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344A -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344A
KR20180014344A KR1020160096974A KR20160096974A KR20180014344A KR 20180014344 A KR20180014344 A KR 20180014344A KR 1020160096974 A KR1020160096974 A KR 1020160096974A KR 20160096974 A KR20160096974 A KR 20160096974A KR 20180014344 A KR20180014344 A KR 20180014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unit
area
road
famili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257B1 (ko
Inventor
신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2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344A/ko
Priority to KR1020230116977A priority patent/KR102599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1Personalized guidance, e.g. limited guidance on previously travell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데이터 저장부,및 기 지도데이터 저장부의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본 발명은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로 탐색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다니거나 차량 등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정확한 거리 및 소요시간을 알려주고,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로 탐색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 및 진행 방향을 화면으로 출력하며, 낯선 지역을 방문할 경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진행해야 할 도로와 예상 소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내비게이션과 같은 경로 탐색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부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최단 거리 또는 도로 종별에 따른 도로 우선 순위를 지정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주행기록을 이용하여 자주 이용한 도로를 더 이용할 수 있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주행기록을 이용하는 경로 탐색 기능은, 주행 횟수가 높은 도로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경유로에 더 많이 포함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우회 경로가 탐색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고, 사용자가 지역 단위의 도로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이 부재하였다. 그리고 일률적으로 경로가 안내됨에 따라 운전자의 주행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우회 경로가 탐색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사용자의 주행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가 파악하는 지역별 도로 상황을 고려하여 경로를 탐색 및 안내함으로써 경로 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부의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 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 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상기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되는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상기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상기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 탐색 조건은,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상기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상기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경로안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안내부는 주행중인 도로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제어부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로안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은 제어부가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 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상기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되는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상기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상기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 탐색 조건은,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상기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상기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를 제어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안내부는 주행중인 도로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로안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고, 이동체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생성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로부터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내비게이션 서버, 및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과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의 통신 매체가 되는 무선통신망을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상기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켜 상기 매칭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도로에 도로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상기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상기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 탐색 조건은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상기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은 주행중인 도로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도로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여, 익숙한 지역은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빠른 길 위주로 탐색·안내하고, 낯선 지역에서는 편하고 안전한 길 위주로 탐색·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주행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에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는 입력부(10), 지도데이터 저장부(20), 위치정보 수신부(30), 주행정보 저장부(40), 제어부(50), 및 경로안내부(6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50)는 단위지역 분할부(51), 지역친숙도 산출부(53), 경로탐색부(55), 및 경로안내 제어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목적지와 함께 경유지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10)는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이크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방식의 입력부(10)의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지도데이터 저장부(20)는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지도데이터 저장부(20)는 도로의 링크, 각 링크의 속성, 각 링크별 교차로의 노드 리스트, 각 노드의 좌표 등을 지도데이터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50)는 이러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지도데이터 저장부(20)는 지도데이터 저장을 위해 플래시(Flash)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3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 수신부(30)는 GPS 등의 위성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좌표, 즉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체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경로 탐색 장치가 탑재된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뿐만 아니라 경로 탐색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주행정보 저장부(40)는 위치정보 수신부(30)가 수신한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축적하여 주행 궤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행 궤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주행 궤적 정보는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이 주행한 궤적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경로 탐색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한 궤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도데이터 저장부(20), 주행정보 저장부(40) 및 제어부(50)를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도데이터 저장부(20) 및 주행정보 저장부(40)는 제어부(50)에 포함된 통합된 구성일 수도 있다. 즉, 제어부(50)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위치정보 수신부(3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생성된 주행 궤적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경로안내부(60)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경로안내부(6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지도데이터 저장부(20)의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50)의 동작 과정을 제어부(50)의 하위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위지역 분할부(51)는 지도데이터 저장부(20)의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는 분할된 단위지역마다 후술할 지역친숙도에 따른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단위지역 분할부(51)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행정구역은 도, 시군구, 읍면동과 같은 단위를 의미한다.(예: 경기도/충청도/전라도, 서울시/인천시/수원시, 강남구/서초구/동작구) 행정구역 단위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제어부(50)에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단위지역 분할부(51)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이는 각 단위지역에 포함되는 도로의 개수가 유사하도록 단위지역을 분할하여 후술할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에 있어 정확성 및 객관성을 보장하고 경로 탐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각 단위지역에 포함되는 도로의 개수가 19개 ~ 21(20±1), 29 ~ 31(30±1), 39 ~ 41(40±1) 등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도록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0)에는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분할 알고리즘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주행정보 저장부(40)로부터 전달받은(또는 제어부(50)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는 이동체가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로 정의되며, 후술할 경로탐색부(55)는 지역친숙도의 고저에 따라 사용자가 각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지역친숙도를 산출하기 위해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현재까지 축적된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횟수에 따라 각 도로에 부여되는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현재까지 축적된 주행 궤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체의 위치정보, 즉 GPS 좌표 각각을 매칭시킨다. 그리고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별로 매칭된 GPS 좌표의 수에 따라 각 도로에 도로별 가중치를 부여한다. 각 도로 및 주행 궤적 정보의 매칭 횟수에 따른 도로별 가중치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기 표 1은 도로 및 주행 궤적 정보의 매칭 횟수에 따른 도로별 가중치를 표시한 일 예시이다. 다만,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일 뿐 기재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로-주행 궤적 정보 매칭 횟수 도로별 가중치
20회 이상 2
10회 이상 20회 미만 1.5
3회 이상 10회 미만 1
2회 이하 가중치 부여하지 않음
이에 따라,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들의 합산값 또는 평균으로서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하기 표 2 및 표 3은 단위지역 A 및 B에 대하여 도로별 가중치들의 평균으로 지역친숙도를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 일 예시이다.
단위지역 A
도로 번호 매칭 횟수 도로별 가중치 지역친숙도
(가중치 평균)
1번 국도 22 2



1.25


2번 국도 17 1.5
10번 국도 26 2
15번 국도 3 1
20번 국도 2 X
21번 국도 2 X
30번 국도 12 1.5
40번 국도 25 2
43번 국도 10 1.5
50번 국도 6 1
단위지역 B
도로 번호 매칭 횟수 도로별 가중치 지역친숙도
(가중치 평균)
10번 국도 2 X


1


11번 국도 17 1.5
23번 국도 36 2
30번 국도 25 2
32번 국도 11 1.5
36번 국도 1 X
39번 국도 9 1
48번 국도 2 X
한편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이동체의 단위지역 주행율을 지역친숙도에 더 정확히 반영시키기 위해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도로별 가중치 및 지역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지역 A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가 100개이고,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의 개수가 50개인 경우, 단위지역 A의 지역별 도로 이용율은 50%로 결정되고, 50%의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대응되는 지역별 가중치를 해당 단위지역에 부여할 수 있다.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따른 지역별 가중치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하기 표 4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따른 지역별 가중치를 표시한 일 예시이다. 다만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일 뿐 기재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역별 도로 이용율 지역별 가중치
50% 100
30% 50
10% 20
1% 1
지역별 가중치를 결정한 후,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단위지역에 대하여,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들의 합산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도 있고, 도로별 가중치들의 평균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하기 표 5 및 표 6은 도로별 가중치들의 평균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하여 단위지역 A 및 B에 대하여 지역친숙도를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 일 예시이다.
단위지역 A
도로 번호 매칭 횟수 도로별
가중치
가중치
평균
지역별 도로 이용율 지역별
가중치
지역친숙도
1번 국도 22 2



1.25







8/10 X 100
= 80%






100






1.25 X 100 = 125


2번 국도 17 1.5
10번 국도 26 2
15번 국도 3 1
20번 국도 2 X
21번 국도 2 X
30번 국도 12 1.5
40번 국도 25 2
43번 국도 10 1.5
50번 국도 6 1
단위지역 B
도로 번호 매칭 횟수 도로별
가중치
가중치
평균
지역별 도로 이용율 지역별
가중치
지역친숙도
10번 국도 2 X


1





5/8 X 100
= 62.5%




100





1 X 100
= 100

11번 국도 17 1.5
23번 국도 36 2
30번 국도 25 2
32번 국도 11 1.5
36번 국도 1 X
39번 국도 9 1
48번 국도 2 X
상기와 같은 지역친숙도 산출 방식을 각 단위지역에 적용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경로탐색부(55)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탐색부(55)는 미리 설정된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경로 탐색 조건은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로탐색부(55)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사용자가 해당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경로탐색부(55)는 다른 경로 탐색 조건보다 도달 소요 시간 단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회 횟수가 많거나 도로 너비가 좁더라도 도달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경로탐색부(55)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사용자가 해당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경로탐색부(55)는 다른 경로 탐색 조건보다 주행 용이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도달 소요 시간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선회 횟수가 적고 도로 너비가 크며 사고 발생율이 적어서 주행이 용이한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한편, 경로 탐색 조건은 진입과 진출이 곤란한 도로에 대한 회피 조건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진입과 진출이 곤란한 도로를 회피하도록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진입 및 진출의 용이성을 판단하기 위해 교통정보센터로부터 교통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교통정보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교통정보로부터 교통상황의 원활, 지체 및 정체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진입 및 진출의 용이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경로 탐색 조건을 도달 소요 시간과 주행 용이성(선회 횟수, 도로 너비, 사고다발 구간, 진입 및 진출의 곤란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로 종별, 차선 수, 차선 감소 및 차선 증가 지점, 사고 지점 및 공사 지점 정보, 상습 정체 구간, 지하차도 및 터널 경유 횟수 등, 사용자의 지역친숙도에 따라 그 우선 순위를 달리하여 경로를 탐색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이 경로 탐색 과정에서 고려되는 비율은 지역친숙도에 따라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기 표 7은 지역친숙도에 따른 도달 소요 시간과 주행 용이성 고려 비율을 표시한 일 예시이다.
지역친숙도 도달 소요 시간 고려율( % ) 주행 용이성 고려율( % )
200 이상 85 15
180 이상 200 미만 80 20
160 이상 180 미만 75 25
140 이상 160 미만 70 30
120 이상 140 미만 60 40
100 이상 120 미만 50 50
80 이상 100 미만 40 60
60 이상 80 미만 30 70
40 이상 60 미만 25 75
20 이상 40 미만 20 80
20 미만 15 85
이에 따라 경로탐색부(55)는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로탐색부(55)에는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경로 탐색 알고리즘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를 고려하지 않는 통상적인 경로 탐색시의 도달 소요 시간 대비, 도달 소요 시간 고려율에 대응되는 도달 소요 시간의 단축율이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지역친숙도를 고려하지 않는 통상적인 경로 탐색시의 선회 횟수, 도로 너비, 사고다발 구간 경유 횟수 대비,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대응되는 선회 횟수의 증감율, 도로 너비의 증감율 및 사고다발 구간 경유 횟수의 증감율이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경로탐색부(55)는 이러한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표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일 뿐 기재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역친숙도에 따라 경로 탐색 조건의 우선 순위를 달리하여 경로를 탐색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안내 제어부(57)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로안내 제어부(57)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사용자가 해당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경로안내 제어부(57)는 교차로, 고가차도 및 지하차도와 같은 도로 시설을 확대 표시하지 않거나 확대 표시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고, 음성 출력 회수를 감소시켜(예: 장거리, 단거리, 직진에 따른 3회 안내를 장거리, 단거리에 따른 2회 안내로 감소 / NRG(Narration Route Guidance) 축소 적용)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경로안내 제어부(57)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사용자가 해당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경로안내 제어부(57)는 교차로, 고가차도 및 지하차도와 같은 도로 시설을 확대 표시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경로를 안내하고, 음성 출력 회수를 증가시켜(예: 장거리, 단거리, 직진에 따른 3회 안내를 장거리, 중거리, 단거리, 직진에 따른 4회 안내로 증가 / 사고다발 구간, 급커브 구간 등 상세안내 / NRG(Narration Route Guidance) 확대 적용)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지역친숙도를 고려하지 않는 통상적인 경로 안내시에 대비하여, 지역친숙도에 따라 경로정보가 확대 표시되는 횟수의 증감율 및 음성 출력 횟수의 증감율은 경로안내 제어부(57)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로안내부(60)는 지역친숙도에 따른 차별적인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지역 분할부(51), 지역친숙도 산출부(53), 경로탐색부(55), 및 경로안내 제어부(57)를 제어부 내에서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50) 내에서 통합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단위지역 분할부(51), 지역친숙도 산출부(53), 경로탐색부(55), 및 경로안내 제어부(57) 각각에서 수행되는 과정은 제어부(50)에서 통합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에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를 입력받는다(S10).
이어서 제어부(50)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한다(S20).
이때, 제어부(50)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행정구역은 도, 시군구, 읍면동과 같은 단위를 의미한다. 행정구역 단위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제어부(50)에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위지역에 포함되는 도로의 개수가 19개 ~ 21(20±1), 29 ~ 31(30±1), 39 ~ 41(40±1) 등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도록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0)는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분할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50)는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한다(S30). 지역친숙도는 이동체가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로 정의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S31), 매칭된 횟수에 따라 각 도로에 도로별 가중치를 부여하며(S33),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는 도로별 가중치들의 합산값 또는 평균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이동체의 단위지역 주행율을 지역친숙도에 더 정확히 반영시키기 위해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S35), 도로별 가중치 및 지역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S37).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따른 지역별 가중치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지역친숙도는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들의 합산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산출할 수도 있고, 도로별 가중치들의 평균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산출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50)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S4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미리 설정된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경로 탐색 조건은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이 경로 탐색 과정에서 고려되는 비율은 지역친숙도에 따라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탐색부(55)는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50)에는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경로 탐색 알고리즘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50)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S50). 경로안내부(60)는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고,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친숙도가 낮을수록,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에 따른 경로정보가 확대 표시되는 횟수의 증감율 및 음성 출력 횟수의 증감율은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분할하고,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차별적으로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는 과정을 내비게이션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하고, 탐색된 경로정보 및 안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내비게이션 단말로 송신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단말(100), 내비게이션 서버(200), 및 무선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고, 이동체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이크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목적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GPS 등의 위성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GPS 좌표를 수신함으로써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후술할 내비게이션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경로안내정보에 근거하여,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통상적으로 차량에 탑재되어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태블릿,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서버(200)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모든 텔레매틱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300)은 내비게이션 단말(100)과 내비게이션 서버(200)의 통신 매체로서, 내비게이션 단말(100)과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무선통신망(300)에 의해 정보를 교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300)은 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LTE, WIBRO 등과 같은 무선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 표준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100) 및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상호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내비게이션 단말(100)의 경로 탐색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내비게이션 단말(100)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생성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내비게이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도로의 링크 및 각 링크의 속성 등이 포함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버(200)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는 지역의 도로 상황을 반영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업데이트 된 지도데이터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할 수도 있다.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분할하는 과정은 전술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내비게이션 단말(100)로부터 수신받은 이동체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내비게이션 단말(100)이 무선통신망(300)을 통한 내비게이션 서버(200)와의 네트워크가 불가능한 사양일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가능한 환경에서(PC와 연결하여 네트워크에 접속 등) 위치정보를 내비게이션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이동 통신 업체의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전화와 같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내비게이션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하고 이를 축적하여 생성된 주행 궤적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상기와 같이 저장된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켜 매칭된 횟수에 따라 각 도로에 도로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각 도로 및 주행 궤적 정보의 매칭 횟수에 따른 도로별 가중치,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따른 지역별 가중치는 내비게이션 서버(2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과정은 전술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내비게이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경로 탐색 조건은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고,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 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가 탐색되는 과정은 전술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여 내비게이션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여 내비게이션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경로안내정보는 지도데이터, 각 단위지역에서 차별적으로 탐색되어 결정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및 이에 따른 경로안내 제어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가 안내되는 과정은 전술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지도데이터 및 주행 궤적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분할하며, 지역친숙도를 산출하여 차별적으로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는 통합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주행정보 저장부, 단위지역 분할부, 지역친숙도 산출부, 경로탐색부, 및 경로안내 제어부로 분리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익숙한 지역은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빠른 길 위주로 탐색하고, 낯선 지역에서는 편하고 안전한 길 위주로 탐색하며, 그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주행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입력부
20: 지도데이터 저장부
30: 위치정보 수신부
40: 주행정보 저장부
50: 제어부
51: 단위지역 분할부
53: 지역친숙도 산출부
55: 경로탐색부
57: 경로안내 제어부
60: 경로안내부
100: 내비게이션 단말
200: 내비게이션 서버
300: 무선통신망

Claims (25)

  1.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부의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상기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되는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상기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상기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조건은,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상기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상기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경로안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부는 주행중인 도로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제어부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로안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10. 제어부가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상기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되는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상기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상기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조건은,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상기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상기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를 제어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부는 주행중인 도로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로안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19.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고, 이동체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및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생성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로부터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내비게이션 단말에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상기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켜 상기 매칭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도로에 도로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상기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상기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조건은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상기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은 주행중인 도로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
KR1020160096974A 2016-07-29 2016-07-29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59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974A KR102599257B1 (ko) 2016-07-29 2016-07-29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16977A KR102599271B1 (ko) 2016-07-29 2023-09-04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974A KR102599257B1 (ko) 2016-07-29 2016-07-29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977A Division KR102599271B1 (ko) 2016-07-29 2023-09-04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344A true KR20180014344A (ko) 2018-02-08
KR102599257B1 KR102599257B1 (ko) 2023-11-07

Family

ID=612324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974A KR102599257B1 (ko) 2016-07-29 2016-07-29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16977A KR102599271B1 (ko) 2016-07-29 2023-09-04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977A KR102599271B1 (ko) 2016-07-29 2023-09-04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9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32247A (zh) * 2023-08-22 2023-11-10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海上救援搜索路径规划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555A (ko) * 2003-04-11 2004-10-21 가부시키가이샤 자나비 인포메틱스 내비게이션 장치의 여행 시간 산출 방법 및 교통 정보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555A (ko) * 2003-04-11 2004-10-21 가부시키가이샤 자나비 인포메틱스 내비게이션 장치의 여행 시간 산출 방법 및 교통 정보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32247A (zh) * 2023-08-22 2023-11-10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海上救援搜索路径规划方法、装置及设备
CN117032247B (zh) * 2023-08-22 2024-05-28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海上救援搜索路径规划方法、装置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257B1 (ko) 2023-11-07
KR102599271B1 (ko) 2023-11-07
KR20230131460A (ko)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044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使用して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7003141B (zh) 替代路线
US9146118B2 (en) Navigation system with point of interest detour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5602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distance for generating maneuver instruction for navigation system
US9851215B2 (en) Navigation system with geographic familiarity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16033500A (ja) 出発地・目的地抽出装置、出発地・目的地抽出方法
JP2007218770A (ja) 地図表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99271B1 (ko)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570827B1 (ko) 차로변경행태를 고려한 안전운전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5538252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センタサーバ、車載装置
JP20121980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248472A (ja) 経路探索装置
WO2006118035A1 (ja)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方法、経路探索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454421B2 (ja) 経路探索装置
US20160054127A1 (en) Short-path fuzzy navigation method
JP5066225B2 (ja) 経路探索装置、プログラム、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記録媒体
JP201914846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908238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822364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サーバ、経路案内方法および経路案内プログラム
JP2013050353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17173107A (ja) 経路生成装置、経路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1179350A (ja)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1238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ならびに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90129867A (ko) 경로 탐색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
JP2008002854A (ja) 経路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