisenatide) / AVE0010 / ZP10 / 릭수미아(Lyxumia), 엑세나타이드(Exenatide) / 엑센딘(Exendin)-4 / 바이에타(Byetta) / 바이두레온(Bydureon) / ITCA 650 / AC-2993 (길라몬스터(Gila monster)의 침샘으로 생성되는 39 아미노산 펩타이드),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 빅토자(Victoza),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타스포글루타이드(Taspoglutide), 신크리아(Syncria) / 알비글루타이드(Albiglutide), 둘라글루타이드(Dulaglutide), r엑센딘-4, CJC-1134-PC, PB-1023, TTP-054, 란글레나타이드(Langlenatide) / HM-11260C, CM-3, GLP-1 엘리젠(Eligen), ORMD-0901, NN-9924, NN-9926, NN-9927, 노덱센(Nodexen), 비아도르(Viador)-GLP-1, CVX-096, ZYOG-1, ZYD-1, GSK-2374697, DA-3091, MAR-701, MAR709, ZP-2929, ZP-3022, TT-401, BHM-034, MOD-6030, CAM-2036, DA-15864, ARI-2651, ARI-2255, 엑세나타이드(Exenatide)-XTEN 및 글루카곤(Glucagon)-Xten이다.
예시적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예를 들어: 미포머슨(mipomersen) / 카이나므로(Kynamro), 즉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를 위한 콜레스테롤-감소 안티센스 치료제이다.
예시적 DPP4 억제제는 빌다글립틴(Vildagliptin), 시타글립틴(Sitagliptin), 데나글립틴(Denagliptin), 섹사글립틴(Saxagliptin), 버버린(Berberine)이다.
예시적 호르몬으로는 고나도트로파인(폴리트로핀, 루트로핀, 코리온고나도트로핀, 메노트로핀), 소마트로파인(소마트로핀), 데스모프레신, 테르리프레신, 고나도렐린, 트립토렐린, 루프로렐린, 부세렐린, 나파렐린, 고세렐린과 같은 뇌하수체 호르몬 또는 시상하부 호르몬 또는 조절형 활성 펩타이드 및 이들의 길항제가 포함된다.
예시적 폴리사카라이드는 글루코사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초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전술된 폴리사카라이드의 설페이트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폴리 설페이트 형태 및/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포함된다. 폴리 설페이트 저분자량 헤파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일 예는 에녹사파린 나트륨이다.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일 예는 하일란(Hylan) G-F 20 / 신비스크(Synvisc), 즉 소듐히알루로네이트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체"란 용어는 면역글로불린 분자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을 가리킨다.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항원-결합 부분의 예로, F(ab) 조각 및 F(ab')2 조각이 있으며, 이들은 항원과 결합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항체는 다클론성 항체, 단일클론성 항체, 재조합 항체, 키메라 항체, 탈면역되거나 인간화된 항체, 완전 인간 항체, 비-인간(예컨대, 쥐과) 항체, 또는 단쇄 항체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작동자(effector) 기능을 가지며, 보체결합성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Fc 수용체와 결합하는 능력이 약하거나 전혀 없다. 예를 들어, 항체는 동형 또는 아류형, 즉 Fc 수용체로의 결합을 지지하지 않는 항체 조각 또는 돌연변이(예컨대, 돌연변이를 일으켰거나 또는 Fc 수용체 결합 영역이 제거됨)일 수 있다.
"조각" 또는 "항체 조각"이란 용어들은 전장(full-length) 항체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지는 않지만, 항원에 결합될 수 있는, 전장 항체 폴리펩타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여전히 포함하는, 항체 폴리펩타이드 분자로부터 유도된 폴리펩타이드(예컨대, 항체 중쇄 및/또는 경쇄 폴리펩타이드)를 가리킨다. 항체 조각은 전장 항체 폴리펩타이드에서 절단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되, 이 용어가 이러한 절단된 조각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항체 조각들로는, 예를 들어, Fab 조각, F(ab')2 조각, scFv (단쇄 Fv) 조각, 선형 항체, 단일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조각, 이를테면 이중특이적, 삼중특이적 및 다중특이적 항체(예컨대, 디아바디(diabody), 트리아바디(triabody), 테트라바디(tetrabody)), 미니바디(minibody), 킬레이트 재조합 항체, 트리바디(tribody) 또는 바이바디(bibody), 인트라바디(intrabody), 나노바디(nanobody), 소형 모듈 면역약제(SMIP), 결합성 도메인 면역글로불린 융합 단백질, 카멜화(camelized) 항체 및 VHH 함유 항체가 있다. 항원-결합 항체 조각의 추가 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상보성 결정 영역" 또는 "CDR"이란 용어들은 매개성 특이 항원 인식을 주로 전담하는 중쇄 폴리펩타이드 및 경쇄 폴리펩타이드의 가변 영역 내 짧은 폴리펩타이드 시퀀스를 가리킨다. "프레임워크 영역"이란 용어는 CDR 시퀀스가 아닌, 중쇄 폴리펩타이드 및 경쇄 폴리펩타이드의 가변 영역 내 아미노산 시퀀스를 가리키며, 항원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 CDR 시퀀스의 정확한 위치 유지를 주로 전담한다. 통상적으로 프레임워크 영역들 자체는 항원 결합에 직접 참여하지 않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처럼, 특정 항체의 프레임워크 영역 내 특정 잔기는 항원 결합에 직접 참여할 수 있거나 또는 항원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CDR의 1종 이상 아미노산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시적 항체는 안티 PCSK-9 mAb (예컨대, 알리로쿠맙(Alirocumab)), 안티 IL-6 mAb (예컨대, 사릴루맙(Sarilumab)), 및 안티 IL-4 mAb (예컨대, 두필루맙(Dupilumab))이다.
본원에 설명된 화합물들은 약학적 제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약학적 제제는 (a) 해당 화합물(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b)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화합물들은 또한 1종 이상의 다른 약학적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에 사용될 수 있거나, 본 화합물 혹은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유일한 유효 성분인 약학적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약학적 제제는 본원에 설명된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임의의 제제를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물 전달 장치에 사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산 부가염 및 염기성 염이다. 산 부가염은 예를 들어 HCl 또는 HBr 염이다. 염기성 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금속, 예를 들어 Na+ 또는 K+ 또는 Ca2 + 또는 암모늄 이온 N+(R1)(R2)(R3)(R4) 중에서 선택된 양이온을 갖는 염이고, 이때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기, 임의로 치환된 C2-C6-알케닐기, 임의로 치환된 C6-C10-아릴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C6-C10-헤테로아릴기를 의미한다. 당업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추가 예들을 숙지하고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화합물은 예를 들어 수화물 또는 알칸산염, 이를테면 메탄산염 또는 에탄산염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전체 범주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설명된 물질의 다양한 성분, 제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실시형태를 변경(추가 및/또는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이 이러한 변경예와 그에 대등한 임의의 모든 예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1, 101, 201, 301, 401, 501, 601 약물 전달 장치
1.1, 101.1, 201.1, 301.1, 401.1, 501.1, 601.1 구동 서브어셈블리
2 용기
2.1 전방측 용기
2.2, 102.2, 202.2, 302.2, 402.2, 502.2, 602.2 후방측 용기
502.2.1 지지 돌기
602.2.1 캔틸레버 빔
2.15 반경방향 멈춤부
3 약제 컨테이너, 주사기
4, 104, 404, 504 주사바늘
5 보호용 주사바늘 집
6 정지부
7, 307, 407, 507 주사바늘 덮개
7.6 구멍
307.7 지지용 리브
407.8 체결 리브
507.9 활성화 리브
8 덮개 스프링
9, 109, 409, 509 구동 스프링
10, 110, 210, 310, 410, 510, 610 플런저
10.1, 110.1, 210.1, 310.1, 410.1, 510.1 근위 플런저 부분
10.2, 110.2, 210.2, 310.2, 410.1, 510.2 원위 플런저 부분
11 캡
11.1 파지 특징부
11.2 파지 요소
11.3 유연성 빔
11.4 리브
12 플런저 해제 기구
13, 113, 213, 313, 413, 513, 613 가청식 표시기
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 탄력복원성 부재
13.1.1 원위 쪽 지향 단부
13.1.2 근위 쪽 지향 단부
13.2, 113.2, 213.2, 313.2, 413.2, 513.2, 613.2 종방향 굽힘부
13.3 탭
113.3 근위 스프링 부분
113.4 원위 스프링 부분
113.5 횡방향 굽힘부
213.3 킹크 팁
313.3, 413.4, 513.3 근위 스프링 부분
313.4, 413.4 중간 스프링 부분
313.5, 413.5 원위 스프링 부분
313.5.1 후크-유사 돌기
313.6, 413.6 제1 횡방향 굽힘부
313.7, 413.7 제2 횡방향 굽힘부
513.4 원위 스프링 부분
513.5 횡방향 굽힘부
613.3 킹크 팁
14 덮개 체결 기구
15.1, 115.1, 215.1, 315.1, 415.1, 515.1, 615.1 지지 암
215.1.1 종방향 리세스
315.1.1 가이드용 리세스
315.1.2, 415.2.1 로킹 탭
415.2 고정 요소
615.1.1 종방향 리세스
15.2 가요성 암
15.2.1 돌기
16 캐리어
418 칼라부
418.1 칼라 램프
A, A100, A200, A300, A400, A500, A600 축
C 힘-굽힘 변형 곡선
L, L100, L200, L300, L400, L500, L600 종축
M 약제
S1 이완 상태
S2 편향 상태
x 가로축
y 세로축
x1, y2 좌표
x2, y1 좌표

Claims (19)

  1. 적어도 100 dB 볼륨의 청각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가청식 표시기(13, 113, 213, 313, 413, 513, 613)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식 표시기(13, 113, 213, 313, 413, 513, 613)는 플런저(10, 110, 210, 310, 410, 510, 610)의 이동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인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식 표시기(13, 113, 213, 313, 413, 513, 613)는 약제 전달 과정 종료 시 플런저(10, 110, 210, 310, 410, 510, 610)가 근위 위치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인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식 표시기(13, 113, 213, 313, 413, 513, 613)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입체형태(conformation)를 갖는 두 가지 이상의 상태(S1, S2)에 있도록 구성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포함하며,
    - 이완 상태(S1)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제1 입체형태로 이완되고,
    - 편향 상태(S2)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상기 제1 입체형태와 상이한 제2 입체형태로 편향되어 에너지를 저장하며,
    -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상기 제2 입체형태에서 상기 제1 입체형태로 전환됨으로 인해 편향 상태(S2)에서 이완 상태(S1)로 바뀔 때,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하여 청각적 신호를 발생하는 것인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종축(L 내지 L600)을 갖는 리프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때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상기 종축(L 내지 L600)을 중심으로 특정 각도로 굽혀져 두 개의 각진 날개형상 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가 쌍안정 스프링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완 상태(S1)로의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313.1, 413.1, 513.1)가 편향 상태(S2)에 있을 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9. 제8항에 있어서,
    - 약물 전달 장치(301, 401)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313.1, 413.1)가 지지되고, 약물 전달 장치(301, 401)가 준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313.1, 413.1)가 지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 약물 전달 장치(501)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와 준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513.1)가 지지되되,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513.1)의 근위 스프링 부분(513.3)이 후방측 용기(502.2)에 배치된 지지 돌기(502.2.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13.1, 213.1)는 편향 상태(S2)에 있을 때 지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10. 제8항에 있어서,
    근위 플런저 부분(110.1, 310.1, 410.1)이 원위 스프링 부분(113.4, 313.5, 413.5)에 맞닿을 때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13.1, 313.1, 413.1)가 편향 상태(S2)에서 이완 상태(S1)로 전환되며,
    이때 상기 원위 스프링 부분(113.4, 313.5, 413.5)은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13.1, 313.1, 413.1)가 편향 상태(S2)에 있을 때 중간 스프링 부분(313.4, 413.4)에 대해 또는 근위 스프링 부분(113.3)에 대해 종축(L100, L300, L400)에 수직인 축(A100, A300, 400)을 중심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11. 제10항에 있어서,
    주사바늘 덮개(307)에 배치된 지지용 리브(307.7)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원위 스프링 부분(313.5) 상에 형성된 돌기(313.5.1)를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12. 제10항에 있어서,
    플런저(410)에 결합되고, 상기 원위 스프링 부분(413.5)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칼라부(418)를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13. 제12항에 있어서,
    주사바늘 덮개(507)의 활성화 리브(507.9)가 근위 스프링 부분(513.3)에 맞닿을 때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513.1)가 편향 상태(S2)에서 이완 상태(S1)로 전환되며,
    이때 상기 근위 스프링 부분(513.3)은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513.1)가 편향 상태(S2)에 있을 때 원위 스프링 부분(513.4)에 대해 종축(L500)에 수직인 축(A500)을 중심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213.1)가 킹크 팁(213.3)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킹크 팁(213.3)에 근위 플런저 부분(210.1)이 맞닿을 때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213.1)가 편향 상태(S2)에서 이완 상태(S1)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15.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종방향 굽힘부(13.2, 113.2, 213.2, 313.2, 413.2, 513.2, 613.2)를 중심으로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이 서로에 대해 약 130도 내지 약 1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굽혀지는 것인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식 표시기(13, 113, 213, 313, 413, 513, 613)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입체형태(conformation)를 갖는 두 가지 이상의 상태(S1, S2)에 있도록 구성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포함하며,
    - 이완 상태(S1)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제1 입체형태로 이완되고,
    - 편향 상태(S2)에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상기 제1 입체형태와 상이한 제2 입체형태로 편향되어 에너지를 저장하며,
    -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상기 제2 입체형태에서 상기 제1 입체형태로 전환됨으로 인해 편향 상태(S2)에서 이완 상태(S1)로 바뀔 때,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하여 청각적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종축(L 내지 L600)을 갖는 리프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때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상기 종축(L 내지 L600)을 중심으로 특정 각도로 굽혀져 두 개의 각진 날개형상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종방향 굽힘부(13.2, 113.2, 213.2, 313.2, 413.2, 513.2, 613.2)를 중심으로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이 서로에 대해 약 130도 내지 약 1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굽혀지는 것인 약물 전달 장치(1, 101, 201, 301, 401, 501, 601).
  17. 약물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으로서,
    - 용기(2, 2.1, 2.2)를 제공하는 단계,
    -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제공하는 단계와,
    -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종방향 굽힘부(13.2, 113.2, 213.2, 313.2, 413.2, 513.2, 613.2)를 중심으로 굽혀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서로에 대해 각지게 구부러진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으로 나누어,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가 제1 입체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단계와,
    -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종방향 굽힘부(13.2, 113.2, 213.2, 313.2, 413.2, 513.2, 613.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A)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이완 상태(S1)에서 편향 상태(S2)로 전환시켜,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가 제2 입체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단계와,
    -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용기(2, 2.1, 2.2) 안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종방향 굽힘부(13.2, 113.2, 213.2, 313.2, 413.2, 513.2, 613.2)를 중심으로 두 개의 날개형상 부분이 서로에 대해 약 130도 내지 약 1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굽혀지는 것인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축(A)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이후,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가 활성화되어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가 제1 입체형태로 되돌아가며,
    상기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를 용기(2, 2.1, 2.2) 안에 삽입시키는 단계 이전에,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는 축(A)을 중심으로 다시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탄력복원성 부재(13.1, 113.1, 213.1, 313.1, 413.1, 513.1, 613.1)가 제2 입체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인 방법.
KR1020177037821A 2015-06-03 2016-06-02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가청식 표시기 KR102562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0587.8 2015-06-03
EP15170587 2015-06-03
PCT/EP2016/062452 WO2016193346A1 (en) 2015-06-03 2016-06-02 Audible indicator for a drug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680A true KR20180015680A (ko) 2018-02-13
KR102562530B1 KR102562530B1 (ko) 2023-08-03

Family

ID=5327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821A KR102562530B1 (ko) 2015-06-03 2016-06-02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가청식 표시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1357922B2 (ko)
EP (2) EP3302641B1 (ko)
JP (1) JP6903592B2 (ko)
KR (1) KR102562530B1 (ko)
CN (1) CN107683153B (ko)
AR (1) AR104870A1 (ko)
AU (1) AU2016269698B2 (ko)
DK (1) DK3302641T3 (ko)
HK (1) HK1248158A1 (ko)
IL (1) IL255983B (ko)
MX (1) MX2017015603A (ko)
RU (1) RU2739346C2 (ko)
TW (1) TW201711713A (ko)
WO (1) WO20161933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6968A1 (fr) 2015-06-02 2016-12-09 Biocorp Prod Boitier de montage d'un recipient sur un stylo injecteur, ensemble formant reservoir de produit injectable pour un stylo injecteur et stylo injecteur equipe d'un tel ensemble
TW201709941A (zh) 2015-06-03 2017-03-16 賽諾菲阿凡提斯德意志有限公司 聲響指示器(二)
US11400232B2 (en) * 2017-11-03 2022-08-02 Sanofi Drug delivery device
CN111587132B (zh) 2017-11-03 2022-10-04 赛诺菲 药物递送装置
EP3524296A1 (en) * 2018-02-12 2019-08-14 Sanofi Injector device
EP3773797A1 (en) * 2018-04-11 2021-02-17 Sanofi Drug delivery device
US20220152309A1 (en) * 2019-02-26 2022-05-19 Becton Dickinson France Auto-injector with audio indicator
EP4419557A1 (en) 2021-10-20 2024-08-28 Sanofi Biotechnology Methods for treating prurigo nodularis by administering an il-4r antagonist
KR20240135618A (ko) 2021-12-30 2024-09-11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Il-4/il-13 길항제를 투여하여 아토피 행진을 약화시키는 방법
TW202406572A (zh) 2022-05-02 2024-02-16 美商再生元醫藥公司 抗介白素-4受體(il-4r)抗體調配物
WO2023245048A1 (en) 2022-06-15 2023-12-21 Bioverativ Usa Inc. Anti-complement c1s antibody formulation
US20240025978A1 (en) 2022-06-24 2024-01-25 Bioverativ Usa Inc. Methods for treating complement-mediated diseases
TW202421660A (zh) 2022-07-08 2024-06-01 美商再生元醫藥公司 藉由投與il-4r拮抗劑來治療嗜伊紅性食道炎的方法
WO2024094707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Drug delivery device with feedback el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of a drug delivery device feedback regarding a dose dispensing process
WO2024094705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Drug delivery device having a two-part user indicator
WO2024094702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Device body for a drug delivery device,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WO2024094700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Method for assembling an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WO2024094699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Container holder and drug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container holder
WO2024094704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Arrangement for a drug delivery device,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y
WO2024094706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Audible indicator, indicator holde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udible indicator
WO2024094701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WO2024094703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Plunger for expelling a drug, drug delivery device, rear sub-assembly and corresponding methods
WO2024094698A1 (en) 2022-10-31 2024-05-10 Sanofi Front sub-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US20240141051A1 (en) 2022-11-01 2024-05-02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ing hand and foot dermatitis by administering an il-4r antagonist
WO2024112935A1 (en) 2022-11-23 2024-05-30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improving bone growth by administering an il-4r antagonist
US20240360232A1 (en) 2023-03-22 2024-10-31 Sanofi Biotechnology Methods f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by administering an il-4r antagonist
US20240350626A1 (en) 2023-03-27 2024-10-24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ing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by administering an il-4r antagonist
WO2024213774A1 (en) 2023-04-14 2024-10-17 Kymab Limite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ntaining anti-ox40l antibodie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4406A (en) * 1986-11-14 1992-05-19 Wilhelm Haselmeier Gmbh & Co. Injection device for injection, especially self-administered injection, of medicament, including mechanisms for nulling and for selecting dosage, especially for use with multi-dose ampules
US5116313A (en) * 1989-08-31 1992-05-26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Variable intensity remote controlled needleless injectors
US5271527A (en) * 1992-04-02 1993-12-21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Reusable pharmaceutical dispenser with full stroke indicator
WO2002092153A2 (en) * 2001-05-16 2002-11-21 Eli Lilly And Company Medication injector apparatus with drive assembly that facilitates reset
CN102209564A (zh) * 2008-09-29 2011-10-05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带有完成输送声响指示的注射装置
WO2012045350A1 (en) * 2010-10-06 2012-04-12 Tecpharma Licensing Ag Locking and retaining mechanism for the needle guard sleeve of an injection device
US20130090605A1 (en) * 2011-09-29 2013-04-11 Animas Corporation Tunable mechanical injection device for medication
US20140276568A1 (en) * 2013-03-15 2014-09-18 Morris Elijah Worden Systems and methods for dampening friction in an autoinjector device
JP2014526298A (ja) * 2011-09-09 2014-10-06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エピネフリン注射用の自動注射器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833454U1 (de) 1978-11-10 1979-05-10 Fohlmeister, Claus, 2000 Hamburg Spielzeug
US4693711A (en) * 1981-12-22 1987-09-15 Bremer Roger E Long-life biomedical transcutaneous drug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of transcutaneous application of drugs
US4629454A (en) 1985-03-29 1986-12-16 Grier Dale C Hypodermic syringe
US4810249A (en) 1987-03-12 1989-03-07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 Linear and Vernier-type syringe
US5127906A (en) 1989-04-28 1992-07-07 Flp Enterprises, Inc. Non-reusable syringe
DE3935672A1 (de) * 1989-05-20 1990-11-22 Dirk Breimeyer Durchflussmessgeraet
US5391157A (en) 1992-10-20 1995-02-21 Eli Lilly And Company End of dose indicator
FR2861995A1 (fr) * 2003-11-10 2005-05-13 Mb Innovation Dispositif a usage unique de pulverisation d'un fluide medicamenteux
CN101107032B (zh) 2005-01-25 2010-09-29 诺和诺德公司 具有剂量反馈机构末端的注射装置
CN101912288A (zh) 2005-09-02 2010-12-15 因特赛尔美国公司 经皮递送疫苗和透皮递送药物的装置及其应用
US7611495B1 (en) 2005-10-07 2009-11-03 Gianturco Michael C Device for manually controlling delivery rate of a hypodermic syringe and syringe having same
US9808611B2 (en) 2006-05-19 2017-11-07 Oxyband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gas and vapor transfer for tissue treatment devices
CN200987443Y (zh) * 2006-08-10 2007-12-12 何文华 一种新型的防盗钱包
CN201111673Y (zh) * 2007-08-01 2008-09-10 上海维恩佳得数码科技有限公司 用于瓶装商品的防盗标签
US10188787B2 (en) 2007-12-31 2019-01-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US8363871B2 (en) * 2008-03-31 2013-01-29 Cochlear Limited Alternative mass arrangements for bone conduction devices
WO2009140251A2 (en) 2008-05-12 2009-11-19 Intelliject, Inc. Medicament delivery device having an electronic circuit system
CN201243374Y (zh) 2008-07-02 2009-05-20 东莞市三正华声电子科技有限公司 耳机音量调节控制装置
EP2362794B1 (en) 2008-09-29 2019-04-03 Becton Dickinson France Automatic injection device with audible indicator of completed injection
US20110105952A1 (en) 2009-10-30 2011-05-05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Relatively small devices applied to the skin, modular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480804B2 (en) 2009-12-23 2016-11-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onodose nasal drug delivery system
EP3427779B1 (en) 2010-02-01 2020-11-2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rtridge holder,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cartridge in a cartridge holder
CN102917738B (zh) 2010-03-31 2016-01-27 Shl集团有限责任公司 包括反馈信号装置的药物输送设备
RU2013106752A (ru) 2010-08-19 2014-09-27 Ново Нордикс А/С Медицинское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GB2488578B (en) 2011-03-02 2017-05-24 Owen Mumford Ltd Injection device
GB2488579A (en) 2011-03-02 2012-09-05 Owen Mumford Ltd Autoinjector with "injection complete" indicator
US9131900B2 (en) * 2011-07-11 2015-09-15 Covidien Lp Force regulating device applicators
EP2583706A1 (en) 2011-10-21 2013-04-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CN103177716A (zh) * 2011-12-22 2013-06-2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便携式灯具
CN104519929B (zh) 2012-07-06 2017-03-22 卡贝欧洲有限公司 药物输送装置
CN202887394U (zh) * 2012-08-27 2013-04-17 叶凯 家用地震报警器
CN102842236A (zh) * 2012-08-30 2012-12-26 江苏永钢集团有限公司 一种激光超高报警系统及报警方法
US9675754B2 (en) 2012-10-24 2017-06-13 Nuance Designs, LLC Autoinjector
EP2727617A1 (en) 2012-11-06 2014-05-0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JP6228659B2 (ja) 2013-03-13 2017-11-08 アンタレス・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押しボタン式安全インジェクタ
CN105188809B (zh) 2013-03-13 2019-02-15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用于药物输送装置的包括反馈结构的组件
CN105228677B (zh) 2013-03-13 2020-02-11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用于药物输送装置的包括反馈特征部的组件
EP3590568A1 (de) 2013-03-22 2020-01-08 TecPharma Licensing AG Substanzabgabevorrichtung mit signalvorrichtung
CN103235538A (zh) * 2013-04-17 2013-08-07 四川华川工业有限公司 一种破玻器的电路控制系统
EP2823841A1 (en) * 2013-07-09 2015-01-1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EP2823839A1 (en) 2013-07-09 2015-01-1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GB2516896B (en) 2013-08-05 2020-08-12 Owen Mumford Ltd Injection devices
EP2868338A1 (en) 2013-10-31 2015-05-06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ment delivery device
TW201603849A (zh) 2014-07-01 2016-02-01 賽諾菲公司 響片配置及其藥物輸送裝置
TW201707737A (zh) 2015-06-03 2017-03-01 賽諾菲阿凡提斯德意志有限公司 藥物輸送裝置(一)
TW201709941A (zh) 2015-06-03 2017-03-16 賽諾菲阿凡提斯德意志有限公司 聲響指示器(二)
TW201709940A (zh) 2015-06-03 2017-03-16 賽諾菲阿凡提斯德意志有限公司 聲響指示器(一)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4406A (en) * 1986-11-14 1992-05-19 Wilhelm Haselmeier Gmbh & Co. Injection device for injection, especially self-administered injection, of medicament, including mechanisms for nulling and for selecting dosage, especially for use with multi-dose ampules
US5116313A (en) * 1989-08-31 1992-05-26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Variable intensity remote controlled needleless injectors
US5271527A (en) * 1992-04-02 1993-12-21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Reusable pharmaceutical dispenser with full stroke indicator
WO2002092153A2 (en) * 2001-05-16 2002-11-21 Eli Lilly And Company Medication injector apparatus with drive assembly that facilitates reset
JP2005508205A (ja) * 2001-05-16 2005-03-31 イーライ・リリー・アンド・カンパニー リセット簡易化式駆動アセンブリー付きの薬物注射装置
CN102209564A (zh) * 2008-09-29 2011-10-05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带有完成输送声响指示的注射装置
JP2012504006A (ja) * 2008-09-29 2012-02-16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送達完了の可聴表示を用いる自動注射器
WO2012045350A1 (en) * 2010-10-06 2012-04-12 Tecpharma Licensing Ag Locking and retaining mechanism for the needle guard sleeve of an injection device
JP2014526298A (ja) * 2011-09-09 2014-10-06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エピネフリン注射用の自動注射器
US20130090605A1 (en) * 2011-09-29 2013-04-11 Animas Corporation Tunable mechanical injection device for medication
US20140276568A1 (en) * 2013-03-15 2014-09-18 Morris Elijah Worden Systems and methods for dampening friction in an autoinje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15603A (es) 2018-04-30
AU2016269698B2 (en) 2020-12-24
CN107683153B (zh) 2022-03-25
BR112017025758A2 (pt) 2018-08-14
JP6903592B2 (ja) 2021-07-14
IL255983B (en) 2021-08-31
EP4292626A3 (en) 2024-03-13
EP3302641A1 (en) 2018-04-11
EP4292626A2 (en) 2023-12-20
US20180154085A1 (en) 2018-06-07
RU2739346C2 (ru) 2020-12-23
US11357922B2 (en) 2022-06-14
EP3302641B1 (en) 2023-11-01
RU2017146418A3 (ko) 2019-11-06
WO2016193346A1 (en) 2016-12-08
AU2016269698A1 (en) 2018-01-18
US20220257865A1 (en) 2022-08-18
CN107683153A (zh) 2018-02-09
JP2018516685A (ja) 2018-06-28
RU2017146418A (ru) 2019-07-09
KR102562530B1 (ko) 2023-08-03
DK3302641T3 (da) 2024-01-22
IL255983A (en) 2018-01-31
AR104870A1 (es) 2017-08-23
HK1248158A1 (zh) 2018-10-12
TW201711713A (zh) 201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530B1 (ko)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가청식 표시기
KR102553140B1 (ko) 가청식 표시기
US20210128837A1 (en) Audible indicator
KR102559249B1 (ko) 약물 전달 장치
KR20180015676A (ko) 덮개 체결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