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442A -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442A
KR20180013442A KR1020160097195A KR20160097195A KR20180013442A KR 20180013442 A KR20180013442 A KR 20180013442A KR 1020160097195 A KR1020160097195 A KR 1020160097195A KR 20160097195 A KR20160097195 A KR 20160097195A KR 20180013442 A KR20180013442 A KR 2018001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dhesive composition
parts
adhesive
function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619B1 (ko
Inventor
강성욱
허은수
전성현
권윤경
박광승
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9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6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ADHESIVE COMPOSITION, PROTECTIVE FILM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DHESIVE LAYER FORMED BY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통상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라 함)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적층한 구조로 사용되어 왔다. 종래에는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se)계 필름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TAC 필름의 경우 고온, 고습 환경에서 쉽게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TAC 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보호 필름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싸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아크릴계 필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때,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주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수계 접착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계 접착제의 경우, 보호 필름으로 TAC이 아닌 아크릴계 필름이나 COP 필름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필름 소재에 따라 그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계 접착제의 경우, 소재에 따른 접착력 불량 문제 외에도, PVA 소자의 양면에 적용되는 보호 필름의 소재가 다를 경우, 수계 접착제의 건조 공정에 의한 편광판의 컬(curl) 발생의 문제 및 초기 광학 물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상기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러한 건조공정에서 투습율, 열팽창 등의 차이가 발생하여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계 접착제 대신에 비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현재까지 제안된 편광판용 비수계 접착제는 경화방식에 따라 접착제와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로 나눌 수 있다.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의 경우 다양한 소재의 필름들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느린 경화속도 및 낮은 경화도로 인해 제조 공정상 많은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크릴 아마이드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아크릴 아마이드계 화합물을 주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의 경우,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에 비해 경화 속도가 빠르기는 하나, 고습 분위기에서는 경화 속도가 느려지고,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편광판 제조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팽윤, 염착, 연신 등이 수용액 상에서 이루어지는 습식 공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수분 함유량이 높고, 따라서, 상기 아크릴 아마이드계 접착제를 편광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접착제 도포 전에 편광자를 열풍 건조하거나 플라즈마 등의 표면 처리를 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수행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별도의 처리 없이 편광판에 적용될 수 있도록 고습 환경에서도 경화 속도 및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는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 공보 2003-121644
본 명세서는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양이온 중합 모노머; 라디칼 중합 모노머 및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구비되고, 전술한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고, 전술한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 상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전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열적으로 안정한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소재의 필름들, 예를 들어 TAC 필름, 아크릴계 필름, COP 필름, PET 필름 등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내수성이 우수하여 높은 습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실시예 1의 접착제의 접착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비교예 1의 접착제의 접착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양이온 중합 모노머; 라디칼 중합 모노머 및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므로, 양이온 중합 모노머와 라디칼 중합 모노머를 연결하여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고, 특히 아크릴계 필름에 대하여 스틱(stick) 및 슬립(slip) 현상이 없고, 1.5 N/2cm 이상의 접착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의 분자량은 100 내지 1000g/mo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100 내지 500 g/mol이다. 본 발명의 가교제는 낮은 분자량을 갖는 화합물로 고분자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 가교제의 첨가량의 늘릴 수 있으며, 조성물의 점도를 낮은 경우 공정에 유리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 중합 모노머는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옥세탄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적어도 1개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폭시기가 지방족 탄화수소 고리를 구성하는 인접하는 2개의 탄소 원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2-(3,4-에폭시)시클로헥실-5,5-스피로-(3,4-에폭시)시클로헥산-m-다이옥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닐시클로헥산디옥시드,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엑소-엑소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엔도-엑소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2,2-비스[4-(2,3-에폭시프로폭시)시클로헥실]프로판, 2,6-비스(2,3-에폭시프로폭시시클로헥실-p-다이옥산), 2,6-비스(2,3-에폭시프로폭시)노르보르넨, 리모넨디옥시드, 2,2-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판,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시드, 1,2-에폭시-6-(2,3-에폭시프로폭시)헥사히드로-4,7-메타노인단, p-(2,3-에폭시)시클로펜틸페닐-2,3-에폭시프로필에테르, 1-(2,3-에폭시프로폭시)페닐-5,6-에폭시헥사히드로-4,7-메타노인단, o-(2,3-에폭시)시클로펜틸페닐-2,3-에폭시프로필에테르), 1,2-비스[5-(1,2-에폭시)-4,7-헥사히드로메타노인다노키실]에탄시클로펜테닐페닐글리시딜에테르, 메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에틸렌글리콜디(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테르,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산 메탄올의 ε-카프로락톤(1~10몰) 부가물과 다원자가(3~20값) 알코올(GR, TMP, PE, DPE, 헥사펜타에리트리톨)의 에스테르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반응성의 관점에서 특히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를 포함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4,4'-메틸렌디페놀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S의 디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의 에폭시 수지; 테트라히드록시페닐 메탄의 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의 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화폴리비닐페놀과 같은 다관능형의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은, 상기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촉매의 존재하에 가압하에서 선택적으로 수소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그 중에서도 특히 수소화한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지방족 사슬 또는 지방족 고리를 포함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디올디글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디글시딜에테르, 레조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 및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은 그 중에서도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와 적어도 2개의 지환식 환을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예컨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등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 에테르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디올디글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디글시딜에테르, 레조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및 o-크레실(Cresyl) 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6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 중 1 종 이상,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중 1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환식 에폭시의 경우 빠른 경화속도와 높은 Tg를 가지고 있어 바람직하지만 점도가 높아 접착제 배합에 많은 양을 점가 할 수 없으며, 지방족 에폭시는 지환식 에폭시 대비 경화속도 및 Tg가 낮지만 지환식 에폭시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접착제 점도를 낮춰 공정성을 확보 할 수 있고 접착제의 접착력 및 경화속도, Tg 등을 적합하게 조절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옥세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옥세타닐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옥세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옥세탄 화합물로는,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벤젠, 1,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1,3-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1,2-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4,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2,2'-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3,3',5,5'-테트라메틸-4,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2,7-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나프탈렌, 비스〔4-{(3-에틸옥세탄-3-일)메톡시}페닐〕메탄, 비스〔2-{(3-에틸옥세탄-3-일)메톡시}페닐〕메탄, 2,2-비스〔4-{(3-에틸옥세탄-3-일)메톡시}페닐〕프로판, 노볼락형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3-클로로메틸-3-에틸옥세탄에 의한 에테르화 변성물, 3(4),8(9)-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트리시클로[5.2.1.0 2,6]데칸, 2,3-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노르보르난, 1,1,1-트리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프로판, 1-부톡시-2,2-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부탄, 1,2-비스〔{2-(3-에틸옥세탄-3-일)메톡시}에틸티오〕에탄, 비스〔{4-(3-에틸옥세탄-3-일)메틸티오}페닐〕술피드, 1,6-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 2,2,3,3,4,4,5,5-옥타플루오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로 옥세타닐기를 2개 갖는 경우 접착제 층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옥세타닐기를 1개 갖는 경우 접착력에 유리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 중합 모노머는 에폭시계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한다. 에폭시계 화합물과 옥세탄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낮은 광양이온 경화 속도를 지닌 에폭시기의 경화 속도를 옥세탄 화합물을 이용하여 경화속도를 증가 시킬수 있으며, 또한 반응성 희석제로 옥세탄을 이용하여 높은 점도를 지닌 접착제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는 단관능 아크릴계 화합물 및 다관능 아크릴계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단관능 아크릴계 화합물로는 수산기 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다관능 아크릴계 화합물은 2관능 아크릴게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는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는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피발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1,9-노난디올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양이온 중합 모노머를 29 내지 80 중량부이고,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를 10 내지 70 중량부이며, 및 상기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양이온 중합모노머를 50 내지 70 중량부,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를 20 내지 35 중량부 및 상기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 중합 모노머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력 및 내수성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물리적 물성을 높이는 효과가 우수하며, 양이온 중합 모노머 보다 상대적으로 경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접착제 초기 경화속도 및 경화도에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에폭시기와 아크릴레이트기 간의 가교역할을 하여 물리적 물성을 높이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는 6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유리전이온도는 높을수록 열적으로 안정하므로, 상한을 따로 한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SC, Mettler 社)를 이용하여, 약 10mg의 시료를 전용 펜(pan)에 필봉하고 일정 승온 환경으로 가열 할 때 상변이가 일어남에 따른 물질의 흡열 및 발열량을 온도에 따라 그려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양이온 개시제, 라디칼 개시제, 광증감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실시상태에 따른 양이온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산(H+)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양이온 개시제는 설포늄 염(Sulfonium salt) 또는 요오드늄 염(Iodonium salt)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설포늄 염(Sulfonium salt) 또는 요오드늄 염(Iodonium salt)이 포함된 광산 발생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페닐(4-페닐티오)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몬네이트(Diphenyl(4-phenylthio)phenylsulfonium hexafluoroantimonate), 디페닐(4-페닐티오)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Diphenyl(4-phenylthio)phenylsulfonium hexafluorophosphate), (페닐)[4-(2-메틸프로필) 페닐]-요오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henyl)[4-(2-methylpropyl) phenyl]-Iodonium hexafluorophosphate), (티오디-4,1-페닐렌)비스(디페닐설포늄) 디헥사플루오로안티몬네이트((Thiodi-4,1-phenylene)bis(diphenylsulfonium) dihexafluoroantimonate) 및 (티오디-4,1-페닐렌)비스(디페닐설포늄) 디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Thiodi-4,1-phenylene)bis(diphenylsulfonium) dihexafluorophosphat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실시상태에 따른 라디칼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성을 촉진하여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라디칼 개시제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디칼 개시제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실시상태에 따른 광증감제는 예를 들면,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황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및 디아조 화합물, 안트라센계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과 함께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가 포함되는 경우, 실란 커플링제가 접착제의 표면 에너지를 낮춰주어 접착제 웨팅성(wetting)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에폭시기, 비닐기, 라디칼기와 같은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가 포함되지 않은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계면활성제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실란커플링제와 비교하여 유리전이온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웨팅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실란 커플링제의 양이온 중합 관능기가 접착제 조성물의 실란기와 반응하면서 가교 형태를 이루면서 경화 후 접착제층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실란 커플링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커플링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
Si(R1)n(R2)4 -n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로서, 고리형 에테르기 또는 비닐옥시기를 포함하는 관능기이고, R2는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수소, 히드록시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며,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력은 1N/2cm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N/2cm 이상 20 N/2cm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서 접착력은 편광판의 박리 실험을 통하여 측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 박리실험은 제조된 편광판을 폭 20mm, 길이 100mm로 재단하고, Texture Analyzer장비(Stable Micro Systems사 TA-XT Plus)로 속도 300m/min, 90도로 편광자와 고분자 필름의 박리력을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구비되고, 전술한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보호필름은 아크릴계 필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층의 접착력은 아크릴계 필름에 대하여 1.5 N/2cm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고, 전술한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 상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보호필름은 아크릴계 필름인 것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층의 접착력은 아크릴계 필름에 대하여 1.5 N/2cm 이상인 것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PVA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제층은 전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들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 또는 보호 필름의 일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한 다음,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합판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포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도포 방법들,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블레이드 코팅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화는 광 경화,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가시광선, 전자선 X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장치(Metal halide lamp)를 이용하여 10 내지 2500mJ/cm2 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화는 열 경화, 보다 구체적으로는 80℃ 이상의 경화 온도에서의 열 경화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열 경화시 경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공지의 아민계 개시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화는 상기 광 경화 후 열 경화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열 경화 후 광 경화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0 초과 20㎛ 이하 정도, 0 초과 10㎛ 이하 정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또는 0.1 내지 5㎛정도인 것이 좋다. 접착제층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접착제층의 균일도 및 접착력 저하될 수 있으며, 접착층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편광판 외관이 주름이 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보호 필름은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재질의 보호 필름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싸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광학 특성, 내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 가능한 아크릴계 필름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성형 재료를 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주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로 이루어진 호모 폴리머 수지뿐 아니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이외에 다른 단량체 단위가 공중합된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와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다른 수지가 블랜드된 블랜드 수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는, 예를 들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는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단위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위를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의 알킬기는 탄소수 1 ~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수 1 ~ 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단위로는, 스티렌계 단위, 말레산 무수물계 단위, 말레이미드계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렌계 단위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말레산 무수물계 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말레산 무수물, 메틸 말레산 무수물, 시클로헥실 말레산 무수물, 페닐 말레산 무수물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말레이미드, N-메틸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계 필름은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3001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2-120326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 첨가제 등을 임의의 적절한 혼합 방법에 의해 충분히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필름 성형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메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 첨가제 등을 별도의 용액으로 제조한 후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액을 형성한 후 이를 필름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필름은 미연신 필름 또는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연신 필름인 경우에는 1축 연신 필름 또는 2축 연신 필름 일 수 있고, 2축 연신 필름인 경우에는 동시 2축 연신 필름 또는 축차 2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기 편광판은,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층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 수분산성 미립자 및 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바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보호 필름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는 예를 들면,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 수분산 아크릴계 수지, 수분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으며, 수분산성 미립자는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계 미립자나,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가교 폴리비닐알코올 및 멜라민계 수지로 이루어진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층의 유리전이온도는 6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상한을 따로 한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층의 유리전이 온도가 70℃이상인 경우, 열충격 특성 평가와 같은 내구성 평가에서 편광판의 외관 특성, 접착력, 크랙 발생 유무 및 광학 특성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리전이 온도(Tg) 측정 방법>
시차주사열량계(DSC, Mettler 社)를 이용하여 접착층의 유리전이온도를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화조건으로 제조된 편광판의 접착층을 분리해낸 후, -30 ~ 200 ℃ 승온시켜 세컨드 런 (second run)에서의 유리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SC, Mettler 社)를 이용하여, 약 10mg의 시료를 전용 펜(pan)에 밀봉하고 일정 승온 환경으로 가열할 때 상변이가 일어남에 따른 물질의 흡열 및 발열량을 온도에 따라 그려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패널, 플라즈마 패널 및 유기발광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LED)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및 이 액정 패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일 수 있다. 즉, 상기 편광판은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가 염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및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국지적으로 400nm 내지 800nm 파장 대역에서의 단체 투과도가 80% 이상인 편광 해소 영역을 갖고, 상기 편광 해소 영역의 산술평균거칠기(Ra)가 200nm이하이며, 편광도가 10% 이하이고, 새깅(sagging)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r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예를 들어,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없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비교예 1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70/3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70/3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70/3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20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20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20 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HBA) 10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20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20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20 중량부, 글리시딜메틸아크릴레이트(GMA) 10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20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20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20 중량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제품명: Cyclomer-M100, 제조사: Daicel) 10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 2,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 및 아크릴계 필름의 프라이머 처리가 되지 않은 면에 접착하였을때의 접착력을 측정하였고, 측정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접착력을 측정한 그래프를 각각 도 1 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접착제의 접착력을 측정한 것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일정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도 2는 스틱-슬립 현상이 발생되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측정한 것으로, 접착력이 일정하지 못하고 높고 낮음이 반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Epoxy 옥세탄 가교제(중량부) DPGDA(중량부) Initiator Tg[℃] 접착력[N/2cm]
CEL2021P(중량부) NPDGE(중량부) OXT221(중량부) Irgacure
250
Irgacure
819
ITX 2nd Acryl 필름 Stick-slip
비교예 1 70/3 70/3 70/3 - 30 2.5pt 1pt 1pt 79 0.9
비교예 2 20 20 20 HBA
10%
30 70 1.2
실시예 1 20 20 20 GMA
10%
30 80 1.8 X
실시예 2 20 20 20 M100
10%
30 85 1.6 X
본원 명세서에서 ◎ 는 stick slip 현상 심한 것이며, ○ : stick slip 현상 발생한 것이고, X : stick slip 현상 없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은 가교제의 종류 따른 접착력 평가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비교예 1 및 2는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가교제를 포함한 것으로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여 스틱-슬립(stick-slip) 현상이 심하게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20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20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20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20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20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20 중량부, 글리시딜메틸아크릴레이트(GMA) 5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35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20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20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20 중량부, 글리시딜메틸아크릴레이트(GMA) 20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3 및 실시예 1, 3 및 4로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아크릴계 필름의 프라이머 처리가 되지 않은 면에 접착하였을때의 접착력을 측정하였고, 측정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Epoxy 옥세탄 GMA
(중량부)
DPGDA
(중량부)
Initiator 접착력[N/2cm]
CEL2021P
(중량부)
NPDGE
(중량부)
OXT221
(중량부)
I250 Irgacure 819 ITX Acryl 필름 Stick-slip
비교예 3 20 20 20 - 40 2.5pt 1pt 1pt 0.7
실시예 3 20 20 20 5 35 1.4
실시예 1 20 20 20 10 30 1.8 X
실시예 4 20 20 20 20 20 0.8 X
실시예 5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65/3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65/3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65/3 중량부, 글리시딜메틸아크릴레이트(GMA) 5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및 5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아크릴계 필름의 프라이머 처리가 되지 않은 면에 접착하였을때의 접착력을 측정하였고, 측정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Epoxy 옥세탄 GMA
(중량부)
DPGDA
(중량부)
Initiator 접착력[N/2cm]
CEL2021P
(중량부)
NPDGE
(중량부)
OXT221
(중량부)
I250 I819 ITX Acryl 필름 Stick-slip
비교예 1 70/3 70/3 70/3 - 30 2.5pt 1pt 1pt 0.9
실시예 5 65/3 65/3 65/3 5 30 1.3
실시예 1 20 20 20 10 30 1.8 X
실시예 6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20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20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20 중량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제품명: Cyclomer-M100, 제조사: Daicel) 5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35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20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20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20 중량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제품명: Cyclomer-M100, 제조사: Daicel) 20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3 및 실시예 2, 6 및 7로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아크릴계 필름의 프라이머 처리가 되지 않은 면에 접착하였을때의 접착력을 측정하였고, 측정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Epoxy 옥세탄 M100
(중량부)
DPGDA
(중량부)
Initiator 접착력[N/2cm]
CEL2021P
(중량부)
NPDGE
(중량부)
OXT221
(중량부)
I250 I819 ITX Acryl 필름 Stick-slip
비교예 3 20 20 20 - 40 2.5pt 1pt 1pt 0.7
실시예 6 20 20 20 5 35 1.3
실시예 2 20 20 20 10 30 1.6 X
실시예 7 20 20 20 20 20 1.1 X
실시예 8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65/3 중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65/3 중량부, 3,3'-옥시비스(메틸렌)비스(3-에틸옥세탄) (3,3'-oxybis(methylene)bis(3-ethyloxetane)) 65/3 중량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제품명: Cyclomer-M100, 제조사: Daicel) 5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를 넣어 제조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Irgacure 250 (제조사 : Basf) 2.5 중량부, Irgacure 819 (제조사 : Basf) 1 중량부, Isopropylthioxanthone(ITX) (제조사 :SK cytec) 1 중량부를 추가로 넣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및 8로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아크릴계 필름의 프라이머 처리가 되지 않은 면에 접착하였을때의 접착력을 측정하였고, 측정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Epoxy 옥세탄 M100
(중량부)
DPGDA
(중량부)
Initiator 접착력[N/2cm]
CEL2021P
(중량부)
NPDGE
(중량부)
OXT221
(중량부)
I250 I819 ITX Acryl 필름 Stick-slip
비교예 1 70/3 70/3 70/3 - 30 2.5pt 1pt 1pt 0.9
실시예 8 65/3 65/3 65/3 5 30 1.3
실시예 1 20 20 20 10 30 1.6 X

Claims (20)

  1. 양이온 중합 모노머; 라디칼 중합 모노머; 및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의 분자량은 100 내지 1000g/mol인 것인 접착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인 접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중합 모노머는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옥세탄 화합물인 것인 접착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중합 모노머는 에폭시계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는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인 것인 접착제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는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피발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1,9-노난디올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양이온 중합 모노머를 29 내지 80 중량부,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를 10 내지 70 중량부, 및
    상기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1 내지 3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양이온 중합 모노머를 50 내지 70 중량부,
    상기 라디칼 중합 모노머를 20 내지 35 중량부, 및
    상기 에폭시 작용기와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5 내지 1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Tg)는 60℃ 이상인 것인 접착제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력은 아크릴계 필름에 대하여 1.5N/2cm이상인 것인 접착제 조성물.
  12.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구비되고,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아크릴계 필름인 것인 보호필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접착력은 아크릴계 필름에 대하여 1.5 N/2cm 이상인 것인 보호필름.
  15.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고,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 상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아크릴계 필름인 것인 편광판.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접착력은 아크릴계 필름에 대하여 1.5 N/2cm 이상인 것인 편광판.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유리전이온도는 70℃ 이상인 것인 편광판.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0㎛ 초과 20㎛이하인 것인 편광판.
  20.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청구항 15 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60097195A 2016-07-29 2016-07-29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10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95A KR102103619B1 (ko) 2016-07-29 2016-07-29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95A KR102103619B1 (ko) 2016-07-29 2016-07-29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442A true KR20180013442A (ko) 2018-02-07
KR102103619B1 KR102103619B1 (ko) 2020-04-22

Family

ID=6120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95A KR102103619B1 (ko) 2016-07-29 2016-07-29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4015A (zh) * 2018-09-03 2021-03-19 昭和电工株式会社 粘着剂组合物及粘着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644A (ja) 2001-10-11 2003-04-23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液晶表示素子
KR20130040725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40142232A (ko) * 2012-03-09 2014-1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KR20140143006A (ko) * 2013-06-05 2014-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광학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644A (ja) 2001-10-11 2003-04-23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液晶表示素子
KR20130040725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40142232A (ko) * 2012-03-09 2014-1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KR20140143006A (ko) * 2013-06-05 2014-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광학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4015A (zh) * 2018-09-03 2021-03-19 昭和电工株式会社 粘着剂组合物及粘着片
CN112534015B (zh) * 2018-09-03 2022-02-25 昭和电工株式会社 粘着剂组合物及粘着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619B1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976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1893247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13160775A (ja) 偏光板及び光学部材
JP6119109B2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60001501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69740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6951556B2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接着剤層を含む偏光板
KR102122630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7264879B2 (ja) 偏光板およ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JP6948462B2 (ja) 接着剤組成物、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接着剤層を含む偏光板
KR102124232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N111094496B (zh) 粘合剂组合物和包括使用其形成的粘合层的偏光板
KR10194165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103619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US10654982B2 (en) Method for preparing polarizer protecting film
KR102150142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KR102157920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JP7241741B2 (ja) 偏光板およ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20170050279A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KR20190082504A (ko)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KR20170050288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70050286A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KR20170050285A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