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282A - 스팀 트랩 - Google Patents
스팀 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3282A KR20180013282A KR1020160096751A KR20160096751A KR20180013282A KR 20180013282 A KR20180013282 A KR 20180013282A KR 1020160096751 A KR1020160096751 A KR 1020160096751A KR 20160096751 A KR20160096751 A KR 20160096751A KR 20180013282 A KR20180013282 A KR 201800132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nturi
- steam
- condensed water
- unit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4—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out moving parts other than hand valves, e.g. labyrinth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12—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excess or release of pressure
- F16T1/16—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excess or release of pressure involving a high-pressure chamber and a low-pressure chamber communicating with one another, i.e. thermodynamic steam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이송배관과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응축수 배출관을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유닛, 상기 몸체부에 생성된 응축수를 긴급배출하는 분기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의 내부에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벤추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벤추리 유닛은, 응축수를 배출하는 통로인 벤추리 홀, 및 상기 벤추리 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벤추리 벨브를 포함하여 증기를 사용하는 생산설비 및 열교환기등의 증기이송배관에서 상기 증기이송배관의 외부와 온도차로 인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고, 증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스팀 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팀 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증기를 사용하는 생산설비 및 열 교환기 등의 증기이송배관에서 상기 증기이송배관의 외부와 온도차로 인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고, 증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스팀 트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증기를 사용하는 생산설비, 열교환기 등의 증기이송배관에는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해 이송배관의 내외부 온도차이로 인하여 이송배관 내에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응축수는 증기를 이송 중 증기이송배관을 타격하는 워터해머(Water Hammer)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증기 이송배관에서 다량의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열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증기이송배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원활하게 제거하지 못할 경우,증기공간내에 응축수가 차오름으로 인해 유효 가열면적이 감소될 수 있으며, 가열온도가 불균일하게 유지되어 생산설비 및 열교환기의 성능저하가 초래될 수 있으며, 설비내부의 부식 또는 재질의 노화를 촉진시켜 설비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에 증기이송배관의 일부분에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팀 트랩(Steam Trap)이 배치될 수 있다.
스팀 트랩은 증기이송배관에서 응축수만을 증기 및 가스를 제외한 응축수만을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동작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와 응축수의 밀도차를 이용하여 응축수를 배출하는 방법으로 스팀 트랩 내부에 볼플로트가 배치된 볼플로트식 스팀 트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볼플로트식 스팀 트랩은 증기의 압력과 유량의 급격한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나, 외부의 온도 변화로 인해 응축수가 결빙될 경우 이에 따라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보온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증기압의 변화로 스팀 트랩내에 배치된 디스크를 밀어내는 디스크식 스팀 트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크식 스팀 트랩은 응축수가 스팀트랩 내에 고이면 트랩 내의 온도가 낮아져 압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디스크와 연결된 벨브가 동작하여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어 정비보수가 용이하나 스팀 트랩에 유입되는 증기압이 낮을 경우에는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류들의 스팀 트랩의 단점을 보완하여 오리피스식 스팀 트랩이 제공될 수 있다. 오리피스식 스팀 트랩은 배출되는 응축수가 통로인 홀을 점유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증기의 누출을 막는 원리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오리피스식 스팀 트랩은 증기의 누출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작동구가 필요 없을뿐더러, 발열면적이 적고, 가열체에 대한 열전달율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득이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응축수를 증기에서 분리하는 스팀 트랩(1)으로서, 증기가 내부를 통과하는 몸체(2)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팀 트랩 본체(2)에는 외부에서 증기가 도입되는 증기 도입부(4), 상기 증기 도입부(4)에서 도입된 증기에 혼재하고 있는 물을 포착하는 트랩부(3), 상기 트랩부(3)에 접속되어 상기 트랩부(3)에서 포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5), 상기 트랩부(3)에 접속되어 상기 트랩부(3)에 의해 물이 제거된 잔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6)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랩부(3)는 개구부(31)가 구성된 트랩실(30)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트랩실(30)의 내부에는 상술한 오리피스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벤투리 노즐(10)이 위치한다. 상기 벤투리 노즐(10)의 일단은 상기 증기 도입부(4)에서 도입된 증기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배수부(5)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트랩부(3)의 내부에는 개스킷(12)이 배치될 수 있으며, 노즐 태그(13)이 설치된 엔드캡(14)에 의해 상기 개구부(31)가 차폐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랩실(30)내에 위치하는 벤투리 노즐(10)은 그 일단이 상기 증기 도입부(3)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타단은 배수부(5)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증기 도입부(4)로부터 유입되는 증기가 벤투리 노즐(10)에 접촉하면, 증기에 혼재하는 응축수는 벤투리 노즐 개구(11)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증기는 상기 응축수에 방해받아 벤투리 노즐 개구(11)를 통과하기가 곤란하므로 배수부(5)를 통해 증기가 유출되기 어려우며, 벤투리 노즐(10)의 내부에 유입되는 응축수는 증기 도입부(4)에서 공급되는 증기의 압력에 의해 압출되어 배수부(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벤투리 노즐(10)의 외주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벤투리 노즐(10)은 트랩실(31)에 배치된 나사 구멍(32)를 통해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벤투리 노즐(10)은 개구부(31)을 통해 교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벤투리 노즐(10)과 같은 종래의 오리피스식 스팀 트랩은 직경이 작은 오리피스를 가공하는데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오리피스 홀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해 오리피스 스팀 트랩 몸체부 전체를 교체해야되는 관계로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트랩은 증기이송배관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벤추리 홀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범용성을 높인 스팀 트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트랩은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이송배관과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응축수 배출관을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유닛, 상기 몸체부에 생성된 응축수를 긴급배출하는 분기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의 내부에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벤추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벤추리 유닛은, 응축수를 배출하는 통로인 벤추리 홀; 및 상기 벤추리 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벤추리 벨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벤추리 벨브는, 상기 벤추리 홀을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개폐단계를 표시하는 눈금 표시부, 및 상기 벤추리 벨브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호 인접하는 복수개의 평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추리 벨브는, 상기 벤추리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폐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감압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는 증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부 및 상기 증압부는 파이프 형상이고, 그 직경이 단계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트랩은 벤추리 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스팀 배관에 공급되는 증기압을 다양한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워터 해머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스팀 트랩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추리 유닛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추리 벨브의 분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추리 유닛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추리 벨브의 분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100)은 증기가 이송되는 증기이송배관(101)과 연결되어 증기가 이송됨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를 응축수배출관(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스팀 트랩(100)은 증기이송배관(101)과 연결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와 응축수 배출관(140)을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유닛(120), 상기 몸체부(110)에 생성된 응축수를 긴급배출하는 분기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120)은 내부에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벤추리 유닛을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일측에 증기를 이송하는 증기이송배관과 연결되어 내부에 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부에는 증기이송배관(101)을 통해 이송된 증기를 긴급배출하기 위한 분기부(111)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분기부는 몸체부(110)를 통해 증기배출관(101)과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타측에는 응축수 배출유닛(120)과 연결되어 증기와 배관 외부와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분기부(111)는 몸체부의 측면부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되어 증기이송배관(101)으로부터 유입된 증기를 긴급배출하는 증기배출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111)는 내부에 증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증기배출관(미도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113), 및 상기 분기부(111)와 상기 증기배출관(미도시)을 연결하는 연결부(115)를 포함한다.
필터부(113)는 이물질 제거를 위하여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된 거름망(113a), 고온고압의 증기압으로 인한 거름망(113a)의 변형을 방지하고 몸체부(110)와의 연결을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13b)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13b)는 거름망(113a)의 양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13b)와의 결합을 통해 거름망(113a)은 분기부(111)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시 그 형태가 고정되어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분기부(111)의 길이방향에 알맞은 크기로 스팀 트랩의 몸체부(110)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어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다.
연결부(115)는 분기부와 증기배출관(미도시)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나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선에 맞는 볼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볼트 형상과 나사선의 결합을 통해 증기배출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응축수 배출유닛(120)은 몸체부(110)의 타측과 응축수 배출관(140)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120)은 내부에 증기이송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벤추리 유닛(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벤추리 유닛은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통로인 벤추리 홀(128), 상기 벤추리 홀(128)의 일부분의 직경을 조절하는 벤추리 벨브(125)를 포함하고, 상기 벤추리 홀(128)의 직경은 증기이송배관(110)의 직경과 증기압에 따라 벤추리 벨브(125)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추리 벨브(125)는 내부에 상기 벤추리 홀(128)을 차단하는 차단부(127), 상기 차단부(127)의 개폐단계를 표시하는 눈금 표시부(124), 및 상기 벤추리 벨브를 고정하는 스토퍼(126)를 포함한다.
이하 응축수 배출유닛 및 벤추리 유닛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추리 유닛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 를 참조하여, 스팀 트랩의 내부로 유입된 증기의 흐름을 설명하면, 증기공급압력으로 인해 증기이송배관(101)을 따라 유입된 증기는 스팀 트랩 몸체부(110)로부터 분관된 분기부(111)로 이송될 수 있다.
분기부(111)로 이송된 증기는 하부에 배치된 필터부(113)를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과 과정에서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증기에 포함된 불순물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된 거름망(113a)을 통해 걸러질 수 있다. 이후 상기 거름망(113a)에 의해 걸러진 증기는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점유할 수 있다.
이때, 고온 고압의 증기가 몸체부(110) 내부에 점유하고, 증기이송배관(101)을 통해 추가로 공급되는 증기로 인해 몸체부(110)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면 내부를 점유하고 있는 증기는 응축되어 물로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응축수는 증기공급압력으로 인해 응축수 배출유닛(120)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응축수 배출유닛(12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벤추리 유닛(121)을 통과할 수 있다. 이후 벤추리 유닛(121)을 통과한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응축수 배출유닛(120)은 본체의 타측에 해당하는 배출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외면에 수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외면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일측 외면에 수나사선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타측 외면에 수나사선이 한번 더 형성되어 복수개의 수나사선이 배치되어 체결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에 제한하지 않고 체결되는 몸체부(110), 응축수 배출관(120) 및 증기 배출관(미도시)에 대응되는 다양한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나사선을 통해 결합된 응축수 배출유닛(120)은 몸체부 내부에 벤추리 유닛(121)을 포함한다. 벤추리 유닛(121)은 중심부에 몸체부 내부에 포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통로인 벤추리 홀(128)을 포함하고, 상기 벤추리 홀(128)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벤추리 벨브(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배출유닛(120)에 이송되는 응축수압을 조절하고, 몸체부 내부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증기의 급격한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벤추리 홀(128)의 양단에는 감압부(122) 및 증압부(129)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압부(122)에서는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응축수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도록, 테이퍼 가공된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벤추리 유닛(121)에 근접할수록 그 직경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다단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증압부(129)는 상술한 바와 같은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응축수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상기 감압부(122)와 동일 형태로 테이퍼 가공된 원형의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며, 벤추리 유닛(121)으로부터 이격될수록 그 직경이 단계적으로 커지는 다단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벤추리 홀(128)은 스팀 트랩의 몸체부(110) 내부에 포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통로로, 상기 벤추리 홀(128)의 양측에 각각 감압부(122) 및 증압부(129)가 배치되어 응축수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동적인 증기공급압력의 변화에 따라 응축수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내부에 벤추리 벨브(125)가 배치될 수 있다.
벤추리 벨브(125)는 벤추리 홀(128)의 외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벤추리 홀(128)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응축수 배출유닛(120)의 외면에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벤추리 벨브(125)는 벤추리 홀(128)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벤추리 홀(128)의 직경을 조절하는 실시 예로 벨브의 회전 운동을 들 수 있다.
즉, 응축수 배출유닛(120)의 외면에 형성된 벤추리 벨브(125)를 일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벤추리 벨브(125)의 내부에 위치하는 차단부(127)이 벤추리 홀(128)의 중심선의 방향으로 하강하여 홀을 폐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벤추리 벨브(125)를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벤추리 벨브(125)의 내부에 위치하는 차단부(127)이 벤추리 홀(128)의 외면 방향으로 상승하여 홀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벤추리 벨브(125)는 도 2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벤추리 홀(128)의 크기를 조절하고 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외면에 눈금 표시부(124)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응축수 배출유닛(120)의 외면에 형성된 벤추리 벨브(125)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단계별로 개폐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에 대한 정보는 눈금 표시부(124)를 통해 시각화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벤추리 벨브(125)의 회전각은 단계별로 구분되어 5 단계로 구분할 경우 단계별 이동각은 72도가 될 수 있으며, 6 단계로 구분할 경우 단계별 이동각은 60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트랩을 사용하는 환경에 있어 증기이송배관(101)으로부터 이송되는 증기압의 변동이 심한 경우는 상기 벤추리 벨브(125)의 회전각도의 단계를 세분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별로 후술할 차단부가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증기압이 항상 균일하게 유지되고 변동폭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벤추리 벨브(125)의 회전각도의 단계를 폭넓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벤추리 벨브(125)의 회전각도 및 단계는 상기 실시예에 제한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회전각도 및 단계를 관리자가 설정하여 상술한 눈금 표시부(124)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각 단계에 해당하는 단계번호를 눈금 표시부(124)에 표시하여 증기압에 따른 탄력적인 벤추리 홀(128)의 개폐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벤추리 벨브(125)의 외면에는 스토퍼(126)가 배치될 수 있으며 벤추리 홀(128)을 개폐를 조절하는 단계를 설정하고 외부의 요인에 의해 기설정된 단계가 변경되지 않도록 스토퍼(126)는 벤추리 벨브(125)를 고정하여 잠글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26)는 상기 벤추리 벨브(125)와 유사한 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126)는 기준점으로부터 일측방으로 1 회전시, 상기 벤추리 벨브(125)가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어 기설정된 단계가 외부의 요인에 의해 변경되지 않아 안정된 상태의 증기압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팀 트랩에 공급되는 증기압의 변동으로 인해 벤추리 벨브(125)의 조절이 필요할 경우, 상기 과정에 따라 잠긴 스토퍼(126)는 잠긴 상태에서 타측방으로 1 회전시 잠금 상태가 풀리게 되고, 상기 벤추리 벨브(125)의 잠김이 풀려 벤추리 홀(128)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벤추리 벨브(125)의 구성을 통해 벤추리 홀(128)의 크기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증기이송배관(101)의 크기나 사용처, 증기압에 따라 응축수 배출유닛(120)을 교체하지 않고도 벤추리 홀(128)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유닛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추리 벨브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6a 를 참조하면, 차단부(127)은 벤추리 벨브(125)의 조정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27)은 금속재의 평판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일반적인 카메라 렌즈의 조리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홀에 부가되는 증기압에 따라 3 또는 5개의 복수개의 차단부(127)가 상호 체결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의 개방 비율 및 폐쇄 비율의 수치를 나타내는 개폐율은 도 5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벤추리 벨브(125)의 회전각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도 6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추리 벨브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차단부(127), 차단부가 고정되는 지지판(125a), 및 상기 차단부의 외면을 덮는 커버(12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125a)은 고리형의 플레이트 형상이며, 그 외면에는 후술할 제2 돌기부가 삽입되는 지지홈(125c)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25a)의 외면에 배치되는 차단부(127)는 외면상에 돌기부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는 커버(125b)에 삽입되는 제1 돌기부(127a), 및 지지판(125a)에 삽입되는 제2 돌기부(127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는 커버(125b)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125b)는 상기 제1 돌기부와 결합하는 이동홈(125d)를 포함한다.
차단부(127)는 상기 지지판(125a), 및 상기 커버(125b)와 결합하여 벤추리 홀(128)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부의 제1 돌기부(127a)는 커버의 외면에 배치된 이동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홈은 일정한 방향으로 제1 돌기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홈에 삽입된 제1 돌기부는 이동홈의 범위내에서 차단부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차단부의 제2 돌기부(127b)는 지지판의 외면에 배치된 지지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과 결합된 제2 돌기부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차단부가 상기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통해 벤추리 벨브(125)가 회전하는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벤추리 홀(128)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배출유닛은 도 5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압부(122)가 다단홀인 2단 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증압부(129) 또한 2단 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실시예에 제한하지 않으며,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감압부(122) 및 상기 증압부(129)를 3단 또는 3단 이상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외에도 다른 실시예를 통한 스팀 트랩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 트랩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오리피스 벨브(225)는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127)을 포함한 것과 달리 차폐핀(227)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핀(227)은 테이퍼 가공된 핀의 형상이며, 벤추리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어 벤추리 홀(228)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상기 차폐핀(227)의 일단이 벤추리 벨브(22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벤추리 벨브(225)와 연결된 차폐핀(227)은 벤추리 유닛의 내부에서 반복운동을 통해 벤추리 홀(228)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잇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벤추리 벨브(225)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차폐핀(227)은 벤추리 유닛에 삽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차폐핀(227)의 삽입과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벤추리 홀(228)의 개방면적(d)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벤추리 벨브를 조작하여 차폐핀(227)이 벤추리 홀(228)을 완전폐쇄할 경우 벤추리 홀의 개방면적(d)비율은 0% 가 될 수 있으며, 단계적으로 벤추리 벨브를 조작하여 차폐핀(227)이 벤추리 홀(228)을 완전개방할 경우 벤추리 홀의 개방면적(d)비율은 100% 가 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대한 정보는 벤추리 벨브(225)의 외면에 위치하는 눈금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시각화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증기이송배관(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압에 따라 벤추리 홀(228)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팀 트랩
101: 증기이송배관
110: 몸체부 111: 분기부
113: 필터부 120: 응축수 배출유닛
121: 벤추리 유닛 122: 감압부
124: 눈금 표시부 125: 벤추리 벨브
126: 스토퍼 127: 차단부
128: 벤추리 홀 129: 감압부
227: 차폐핀
110: 몸체부 111: 분기부
113: 필터부 120: 응축수 배출유닛
121: 벤추리 유닛 122: 감압부
124: 눈금 표시부 125: 벤추리 벨브
126: 스토퍼 127: 차단부
128: 벤추리 홀 129: 감압부
227: 차폐핀
Claims (6)
-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이송배관과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응축수 배출관을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유닛;
상기 몸체부에 생성된 응축수를 긴급배출하는 분기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의 내부에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벤추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벤추리 유닛은,
응축수를 배출하는 통로인 벤추리 홀; 및
상기 벤추리 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벤추리 벨브를 포함하는 스팀 트랩.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추리 벨브는,
상기 벤추리 홀을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개폐단계를 표시하는 눈금 표시부; 및
상기 벤추리 벨브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팀 트랩.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호 인접하는 복수개의 평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팀 트랩.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벤추리 벨브는, 상기 벤추리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폐핀을 더 포함하는 스팀 트랩.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감압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는 증압부를 더 포함하는 스팀 트랩.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 및 상기 증압부는 파이프 형상이고, 그 직경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스팀 트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6751A KR20180013282A (ko) | 2016-07-29 | 2016-07-29 | 스팀 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6751A KR20180013282A (ko) | 2016-07-29 | 2016-07-29 | 스팀 트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3282A true KR20180013282A (ko) | 2018-02-07 |
Family
ID=6120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6751A KR20180013282A (ko) | 2016-07-29 | 2016-07-29 | 스팀 트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13282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6213A (ko) * | 2018-03-08 | 2019-09-18 | 오순웅 | 동파 방지용 응축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스팀 트랩 |
KR20200001013A (ko) * | 2018-06-26 | 2020-01-06 | 한국지역난방공사 | 배관용 캐비테이션 발생 장치 |
WO2020105775A1 (ko) * | 2018-11-23 | 2020-05-28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노즐+플러그형 오리피스조절용 스팀트랩 |
KR102208162B1 (ko) * | 2019-08-08 | 2021-01-26 | 남상기 | 스팀트랩 |
US11841103B2 (en) | 2021-04-09 | 2023-12-12 | Globalfoundries U.S. Inc. | Pipe assembly having an angled plate and fabrication methods |
-
2016
- 2016-07-29 KR KR1020160096751A patent/KR20180013282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6213A (ko) * | 2018-03-08 | 2019-09-18 | 오순웅 | 동파 방지용 응축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스팀 트랩 |
KR20200001013A (ko) * | 2018-06-26 | 2020-01-06 | 한국지역난방공사 | 배관용 캐비테이션 발생 장치 |
WO2020105775A1 (ko) * | 2018-11-23 | 2020-05-28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노즐+플러그형 오리피스조절용 스팀트랩 |
KR20200061214A (ko) * | 2018-11-23 | 2020-06-02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노즐+플러그형 오리피스조절용 스팀트랩 |
KR102208162B1 (ko) * | 2019-08-08 | 2021-01-26 | 남상기 | 스팀트랩 |
US11841103B2 (en) | 2021-04-09 | 2023-12-12 | Globalfoundries U.S. Inc. | Pipe assembly having an angled plate and fabrication method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13282A (ko) | 스팀 트랩 | |
CN109312878B (zh) | 阀门机构 | |
KR102208162B1 (ko) | 스팀트랩 | |
KR102119018B1 (ko) | 노즐+플러그형 오리피스조절용 스팀트랩 | |
TW202042885A (zh) | 線上型過濾器 | |
US5057215A (en) | Reversible-flow filter assembly | |
KR102396795B1 (ko) | 리볼빙 타입 오리피스 스팀트랩 | |
JP3220516U (ja) | スチームトラップユニット | |
EP3969185B1 (en) | Filter for treating a fluid in a piping of a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in particular of domestic and/or industrial type | |
US5120336A (en) | Flow constriction device in radiator steam trap | |
KR101910552B1 (ko) | 오리피스형 디스크스팀트랩 | |
JP6254750B2 (ja) | オリフィス式ドレン排出機構およびドレン排出システム | |
JP6088216B2 (ja) | 配管ジョイント付スチームトラップ | |
KR200176894Y1 (ko) | 이중 역지 밸브 | |
CN215862840U (zh) | 疏水结构、疏水阀及使用该疏水阀的加热设备 | |
US2817353A (en) | Thermodynamic steam trap | |
CN111603824B (zh) | 一种拆卸可自锁式水路过滤器 | |
JP2019196807A (ja) | ノズル式スチームトラップ | |
GB2602986A (en) | Magnetic and mesh filter for a central heating system | |
CN221482831U (zh) | 一种纯净式减压调压阀 | |
JP2532018B2 (ja) | 凝縮液トラップ | |
TW201540995A (zh) | 洩壓閥組件 | |
WO2022009563A1 (ja) | ストレーナ装置 | |
KR102469040B1 (ko) | 응축수의 다단 배출이 가능한 스팀트랩 | |
JP2524870B2 (ja) | オリフィストラ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