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551A -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551A
KR20180015551A KR1020160156905A KR20160156905A KR20180015551A KR 20180015551 A KR20180015551 A KR 20180015551A KR 1020160156905 A KR1020160156905 A KR 1020160156905A KR 20160156905 A KR20160156905 A KR 20160156905A KR 20180015551 A KR20180015551 A KR 20180015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unit
monitoring
drip
threshol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969B1 (ko
Inventor
이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빛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빛엠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빛엠디
Priority to PCT/KR2017/00831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26179A1/ko
Publication of KR2018001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2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with means for metering the amount of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61M5/1409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in series, e.g. first substance passing through container holding second substance, e.g. reconstitu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8Flow controllers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61M5/1689Drip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65Ai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세트(200)의 점적통(210)에서 낙하하는 점적을 감지하는 점적감지부(330)와 점적통(210)의 가속도와 기울기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340)를 포함하는 점적 센서(300); 출력부(420)가 포함되어 있는 모니터링부(400); 및 연산제어부(350);를 포함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상시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실측 유량(Qm)을 측정하여 상기 출력부(420)에 표시하며, 상기 실측 유량(Qm)은 점적 속도와 점적 부피로부터 산출하는데, 상기 모션감지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점적통(210)의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상기 가속도 임계값 초과 후 미리 설정된 시간(t) 이내에 낙하하는 점적은 실측 유량(Qm)을 산출하는 연산에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임계값 초과 후 미리 설정된 시간(t)를 초과한 후에 낙하하는 점적은 실측 유량(Qm)을 산출하는 연산에 사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Flow Rate Monitering Device for Intravenous Fluid}
본 발명은 수액세트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수액세트에 구비된 유량조절기의 목표 유량에 대응되는 회전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수액유량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적 센서 신호와 연산제어부를 통해 목표 유량이 되는 유량조절기의 회전 위치를 산출하여 유량조절기의 셋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시(常時)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연산제어부를 통해 실측 유량과 목표 유량 사이의 유량의 차이가 실제로 수액세트의 설치 상태가 변화된 것인지 일시적인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고, 수액세트의 설치 상태 변화에 의한 유량 변동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량 재조정의 필요성을 알려줄 수 있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수액세트(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액백(10)에 연결되어 수액을 처방에 따른 목표 유량으로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의료 기구로서, 수액백(10)으로부터 수액이 유입되도록 하고 수액 유입 속도를 알 수 있도록 점적(21b, drop, 단위: gtt) 형태로 낙하하도록 형성된 점적통(21)과, 점적통(21)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액을 주사바늘(24)로 흐르게 하는 튜브(23)와, 튜브(23)의 단부에 설치한 주사바늘(24)과, 튜브(23)의 중간에 장착되어 수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수액세트(20)를 통해 인체에 투여되는 수액의 유량은 점적통(21)의 내부에서 단위 시간당(일반적으로 1분당) 낙하하는 점적(21b)의 수(점적 속도)를 점적 간격(점적 주기) 등으로부터 계측함으로써, 단위시간당 점적 수(점적 속도)에 점적의 부피를 곱하여 단위 시간당 투여되는 수액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액은 처방된 유량만큼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이 정상적이지만, 임상 현장에서 수액세트(20)로 유입되는 수액의 유량은 수액백(10)과 주사바늘(23) 사이의 높이 차를 나타내는 수위차(H), 수액 온도, 환자의 상태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변하므로, 실제 유량은 대부분의 경우 유량조절기(22)에 표기된 눈금과 차이가 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실제 임상 현장에서는 유량조절기(22)의 눈금은 참고만 하고, 유량조절기(22)를 조금씩 변경하며 눈으로 점적 간격(점적 주기)을 관찰하면서 시행착오(Trial & Error) 방식으로 유량을 조절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임상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유량조절기(22)를 조절하여 신속하게 목표 유량으로 수액을 투여할 수 있는 발명을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4864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서는 본 발명자가 알아낸 유량과 유량조절기에 표시된 눈금이 선형 관계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수액의 목표 유량을 신속하게 찾아내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2613호(이하 ‘종래기술 2’이라 한다)에서는 종래기술 1에 나타난 유량조절기(30) 및 유량 조절 방법 등을 통해 유량조절기(30)의 초기 회전위치에서 유량 측정 과정을 1회 실행한 후 1회 유량 조절을 통해 목표 유량(처방된 유량)으로 수액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액유량 자동조절장치를 발명하였다.
상기 종래기술 1, 2를 통해, 수액세트가 처음 셋팅된 상태로 있고, 유량조절기(30)를 외부에서 조작하지 않는다면, 목표 유량(Qt), 즉, 처방된 유량대로 환자에게 수액이 투여될 수 있지만, 측정되는 유량(Qm)은 수위차(H)의 변화나 유량조절기의 잘못된 조작 등과 같은 수액세트의 설치상태가 변하는 경우에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액이 환자에게 목표 유량대로 투여되고 있는지 여부를 실제 유량(Qm)을 측정하며 상시(常時)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점적으로부터 유량을 측정할 때, 환자가 움직이거나 이동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경우 또는 타인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등에 의해서도 일시적으로 수액백이나 점적통에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의 영향에 의해 일시적으로 수액유량이 달라질 수 있는데, 외란의 영향이 없으면 다시 정상으로 복귀되므로 수액유량 모니터링을 할 때에는 이와 같이 일시적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유량 변화는 제외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기술 2에서도 점적통(21)의 일시적인 요동이 감지될 때의 유량 측정값(즉, 점적 계측값)을 배제하여 유량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기술이 나타나 있지만, 종래기술 2에서와 같이 요동이 감지될 때 배제하며 유량을 측정하면,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액이 환자에게 투여되는 중에 통상적으로 수액백이나 점적통에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제외할 경우 모니터링이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목표 유량이 적어서 점적 간격(또는 점적 주기)이 상대적으로 긴 경우, 예를 들면 수 초 내지 십 여초가 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없게 될 수도 있고, 총 투여량을 모니터링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48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261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액세트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환자 에게 목표 유량(처방된 유량)대로 수액이 투여되고 있는지 여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점적 센서에서의 전력 소모를 저감하여 장시간 동안 수액유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량의 변동이 실제로 수액세트의 설치 상태가 변화된 것인지 일시적인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고, 수액세트의 설치 상태 변화 등에 따른 유량 변동과 같이 실질적 유량 변동이 있는 경우에만 유량 재조정의 필요성을 알려주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액세트(200)의 점적통(210)에서 낙하하는 점적을 감지하는 점적감지부(330)와 점적통(210)의 가속도와 기울기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340)를 포함하는 점적 센서(300); 출력부(420)가 포함되어 있는 모니터링부(400); 및 연산제어부(350);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상기 점적 센서(300)와 분리되어 상대적 움직임이 가능하고, 상기 점적 센서(3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니터링부(400)의 후면(450)이 상부면(460)과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하부 경사면(4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산제어부(350)가 상시(常時)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점적 속도와 점적 부피를 이용하여 실측 유량(Qm)을 측정하며, 모션감지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점적통(210)의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상기 가속도 임계값 초과 후 미리 설정된 시간(t) 이내에 낙하하는 점적은 실측 유량(Qm)을 산출하는 연산에 사용하지 않고, 상기 가속도 임계값 초과 후 미리 설정된 시간(t)을 초과한 후에 낙하하는 점적은 실측 유량(Qm)을 산출하는 연산에 사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실측 유량(Qm)은 하나의 점적 속도를 사용하여 산출하거나 실측 유량(Qm) 산출에 사용되는 연속되는 둘 이상의 점적으로부터 구한 평균 점적 속도를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연산제어부(350)에 점적의 속도 및/또는 수액의 온도에 대한 점적의 부피 변화 사이의 관계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고, 실측 유량(Qm) 산출시에 보정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되어 있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연산제어부(350)에 상기 점적통(210)의 기울기에 대한 점적의 부피 변화 사이의 관계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고, 모션감지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점적통(210)의 가속도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고, 점적통(210)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한 차이(Δθ) 이내의 범위에서 유지될 때에는 실측 유량(Qm) 산출시에 점적통(210)의 기울기에 대해 보정하는 구성이 포함되어 있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모니터링부(400)에는 알람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실측 유량(Qm)이 목표 유량(Qt)과의 유량 차이(ΔQ)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유량 재조정의 필요성을 상기 알람부를 통해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실측 유량(Qm) 검출에 사용되지 않는 점적의 수가 단위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수액 투여 조건이 비정상상태인 것을 상기 알람부를 통해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연산제어부(350)는 상기 점적 센서(300) 또는 상기 모니터링부(40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출력부(420)에는 목표 유량, 가속도의 임계값, 유량 차이(ΔQ), 유량 차이(ΔQ)의 임계값 및 유량조절기 보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상기 점적 센서(300) 주변에 설치될 수 있는 전용 모니터링기기일 수도 있고, 스마트 기기 또는 상기 수액세트(200)에 구비되어 있는 수액 유량조절기(30)의 유량을 직접 조절하는 수액유량 자동조절장치(100)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복수의 모니터링부(400)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600)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는, 점적통의 요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점적 속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점적을 유량 산출시 제외하는 연산을 통해, 환자에게 투여되는 수액의 유량을 상시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는 모니터링부(400)가 점적 센서(300)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점적통(210)에 설치되는 점적 센서(300)는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니터링부(400)에 배터리 등의 전력원을 배치하여 전력소모가 적으며 저중량의 점적 센서(3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400)의 후면(450)에 하부경사면(470)가 형성되어 있어 모니터링부(400)를 수액백(10)과 함께 걸어두어도 모니터링부(400)의 출력부(420)가 상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액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가 쉽게 모니터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는 투여되는 수액의 유량 재조정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점적통의 가속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과 같이 비정상적 수액 투여 조건인 경우에 알람부를 통해 유량 재조정 또는 수액 투여 조건 개선 등을 알려서 환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수액을 투여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정맥 주사용 수액세트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종래기술 2에 나타난 수액유량 자동조절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수액유량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된 수액세트의 개략도
도 4는 점적 속도에 따른 점적부피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의 점적 센서의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부 도면
(a) 모니터링부의 정면도 (b) 모니터링부의 측면도
도 7는 모니터링부가 수액백과 함께 걸려 있는 구성의 개략도
(a) 수액이 가득 찬 수액백 (b) 수액이 일부 남아있는 수액백
도 8은 점적통이 정렬 상태 단면도
(a)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 (b) 경사지게 정렬된 상태
도 9은 복수의 모니터링부와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신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수액세트(200)의 점적통(210)에 점적 센서(300)가 설치되어 있고, 스탠드(500)의 걸이부(510)에 모니터링부(400)가 수액백(10)과 함께 걸려 있는 형태의 개략도이다.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의 주요 구성인 점적 센서(300)와 모니터링부(400)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수액세트(20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수액세트(200)는 수액백(10)의 하부에 삽입침(211)으로 연결되어 수액이 중력에 의해 점적(212)의 형태로 내부공간에서 낙하하도록 형성된 점적통(210), 일단을 점적통(210)에 연결하고 타단을 주사바늘(230)에 연결하여 수액을 주사바늘(230)로 흐르게 안내하는 튜브(220), 및 튜브(220)의 어느 한 지점에 장착하여 튜브(220)를 통해 흐르는 수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240, 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점적통(210)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점적(212)의 부피는 점적 속도, 점적통의 기울기, 수액 온도 등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 한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속도까지는 점적(212)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적의 부피도 증가하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점적통(210)의 기울기나 수액의 온도 변화 등에 따라서도 점적의 부피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량을 측정할 때, 단순하게 점적의 부피를 점적 속도에 대한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값으로 간주하고, 점적 속도를 곱하여 유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는 점적 속도의 범위가 좁을 때 가능한 방법으로 볼 수 있지만, 점적 속도의 넓은 범위까지 고려하여 점적 속도에 따른 점적 부피의 변동을 반영하여 더욱 정확한 유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실험을 통해 구한 점적 속도에 따른 점적 부피 변화를 후술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의 연산제어부(350)에 데이터로 미리 저장해 두는 방식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점적통의 기울기 또는 수액 온도 등에 대해서도 실험을 통해 점적 부피와의 상관 관계를 데이터화할 수 있고,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위와 같이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의 연산제어부(350)에 미리 저장해 둘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연산제어부(350)에 데이터로 저장’한다는 의미는 실험적으로 구한 복수의 데이터를 적합한 보간법(interpolation)이나 커브 피팅(curve fitting) 등의 방법으로 함수를 만들어, 임의의 모든 각도에 대한 대응값을 알 수 있도록 저장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그리고, 제조사마다 점적통(210)의 특성 정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조사별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게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점적 부피의 정보는 점적통(210)의 유형별로 구분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액 1cc당 20점적(drop)인 성인용 점적통과 수액 1cc당 60점적인 유아/소아용 점적통에 대한 점적 부피의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를 구성하는 점적 센서(300) 및 모니터링부(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점적통(210)에 장착되는 점적 센서(300)의 단면도이다.
점적 센서(300)는 중공형이나 집게형 또는 점적통(210)의 측면에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C 형상 또는 U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점적통(210)의 측면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C형상 또는 U형상의 점적 센서(300)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난 점적 센서(300)는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가 탄성스프링(260)을 매개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도 5에서처럼 제2 몸체(320)에 형성된 돌기(221)가 제1 몸체(310)에 형성된 장공(311)에 끼워진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고, 서로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2 몸체(310, 320)에는 점적통(210)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의 파지부(311, 321)가 형성되어 있다.
점적 센서(300)에는 점적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는 점적감지부(330)와 수액백(10) 또는 점적통(21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감지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난 점적감지부(330)의 일 실시예에는 점적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몸체(320)에 발광소자(331)와 수광소자(332)를 포함하고 있고, 발광소자(331)에서 조사되는 광은 점적통(210)을 관통하여 수광소자(332)로 감지되게 한다.
여기서 광은 적외선, 레이저빔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광이 사용될 수 있다. 점적통(210)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점적(212)에 의해 발광소자(331)의 광이 교란되어 수광소자(332)에서 그 광의 차이를 감지하여 점적(212)이 감지된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해 점적 간격(또는 주기) 및/또는 점적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점적통(210)을 관통한 광을 수광소자(332)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수광소자(332)의 전면에 렌즈(333)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수광소자(332)가 일정 시차 이내에 연속으로 점적을 센싱할 시에 최초 센싱한 신호를 채택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한 시차는 적어도 유량 조절할 시에 보여주는 점적의 간격의 최소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파지부(321)는 점적통(21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도 5에서는 ‘C’자형 또는 ‘U’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공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집게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난 모션감지부(340)의 일 실시예는 점적통(21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2몸체(320)에 형성되어 있다. 점적통(210)이 설치된 수액백(10)은 3축 방향의 가속도 및 각가속도가 발생할 수 있도록 스탠드(500)의 걸이부(510)에 매달려 있으므로, 모션감지부(340)는 3축 가속도계; 또는 3축 가속도계와 자이로 센서로 구성되어 3축 가속도, 각가속도 및 기울기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점적감지부(330)와 모션감지부(340)로부터 측정한 신호들은 연산제어부(350)에서 연산을 하고, 필요한 정보를 모니터링부(400)에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연산제어부(350)가 발광소자(331) 및 수광소자(332)와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발광소자(331), 수광소자(332) 및 모션감지부(340)와 연결되어 있고, 필요한 정보를 연산한 후에 모니터링부(4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연산제어부(350)는 점적 센서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부(400)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6(a), (b)에는 모니터링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모니터링부(400)는 전면(410)에 출력부(420)가 형성되어 있고, 출력되는 정보 선택 및 임계값 등과 같은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작동 버튼(4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400)의 후면(450)에는 내부에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면(460)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로 하부면(470)이 형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수액백(10)은 환자의 눈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니터링부(400)의 출력부(420)가 아래 방향을 향할 때 환자가 출력부(420)를 확인하기 훨씬 용이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6(b)에서와 같이 모니터링부(400)의 후면(450)의 하부면을 하부경사면(470)을 형성하였다.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경사면(470)에 의해 모니터링부(400)가 수액백(10)과 함께 걸려 있을 때, 모니터링부(400)의 후면(450) 하부면과 수액백(1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고, 모니터링부(400)의 전면(400)이 상부 방향을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400)의 측면에는 점적 센서(300)와 연결되는 연결단자(48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단에는 수액백(10)의 주위에 걸어둘 수 있도록 걸림부(440)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경고등이나 경고음 발생부와 같은 알람부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420)는 목표 유량, 가속도의 임계값, 유량 차이(ΔQ), 유량 차이(ΔQ)의 임계값 및 유량조절기 보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있고, 조건에 따라 그 외의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 센서(300)는 점적통(210)에 장착되는 장치이므로 가능하면 무게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점적통(210)에 장착되어 사용되므로 배터리 교체를 자주하는 것은 임상 현장에서 많은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전력소모를 적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는 점적 센서(3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점적 센서(300)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모니터링부(400)를 점적 센서(300)와 분리시키고, 서로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였다.
상기 점적 센서(300)는 모니터링부(40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점적 센서(300)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되므로, 저중량의 점적 센서(3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적 센서(300)는 모니터링부(40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 5에 되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적 센서(300)는 별도의 무선연결모듈(370)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연산제어부(350)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무선으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점적 센서(300) 또는 무선연결모듈(370)에 별도의 배터리(미도시)와 같은 추가 전력원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니터링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510)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므로, 점적 센서(300)보다 안전하고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모니터링부(400) 자체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모니터링부(400)를 다른 점적 센서(300)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제어부(350)는 점적 센서(30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모니터링부(400)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로 대체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수액 유량 자동조절기(100)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종래의 모니터링장치에서와 같이 모니터링부(400)와 점적 센서(300)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산제어부(350)는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유량 측정이나 목표 유량에 해당하는 유량조절기의 회전 위치 산출 등과 같이 필요한 연산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장되는 정보에는 유량조절기(240)의 회전 위치와 유량 간의 상관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점적의 속도, 온도, 기울기 등과 유량과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점적통(210)의 특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의 작동 모드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작동 모드는 유량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고, 목표 유량 셋팅 단계도 포함할 수 있다.
목표 유량 셋팅 단계에서는 먼저, 수액세트(200)를 설치하고, 점적통(210)에 점적 센서(300)를 장착하고, 모니터링부(400)의 작동 버튼(420)를 조작하여 목표 유량(Qt) 등과 같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스탠드(500)의 걸이부(510)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출력부(420)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목표 유량(Qt)을 입력한 후, 수액세트(200)에 구비된 유량조절기(240)를 임의의 초기 회전위치로 회전시켜, 점적 센서(300)와 연산제어부(350)를 통해 실측 유량(Qm)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목표 유량(Qt), 실측 유량(Qm) 및 초기 회전위치를 이용하여 목표 유량(Qt)에 맞는 유량조절기(240)의 목표 회전위치를 산출한 다음, 이에 맞게 유량조절기(240)를 조절하여 목표 유량(Qt)으로 수액이 투여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유량 조절은 종래기술 1, 2에 나타난 방법을 이용하면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유량(Qt)으로 조절할 때 모션감지부(340)를 이용하여 점적통(210)의 진동 여부를 판단하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통(210)은 진동이 없고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실측 유량(Qm) 측정은 점적감지부(330)로 감지하는 점적의 낙하 신호를 통해 이루어진다. 점적감지부(330)와 통신할 수 있는 연산제어부(350)는 점적의 간격(또는 주기)으로부터 점적 속도를 산출하고 점적 속도에 점적 부피를 곱하여 실측 유량(Qm)을 산출하되, 점적 속도 및/또는 수액 온도에 대응되는 점적 부피를 선택하여 실측 유량(Qm)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점적 속도 및/또는 수액 온도에 따라 변동되는 점적 부피를 반영하여 정확한 실측 유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수액 온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액세트(200)에 온도센서(미도시)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온도센서(미도시)는 튜브(220)을 통해 흐르는 수액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수액세트(200)에서 튜브(22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실측 유량(Qm)은 하나의 점적 속도(또는 점적 간격)을 통해 산출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연속된 점적의 개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의 점적의 개수를 통해 평균 점적 속도(또는 평균 점적 간격)을 통해 산출할 수도 있다. 평균 점적 속도를 구할 때 통상적으로 미리 설정된 점적의 개수는 통상 2내지 5개의 범위 내에서 정할 수 있고, 점적 속도 등에 따라 5개 이상으로 정할 수도 있다. 평균 점적 속도를 이용하여 실측 유량(Qm)을 산출하더라도, 최초의 평균 점적 속도를 산출할 때에만 설정된 다수의 점적이 낙하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고, 두번째부터는 최초의 점적을 제외하고, 새롭게 낙하한 점적을 포함하여 새로운 평균 점적 속도를 계산하면 되므로, 시간 지연 없이 하나의 점적이 낙하할 때마다 새로운 평균 점적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량 모니터링 단계는 목표 유량 셋팅 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상시(常時) 유량을 측정하여 유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살펴보자.
먼저, 상시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도래할 시에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낙하하는 점적과 점적사이에 모션감지부(340)로 측정한 가속도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점적감지부(330)를 통해 감지한 점적의 신호를 이용하여 실측 유량(Qm)을 산출한다.
실측 유량(Qm)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나의 점적 속도 또는 평균 점적 속도를 통해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한 실측 유량(Qm)은 출력부(420)에 표시하고 실측된 유량(Qm)과 목표 유량(Qt)과의 유량 차이(ΔQ)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이를 표시하며 계속 모니터링을 하고, 유량 차이(ΔQ)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투여되고 있는 수액유량이 처방된 목표 유량(Qt)과 보정이 요구되는 정도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모니터링부(400)에 구비된 알람부(미도시)를 통해 목표 유량(Qt)의 재조정이 필요한 것을 알리도록 한다.
여기서, 실측 유량(Qm)이 변경되었다는 것은 수위차(H)가 변경된 경우 및/또는 유량조절기(240)가 외부에서 조작된 경우 등이므로, 이에 맞춰 목표 유량(Qt)이 투여되도록 재조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판단하도록 알리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속도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성분 또는 가속도 절대값으로 선택할 수 있고, 가속도의 임계값은 연산제어부(350)에 미리 설정해 두거나 임의의 값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가속도의 임계값은 가속도가 점적 간격(또는 주기)에 작은 영향을 미치는 값으로 결정한다. 즉, 다른 조건의 변화 없이 점적통의 요동만 발생하여 점적 간격(또는 주기)가 변경됨에 따라 점적 속도가 변경되고 이로부터 산출되는 실측 유량(Qm)의 유량의 변화가 보정이 필요하지 않는 가속도 값, 예를 들면, 5%의 유량 변화, 보다 정밀한 투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3% 또는 1%의 유량 변화가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되는 가속도 값을 임계값으로 정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후술하는 유량 차이(ΔQ)의 임계값보다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외부의 충격 없이 점적통의 요동만 발생할 때, 걸을 때 등과 같이 통상적인 요동에서 점적통의 요동 각도가 일정 각도를 넘지 않는 가속도 값을 임계값으로 정할 수도 있다.
또한, 유량 차이(ΔQ)의 임계값도 연산제어부(350)에 미리 설정해 두거나 임의의 값으로 입력할 수도 있으며, 처방된 목표 유량(Qt)과 대비하여 변동되더라도 환자의 치료나 회복 또는 위험에 노출되지 않는 범위로 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의 유량 변화, 보다 정밀한 투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5% 또는 3%의 유량 변화의 값 등을 임계값으로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수액백(10) 또는 점적통(210)에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가속도가 발생할 수 있고, 이 때 일시적으로 유량에 큰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수액유량의 밸브 역할을 하는 유량조절기(240)의 변화가 없고, 수위차(H)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이상적으로 유량은 일정하다. 하지만, 임계값 이상의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완전히 성장하기 전의 점적이 낙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완전히 성장한 점적이 더 빠른 속도로 낙하한 것으로 잘못 보여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상황이므로, 유량조절기(240)를 조절하는 것이 무의미할 뿐 아니라, 오히려 잘못된 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시적인 외란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으며 측정된 점적은 실측 유량을 산출하는 정보에서 제외하려 하고, 이러한 점적의 구분은 아래와 같이 하였다.
임계값을 초과하는 가속도가 순간적으로 발생하여 미리 설정된 짧은 시간(t) 내에 점적의 낙하가 발생한다면, 낙하하는 점적은 정상적으로 성장하기 전에 외부에서 추가로 발생한 진동 또는 충격에 영향을 받아서, 정상적인 점적의 부피가 되기 전에 낙하하게 된 것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일시적 외란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은 점적이라 볼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짧은 시간(t)은 특정 값으로 정할 수도 있고, 목표 유량에 따른 점적 속도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산출되는 점적 주기보다 짧은 값으로 정할 수도 있다. 한편, 임계값을 초과하는 가속도가 순간적으로 발생하여도 미리 설정된 짧은 시간(t) 내에 점적의 낙하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낙하하는 점적은 정상적인 부피로 성장하여 낙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일시적 외란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은 점적이라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연산제어부(350)는 낙하하는 점적과 점적 사이에 상기 모션감지부(340)로부터 측정된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가속도 임계값 초과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t) 이내에 낙하하는 점적은 실측 유량(Qm) 산출에 사용하지 않고 제외한다. 또한, 모니터링부(400)의 출력부(420)에는 이전에 표시된 실측 유량(Qm)을 그대로 표시한다.
이 때, 실측 유량(Qm)은 하나의 점적 속도 또는 평균 점적 속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는데, 평균 점적 속도를 산출할 때에는 실측 유량(Qm) 산출에 사용할 수 없는 점적은 제외하고, 실측 유량(Qm) 산출에 사용할 수 있는 점적만을 이용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점적통(210)의 가속도가 임계값 초과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t)를 초과한 후에 낙하하는 점적은 정상적인 점적으로 판단하여 실측 유량(Qm) 산출에 사용한다.
이와 같이 가속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t) 이내에 낙하하는 점적에 대해서만 모니터링에 적합하지 않은 점적으로 판단하므로, 모니터링 중에 제외되는 점적을 최소화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통상적인 상황에서 수액유량 모니터링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목표 유량(Qt)이 적어서 점적 간격(또는 주기)가 긴 경우에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한편, 단위 시간 내에 유량 산출에 사용되지 않는 점적의 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임계값 이상의 가속도가 자주 발생하고 점적 간격(또는 주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수액이 환자에게 정확한 용량으로 투여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출력부(420)에서 경고음 및/또는 경고등 및/또는 경고 메시지를 통해 비정상적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환자가 수면 중이거나 한 자세를 오래 유지할 경우에 가속도는 임계값 이하의 값을 나타내지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통(210)이 정적(static)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 채 수액이 투여될 수 있다. 이 때, 점적의 부피가 점적통(210)의 경사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점적통(210)의 경사 정도에 따라 점적 부피의 변화를 고려하여 유량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산제어부(350)에 점적통(210)의 기울기에 대한 점적의 부피 변화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낙하하는 점적과 점적사이에 모션감지부(340)로부터 측정된 가속도는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고, 기울기가 특정 값에서 미리 설정한 차이(Δθ) 이내에서 유지될 때에는 상기 기울기에 대한 점적의 부피 변화를 고려하여 실측 유량 산출시에 기울기에 대한 보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연산제어부(350)는 상기한 모니터링 단계를 수행하면서 점적 센서(300)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유량을 합산하여 총 투여량에 도달할 시에 알람부를 통해 수액 투여 종료 또는 수액 교체가 필요함을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총 투여량 대신에 총 투여시간을 체크하여 총 투여시간에 도달할 시에 알람부를 통해 수액 투여 종료 또는 수액 교체가 필요함을 알려줄 수도 있다.
한편, 유량 조절 단계 또는 모니터링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버블센서에 의해 기포가 발생한 상황을 감지하면, 출력부(420)의 알람부(미도시)로 경고음 및/또는 경고등 및/또는 경고 메시지를 통해 위험을 알릴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수액세트(200)에 버블센서(미도시)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기포는 유량조절기(240)의 내부 유로에 있던 공기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버블센서(미도시)는 유량조절기(240)의 유출구에 근접한 부분의 튜브(220b)에 구비될 수 있다.
위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다양한 알람 조건에서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동일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각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어떤 상태의 알람인지 경고음을 통해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복수의 모니터링부(400)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600)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중앙의 모니터링 시스템(600)에서 수액 투여 중인 다수의 환자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액백 100 : 유량 자동조절장치 200 : 수액세트
210 : 점적통 211 : 삽입침 212 : 점적
220 : 튜브 230 : 주사바늘 240 : 유량조절기
250 : 롤러클램프 300 : 점적 센서 310 : 제1몸체
311 : 제1요홈 312 : 돌기 320 : 제2몸체
321 : 제2요홈 322 : 장공 330 : 점적감지부
331 : 발광소자 332 : 수광소자 333 : 렌즈
340 : 모션감지부 350 : 연산제어부 360 : 탄성체
370 : 무선연결모듈 400 : 모니터링부 410 : 모니터링부 전면
420 : 출력부 430 : 작동 버튼 440 : 걸림부
450 : 모니터링부 후면 460 : 상부면 470 : 하부 경사면
480 : 연결 단자 500 : 스탠드 510 : 걸이부
600 : 모니터링 시스템 Q : 유량 Qm : 실측 유량
Qt : 목표 유량

Claims (12)

  1. 수액세트(200)의 점적통(210)에서 낙하하는 점적을 감지하는 점적감지부(330)와 점적통(210)의 가속도와 기울기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340)를 포함하는 점적 센서(300); 출력부(420)가 포함되어 있는 모니터링부(400); 및 연산제어부(350);를 포함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상기 점적 센서(300)와 분리되어 상대적 움직임이 가능하고, 상기 점적 센서(3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400)의 후면(450)은 상부면(460)과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하부 경사면(4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상시(常時)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점적 속도와 점적 부피를 이용하여 실측 유량(Qm)을 측정하며, 상기 모션감지부(340)로부터 측정되는 점적통(210)의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상기 가속도 임계값 초과 후 미리 설정된 시간(t) 이내에 낙하하는 점적은 실측 유량(Qm)을 산출하는 연산에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임계값 초과 후 미리 설정된 시간(t)를 초과한 후에 낙하하는 점적은 실측 유량(Qm)을 산출하는 연산에 사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측 유량(Qm)은 하나의 점적 속도를 사용하여 산출하거나 실측 유량 산출에 사용되는 연속되는 둘 이상의 점적으로부터 구한 평균 점적 속도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점적의 속도 및/또는 수액의 온도에 대한 점적의 부피 변화 사이의 관계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고, 실측 유량(Qm) 산출시에 보정하는 구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상기 점적통(210)의 기울기에 대한 점적의 부피 변화 사이의 관계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고,
    상기 모션감지부(340)로부터 측정한 가속도는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고, 점적통(210)의 기울기는 미리 설정한 차이(Δθ) 이내의 범위에서 유지될 때에는 실측 유량(Qm) 산출시에 상기 기울기에 대해 보정하는 구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알람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실측 유량(Qm)이 목표 유량(Qt)과의 유량 차이(ΔQ)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유량 재조정의 필요성을 상기 알람부를 통해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알람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실측 유량(Qm) 검출에 사용되지 않는 점적의 수가 단위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수액 투여 조건이 비정상상태인 것을 상기 알람부를 통해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상기 점적 센서(300) 또는 상기 모니터링부(40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모니터링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420)에는 목표 유량, 가속도의 임계값, 유량 차이(ΔQ), 유량 차이(ΔQ)의 임계값 및 유량조절기 보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400)가 스마트 기기, 또는 상기 수액세트(200)에 구비되어 있는 수액 유량조절기(240)를 적접 조절하는 수액유량 자동조절장치(10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복수의 모니터링부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600)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모니터링장치.
KR1020160156905A 2016-08-03 2016-11-23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KR10197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8317 WO2018026179A1 (ko) 2016-08-03 2017-08-01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9192 2016-08-03
KR1020160099192 2016-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551A true KR20180015551A (ko) 2018-02-13
KR101973969B1 KR101973969B1 (ko) 2019-04-30

Family

ID=612317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903A KR20180015550A (ko) 2016-08-03 2016-11-23 수액유량 측정 및 조절장치
KR1020160156905A KR101973969B1 (ko) 2016-08-03 2016-11-23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KR1020170065064A KR102024936B1 (ko) 2016-08-03 2017-05-26 수액유량 조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903A KR20180015550A (ko) 2016-08-03 2016-11-23 수액유량 측정 및 조절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064A KR102024936B1 (ko) 2016-08-03 2017-05-26 수액유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49825B2 (ko)
EP (1) EP3495007A4 (ko)
JP (1) JP6854878B2 (ko)
KR (3) KR20180015550A (ko)
CN (1) CN109562225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897A (ko)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CN112245714A (zh) * 2020-10-23 2021-01-22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多点输液监测管理系统
KR20210077456A (ko) * 2019-12-17 2021-06-2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수액 주입장치
KR20210109157A (ko) * 2020-02-27 2021-09-06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스마트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KR20220116702A (ko) * 2021-02-15 2022-08-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 용기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잔여 수액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127562A (ko) * 2021-03-11 2022-09-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백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잔여 영양액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6173352A (zh) * 2023-03-16 2023-05-30 巨翊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重量监测的自动输液监控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5063A (zh) * 2019-12-23 2020-04-10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输液流速控制及方法
KR102576585B1 (ko) 2020-06-06 2023-09-08 주식회사한빛엠디 점적 센서
CN111760119A (zh) * 2020-06-29 2020-10-13 亳州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拼接式输液架
US11951283B2 (en) * 2020-07-17 2024-04-09 Acist Medical Systems, Inc. Hand-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injection system
CN112089924B (zh) * 2020-08-21 2022-09-02 北京来普惠康医学技术有限公司 一种输液泵的输液精度自动校准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494753B (zh) * 2020-11-19 2021-08-24 联赢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输液监测功能的机器人
KR102524574B1 (ko) * 2020-12-23 2023-04-21 폴스타헬스케어(주) 스마트 레귤레이터
CN112755314A (zh) * 2021-01-18 2021-05-07 南充市中心医院 智能化儿科护理用静脉输液管理装置
KR102603096B1 (ko) * 2022-02-08 2023-11-1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0258A (ja) * 1986-01-10 1987-07-27 アボツト ラボラトリ−ズ 流量制御装置
EP0768092B1 (en) * 1991-04-01 2002-07-03 Sherwood Services AG Drop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327862B1 (ko) * 2013-08-16 2013-11-20 이두용 수액유량세팅을 위한 보정장치 및 유량조절기의 유량계수를 이용한 최적 목표유량 조절방법
KR101532613B1 (ko) 2014-12-24 2015-06-30 주식회사한빛엠디 정맥내 수액유량 자동 조절장치
KR101544864B1 (ko) 2014-12-24 2015-08-17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 유량 조절방법
US20160158442A1 (en) * 2014-12-09 2016-06-09 Richard B. Voigt Algorithm for Removal of Noise During Administration of Fluid to a Pati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281A (en) * 1987-05-21 1989-04-11 Ivy Medical, Inc. Drop volume measurement system
KR890004900Y1 (ko) 1989-04-21 1989-07-28 닛기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수액장치
JP2660085B2 (ja) * 1990-05-16 1997-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輸液の流量制御装置
DE19650115C1 (de) * 1996-12-03 1998-07-02 Fraunhofer Ges Forschung Medikamenten-Dosiervorrichtung
ES2310235T3 (es) 2002-01-16 2009-01-01 Michael G. Simon Regulador de control de flujo intravenoso de compensacion de presion.
JP4638694B2 (ja) * 2003-08-21 2011-02-23 テルモ株式会社 輸液装置
US7503903B2 (en) * 2004-02-20 2009-03-17 Fluidnet Corporation Automated fluid flow control system
KR20060036622A (ko) 2004-10-26 2006-05-02 일렉트로넷 (주) 링거액 자동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32233B2 (en) 2010-08-26 2015-09-15 B. Braun Melsungen Ag Infusion control device
US9372486B2 (en) * 2011-12-21 2016-06-2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gulating, or controlling fluid flow
US9408968B2 (en) * 2012-06-24 2016-08-09 Zev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air-in-line
KR20150125484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유량 자동 조절장치 및 수액유량 자동 조절방법
KR101487754B1 (ko) 2014-10-20 2015-01-29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유량조절기
US9636453B2 (en) * 2014-12-04 2017-05-02 Medtronic Minimed, Inc. Advance diagnosis of infusion device operating mode viabilit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0258A (ja) * 1986-01-10 1987-07-27 アボツト ラボラトリ−ズ 流量制御装置
EP0768092B1 (en) * 1991-04-01 2002-07-03 Sherwood Services AG Drop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327862B1 (ko) * 2013-08-16 2013-11-20 이두용 수액유량세팅을 위한 보정장치 및 유량조절기의 유량계수를 이용한 최적 목표유량 조절방법
US20160158442A1 (en) * 2014-12-09 2016-06-09 Richard B. Voigt Algorithm for Removal of Noise During Administration of Fluid to a Patient
KR101532613B1 (ko) 2014-12-24 2015-06-30 주식회사한빛엠디 정맥내 수액유량 자동 조절장치
KR101544864B1 (ko) 2014-12-24 2015-08-17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 유량 조절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897A (ko)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77456A (ko) * 2019-12-17 2021-06-2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수액 주입장치
KR20210109157A (ko) * 2020-02-27 2021-09-06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스마트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CN112245714A (zh) * 2020-10-23 2021-01-22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多点输液监测管理系统
KR20220116702A (ko) * 2021-02-15 2022-08-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 용기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잔여 수액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127562A (ko) * 2021-03-11 2022-09-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백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잔여 영양액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6173352A (zh) * 2023-03-16 2023-05-30 巨翊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重量监测的自动输液监控方法及系统
CN116173352B (zh) * 2023-03-16 2023-08-22 巨翊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重量监测的自动输液监控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5007A1 (en) 2019-06-12
CN109562225B (zh) 2021-05-07
EP3495007A4 (en) 2020-01-01
CN109562225A (zh) 2019-04-02
KR20180015550A (ko) 2018-02-13
KR102024936B1 (ko) 2019-11-04
US10849825B2 (en) 2020-12-01
US20180360688A1 (en) 2018-12-20
KR20180015569A (ko) 2018-02-13
JP2019523086A (ja) 2019-08-22
JP6854878B2 (ja) 2021-04-07
KR101973969B1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969B1 (ko)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US6599282B2 (en) Intravenous set flow volumetric measurement device
US20230211079A1 (en) Iv flow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ES2418630T3 (es) Detección de envase vacío usando un sensor de presión del lado del envase
EP1144961B1 (en) Droplet counter for low flow rates
AU2002323281A1 (en) Intravenous set flow volumetric measurement device
CN103842007A (zh) 静脉流速控制器
US11298445B2 (en) Breast pump milk flow rate sensor system and apparatus
CN108209929B (zh) 一种坐姿识别系统和坐姿识别方法
US20200360604A1 (en) Gravity Infusion Control System
JP2011234805A (ja) 点滴警報装置
CN111135387B (zh) 一种基于多传感器融合的滴速监测装置及方法
KR101532613B1 (ko) 정맥내 수액유량 자동 조절장치
KR101727229B1 (ko) 수액 주입속도 측정기
WO2018026179A1 (ko)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KR20150022230A (ko) 점적 센서를 이용한 유량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펌프 및 검사기
KR102576585B1 (ko) 점적 센서
JP6628003B2 (ja) 液滴流量測定装置
WO2018026063A1 (ko) 수액유량 측정 및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