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608A - 근관치료용 팁 - Google Patents

근관치료용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608A
KR20180014608A KR1020160098186A KR20160098186A KR20180014608A KR 20180014608 A KR20180014608 A KR 20180014608A KR 1020160098186 A KR1020160098186 A KR 1020160098186A KR 20160098186 A KR20160098186 A KR 20160098186A KR 20180014608 A KR20180014608 A KR 20180014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root canal
treatment
outer circumferential
ti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339B1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종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곤 filed Critical 김종곤
Priority to KR102016009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339B1/ko
Priority to PCT/KR2017/008287 priority patent/WO2018026167A1/ko
Publication of KR2018001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0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3/03Instruments operated by v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관치료용 팁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근관치료를 위해 근관에 삽입 가능한 삽입 단부에 초음파가 전달되도록 하는 근관치료용 팁으로서, 근관의 만곡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되되, 적어도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PEEK, Polyetheretherketone)가 포함되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치료용 팁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근관치료용 팁 {Endodontic tip}
본 발명은 근관치료용 팁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를 포함하여 이뤄져 탄성에 의한 휘어짐이 가능하므로 잘 부러지지 않고, 근관의 만곡부에 삽입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근관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근관치료용 팁에 관한 것이다.
건강하게 장수하는 삶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아 건강을 위한 치료 및 관리에 관한 기술 개발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충치에 의해 치아 및 신경이 손상되어 기존의 치아를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하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임플란트를 위해 소요되는 고가의 시술 비용이 부담되는 것은 물론, 자신의 치아를 가급적 오래 유지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기존 치아를 제거하지 않고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기존 치아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는 치아 내부에 존재하는 충치를 제거하고 손상된 신경을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근관치료' 기술이 이용된다.
근관치료, 일명 신경치료는 충치 또는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신경조직에 염증이 생기거나 치수조직이 노출되는 경우 통증 및 민감한 반응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통증을 수반하는 치수(穉樹)를 제거한 후 그 비어있는 공간에 다른 재료를 밀봉함으로써, 통증을 제거하고 치아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근관치료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338호의 "초음파 치과용 도구"가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구동되고 티타늄과 알루미늄에 기초한 합금으로 제조된 치과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니오븀 및/또는 몰리브덴 및/또는 탄탈룸으로 구성되고 중심입방 구조의 격자 상태를 적어도 40%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적합성 베타제닉 요소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종래 기술은 치과에서 스케일링, 세척 등을 위해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근관치료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금속 합금으로 근관치료용 팁을 제조함으로써 근관의 뿌리부가 만곡형성되는 경우 이곳으로 삽입되는 팁이 파절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1328호의 "치과 및 의료용 초음파 팁과 그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분말을 포함하는 성형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팁 바디 및 팁 바디 표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팁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 혼합물을 사출하여 중간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져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성형 혼합물을 사출, 소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각각의 제조공정을 수행할 설비 및 공간을 요하며, 견고성을 만족하기 위해 포함되는 금속분말 소재로 인해 탄성력이 작고, 근관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팁을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1328호 (2009년 06월 01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338호 (2012년 05월 25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를 포함하여 이뤄져 탄성에 의한 휘어짐이 가능하므로 잘 부러지지 않고, 근관의 만곡부에 삽입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근관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근관치료용 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근관치료를 위해 근관에 삽입 가능한 삽입 단부에 초음파가 전달되도록 하는 근관치료용 팁으로서, 근관의 만곡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되되, 적어도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PEEK, Polyetheretherketone)가 포함되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치료용 팁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를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관치료용 팁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의 외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주홈이 위치한 외주면의 단면폭에 대한 상기 외주홈의 깊이의 비는 0.05 내지 0.0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관치료용 팁은, 상기 근관에 삽입되며, 삽입 단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팁부; 초음파 생성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팁부에 초음파가 전달되도록 하는 몸체부; 및 상기 팁부와 몸체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절곡부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팁부와 몸체부가 이루는 각도는 115°± 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팁부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근관치료시 근관치료용 팁이 부러지지 않고 구부러진 근관 내측으로 유연하게 삽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근관치료용 팁의 삽입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당한 경도를 유지하여 근관 내에 삽입 가능하면서도 연약한 근관 내 조직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근관치료용 팁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가공만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팁의 제조가 이뤄질 수 있으므로, 수요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의 근관치료용 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을 이용하여 근관치료를 수행하는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1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1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10)은 근관치료를 위해 근관(24, 도 3)에 삽입 가능한 삽입 단부에 초음파가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근관치료용 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치료를 위해 근관에 삽입되는 팁부(12)와 상기 팁부(12)에 초음파가 전달되도록 초음파 생성장비와 연결되는 몸체부(16) 및 상기 팁부(12)와 몸체부(16)가 결합되도록 하는 절곡부(14)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절곡부(14)는 각각의 치아(20)의 근관치료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각도로 구부러진 형태로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적절한 각도로 구부러진 절곡부(14)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팁부(12)와 몸체부(16)가 이루는 각도(A, 도 3)는 115°± 4°로 이뤄지며, 이 경우 근관치료용 팁(10)의 상기 팁부(12)가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등에 접근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6)는 내측으로 초음파 생성장비와 돌림결합(예, 나사결합)이 이뤄질 수 있도록 결합부(1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M3.0 x 0.5P의 형태의 암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장비는 일예로, 진동주파수 24kHz 내지 42kHz, 출력 3W 내지 60W를 갖는 초음파 장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진동주파수 및 출력의 경계값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근관치료용 팁(10)의 팁부(12)는 근관에 삽입 가능하도록 매우 좁고 얇게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삽입 단부측이 좁고 타단부 측이 상대적으로 넓은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근관치료용 팁(10)은, 상기 팁부(12)와 절곡부(14) 및 몸체부(16)가 분리, 결합이 가능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팁부(12)와 절곡부(1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6)와 절곡부(14)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근관치료용 팁(10)은, 다른 예로, 팁부(12)와 절곡부(14) 및 몸체부(1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근관치료용 팁(10)이 매우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분리, 결합의 어려움 및 소독 후 재사용시의 감염위험성 등을 고려할 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관치료용 팁(10)은 근관(24, 도 3)의 만곡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폴리머(Polymer) 계열의 합성수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금속과 같이 경도 및 인장강도(예, 500MPa 이상)가 뛰어나면서도 적절한 탄성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예, 2GPa 이상의 굴곡 탄성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이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근관치료용 팁(10)은 적어도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PEEK, Polyetheretherketone)가 포함되어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근관치료용 팁(10)은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이하 PEEK) 100%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이하 PEEK)는 할로겐화 벤조페논과 하이드로 키논의 용액중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결정성 수지이다.
상기 PEEK는 일반적인 가공기기에서 사출 및 압출 성형이 가능하며, 기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비해 강인성, 내열성 등이 뛰어나 CNC 밀링머신 등의 장비를 이용한 가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근관치료용 팁(10)이 적어도 PEEK를 포함하여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근관치료용 팁(10)이 너무 쉽게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으면서도 어느 정도 탄성 변화가 가능하여 근관의 만곡부(예, 근관의 치근단공측 부위)에 삽입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PEEK를 포함하는 근관치료용 팁(10)은 PEEK 파티클을 고온 소결하거나 용융하여 사출하는 형태로 봉재 또는 각재 등의 형상으로 모재가 형성되며, 이러한 모재를 이용하여 근관치료용 팁(10)을 형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첨가재가 혼합된 PEEK를 이용한 근관치료용 팁(10) 형성방법에서 함께 서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근관치료용 팁(10)에서, 상기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는 유리섬유(Glass fiber) 또는 탄소섬유(Carbon fiber) 중 어느 하나를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여 이뤄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PEEK는 20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유리섬유를 첨가하여 높은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근관(24, 도 3) 내부에 삽입 시 근관(24, 도 3) 내측에 부착된 치수(26)를 적절히 마모를 통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리섬유가 20%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강도 및 치수 안정성 향상 효과가 낮아지며, 40%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유연성 및 탄성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PEEK는 20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PEEK는 30% 탄소섬유를 첨가하여 내마모성을 가지며, 높은 탄성율 및 기계적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더욱 견고하면서도 휨이 유지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가 20%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탄성율 및 기계적 강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낮아지며, 40%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초음파 전달 특성이 저감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는 상기 PEEK와 분말로 혼합 후 고온 소결하거나 용융하여 사출하는 형태로 PEEK에 포함될 수 있으며, 봉재 또는 각재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봉재 또는 각재 등의 형태로 형성된 PEEK 또는 PEEK 혼합물(예, PEEK + 30% 탄소섬유) 모재는 CNC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가공이 이뤄지며, 상기 PEEK 모재 등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바이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심축으로 거리가 가까워지는 다축 가공방식으로 적절한 크기로 가공이 이뤄진다.
상기 가공이 이뤄진 후 열처리를 거쳐 상기 절곡부(14)의 밴딩이 이뤄지며, 밴딩 후 열처리가 더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절곡부(14)가 일정한 각도(예, 115°)를 유지하면서 적절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관치료용 팁(10)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10)을 이용하여 근관치료를 수행하는 상태의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근관치료용 팁(10)을 이용한 근관치료방법의 일예로, 우선 치아(20)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엑스레이 촬영을 하여 근관(24)의 형태를 파악한다.
다음으로 치아 상부(21)를 뚫고 신경근(22) 내측에 위치하는 근관(24) 속의 치수(26) 및 혈관을 제거하여, 염증에 의해 통증이 발생되는 신경조직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상기 근관(24)에 세척 및 소독을 위한 세척물질을 투입하고 근관치료용 팁(10)의 팁부(12)를 삽입한 후 초음파를 발생시켜 치수(26) 등을 제거한다.
상기 세척물질은 일예로, 염소산나트륨(NaOCl), EDTA(Ethylene Diamine),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MTAD가 이용될 수 있으며, 치아(20)를 변질시키지 않고 근관(24)을 무균화하는 한편, 근관(24) 내 근관치료용 팁(10)이 도달하지 못하는 미세한 부위까지 세척하여 남아있는 부패된 치수(26)를 제거하기 위해 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26)가 제거된 다음, 새로운 재료로 근관(24) 내부를 채워 넣고, 치아(20)가 회복되면 크라운 보철치료를 시행하여 치아 상부(21)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근과치료가 완료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1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10)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의 외주홈(13)이 형성된다.
상기 팁부(12)는 일예로, 17mm 내지 28mm의 길이로 이뤄질 수 있으며, 치아의 종류, 치아의 위치, 환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주홈(13)은 근관(24) 내부로 삽입되는 근관치료용 팁(10)이 얼마나 삽입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파악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예로, 팁부(12)의 길이가 25mm일 때, 삽입측 단부로부터 18㎜, 20㎜, 22㎜ 위치에 3개의 외주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근관치료는 근관(24)내에서만 이뤄지므로 정확한 근관(24)의 길이(예, 치근단공까지의 길이)를 아는 것이 필요하며, 상기 외주홈(13)은 길이 측정장비의 사용 또는 엑스레이 촬영 전 빠르게 근관(24)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의 역할을 한다.
일예로, 상기 외주홈(13)이 위치한 외주면의 단면폭(D)에 대한 상기 외주홈(13)의 깊이(H)의 비는 외주홈(13)의 가공성, 시술자의 인식 가능 정도 및 휨특성 등을 고려하여 0.05 내지 0.08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주면의 단면폭(D)은 외주홈(13)이 없이 테이퍼 면으로만 팁부(12)가 이뤄진다고 가정했을 때의 해당 위치에서의 팁부(12)의 최대 단면폭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팁부(12)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상기 단면폭(D)은 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외주홈(13)의 주변에서 팁부(12)의 탄성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외주홈(13)은 팁부(12)가 상기 근관(24)의 만곡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휘어짐을 더욱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근관치료용 팁(10)은 용이한 근관치료를 위해 적절한 치수(또는 치수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팁부(12)의 길이가 17mm 내지 28mm인 경우, 상기 삽입 단부의 폭(d1)에 대한, 상기 절곡부(14)와 결합되는 팁부(12)의 결합 단부의 폭(d2)의 비는 3.8 내지 4.2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 단부의 폭(d1)에 대한, 상기 절곡부(14)와 결합되는 팁부(12)의 결합 단부의 폭(d2)의 비가 상기 비율보다 작게 구성되는 경우, 팁부(12)의 테이퍼 비율이 유효하게 확보되지 않으므로, 상기 근관(24)의 만곡부로 상기 팁부(12)를 삽입할 때 팁부(12)의 결합 단부 측에서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근관 내 삽입이 용이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삽입 단부의 폭(d1)에 대한, 상기 절곡부(14)와 결합되는 팁부(12)의 결합 단부의 폭(d2)의 비가 상기 비율보다 크게 구성되는 경우, 팁부(12)의 테이퍼 비율이 과도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근관(24)의 만곡부로 상기 팁부(12)를 삽입할 때 팁부(12)의 삽입 단부 측에서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근관 내 삽입이 용이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팁부(12)의 길이가 17mm 내지 28mm인 경우, 상기 삽입 단부의 폭(d1)에 대한, 상기 팁부(12)의 길이(h1)의 비는 99.2 내지 100.8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팁부(12)의 길이가 17mm 내지 28mm인 경우, 상기 절곡부(14)와 결합되는 팁부(12)의 결합 단부의 폭(d2)에 대한, 팁부(12)의 길이(h1)의 비는 24.8 내지 25.2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팁부(12)가 근관(24) 내로 충분히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팁부(12)의 길이(h1)를 너무 작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대로 상기 팁부(12)의 길이(h1)가 너무 길게 형성되는 경우 정확한 근관(24)내 삽입 및 초음파의 원활한 전달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근관치료용 팁 12: 팁부
14: 절곡부 16: 몸체부
18: 결합부
20: 치아 21: 치아 상부
22: 신경근 24: 근관
26: 치수

Claims (6)

  1. 근관치료를 위해 근관에 삽입 가능한 삽입 단부에 초음파가 전달되도록 하는 근관치료용 팁으로서,
    근관의 만곡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되되, 적어도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PEEK, Polyetheretherketone)가 포함되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치료용 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터에터케톤 수지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를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치료용 팁.
  3. 제1항에 있어서,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의 외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치료용 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홈이 위치한 외주면의 단면폭에 대한 상기 외주홈의 깊이의 비는 0.05 내지 0.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치료용 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관에 삽입되며, 삽입 단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팁부;
    초음파 생성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팁부에 초음파가 전달되도록 하는 몸체부; 및
    상기 팁부와 몸체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절곡부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팁부와 몸체부가 이루는 각도는 115°±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치료용 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치료용 팁.
KR1020160098186A 2016-08-01 2016-08-01 근관치료용 팁 KR10198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186A KR101980339B1 (ko) 2016-08-01 2016-08-01 근관치료용 팁
PCT/KR2017/008287 WO2018026167A1 (ko) 2016-08-01 2017-08-01 근관치료용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186A KR101980339B1 (ko) 2016-08-01 2016-08-01 근관치료용 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608A true KR20180014608A (ko) 2018-02-09
KR101980339B1 KR101980339B1 (ko) 2019-05-20

Family

ID=6107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186A KR101980339B1 (ko) 2016-08-01 2016-08-01 근관치료용 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0339B1 (ko)
WO (1) WO2018026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8375A (zh) * 2018-07-25 2018-11-27 南宁市微牙科技有限公司 牙齿矫正护理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286A (ja) * 2005-08-30 2007-03-15 Manii Kk 根管治療器具
US20080248444A1 (en) * 2007-04-04 2008-10-09 Bahcall James K Ultrasonic endodontic tip having a low-modulus of elasticity
KR100901328B1 (ko) 2008-05-07 2009-06-09 주식회사 쎄타텍 치과 및 의료용 초음파 팁과 그 제조방법
KR101152338B1 (ko) 2004-05-05 2012-06-11 쏘시에떼 뿌르 라 꽁셉씨옹 데 아쁠리까씨옹 데 테끄니끄 엘레트로니끄, 싸트렉 초음파 치과용 도구
US20150230902A1 (en) * 2014-02-18 2015-08-20 Panayiotis Andreou Endodontic file for assessing root canal depth
US20150359608A1 (en) * 2012-01-20 2015-12-17 William B. Johnson Multi-Planar Pre-Curved Rotary Endodontic Fi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39B1 (ko) * 2007-04-05 2010-05-26 이인환 근관치료기의 니들유닛
KR101289446B1 (ko) * 2011-11-10 2013-07-24 박병활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KR101372387B1 (ko) * 2012-07-30 2014-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관 크기 측정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38B1 (ko) 2004-05-05 2012-06-11 쏘시에떼 뿌르 라 꽁셉씨옹 데 아쁠리까씨옹 데 테끄니끄 엘레트로니끄, 싸트렉 초음파 치과용 도구
JP2007061286A (ja) * 2005-08-30 2007-03-15 Manii Kk 根管治療器具
US20080248444A1 (en) * 2007-04-04 2008-10-09 Bahcall James K Ultrasonic endodontic tip having a low-modulus of elasticity
KR100901328B1 (ko) 2008-05-07 2009-06-09 주식회사 쎄타텍 치과 및 의료용 초음파 팁과 그 제조방법
US20150359608A1 (en) * 2012-01-20 2015-12-17 William B. Johnson Multi-Planar Pre-Curved Rotary Endodontic File
US20150230902A1 (en) * 2014-02-18 2015-08-20 Panayiotis Andreou Endodontic file for assessing root canal dep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6167A1 (ko) 2018-02-08
KR101980339B1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ddle et al. The shaping movement 5th generation technology
EP0746262B1 (de) Vorrichtung zur ultraschallpräparation von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hart- oder weichgeweben und von zahn- oder knochenersatzmaterialien
EP2142036B1 (en) A medical cleaning tool
TWI353828B (en) Dental instrument employing ultra-sounds
JP5529583B2 (ja) 歯科用根管治療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EP3197385B1 (en) Ultrasonic tip for ultrasonic instrument and method of dental treatment with said ultrasonic tip
US20070259307A1 (en) Instruments having anti-microbial coating
JP2014505507A (ja) 歯根管に穿孔するための歯内治療器具
WO2008036120A1 (en) Non-metallic dental scaler
KR101980339B1 (ko) 근관치료용 팁
KR10171161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JP2015159889A (ja) スケーラー用チ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スケーラー
EP0719526A1 (en) Dental scaler tip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IU et al. Comparison of shaping ability of five nickel-titanium rotary instruments in simulated curved canals
EP3574865B1 (en) Endodontic instrument
KR200445444Y1 (ko) 치과용 리트렉터
US10595962B2 (en) Ultrasonic endodontic surgical instrument
CN107405179B (zh) 医疗用器件、牙科用、头颈部外科用和整形外科用器件结构以及医疗用器件对骨的接合方法
KR20120004204A (ko) 표면처리된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71298B1 (ko) 임플란트 스케일러팁
KR101078537B1 (ko) 포스트 제거를 위한 치과용 초음파 팁
Simon et al. Protaper®–Hybrid Technique
KR101463802B1 (ko) 근관 치료용 Ni-Ti 파일의 제조방법
Bhondwe et al. systems: Simple approach to root canal”
JP2017047146A (ja) Peek樹脂キャップ付き歯科用スケーラ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