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767A - 모듈형 기기 - Google Patents

모듈형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767A
KR20180013767A KR1020170095487A KR20170095487A KR20180013767A KR 20180013767 A KR20180013767 A KR 20180013767A KR 1020170095487 A KR1020170095487 A KR 1020170095487A KR 20170095487 A KR20170095487 A KR 20170095487A KR 20180013767 A KR20180013767 A KR 2018001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address
network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1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00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5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involving non-standard use of addresses for implementing network functionalities, e.g. coding subscription information within the address or functional addressing, i.e. assigning an address to a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기기의 기기 본체부에 대한 IP 어드레스의 설정을 소수의 로터리형의 스위치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베이스 유닛(102)에 IP 어드레스의 호스트부를 설정하는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122)를 구비하고, 보조 기억부(121)에는,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가 기억되어 있다. 보조 기억부(121)에 기억되어 있는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와, 딥 스위치(122)로 설정되어 있는 호스트부로 구성되는 IP 어드레스가, 적은 자릿수의 딥 스위치를 베이스 유닛 내의 누름 버튼 조작으로 모드 전환함으로써 판독함으로써, 많은 자릿수의 IP 어드레스로서 완성시킨다.

Description

모듈형 기기{MODULE TYPE APPARATUS}
본 발명은 온도 등의 아날로그량을 제어하는 기기 본체부와, 이 기기 본체부가 장착되는 베이스 유닛을 구비한 모듈형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온도나 유량 등의 아날로그 프로세스량을 제어하는 기기(조절계)로서, 기기 본체부와, 이 기기 본체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유닛에 의해 구성한 모듈형 조절계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예컨대, 제조 설비나 빌딩 관리 등의 오토메이션 시스템용의 제어에 이용되고 있다. 이 모듈형 기기의 기기 본체부는, CPU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며, 온도 등의 아날로그량에 대한 PID 제어 등,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본체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기기 본체부는,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하는 통신 기능, 각 기능의 동작에 이용되는 제어 파라미터 등을 기억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모듈형 기기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부(301)를 베이스 유닛(302)에 장착하여 이용하고 있다. 베이스 유닛(302)은, 통신 회선이 접속되는 통신 단자 및 전원 단자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 유닛(302)에 기기 본체부(301)를 장착함으로써, 장착한 기기 본체부(301)에 전원 공급을 행하고, 또한, 기기 본체부(301)의 통신 기능을, 베이스 유닛(302)의 통신 단자를 통해 통신 회선에 접속한다.
기기 본체부(301)와 베이스 유닛(302)은, 커넥터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복수의 기기 본체부(301) 및 베이스 유닛(302)을 레일(303)에 배열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기 본체부(301)는, 간단한 설정이나 설정 내용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조작부(311), 설정 장치 등의 외부의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 커넥터(31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모듈형 기기에 있어서는, 현재, 이더넷(등록 상표)을 이용한 통신에 의해 모듈간의 제휴 제어나 다른 설비와의 정보 집약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듈의 설치 변경, 고장에 의한 모듈의 교환 등에 있어서, 새롭게 접속되는 모듈에 있어서는, IP 어드레스를 설정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의 발명은, 시스템을 보다 간략히 구성하기 위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및 DNS(Domain Name System) 등의 복잡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일없이, 각 기기 본체부에 고정된 IP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모듈형 기기는, 기기 본체부 및 기기 본체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유닛을 구비하고, 기기 본체부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본체 기능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베이스 유닛은, 장착된 기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기능과, 통신 기능이 행하는 통신에서 이용되는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가 기억된 네트워크 어드레스 기억부와, IP 어드레스의 호스트부를 설정하는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를 구비한다.
한편, 다른 산업 기기(화재 경보기)에 있어서, 특허문헌 2의 발명은, 딥 스위치를 사용하여 단말 기기의 어드레스 등의 데이터를 설정하는 경우에, 그 데이터 설정용에 요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포트의 수를, 종래보다 적게 할 수 있는 화재 통지 설비의 단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복수의 스위치를 소정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들 각 그룹에 개별로 전원을 공급하는 m개의 출력 포트를 마련하고, 각 그룹에 있어서의 제n번째의 스위치를 전부 제n번째의 입력 포트에 접속하여, m개의 출력 포트에 의한 전원 공급의 상태와, 입력 포트에 있어서의 입력 신호의 관계에 따라, 각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의 자기 어드레스 등을 인식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4361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08-5528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발명에서는, 모듈형 기기의 기기 본체부에 대한 IP 어드레스의 설정 및 설정한 IP 어드레스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최근의 IT 및 IoT의 진보에 따라, 그 IP 어드레스의 자릿수의 증가에 대응할 필요가 있고, 그것을 위해서는, 많은 자릿수분의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어, 그 배치 스페이스상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의 발명에 따라서는, 입력 포트수의 삭감은 기대할 수 있지만, 역시 설정수에 따른 딥 스위치 그 자체의 수는 삭감할 수 없기 때문에, 소형화 모듈형 기기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았다.
본원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수 자릿수의 IP 어드레스의 설정을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기기 본체부 및 상기 기기 본체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 본체부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본체 기능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은,
장착된 상기 기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기능과,
상기 통신 기능이 행하는 통신에서 이용되는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가 기억된 네트워크 어드레스 기억부와,
상기 IP 어드레스의 호스트부를 설정하는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와,
상기 딥 스위치의 판독 모드의 전환을 조작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눌렀을 때의 상기 딥 스위치의 상태를, 상기 판독 모드에 따라, 순차 자릿수로 판독함으로써, 상기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기기이다. 또한, 예컨대, 모듈형 기기의 기기 본체부와 기기 본체부가 장착되는 베이스 유닛이 일체로 되어 조절계를 구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 본체부에 접속된 제어 기기의 제어량을, 설정되어 있는 제어 파라미터로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베이스 유닛은, 1 비트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등 또는 버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가 특정 행위로 눌렸을 때에, 상기 네트워크 어드레스 기억부로부터 상기 IP 어드레스를 판독하여 그 호스트부를 상기 표시등 또는 버저에 미리 정해진 부호화된 코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기기이기도 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P 어드레스의 호스트부를 설정하는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를 베이스 유닛에 마련하도록 하여, 더욱, 모듈형 기기의 기기 본체부에 대한 IP 어드레스의 설정을, 적은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를 전환하여 판독함으로써, 다수 자릿수 어드레스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1 비트의 표시등 등을 가지고, 설정한 IP 어드레스를 현장의 실제 기기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모듈형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모듈형 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모듈형 기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스 유닛부에서의 스위치·와 입력 포트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퍼레이션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스 유닛부에서의 스위치와 입력 포트부, 또한 표시등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듈형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듈형 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모듈형 기기는, 기기 본체부(101)와, 기기 본체부(10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유닛(102)을 구비한다. 기기 본체부(101)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본체 기능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모듈형 기기는, 간단한 설정이나 설정 내용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조작부(111) 및 설정 장치 등의 외부의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 커넥터(112)를 구비한다. 예컨대, 이 모듈형 기기는 조절계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 본체부(101)에 접속된 제어 기기의 제어량을, 설정되어 있는 제어 파라미터로 제어한다.
한편, 베이스 유닛(102)은, 장착된 기기 본체부(101)의 통신 기능이 행하는 통신에서 이용되는 IP 어드레스가 기억된 보조 기억부(네트워크 어드레스 기억부)(121)를 구비한다. 또한, 베이스 유닛(102)은, 장착된 기기 본체부(10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전원 공급 기능)(123), 기기 본체부(101)를 접속하기 위한 기기 본체 접속 커넥터(124)를 구비한다. 베이스 유닛(102)은, 레일(103)에 배열되어 고정된다.
또한, 기기 본체부(101)는, CPU(104), 주기억(105), 기억부(106), HUB(107), 네트워크 기능부(108), A/D 변환부(109), D/A 변환부(110), 디지털 입력부(113), 디지털 출력부(114), 전원 회로(115), 베이스 유닛 접속 커넥터(116)를 구비하고, 베이스 유닛(102)은, MPU(125), LAN 커넥터(126), LAN 커넥터(127), 전원 커넥터(128), 연결 커넥터(129a, 129b), 또한 누름 버튼 스위치(130), 누름 버튼 스테이터스 등의 피드백 표시를 행하는 표시등(131)을 구비한다. 예컨대, 표시등(131)은 LED 1개로 되어 있다.
기기 본체부(101)의 기억부(106) 및 베이스 유닛(102)의 보조 기억부(121)는, 본체 기능 및 통신 기능 등을 실현하는 CPU(104)에 대하여 버스를 통해 접속된다. 예컨대, 버스는 직렬 버스로, 기기 본체부(101)와 베이스 유닛(102)을 접속하는 기기 본체 접속 커넥터(124), 베이스 유닛 접속 커넥터(116)를 경유하여, 기기 본체부(101)와 베이스 유닛(102)에 걸쳐 형성된다.
CPU(104)는, ROM/RAM으로 이루어지는 주기억(105)에 등록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CPU(104)는, 병렬 버스를 통해 접속된 A/D 변환부(109), D/A 변환부(110), 디지털 입력부(113) 및 디지털 출력부(114) 등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접속 커넥터(112)에 접속된 제어 대상의 단말(도시하지 않음)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입출력하여, 예컨대 제어 대상의 상태(센싱 정보)에 따라 PID 제어를 실행하여 제어 대상 기기의 아날로그 프로세스량을 제어한다. CPU(104)는, 이러한 PID 제어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의 제어 파라미터를, EEPROM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억부(106)로부터 얻음으로써,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듈형 기기에 부여된 역할을 만족시키는 제어 특성을 설정한다.
또한, CPU(104)는, 이더넷(등록 상표)에 의한 네트워크 기능부(108)를 구동시킴으로써, HUB(107)에 접속하는 LAN 커넥터(126, 127)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을 행한다. 이 정보 통신에 이용되는 접속처의 IP 어드레스는,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기 본체부(101)의 IP 어드레스도,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유닛(102)의 전원 단자(123)에 접속되는 전원의 전력은, 전원 커넥터(128)를 통해 기기 본체부(101)의 전원 회로(115)에 공급된다. 또한, 인접하는 베이스 유닛(102)이, 연결 커넥터(129a)와 연결 커넥터(129b)를 연결함으로써 접속된다.
또한, LAN 커넥터(126, 127)는, 연결 커넥터(129a, 129b)의 일부이다. 변환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연결 커넥터(129a, 129b)에 범용의 LAN 케이블이 접속할 수 있다. 전원 커넥터(128)도, 연결 커넥터(129a, 129b)의 일부이며, 또한, 전원 커넥터(128)는, 전원 단자(123)에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베이스 유닛(102)에 IP 어드레스의 호스트부를 설정하는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122)를 구비하고, 보조 기억부(121)에는, 미리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가 기억되어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유닛(102)에 마련되어 있는 딥 스위치(122)에 설정한 값이, 베이스 유닛 처리부인 MPU(125)에 의해, 누름 버튼 스위치(130)의 누름에 의한 판독 모드 전환에 의해 기동되어, 10진 표기의 IP 어드레스의 8 비트(1 바이트) 단위로 4개로 구획된 제4 부분을 판독한다. 또한, MPU(12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회로로 구성된다.
베이스 유닛(102)의 보조 기억부(121)는, EEPROM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 미리 IP 어드레스의 8 비트 단위로 4개로 구획된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의 초기값 혹은 전체의 전회값이 기억되어 있다. 이 보조 기억부(121)에 기억되어 있는 제1 부분, 제2 부분, 제3 부분과, 딥 스위치(122)로 설정되는 제4 부분에 의해, 32 비트(4 바이트)의 IP 어드레스가 설정되게 된다.
즉,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IP 어드레스(IPv4)의 최상위 부분에 가까운 네트워크부이며, 이것은 설치 시스템으로 정해지는 것이고, 한쪽의 제4 부분은, 호스트부이며, 해당 모듈마다 정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유닛(102)의 딥 스위치(122)에 의해, IP 어드레스의 호스트부가 설정(입력)되고, 보조 기억부(121)에 기억되어 있는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와 조합되어, 하나의 IP 어드레스가 베이스 유닛(102)으로 설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베이스 유닛(102)에 설정되어 있는 IP 어드레스는, 베이스 유닛(102)에 기기 본체부(101)가 장착되면, 기억부(106)에 전송되어 기억되어, 장착된 기기 본체부(101)의 IP 어드레스로서 이용된다. 혹시 기기 본체부(101)가 교환되어도 IP 어드레스는 존속한다.
[실시예]
(1) 하드웨어 구성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122)에 단 하나의 16진수의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를 적용하여 4 비트의 설정을 하는 것으로 하여, MPU(125) 내장의 입력 포트로부터 그 4 비트값을 판독하는 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그래서는, 누름 버튼 스위치(130)의 판독도 행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122)의 4개의 스위치 단자(S11∼S14)가 하나의 16진수를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제1 스위치 단자(S11)와 제2 스위치 단자(S12)와 제3 스위치 단자(S13)와 제4 스위치 단자(S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은 저항(R11∼R14)을 통해 전원(Vcc)에 풀업 접속되어 있고, 공통 단자(C)는 그랜드에 접속된다.
스위치 단자(S11∼S14)는 MPU(125)의 입력 포트(P1∼P4)에 접속되어, MPU(125)에 의해 그 On·Off가 판독된다. 한편, 누름 버튼 스위치(130)는 별도의 입력 포트(P0)에 접속되어 MPU(125)에 판독되도록 한다. 또한, 누름 버튼 스테이터스 표시의 표시등(131)은 도시와 같이 누름 버튼 스위치(130)에 풀업 저항(R10)과 함께 직렬 접속된 LED로 간이하게 설계되어도 좋고, 혹은 MPU(125)의 출력 포트(도 6의 예에서는 Pout)로부터 별도 구동하는 것이어도 좋을 것이다. 혹은, 표시등(131)이 아니라 버저 명동이어도 좋다.
그렇게 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130)의 누름 동작에 의해, 딥 스위치(122)의 각 스위치 단자는 MPU(125)에 의해, 누름 버튼 조작에 의한 판독 모드에 따라 4 비트값 즉 16진수 1자릿수가 얻어진다. 그 값은 0 내지 F이기 때문에, 이것을 2회 반복함으로써, 16진수의 1 바이트값(00∼FF)이 얻어진다.
(2) 모드 전환 오퍼레이션 천이
그러면, 누름 버튼 조작에 따른 모드 전환에 대해서,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먼트(휴지) 모드 0으로부터 스타트한다. 이것은 초기 모드 및 누름 버튼 스위치(130)의 길게 누름(5초 이상)으로 들어가는 모드이다.
다음에, 모드 0으로부터 모드 1로의 이행은, 예컨대, 누름 버튼 스위치(130)의 길게 누름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MPU(125)는 입력 포트로부터 스위치 단자(S11∼S14)의 4 비트값을 판독하기 때문에, 이때에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122)를 설정해 둔다. 그리고, 누름 버튼 스위치(130)가 짧게 누름(5초 미만)되었다면, 그 때의 스위치 단자(S11∼S14)의 4 비트값을 판독하여 최하위 4 비트로 확정시키고, 다음 모드 2로 이행한다. 이때에 누름 버튼 스위치(130)의 길게 누름이 이루어졌다면 캔슬로 본다.
이어서, 모드 2에서는, 재차 MPU(125)는 입력 포트로부터 스위치 단자(S11∼S14)의 4 비트값을 판독한다. 이때에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122)를 재차 설정해 둔다. 그리고, 누름 버튼 스위치(130)가 짧게 누름(5초 미만)되었다면, 그때의 스위치 단자(S11∼S14)의 4 비트값을 판독하여 상위 4 비트로 확정시키고, 다음 모드 3으로 이행할 수 있지만, 본 예에서는, 1 바이트(8 비트)의 설정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모드 3 이후는 불필요하며, 누름 버튼 스위치(130)가 길게 누름될 때까지 대기하여 설정 동작 완료로 모드 0으로 되돌아가면 좋다. 그동안의 짧은 누름은 무시하는 등 한다.
이상과 같이, 모드 1과 모드 2의 동작에 의해, MPU(125)는 유일한 딥 스위치(122)에 의해, 8 비트의 IP 어드레스의 호스트부를 취득할 수 있었다. 본 예에서는, 모드 1과 모드 2는 하위 비트로부터 상위 비트의 순서인 것으로 하였다. 여기서, 예컨대, 모드 1에서는 3으로서, 모드 2에서는 1을 판독한 것으로 하면, 16진수로 0103이 되어, 10진수로 19의 호스트 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MPU(125)는, 모드 0으로 회귀한 타이밍에, 보조 기억부(121)에 있는 IP 어드레스를 로드하여, 거기에 기억되어 있는 제1 부분, 제2 부분, 제3 부분은 그대로인 채로, 딥 스위치(122)로 설정되어야 하는 호스트의 제4 부분을 상기 오퍼레이션으로 얻은 8 비트값으로 재기록하고, 새로운 32 비트(4바이트)의 IP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보조 기억부(121)에 리스토어한다. 이와 같이, 본 모드 오퍼레이션이 행해진 경우에는, 전체의 IP 어드레스가 갱신된다.
(3) 별도의 실시예
또한, 설정된 IP 어드레스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에 기초하여 행한다. 여기서는, 표시등(131)이 MPU(125)의 출력 포트(Pout)에 접속되어 있다. 누름 버튼 스위치(130)는 입력 포트(P0)에 접속되어 있는 것 등은 이전의 예와 변함없다.
그렇게 하여, 표시등(131)은 1 비트이지만, IP 어드레스의 값을 현장에서 조작자에게 피드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때문에, 수치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된 코드로 할 필요가 있다. 일례를 들면 다음 모르스 부호가 적합하다.
Figure pat00001
전례에서 서술한 바의, IP 어드레스의 호스트부가 16진수 0103, 10진수 19였다고 하면, 모르스 코드의 「1」, 「9」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표시된다. 소위 단음과 장음의 조합이 되기 때문에, 시인 가능할 것이다. 물론, 해당 호스트부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부까지 표시시켜도 좋다. 표시등(131) 대신에 버저를 접속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예의 표시 모드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상기 판독 모드 0에 있어서, 해당 누름 버튼 스위치(130)를 연속 누름(더블 클릭 이상) 등의 행위가 이루어진 경우에, 이행하면 좋다.
(4) 그 외의 실시예
본 예에서는, 하나의 로터리형 딥 스위치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2연의 것을 장비하면, 모드 1에서 일시에 8 비트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10진의 로터리형 딥 스위치를 사용하여도 모드 3까지 행하면 동일한 것은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P 어드레스의 최하위 바이트만을 설정하고, 통상의 IP 어드레스 192.168.1.XXX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이것으로 충분하다. 단,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서는, 상위의 바이트부의 설정도 필요로 되기 때문에, 그 때에는, 모드 를 3, 4, 이상으로 늘려가면 좋다.
또한, 기기 본체와 베이스 유닛을 반드시 분리 가능하게 할 필요는 없고, 일체 스탠드 얼론형의 모듈 기기로서 설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때에는, CPU(104)와 MPU(125)는 하나로 해결되어, 표시등(131)은 표시부(111)에서 겸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 각종의 설계적인 부가 변형은 가능하지만, 그렇게 하였다고 해도,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프라이빗 IP 어드레스(로컬 IP 어드레스)는, 프라이빗 네트워크(외부에서 이용할 수 없는 사내 LAN 등)의 어드레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IP 어드레스에 대해서 설명하면, IP 어드레스는 인터넷용으로 규정되어 있는 TCP/IP(트랜스미션·컨트롤·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에 따르면, 네트워크 내 및 네트워크간의 데이터·패킷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것으로,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층(제3층)의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인 IP(인터넷·프로토콜)(RFC791)의 하나의 기능이다. 거기서는,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클래스 A에서 C까지 구별지어 사용하기 때문에, 본원 발명의 응용을 설명한다.
클래스 C에서는, 단말번호 1∼단말번호 65534의 IP 어드레스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프라이빗 어드레스인 (192.168.x.y)의 x.y에 상당하는 2숫자군[2바이트(16비트)]에 할당하는 경우에는, 실시예에서는, 모드 4까지 실행하여 4회 해당 딥 스위치를 판독하면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클래스 B에서는, 단말번호 1∼단말번호 1048574의 IP 어드레스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프라이빗 어드레스인 (172.16.x.y)로부터 (172.31.x.y)에 할당하는 경우에도, 그리고 클래스 A에서는, 단말번호 1∼단말번호 16777214의 IP 어드레스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프라이빗 어드레스인 (10.x.y.z)의. x.y.z에 상당하는 3숫자군, 즉, 24 비트에 할당하는 경우에도, 해당 딥 스위치를 최저 6회 판독하면 좋고, 광범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대응 가능하다. 또한, 장래적으로는 IPv6에도 대응 가능하다.
101…기기 본체부
102…베이스 유닛
103…레일
104…CPU
105…주기억
106…기억부
107…HUB
108…네트워크 기능부
109…A/D 변환부
110…D/A 변환부
111…표시/조작부
112…외부 접속 커넥터
113…디지털 입력부
114…디지털 출력부
115…전원 회로
116…베이스 유닛 접속 커넥터
121…보조 기억부(네트워크 어드레스 기억부)
122…딥 스위치
123…전원 단자(전원 공급 기능)
124…기기 본체 접속 커넥터
125…MPU
126…LAN 커넥터
127…LAN 커넥터
128…전원커넥터
129a, 129b…연결커넥터
130…누름 버튼 스위치
131…표시등

Claims (3)

  1. 기기 본체부 및 상기 기기 본체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 본체부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본체 기능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은,
    장착된 상기 기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기능과,
    상기 통신 기능이 행하는 통신에서 이용되는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부가 기억된 네트워크 어드레스 기억부와,
    상기 IP 어드레스의 호스트부를 설정하는 로터리형의 딥 스위치와,
    상기 딥 스위치의 판독 모드의 전환을 조작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눌렀을 때의 상기 딥 스위치의 상태를, 상기 판독 모드에 따라, 순차 자릿수로 판독함으로써, 상기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기기의 상기 기기 본체부와 상기 기기 본체부가 장착되는 베이스 유닛이 일체로 되어 조절계를 구성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기 본체부에 접속된 제어 기기의 제어량을, 설정되어 있는 제어 파라미터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1 비트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등 또는 버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가 특정 행위로 눌렸을 때에, 상기 네트워크 어드레스 기억부로부터 상기 IP 어드레스를 판독하여 그 호스트부를, 상기 표시등 또는 상기 버저에 미리 정해진 부호화된 코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기기.
KR1020170095487A 2016-07-29 2017-07-27 모듈형 기기 KR20180013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9347 2016-07-29
JP2016149347A JP2018018365A (ja) 2016-07-29 2016-07-29 モジュール型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767A true KR20180013767A (ko) 2018-02-07

Family

ID=6108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487A KR20180013767A (ko) 2016-07-29 2017-07-27 모듈형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8018365A (ko)
KR (1) KR20180013767A (ko)
CN (1) CN107666524A (ko)
TW (1) TW2018047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1671A1 (en) * 2018-02-27 2019-08-28 OMRON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6782B2 (ja) * 2018-10-25 2022-04-04 アズビル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回路モジュ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575A (ja) * 1993-12-24 1995-07-21 Nohmi Bosai Ltd 防災機器
JPH10308779A (ja) * 1997-05-09 1998-11-17 Victor Co Of Japan Ltd Ipアドレス設定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4153346A (ja) * 2002-10-28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構内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ドレス設定方法
JP2013143613A (ja) * 2012-01-10 2013-07-22 Azbil Corp モジュール型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9050B2 (ja) * 2006-08-30 2011-11-30 株式会社東芝 水処理プラントの運転支援システム
CN105517106A (zh) * 2014-09-24 2016-04-20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接入设备的调整方法、装置、系统及控制方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575A (ja) * 1993-12-24 1995-07-21 Nohmi Bosai Ltd 防災機器
JPH10308779A (ja) * 1997-05-09 1998-11-17 Victor Co Of Japan Ltd Ipアドレス設定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4153346A (ja) * 2002-10-28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構内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ドレス設定方法
JP2013143613A (ja) * 2012-01-10 2013-07-22 Azbil Corp モジュール型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1671A1 (en) * 2018-02-27 2019-08-28 OMRON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66524A (zh) 2018-02-06
TW201804759A (zh) 2018-02-01
JP2018018365A (ja)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24711A1 (en) Self-learning server communicating values from a plurality of communicating devices of one communication network to a client of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EP2521041B1 (en) Electronic modules with automatic configuration
US9442477B2 (en) Automation technology autarkic field device
KR20180013767A (ko) 모듈형 기기
CN108432187B (zh) 通信模块、总线设备、技术设备、通信系统和管理系统
EP2852094B1 (en)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nd/or monitoring power distribution units or sensor units in a data centre
JP2013143613A (ja) モジュール型機器
JP6094562B2 (ja) 記録計
US11815871B2 (en) I/O network module with unique network address
CN111756552B (zh) 电能量供给装置
US9098602B2 (en) Storage of a desired address in a device of a control system
KR100732037B1 (ko) 디바이스넷 프로토콜과 이더넷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프리넷장치
JP2009199519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US10528497B2 (en) Bus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bus arrangement
JP2005051507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アドレス設定方法
JPH086885A (ja) シリアル通信用制御方式
CN219834181U (zh) 一种hart仪表的ip适配器及其网络系统
JP2018534707A (ja) セレクタスイッチを備えた分配器モジュール
EP3905482A1 (en) Bidirectional wireless device
WO2024068673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CN100424728C (zh) 传送器系统
AU2023211867A1 (en) Address assignment for a modular power distribution unit
CN110597146A (zh) 一种集成电控柜及其控制方法
CN116991776A (zh) 地址修改装置和地址修改方法
Sengupta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Low Cost Scheme for Wireless Speed Control of a DC Motor using PW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