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618A -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618A
KR20180014618A KR1020160098211A KR20160098211A KR20180014618A KR 20180014618 A KR20180014618 A KR 20180014618A KR 1020160098211 A KR1020160098211 A KR 1020160098211A KR 20160098211 A KR20160098211 A KR 20160098211A KR 20180014618 A KR20180014618 A KR 2018001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ole
cable
projectio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618A/ko
Priority to US16/322,813 priority patent/US10850886B2/en
Priority to EP17837228.0A priority patent/EP3493376B1/en
Priority to CN201780048461.8A priority patent/CN109769403B/zh
Priority to PCT/KR2017/008313 priority patent/WO2018026177A1/ko
Publication of KR2018001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리브;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이 정렬되어 상기 케이블 홀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결합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리어 홀더를 제공하여, 결합하여 케이블 홀을 형성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분리되는 몸체부를 통해 오 조립 시, 재 작업이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습니다.

Description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Rear holder, cable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에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가 연결된다.
케이블 조립체는 커넥터와 케이블과 리어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모터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재이다. 케이블은 접속단자를 포함한다. 케이블의 접속단자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의 몸체는 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개방된 상태이다. 리어 홀더는 커넥터 몸체의 개방된 후면을 덮는 역할을 한다.
리어 홀더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을 포함한다. 케이블이 케이블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리어 홀더는 커넥터 몸체에 결합된다.
이때, 전자파 차단을 위해, 튜브가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튜브의 외경은 리어 홀더의 케이블 홀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케이블에 튜브를 끼운 후, 케이블을 리어 홀더에 설치하여야 한다. 즉, 튜브가 케이블에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리어 홀더의 케이블 홀에 관통시켜야 한다. 다만, 리어 홀더와 튜브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필요하다. 터미널 압착을 위한 설비가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격 공간에 위치한 케이블 부분도 전자파 차단을 위해 튜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때문에, 슬라이드 형태로 신장이 가능한 튜브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케이블 조립체는 조립 작업이 불편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오 조립시, 재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조립 작업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케이블 홀을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이 정렬되어 상기 케이블 홀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결합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리어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몸체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몸체의 하면과 상기 제2 몸체의 하면이 맞닿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돌기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제2 돌기와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홀이 결합하고,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돌기가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후크 형상이며,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돌기 또는 상기 제2 돌기가 걸리는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는 상호 떨어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후크핀이며, 상기 제2 돌기는 상호 떨어져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후크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몸체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3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결합부는 제3 돌기와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결합부는 제4 돌기와 제4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돌기와 상기 제4 홀이 결합하고,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4 돌기가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몸체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몸채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몸체의 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는 상기 제2 몸체의 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는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커넥터와, 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 및 상기 커넥터의 후면에 결합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이 정렬되어 상기 케이블 홀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결합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케이블 홀을 관통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접속단자와 닿는 케이블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고정부에 맞닿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원통형이고, 상기 리브는 원통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의 내경은 상기 고정부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 및 상기 커넥터의 후면에 결합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이 정렬되어 상기 케이블 홀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결합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케이블 홀을 관통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접속단자와 닿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하여 케이블 홀을 형성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분리되는 몸체부를 통해 오 조립 시, 재 작업이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습니다.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의 터미널의 압착 공정 이후, 케이블 조립체의 조립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감싸는 튜브와 리어 홀더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작업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리어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몸체의 측면도,
도 4는 제2 몸체의 측면도,
도 5는 케이블과 접속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커넥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 조립체는 리어홀더(10)와, 커넥터(20)와, 케이블(3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홀더(10)는 커넥터(20)의 개방된 후면을 덮는다. 그리고 리어홀더(10)는 케이블(30)이 관통한다. 케이블(30)의 끝단에 접속단자(31)가 설치된다. 커넥터(20)의 내부에는 모터의 커텍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들이 배치된다. 커넥터(20)는 케이블(30)의 접속단자(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개방된다. 커넥터(20)의 몸체는 모터의 커텍터와 물리적으로 결합한다.
도 2는 리어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홀더(10)는 몸체부(100)와, 리브(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분리 가능한 2개의 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어 홀더(10)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2 몸체(120)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가 결합한다. 또한, 제1 몸체(110)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2 몸체(120)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한다. 제3 결합부와 제4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가 결합한다.
도 3은 제1 몸체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몸체(110)는 육면체일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하면(110A)과, 전면(110B)과. 후면(11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제1 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111)은 전면(110B)과. 후면(110C)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 홈(111)은 반 원통형상 일 수 있다. 제1 홈(111)은 케이블(30)이 관통하는 곳이다.
제1 몸체(110)는 제1 결합부와 제3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로서, 제1 돌기(112)와 제1 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12)와 제1 홀(113)는 제1 몸체(110)의 하면(11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112)는 하면(110A)에서 돌출되며 후크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 어, 제1 돌기(112)는 상호 떨어져 마주 보는 한 쌍의 후크핀일 수 있다. 이는 제1 돌기(112)가 제2 몸체(120)의 제2 홀(123)에 결합될 때, 탄성 변형이 용이한 구성이며, 결합 후, 고정력을 높이는 구성이다.
제1 홀(113)에는 제2 몸체(120)의 제2 돌기(122)가 결합된다. 제1 홀(113)은 후크 형태의 제2 몸체(120)의 제2 돌기(122)가 걸리는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부로서, 제3 돌기(114)와 제3 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12)와 제1 홀(113)는 상대적으로, 제1 몸체(110)의 중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3 돌기(114)와 제3 홀(115)은 제1 몸체(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기(114)와 제3 홀(115)는 제1 몸체(110)의 하면(11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기(114)는 하면(110A) 어느 한 측 끝단에 배치되고, 제3 홀(115)은 하면(110A) 다른 한 측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기(114)는 하면(110A)에서 돌출되며 핀 형상일 수 있다. 제3 홀(115)에는 제3 돌기(114)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돌기(112)와 제1 홀(113)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강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3 돌기(114)와 제3 홀(115)은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정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제2 몸체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를 갖을 수 있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구분하였으나,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그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여 상호 암수 결합이 가능한 하나의 단일 부품일 수 있다.
제2 몸체(120)도 육면체일 수 있다. 제2 몸체(120)는 하면(120A)과, 전면(120B)과. 후면(12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120)는 제2 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121)은 전면(120B)과. 후면(120C)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 홈(121)은 반 원통형상 일 수 있다. 제2 홈(121)은 케이블(30)이 관통하는 곳이다.
제2 몸체(120)는 제2 결합부와 제4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로서, 제2 돌기(122)와 제2 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122)와 제2 홀(123)은 제2 몸체(120)의 하면(12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122)는 하면(120A)에서 돌출되며 후크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 어, 제2 돌기(122)는 상호 떨어져 마주 보는 한 쌍의 후크핀일 수 있다. 이는 제2 돌기(122)가 제1 몸체(110)의 제1 홀(113)에 결합될 때, 탄성 변형이 용이한 구성이며, 결합 후, 고정력을 높이는 구성이다.
제2 홀(123)에는 제1 몸체(110)의 제1 돌기(112)가 결합된다. 제1 홀(113)은 후크 형태의 제1 돌기(112)가 걸리는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결합부로서, 제4 돌기(124)와 제4 홀(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122)와 제2 홀(123)은 상대적으로, 제2 몸체(120)의 중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4 돌기(124)와 제4 홀(125)은 제2 몸체(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돌기(124)와 제4 홀(125)은 제2 몸체(120)의 하면(12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돌기(124)는 하면(120A) 어느 한 측 끝단에 배치되고, 제4 홀(125)은 하면(120A) 다른 한 측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돌기(124)는 하면(120A)에서 돌출되며 핀 형상일 수 있다. 제4 홀(125)에는 제4 돌기(124)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돌기(122)와 제2 홀(123)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강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4 돌기(124)와 제4 홀(125)은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정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제1,2,3,4 결합부에 의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가 결합하는 경우, 제1 몸체(110)의 하면(110A)과 제2 몸체(120)의 하면(110A)은 상호 맞닿는다. 그리고,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가 결합하면, 제1 몸체(110)의 제1 홈(111)과 제2 홈(121)은 케이블(30)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을 형성한다.
이렇게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결합하여 케이블 홀을 구현하기 때문에, 오 조립 시, 재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케이블 조립체(10)의 조립 공정으로 마지막으로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리브(200)는 케이블 홀을 형성하는 제1 홈(111)과 제2 홈(121)에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브(200)는 제1 몸체(110)의 전면(110B)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리브(200)는 제2 몸체(120)의 전면(120B)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200)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가 결합한 상태에서, 원통형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도 5는 케이블과 접속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30)의 끝단에는 접속단자(31)가 설치될 수 있다. 접속단자(31)는 커넥터(20)의 내부에 포함된 단자와 연결된다. 접속단자(31)는 케이블(30)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고정하는 고정부(3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31a)는 원통형일 수 있다.
도 6은 커넥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브(200)는 고정부(31a)와 접촉한다. 리어홀더(10)가 커넥터(20)에 고정될 때, 리브(200)가 고정부(31a)를 밀어내면서 케이블(30)의 접속단자(31)와 커넥터(20)의 내부에 포함된 단자가 밀착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리브(200)는 케이블(30)의 접속단자(31)와 커넥터(20)의 내부에 포함된 단자가 미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리어홀더(10)의 조립과정에서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와 같은 케이블 조립체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모터는 회전축(2)과, 로터(3)와, 스테이터(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는 로터(3)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와 스테이터(4)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3)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회전축(2)이 회전한다 회전축(2)은 차량의 조향축과 연결되어 조향축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로터(3)는 스테이터(4)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3)는 로터 코어와 로터 코어에 결합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3)는 로터 코어와 마그넷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로터(3)는 마그넷이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로터(3)는 마그넷의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캔부재가 로터 코어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마그넷과 로터 코어가 이중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터(3)는 마그넷이 로터 코어의 내부에 결합되는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로터(3)는 로터 코어 내부에 마그넷이 삽입되는 포켓이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4)는 로터 조립체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 조립체의 회전을 유도한다. 로터 조립체와 상호 작용을 유발하기 위해 스테이터(4)에 코일(4a)이 감길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리어홀더
20: 커넥터
30: 케이블
100: 몸체부
110: 제1 몸체
111: 제1 홈
112: 제1 돌기
113: 제1 홀
114: 제3 돌기
115: 제3 홀
120: 제2 몸체
121: 제2 홈
122: 제2 돌기
123: 제2 홀
124: 제4 돌기
125: 제4 홀
200: 리브

Claims (16)

  1. 케이블 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리브;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이 정렬되어 상기 케이블 홀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결합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리어 홀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리어 홀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하면과 상기 제2 몸체의 하면이 맞닿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는 리어 홀더.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돌기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제2 돌기와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홀이 결합하고,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돌기가 결합하는 리어 홀더.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후크 형상이며,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돌기 또는 상기 제2 돌기가 걸리는 걸림면을 포함하는 리어 홀더.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호 떨어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후크핀이며,
    상기 제2 돌기는 상호 떨어져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후크핀인 리어 홀더.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3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는 리어 홀더.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는 제3 돌기와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결합부는 제4 돌기와 제4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돌기와 상기 제4 홀이 결합하고,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4 돌기가 결합하는 리어 홀더.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몸체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몸채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몸체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리어 홀더.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2 몸체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리어 홀더.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원통형 형상인 리어 홀더.
  12.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및
    상기 커넥터의 후면에 결합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이 정렬되어 상기 케이블 홀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결합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케이블 홀을 관통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접속단자와 닿는 케이블 조립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고정부에 맞닿는 케이블 조립체.
  14. 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원통형이고,
    상기 리브는 원통형인 케이블 조립체.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내경은 상기 고정부의 외경보다 작은 케이블 조립체.
  16.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및
    상기 커넥터의 후면에 결합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이 정렬되어 상기 케이블 홀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결합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케이블 홀을 관통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접속단자와 닿는 모터.
KR1020160098211A 2016-08-01 2016-08-01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80014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211A KR20180014618A (ko) 2016-08-01 2016-08-01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16/322,813 US10850886B2 (en) 2016-08-01 2017-08-01 Rear holder and motor comprising same
EP17837228.0A EP3493376B1 (en) 2016-08-01 2017-08-01 Rear holder and motor comprising same
CN201780048461.8A CN109769403B (zh) 2016-08-01 2017-08-01 后保持件和包括该后保持件的马达
PCT/KR2017/008313 WO2018026177A1 (ko) 2016-08-01 2017-08-01 리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211A KR20180014618A (ko) 2016-08-01 2016-08-01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618A true KR20180014618A (ko) 2018-02-09

Family

ID=6119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211A KR20180014618A (ko) 2016-08-01 2016-08-01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6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1468B2 (en) Motor
JP3683864B2 (ja) ミックスされた接地並びに非接地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的コネクター
JP6404258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3516032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9255784B2 (en) Contactless angular position detection device
EP3051637B1 (en) Motor
JP2020181818A (ja) コネクタ
JP2014230464A (ja) 回転電機
US11201437B2 (en) Insulating connector for an electrical cable
KR20180014618A (ko) 리어 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70045663A (ko)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2164474A (ja) 回転コネクタ
KR20180080536A (ko) 리어홀더,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210607704U (zh) 连接器转接端子组件
CN210576802U (zh) 一种户外电缆连接器
KR20190013045A (ko) 모터
TWI722513B (zh) 電連接器組合
CN209766720U (zh) 一种电连接器壳体组件及电连接器
US2016019075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rotatabl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KR20180014619A (ko)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02262507A (ja) 電動モータの外部接続構造
CN220797191U (zh) 一种dc电源插座
JP2006114411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
US11095185B2 (en) Motor assembly
CN220291212U (zh) 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