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247A -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247A
KR20180015247A KR1020187000386A KR20187000386A KR20180015247A KR 20180015247 A KR20180015247 A KR 20180015247A KR 1020187000386 A KR1020187000386 A KR 1020187000386A KR 20187000386 A KR20187000386 A KR 20187000386A KR 20180015247 A KR20180015247 A KR 2018001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tickets
tape
banknot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따까 니시다
하야또 미나미신
다쯔야 시마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테이프(20)가 권회된 공급 릴(21)과, 공급 릴(21)로부터 공급된 테이프(20)와 함께 지폐(5)를 감음으로써 지폐(5)를 수용하는 권취 드럼(22)을 갖는 보류부(13)를 구비한다. 권취 드럼(22)에는, 테이프(20)가 연결된 일단측에, 자장치(1)를 정비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M1∼M4)이 수용되어 있다.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지폐 취급 장치는, 입금된 지폐의 금종 등을 감별하는 감별부와, 감별부에서 감별된 지폐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보류부와, 보류부로부터 보내진 지폐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지폐의 반송로 등에서 지폐의 걸림(이하, 잼이라 칭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잼을 일으킨 지폐를 반송로로부터 제거한 후에, 반송로에 있어서의 잼의 유무를 검사하기 위해 패트롤권이 사용되고 있다. 패트롤권을 사용하는 지폐 취급 장치로서는, 지폐를 감아 수용하는 권취 드럼을 갖고, 권취 드럼에 패트롤권을 감아 수용하는 보류부를 구비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59760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패트롤권을 사용하여 반송로의 잼의 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지폐 취급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없었다.
개시의 기술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지엽류 취급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의 개시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의 일 형태는, 띠 형상재가 권회된 공급 릴과, 상기 공급 릴로부터 공급된 상기 띠 형상재와 함께 지엽류를 감음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수용하는 권취 드럼을 갖는 보류부를 구비한다. 상기 권취 드럼에는, 상기 띠 형상재가 연결된 일단측에, 자장치를 정비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이 수용되어 있다.
본원의 개시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지엽류 취급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가 갖는 보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의 권취 드럼에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의 권취 드럼에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이 수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가 갖는 반송 기구 및 광 센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에 수용된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을 사용할 때에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에 수용되는 제1 및 제2 메인터넌스권의 외형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반송로를, 제2 메인터넌스권을 사용하여 검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에 수용되는 제3 메인터넌스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에 수용되는 제4 메인터넌스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제4 메인터넌스권을 사용하여 광 센서를 청소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에 수용되는 제4 메인터넌스권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제4 메인터넌스권을 사용하여 광 센서를 청소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제4 메인터넌스권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의 지폐 취급 장치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본원의 개시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원의 개시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폐 취급 장치의 구성)
도 1은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1)는 일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고, 지폐(5)를 입출금하는 입출금부(11)와, 입출금부(11)에 입금된 지폐(5)를 감별하는 감별부(12)와, 감별부(12)로부터 반송된 지폐(5)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보류부(13)와, 보류부(13)로부터 보내진 지폐(5)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14)와, 지폐(5)를 반송하는 반송부(15)와, 각 부(11∼15)를 제어하는 제어부(16)를 구비한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1)는 필요에 따라서, 외부로 취출하는 지폐(5)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해도 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지엽류의 일례로서 지폐(5)를 사용하지만, 지폐(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권 등의 다른 지엽류가 사용되어도 된다.
입출금부(11)에는, 이용자가 입출금하는 지폐가 수용된다. 입출금부(11)는 입금 거래가 중지된 경우에 지폐(5)가 반환되는 반환부를 겸하고 있다. 반환부는 입출금부(11)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감별부(12)는 입출금부(11)로부터 입금된 지폐(5)의 금종의 감별, 지폐(5)의 손상 상태에 기초하는 정상권과 손상권의 감별, 위조나 복제된 부정권과 정상권의 감별 등을 행한다. 감별부(12)는 반송부(15)가 구성하는 반송로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고, 지폐(5)를 감별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감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복수 종류의 감별 센서로서는, 예를 들어 지폐(5)의 감별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별을 행하는 이미지 센서, 자기 센서 및 자외선(UV) 센서나, 지폐(5)의 두께를 감별하는 광 센서(두께 센서)나, 반송로를 따라서 반송되는 지폐(5)의 위치를 검지하는 광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복수 종류의 감별 센서는, 감별부(12)에 있어서의 반송로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보류부의 구성)
도 2는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1)가 갖는 보류부(13)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보류부(13)에는, 입금된 지폐(5)에 관한 입금 거래가 확정되기 전에, 감별부(12)에 의해 금종 등이 감별된 지폐(5)가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류부(13)는 공급 릴(21)과, 권취 드럼(22)과, 검지부(23)를 갖는다. 공급 릴(21)에는, 띠 형상재로서의 테이프(20)가 권회되어 있다. 공급 릴(21)은 테이프(20)를 권취 드럼(22)에 공급한다. 권취 드럼(22)에는, 공급 릴(21)로부터 공급된 테이프(20)와 함께 지폐(5)가 감긴다. 검지부(23)는 공급 릴(21)로부터 공급된 테이프(20)의 공급량, 즉 권취 드럼(22)에 권취된 테이프(20)의 권취량을 검지한다.
또한, 보류부(13)에는, 지폐 취급 장치(자장치)(1)를 정비하기 위해, 후술하는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으로서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미리 각각 수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띠 형상재의 일례로서 협폭의 테이프(20)를 사용하지만, 테이프(2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테이프(20)가 사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테이프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공급 릴(21)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복수의 테이프(20)를 사용하여, 지폐(5)가 권취 드럼(22)에 감기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보류부(13)는 공급 릴(21)과 권취 드럼(2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25)를 갖는다. 복수의 가이드 롤러(25)는 공급 릴(21)로부터 공급된 테이프(20)를 권취 드럼(22)에 반송하는 반송 경로를 구성한다. 가이드 롤러(25)는 지지축(25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보류부(13)는 권취 드럼(22)에 감기는 지폐(5)가 보내지는 반송구(26)를 갖고 있다. 반송구(26)에는, 테이프(20)의 반송 경로를 구성하는 핀치 롤러(27)와, 가이드 롤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핀치 롤러(27)는 지지축(27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구(26)에 보내진 지폐(5)는 핀치 롤러(27)와 가이드 롤러에 의해 끼워져 반입되어, 권취 드럼(22)의 둘레면으로 향하도록 안내된다.
공급 릴(21)은 회전축(21a)에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가 갖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구동 기구의 구동 모터는, 제어부(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16)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있다. 또한, 공급 릴(21)에는, 테이프(20)의 일단이 회전축(21a)에 고정되어 있다. 일단이 회전축(21a)에 고정된 테이프(20)는 공급 릴(21)의 둘레면을 따라서, 회전축(21a)의 축 주위에 권회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20)의 타단은, 권취 드럼(2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20)의 일단은 공급 릴(21)의 내부에 고정되어도 된다.
테이프(20)는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두께가 0.1㎜ 정도, 폭이 20㎜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20)에는, 길이 방향(도 2에 도시한 A 방향)에 있어서의 시단부 및 종단부에, 차광 필름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20)는 길이 방향 A에 있어서의 중간부가 광 투과성을 갖고, 시단부 및 종단부가 차광성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릴(21)로부터 공급된 테이프(20)는 권취 드럼(22)의 둘레면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가이드 롤러(25)에 걸쳐져 있고, 가이드 롤러(25)에 의해 보내진다. 그리고, 테이프(20)는 반송구(26)의 핀치 롤러(27)에 의해 반송 방향이 반전시켜져, 권취 드럼(22)의 둘레면을 따라서 권취된다.
권취 드럼(22)은 회전축(22a)에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가 갖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구동 모터는, 제어부(16)에 의해 회전 방향이 정전과 역전으로 전환됨으로써, 구동 기구의 전달 기구를 통해, 공급 릴(21)의 회전축(21a) 또는 권취 드럼(22)의 회전축(22a)을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한다.
(검지부의 구성 및 테이프의 단부의 검지)
검지부(23)는 공급 릴(21)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20)의 반송 경로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광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검지부(23)로서의 광 센서는, 검지광을 발하는 발광부(23a)와, 발광부(23a)가 발한 검지광을 수광하는 수광부(23b)를 갖는다. 발광부(23a)와 수광부(23b)는 테이프(20)의 두께 방향(도 2에 도시한 B 방향)에 있어서, 테이프(20)가 통과 가능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23a) 및 수광부(23b)는 테이프(20)의 폭 방향(도 2에 도시한 C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23a) 및 수광부(23b)는 제어부(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수광부(23b)로부터 검지 신호가 제어부(16)에 보내진다.
검지부(23)에서는, 공급 릴(21) 또는 권취 드럼(22)에 의한 테이프(20)의 권취 동작에 수반하여, 테이프(20)의 시단부 및 종단부가, 발광부(23a)와 수광부(23b) 사이로 이동한다. 이때, 테이프(20)의 길이 방향 A에 있어서의 중간부는, 발광부(23a)가 발하는 검지광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수광부(23b)가 검지광을 수광하는 상태로 된다. 한편, 테이프(20)의 시단부 및 종단부는, 발광부(23a)가 발하는 검지광을 차단하므로, 수광부(23b)가 검지광을 수광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수광부(23b)는 검지광을 수광하는 상태로부터 수광하지 않는 상태로 변화됨으로써, 테이프(20)의 시단부 및 종단부의 위치를 각각 검지한다.
검지부(23)는 테이프(20)의 시단부를 검지하였을 때에, 제어부(16)에 검지 신호를 보낸다. 마찬가지로, 검지부(23)는 테이프(20)의 종단부를 검지하였을 때에, 제어부(16)에 검지 신호를 보낸다. 검지부(23)로부터의 종단부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16)는 구동 모터를 정지하고, 권취 드럼(22)의 권취 동작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검지부(23)가 공급 릴(21)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20)의 양단부를 각각 검지함으로써, 제어부(16)는 공급 릴(21)로부터 공급된 테이프(20)의 공급량, 즉 권취 드럼(22)에 권취된 테이프(20)의 권취량을 산출한다. 제어부(16)는 테이프(20)의 권취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권취 드럼(22)에 감아 수용된 지폐(5)의 매수를 카운트한다. 또한, 이 연산 처리에 의해, 제어부(16)는 권취 드럼(22)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수용되어 있는 위치를 검지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테이프(20)의 시단부 및 종단부가 차광성을 갖고, 테이프(20)의 중간부가 광 투과성을 갖고 형성되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구성과는 반대로, 테이프(20)의 시단부 및 종단부가 광 투과성을 갖고, 테이프(20)의 중간부가 차광성을 갖고 형성되어도 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단부 및 종단부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테이프(20)의 시단부 및 종단부에 형성되는 차광 필름 대신에 반사 시트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검지부(23)는 광 센서를 사용하여 구성되었지만, 예를 들어 공급 릴(21)의 회전축(21a)이나 권취 드럼(22)의 회전축(22a)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 인코더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권취 드럼(22)에 있어서의 테이프(20)의 시단부측에는, 후술하는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수용되는 영역의, 테이프(20)의 길이 방향 A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 메인터넌스권 M1∼M4가 수용된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편이, 테이프(20)의 폭 방향 C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권취 드럼(22)으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20)의 검지편을 검지부(23)에 의해 검지함으로써, 권취 드럼(22)에 있어서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수용된 위치를 적절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보류부에 수용되는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13)의 권취 드럼(22)에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13)의 권취 드럼(22)에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가 수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13)가 갖는 권취 드럼(22)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취급 장치(1)를 정비하기 위한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수용되어 있다.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권취 드럼(22)에 연결된 테이프(20)의 시단부측, 즉 권취 드럼(22)에 권취되기 시작하는 테이프(20)의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권취 드럼(22)에 있어서의 테이프(20)의 일단부에, 예를 들어 정비를 행하는 소정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고, 지폐(5)와 마찬가지로, 테이프(20)와 함께 권취 드럼(22)의 둘레면을 따라서 감겨 있다.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예를 들어 상이한 종류의 정비를 각각 행하는 순서에 따라서, 권취 드럼(22)에 수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드럼(22)에는, 테이프(20)의 시단측으로부터, 예를 들어 제3 메인터넌스권 M3, 제2 메인터넌스권 M2, 제4 메인터넌스권 M4, 제1 메인터넌스권 M1의 순으로 배치되도록 수용되어 있다. 이때, 권취 드럼(22)에는, 직사각형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의 짧은 변이, 테이프(20)의 길이 방향 A와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각 메인터넌스권 M1∼M4가 수용된다.
또한, 권취 드럼(22)에는,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배치된 부분 이후에, 감별부(12)로부터 보내진 지폐(5)가 테이프(20)와 함께 감긴다. 이때, 권취 드럼(22)에는, 직사각형의 지폐(5)의 짧은 변이, 테이프(20)의 길이 방향 A와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지폐(5)가 수용된다.
제1 메인터넌스권 M1은, 후술하는 반송부(15)의 반송로(32)에서 잼을 발생시킨 지폐(5)를 제거한 후에, 지폐 취급 장치(1)의 반송로(32)의 잼(이물)의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권이며, 소위 패트롤권에 상당한다. 제1 메인터넌스권 M1로서는, 외형 치수나 두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이 사용되어도 된다.
제2 메인터넌스권 M2는, 지폐 취급 장치(1)의 반송로(32)에 있어서의 지폐(5)의 반송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권이다. 또한, 제2 메인터넌스권 M2로서는, 지폐(5)와 비교하여 두께 등의 외형 치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2 메인터넌스권 M2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반송 조건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2 메인터넌스권 M2를 사용함으로써, 반송로의 반송 상태의 검사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메인터넌스권 M2는, 제1 메인터넌스권 M1을 겸해도 되어, 제2 메인터넌스권 M2만으로 복수 종류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메인터넌스권 M3은, 감별부(12)의 감별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권이며, 감별부(12)에 있어서의 반송로(32)의 반송 상태와, 감별부(12)에 있어서의 각종 감별 센서의 검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게다가, 감별부(12)에 있어서의 반송로(32)의 반송 상태는, 감별부(12)에 있어서의 감별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감별 센서의 검지 상태와 함께 반송 상태가, 제3 메인터넌스권 M3을 사용하여 검사된다.
또한, 제3 메인터넌스권 M3으로서는, 자기 센서만을 검사하는 전용의 제3 메인터넌스권 M3이나, 이미지 센서만을 검사하는 전용의 제3 메인터넌스권 M3이 사용되어도 된다. 복수 종류의 제3 메인터넌스권 M3을 사용함으로써, 감별 센서마다의 검사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3 메인터넌스권 M3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기 패턴이나, 자외선에 의한 발광 패턴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3 메인터넌스권 M3이 사용되어도 된다.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지폐 취급 장치(1)의 반송로(32)에 배치된 후술하는 광 센서(35)를 청소하기 위한 클리닝권이다. 제4 메인터넌스권 M4로서는, 지폐 취급 장치(1)에 있어서의 청소하는 대상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제4 메인터넌스권 M4로서는, 형상이나 재질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사용되어도 된다. 청소하는 형태가 상이한 클리닝권인 복수 종류의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사용함으로써, 광 센서(35)의 청소 상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클리닝권으로서의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패트롤권으로서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을 겸해도 되어, 제4 메인터넌스권 M4만으로 잼의 유무의 검사와 광 센서(35)의 청소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인터넌스권으로서는, 상술한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터넌스권으로서는, 지폐 취급 장치(1)가 구비하는 수용부(14) 등의 다른 부분의 기능 검사나 청소를 포함하는 다른 정비를 행하기 위한 다른 메인터넌스권이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보류부(13)의 권취 드럼(22)에는, 예비용의 메인터넌스권으로서, 각 메인터넌스권 M1∼M4와 동일한 메인터넌스권이 복수매 수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메인터넌스권 M1의 사용 시에, 제1 메인터넌스권 M1이 잼을 일으켜 파손된 경우에도, 예비용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을 사용하여 반송로(32)의 검사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보류부(13)에, 종류가 상이한 정비를 행하기 위한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폐 취급 장치(1)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1종류의 메인터넌스에 대응하는 메인터넌스권을 복수 종류, 수용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즉, 지폐 취급 장치(1)의 반송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제2 메인터넌스권 M2만이나, 감별부(12)의 감별 센서를 검사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제3 메인터넌스권 M3만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반송부의 구성 및 광 센서의 배치)
도 5는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1)가 갖는 반송 기구 및 광 센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취급 장치(1)가 갖는 반송부(15)는 상하 1조의 반송 기구(31)를 갖고 있고, 상하 1조의 반송 기구(31)의 사이에 반송로(32)가 구성되어 있다. 반송 기구(31)는 반송로(32)를 구성하는 가이드 롤러(33)와, 지폐(5)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34)와, 반송로(32)를 통과하는 지폐(5)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광 센서(35)를 갖는다.
반송로(32)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5)의 반송 방향 D에 직교하는 폭 방향 E를 따라서 1조의 광 센서(35)가 배치되어 있다. 1조의 광 센서(35)는 반송로(32)의 폭 방향 E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 P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1조의 광 센서(35)는 반송 벨트(34)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검지광을 출사하는 발광부(35a)와, 발광부(35a)로부터 출사된 검지광을 검지하는 수광부(35b)를 갖는다. 발광부(35a)와 수광부(35b)는 반송로(32)를 따라서 반송되는 지폐(5)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33)의 양단부에는, 반송 벨트(34)를 구동하는 풀리(36)가 설치되어 있고, 반송 벨트(34)가 각 가이드 롤러(33) 간의 각 풀리(36)에 걸쳐 걸려져 있다. 그리고, 상하 1조의 반송 기구(3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가이드 롤러(33)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 각 반송 벨트(34)의 사이에 지폐(5)를 끼워 반송한다.
(메인터넌스권을 사용할 때의 보류부의 동작)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권취 드럼(22)에 수용된 모든 지폐(5)를 권취 드럼(22)으로부터 배출하고, 보류부(13)로부터 수용부(14)에 지폐(5)를 보낸다. 계속해서, 보류부(13)는 권취 드럼(22)에 수용된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권취 드럼(22)으로부터 배출한다. 이때, 제어부(16)는 권취 드럼(22)에 권취된 테이프(20)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부(23)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16)는 권취 드럼(22)에 수용된 지폐(5)의 위치와,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수용된 위치를 판정하고, 권취 드럼(22)의 회전을 제어한다.
각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보류부(13)로부터 배출된 후, 각 메인터넌스권 M1∼M4에 대응하는 각 반송로(32)에 반송됨으로써, 각종 정비가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에 수용된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을 사용할 때에 제어부(16)가 행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지폐 취급 장치(1)는 각 메인터넌스권 M1∼M4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메인터넌스권의 지정을 접수한다. 메인터넌스권의 지정은, 예를 들어 제어부(16)의 조작 패널 등을 사용하여 입력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6)는 메인터넌스권의 지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 메인터넌스권의 지정이 있었던 경우(스텝 S1의 "예")에는, 보류부(13)의 권취 드럼(22)으로부터 메인터넌스권을 배출한다(스텝 S2). 제어부(16)는 검지부(23)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각 메인터넌스권 M1∼M4의 위치를 미리 인식하고 있어, 지정된 원하는 메인터넌스권을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사용하지 않는 다른 메인터넌스권은, 입출금부(11)로 배출된다. 메인터넌스권의 지정이 없는 경우(스텝 S1의 "아니오"), 스텝 S1로 되돌아가, 제어부(16)는 메인터넌스권의 지정을 대기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6)는 보류부(13)로부터 배출된 메인터넌스권을, 정비의 대상 개소인 소정의 반송로(32)에 반송한다(스텝 S3). 메인터넌스권을 사용한 정비가 행해진 후, 제어부(16)는 예를 들어 입출금부(11)의 표시 패널 등에 메인터넌스 결과를 표시한다(스텝 S4). 마지막으로, 제어부(16)는 메인터넌스권을 사용한 반송로(32)로부터, 보류부(13)로 되돌려, 권취 드럼(22)의 소정의 수용 위치에 메인터넌스권을 수용한다(스텝 S5). 이때, 예를 들어 사용되지 않은 다른 메인터넌스권은, 입출금부(11)로부터 투입되고, 보류부(13)의 권취 드럼(22)의 소정의 수용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예를 들어 보류부(13)로부터 배출된 각 메인터넌스권 M1∼M4는, 입출금부(11)로 보내져, 입출금부(11)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입출금부(11)로부터 배출된 각 메인터넌스권 M1∼M4를, 각종 정비를 행하는 소정의 순서로 입출금부(11)로부터 수동으로 소정의 반송로(32)에 공급함으로써,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사용한 정비가 순서대로 행해져도 된다.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을 사용한 각종 정비)
다음에,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사용한 정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13)에 수용되는 제1 및 제2 메인터넌스권 M1, M2의 외형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반송로(32)를, 제2 메인터넌스권 M2를 사용하여 검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메인터넌스권 M1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긴 변 치수 W1이, 지폐(5)의 긴 변 치수 W0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반송로(32)의 폭 방향 E에 대한 폭 치수 W에 가깝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메인터넌스권 M1의 짧은 변 치수 L0은, 지폐(5)의 짧은 변 치수 L0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송로(32)의 폭 치수 W에 걸쳐 잼의 유무를 적절하게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메인터넌스권 M1로서, 외형 치수나 두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이 사용되어도 된다.
제2 메인터넌스권 M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짧은 변 치수 L1이, 지폐(5)의 짧은 변 치수 L0보다도 20%∼30% 정도 작게 되어 있고, 반송로(32)의 반송 방향에 대한 반송 조건이, 지폐(5)에 비해 반송되기 어렵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메인터넌스권 M2의 긴 변 치수 W0은, 지폐(5)의 긴 변 치수 W0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기구(31)는 제2 메인터넌스권 M2를 반송로(32)를 따라서 반송함으로써, 반송로(32)의 반송 상태, 즉 적정한 반송력이 얻어지는지 검사된다. 반송로(32)의 반송 상태로서는, 가이드 롤러(33) 간에 있어서 반송 벨트(34)에 휨이 발생하여, 반송 벨트(34) 간의 간극이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반송 기능의 저하의 유무가 검사된다. 또한, 반송로(32)의 반송 상태로서는, 반송 벨트(34)의 표면의 마찰력이 적정하게 유지되지 않게 된 상태인 반송 벨트(34)의 마모의 유무가 검사된다.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13)에 수용되는 제3 메인터넌스권 M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메인터넌스권 M3은, 감별부(12)의 감별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표시(38)가 소정의 위치에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복수 종류의 표시(38)에는, 감별 센서에 있어서의 이미지 센서의 검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도형, 모양, 기호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복수 종류의 표시(38)에는, 자기 센서를 검사하기 위한 자기 패턴이나, 자외선 센서를 검사하기 위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한 발광 패턴이 포함된다.
감별 센서의 이미지 센서 등의 검사에 더하여, 제3 메인터넌스권 M3은, 감별부(12)의 감별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별부(12)에 있어서의 반송 상태나, 지폐(5)의 두께를 감별하는 두께 센서의 검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반송 상태나 지폐(5)의 두께의 검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제3 메인터넌스권 M3은, 지폐(5)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된 메인터넌스권과, 지폐(5)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된 메인터넌스권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3 메인터넌스권 M3은, 감별 센서의 검지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권과, 감별부(12)에 있어서의 반송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권을 겸하고 있어, 검지 상태의 검사와 반송 상태의 검사의 상이한 복수의 정비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13)에 수용되는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사용하여 광 센서(35)를 청소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1조의 띠 형상의 청소부(41)가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1조의 청소부(41)는 미세한 브러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1조의 광 센서(35) 간의 피치 P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32)를 따라서 반송됨으로써, 각 청소부(41)가 1조의 광 센서(35)의 발광부(35a) 및 수광부(35b)의 대향면에 각각 접촉한다.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광 센서(35)의 위치를 통과함으로써, 청소부(41)에 의해, 광 센서(35)의 발광부(35a) 및 수광부(35b)에 부착된 진애가 제거되어, 광 센서(35)가 적정하게 청소된다.
또한, 제4 메인터넌스권 M4의 청소부(41)는 부직포(펠트)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청소부(41)에 청소제가 함침되어도 된다. 또한,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권취 드럼(22)에 감길 때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조의 청소부(41)의 사이의 중앙부(41a)에 테이프(20)가 감기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권취 드럼(22)에 수용된 제4 메인터넌스권 M4의 변형이나, 청소부(4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4 메인터넌스권 M4에 테이프(20)가 감기는 위치는, 1조의 청소부(41)의 사이의 중앙부(41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소부(41)의 양측 단부(41b)에 테이프(20)가 각각 감겨도 된다.
도 1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보류부(13)에 수용되는 제4 메인터넌스권 M4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사용하여 광 센서(35)를 청소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메인터넌스권 M4에는,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두께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트레이 형상의 청소부(42)가 형성되어도 된다. 청소부(42)는 1조의 광 센서(35) 간의 피치 P보다도 큰 저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4 메인터넌스권 M4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32)를 따라서 반송됨으로써, 청소부(42)가 1조의 광 센서(35)의 수광부(35b)의 수광면에 각각 접촉한다.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광 센서(35)의 위치를 통과함으로써, 청소부(42)에 의해, 광 센서(35)의 수광부(35b)의 수광면에 부착된 진애가 제거되어, 광 센서(35)가 적정하게 청소된다. 또한, 청소부(42)는 광 센서(35)와 접촉하는 형상이면 되고, 미세한 물결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제4 메인터넌스권 M4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메인터넌스권 M4에는, 표면을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1조의 오목 형상의 청소부(43)가 형성되어도 된다. 1조의 청소부(43)는 1조의 광 센서(35) 간의 피치 P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제4 메인터넌스권 M4에 있어서도, 반송로(32)를 따라서 반송됨으로써, 각 청소부(43)가 1조의 광 센서(35)의 수광부(35b)의 수광면에 각각 접촉한다.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광 센서(35)의 위치를 통과함으로써, 청소부(43)에 의해, 광 센서(35)의 수광부(35b)의 수광면에 부착된 진애가 제거되어, 광 센서(35)가 적정하게 청소된다.
또한, 상술한 보류부(13)에 있어서, 권취 드럼(22)에 감기는 테이프(20)는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수용되는 영역의 부분이, 각 메인터넌스권 M1∼M4의 보관에 적합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테이프(20)는 클리닝권으로서의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수용하는 부분이,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유지하기 위해 적정한 마찰력이나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지폐(5)를 수용하는 부분과 상이한 재료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폐 취급 장치(1)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방법은, 권취 드럼(22)에 있어서, 테이프(20)가 연결된 일단측에 수용된, 지폐 취급 장치(1)를 정비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 중, 사용하는 메인터넌스권의 지정을 접수하고, 권취 드럼(22)으로부터, 사용하는 메인터넌스권을 배출하고, 사용하는 메인터넌스권을, 보류부(13)로부터, 지폐(5)를 반송하는 소정의 반송로(32)에 반송한다.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1)는 테이프(20)가 연결된 일단측에, 지폐 취급 장치(1)를 정비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수용되어 있는 권취 드럼(22)을 갖는 보류부(13)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를 사용하여 각종 정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지폐 취급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실시예 1에 따르면, 반송로(32)의 잼의 유무를 제1 메인터넌스권 M1을 사용하여 검사함과 함께, 반송로(32)의 반송 상태(반송력)를 제2 메인터넌스권 M2를 사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1에 따르면, 감별부(12)의 반송 상태나 감별 센서의 검지 상태를 제3 메인터넌스권 M3을 사용하여 검사함과 함께, 반송로(32)에 배치된 광 센서(35)를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실시예 1은 지폐 취급 장치(1)를 용이하게 또한 적정하게 정비할 수 있다.
즉,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감별 센서의 검지 상태가 변화되거나, 감별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 상태가, 지폐를 감별하는 감별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1)에 따르면, 제3 메인터넌스권 M3을 사용함으로써 감별부(12)에 있어서의 감별 센서의 검지 상태나 반송 상태의 검사를 정기적으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지폐 취급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지폐 취급 장치의 반송로에 배치된 복수의 광 센서는, 지폐 취급 장치가 취급하는 지폐 중, 구부러진 자국이나 주름이 발생한 지폐가, 반송로를 통과할 때에 광 센서에 접함으로써 청소가 행해졌다. 그러나, 취급하는 지폐의 상태에 따라서, 지폐와 광 센서의 접촉 상태가 변동되므로, 광 센서의 청소 상태의 안정성이 부족하였다. 한편,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1)에 따르면,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사용함으로써, 광 센서(35)의 청소 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1)는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를 보류부(13)의 권취 드럼(22)에 수용함으로써, 각 메인터넌스권 M1∼M4를 별도로 수용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지폐 취급 장치(1)는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를 갖는 것에 수반하여 지폐 취급 장치(1) 전체가 대형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2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
도 16은 실시예 2의 지폐 취급 장치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실시예 2는 복수의 보류부(13)를 구비하는 점이 실시예 1과 상이하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지폐 취급 장치(2)는 반송부(15)의 반송로(32)를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보류부(13)를 구비한다.
복수의 보류부(13)에는, 입금된 지폐(5)에 관한 입금 거래가 확정되기 전에, 감별부(12)에 의해 금종이 감별된 지폐(5)가, 예를 들어 금종에 기초하여 분류되어 각각 수용된다. 또한, 1개의 보류부(13)에는, 1종류의 지폐(5)만이 수용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금종의 지폐(5)가 수용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보류부(13)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권취 드럼(22)에,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를 사용할 때에는, 권취 드럼(22)에 수용된 모든 지폐(5)가 권취 드럼(22)으로부터 배출된 후, 각 메인터넌스권 M1∼M4가 권취 드럼(22)으로부터 배출되어 적절히 사용된다.
또한, 복수의 보류부(13)의 각각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이 수용되어도 된다. 복수의 보류부(13)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메인터넌스권 M1, M2, 또는 복수 종류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 및 복수 종류의 제2 메인터넌스권 M2가 수용되는 보류부(13)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보류부(13)는, 예를 들어 제3 메인터넌스권 M3 또는 복수 종류의 제3 메인터넌스권 M3이 수용되는 보류부(13)와, 제4 메인터넌스권 M4, 또는 복수 종류의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수용되는 보류부(13)로 분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보류부(13)에, 각 메인터넌스권 M1∼M4의 종별마다 분류하여 수용함으로써, 원하는 메인터넌스권 M1∼M1을 원활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보류부(13) 중, 적어도 1개의 보류부(13)가 예비용의 각 메인터넌스권 M1∼M4를 수용하는 보류부(13)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지폐 취급 장치(1)에 각 메인터넌스권 M1∼M4를 보충하는 빈도를 저감하고, 메인터넌스권 M1∼M4의 보충을 적절한 타이밍에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각 메인터넌스권 M1∼M4의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의 지폐 취급 장치(2)는 지폐 취급 장치(2)를 정비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제1 메인터넌스권 M1 내지 제4 메인터넌스권 M4가 권취 드럼(22)에 수용된 복수의 보류부(13)를 갖는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를 사용하여 정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지폐 취급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는 복수의 보류부(13)를 가짐으로써,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를 수용하는 스페이스를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실시예 2에 있어서도,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를 갖는 것에 수반하여 지폐 취급 장치(2) 전체가 대형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비해 더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지폐 취급 장치(2)의 각 부의 검사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각 부의 청소를 더욱 적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2는 복수의 보류부(13)를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1개의 검사나 청소를 행하기 위한 전용 메인터넌스권을 수용하는 보류부(13)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M1∼M4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류부(13) 중 적어도 1개를, 예비용의 메인터넌스권을 수용하는 보류부(13)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메인터넌스권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1 : 지폐 취급 장치
5 : 지폐
12 : 감별부
13 : 보류부
14 : 수용부
20 : 테이프
21 : 공급 릴
22 : 권취 드럼
32 : 반송로
35 : 광 센서
M1 : 제1 메인터넌스권
M2 : 제2 메인터넌스권
M3 : 제3 메인터넌스권
M4 : 제4 메인터넌스권

Claims (10)

  1. 띠 형상재가 권회된 공급 릴과, 상기 공급 릴로부터 공급된 상기 띠 형상재와 함께 지엽류를 감음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수용하는 권취 드럼을 갖는 보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 드럼에는, 상기 띠 형상재가 연결된 일단측에, 자장치를 정비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이 수용되어 있는 지엽류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은, 상이한 종류의 정비를 행하기 위한 메인터넌스권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보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보류부의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상기 메인터넌스권이 수용되어 있는 지엽류 취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은, 외형 치수가 서로 다른 메인터넌스권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은, 상기 지엽류와 두께가 상이한 메인터넌스권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은, 상이한 종류의 정비를 겸하는 메인터넌스권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에 있어서의 상기 지엽류의 위치를 검지하는 광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은, 상기 광 센서를 청소하는 청소부를 갖는 메인터넌스권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를 감별하는 감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은, 상기 감별부에 있어서의 상기 지엽류의 반송 상태를 검사하는 메인터넌스권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은, 상기 감별부에 있어서의 검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표시를 갖는 메인터넌스권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10. 공급 릴로부터 공급된 띠 형상재와 함께 지엽류를 감음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수용하는 권취 드럼을 갖는 보류부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권취 드럼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재가 연결된 일단측에 수용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정비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메인터넌스권 중, 사용하는 메인터넌스권의 지정을 접수하고,
    상기 권취 드럼으로부터 상기 사용하는 메인터넌스권을 배출하고,
    상기 사용하는 메인터넌스권을, 상기 보류부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반송하는 소정의 반송로에 반송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7000386A 2015-07-22 2015-07-22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015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0892 WO2017013777A1 (ja) 2015-07-22 2015-07-22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247A true KR20180015247A (ko) 2018-02-12

Family

ID=5783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386A KR20180015247A (ko) 2015-07-22 2015-07-22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88721B2 (ko)
KR (1) KR20180015247A (ko)
CN (1) CN107851341A (ko)
WO (1) WO20170137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3306A1 (de) 2017-06-26 2018-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ichervorrichtung und Betriebsverfahren der Speich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4296A (ja) * 1989-03-17 1990-09-28 Hitachi Ltd 通帳類取扱装置
JP2654611B2 (ja) * 1994-12-26 1997-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機
JP5042559B2 (ja) * 2006-08-10 2012-10-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267345B2 (ja) * 2009-06-17 2013-08-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4941526B2 (ja) * 2009-09-07 2012-05-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パトロール券
CN102044109B (zh) * 2009-10-13 2012-01-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金融自助服务设备及其钞票暂存放出装置
CN101996438B (zh) * 2010-11-30 2016-03-02 包钢 检伪点钞鉴别仪鉴别性能定标测试券
JP5958128B2 (ja) * 2012-07-12 2016-07-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3306A1 (de) 2017-06-26 2018-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ichervorrichtung und Betriebsverfahren der Speich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8721B2 (ja) 2018-09-12
CN107851341A (zh) 2018-03-27
JPWO2017013777A1 (ja) 2017-09-21
WO2017013777A1 (ja)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8231B2 (en) Banknote pay-in/pay-out device and banknote transaction device
JP4941526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パトロール券
US79506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ous kinds of paper media with skew sensing
EP2693409B1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JP5633215B2 (ja) 紙幣処理装置
KR101534412B1 (ko) 매체 처리 장치
EP2690606B1 (en) Bill processing device
JP2016003095A (ja) 紙葉類収納繰出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WO2016093218A1 (ja) 紙葉類処理装置
JP597649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装置の制御方法
WO2016076048A1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1456367B1 (ko) 매체 처리 장치
JP2013203520A (ja) 紙葉類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KR20180015247A (ko)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
JP5242280B2 (ja) 釣銭機、釣銭機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7178190B2 (ja) 紙葉類帯封機構及び紙葉類処理装置
TWI712007B (zh) 紙張收納裝置、及紙張處理裝置
KR20220012724A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102323433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JP2020052850A (ja) 紙葉類収納繰出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JP3626289B2 (ja) 貨幣処理装置
JP7477387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7460083B2 (ja) 紙幣処理装置
JP2013023308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扱装置
JP2007241706A (ja) 紙葉類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