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27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274A
KR20180013274A KR1020160096738A KR20160096738A KR20180013274A KR 20180013274 A KR20180013274 A KR 20180013274A KR 1020160096738 A KR1020160096738 A KR 1020160096738A KR 20160096738 A KR20160096738 A KR 20160096738A KR 20180013274 A KR20180013274 A KR 2018001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hold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725B1 (ko
Inventor
박지환
안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725B1/ko
Priority to CN201780056670.7A priority patent/CN109716747B/zh
Priority to JP2019504774A priority patent/JP6730510B2/ja
Priority to US16/321,280 priority patent/US11137529B2/en
Priority to PCT/KR2017/007283 priority patent/WO2018021722A1/ko
Priority to EP17834665.6A priority patent/EP3493518B1/en
Publication of KR2018001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274A/ko
Priority to JP2020114817A priority patent/JP7023328B2/ja
Priority to US17/470,815 priority patent/US118744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 G02B5/282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reflecting for infrared and transparent for visible light, e.g. heat reflectors, laser 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중공이 형성되는 렌즈홀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제1렌즈부; 상기 렌즈홀더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렌즈홀더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주차할 경우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자동차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경위, 사고원인 등을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상황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인식장치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스마트카, 즉 자동차의 주행시 전후방의 충돌가능성을 미리 탐지하여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충돌경고시스템, 자동차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차 간 충돌을 운전자에 운전에 의하지 않고 상기 제어장치가 직접 회피할 수 있는 충돌회피시스템 등이 장착되는 자동차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고 관련기술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카의 외부상황 인식수단으로 카메라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의 생산과 기술개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중공이 형성되는 렌즈홀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제1렌즈부; 상기 렌즈홀더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렌즈홀더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홀더는 상부에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제1결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고,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제2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제1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적외선 차단필터로 구비되고, 광축방향으로 보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 하면로부터 돌출형성되고,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홀더는, 하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둘러싸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가스킷이 장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홀더는, 코너부에 체결구가 삽입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관통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도피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의 일측면은 상기 내부공간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접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의 폭은 0.1mm 내지 0.3mm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제1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접착부가 형성하는 곡선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의 폭은 0.1mm 내지 0.3mm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렌즈홀더 하부에 상기 렌즈홀더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3관통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관통홀의 폭은 0.3mm 내지 0.5mm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이 완료된 후 폐쇄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중공이 형성되는 렌즈홀더; 상기 중공에 수용되고,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부; 상기 렌즈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중공을 폐쇄하며, 상기 제1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제2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고,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제2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렌즈배럴을 사용하지 않고 렌즈들을 렌즈홀더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렌즈배럴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카메라 모듈에서 설계상의 렌즈배럴의 배치와 실제 배치 사이에 과도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렌즈부의 틸트각이 설계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렌즈부와 이미지센서 간 초점거리 정렬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제1렌즈부를 접착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프란트바디에 장착함으로써,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 결합공정이 빠르고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배럴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렌즈배럴에 구비되는 별도의 실링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부를 경화하기 위해 가열하는 동안 상기 내부공간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하면, 상기 충진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팽창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의 설계범위를 벗어나는 변경, 접착부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의 설계범위를 벗어나는 변경, 접착부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파손 등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작동불량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필터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이미지센서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렌즈홀더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접착부를 추가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접착부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도 접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측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홀더(100), 제1렌즈부(200), 제2렌즈부(300) 및 인쇄회로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100)에는 중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10)에는 제1렌즈부(20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렌즈부(300)를 통과한 광이 상기 제1렌즈부(200)로 입사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110)은 광축방향으로 렌즈홀더(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홀더(100)는 하우징(미도시)과 결합할 수 있다. 렌즈홀더(100)와 하우징의 결합은 예를 들어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홀더(100)의 코너부에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관통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예로 결합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렌즈홀더(100)와 상기 하우징을 접착, 형상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1렌즈부(200)는 렌즈홀더(100)에 형성되는 중공(110)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200)가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가 광축방향으로 정렬한 광학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렌즈홀더(100)에 제1렌즈부(200)를 결합하는 경우, 제1렌즈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로 구비되고,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렌즈홀더(100)와 나사결합방식 또는 접착방식으로 결합한다.
나사결합방식은 렌즈홀더(100)에 형성되는 중공(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렌즈배럴의 외주면에 상기 중공(110)에 형성된 나사산과 형합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렌즈배럴을 상기 렌즈홀더(100)에 나사결합 하도록 한다.
접착방식은 렌즈홀더(100)의 중공(110)의 내주면과 렌즈배럴의 외주면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되고,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홀더(100)가 서로 결합한다.
그러나, 렌즈배럴을 구비하여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렌즈홀더(100)에 결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렌즈배럴을 렌즈홀더(100)에 접착 또는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할 경우, 카메라 모듈에서 설계상의 렌즈배럴의 배치와 실제 배치 사이에 과도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예를 들어, 렌즈배럴이 광축방향에 대하여 틸트(tilt)되는 틸트각이 설계범위를 벗어날 수 있고, 따라서, 렌즈배럴이 과도하게 틸트되어 렌즈배럴과 이미지센서(700) 간 초점거리 정렬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워진다.
또한, 렌즈배럴을 접착방식으로 렌즈홀더(100)에 결합하는 경우, 렌즈홀더(100)의 중공(110)의 내주면과 렌즈배럴의 외주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카메라 모듈 결합공정이 복잡해지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렌즈배럴에 렌즈를 장착한 경우, 렌즈가 장착된 렌즈배럴 내부에 수분 기타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실링수단이 렌즈배럴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렌즈배럴의 구조가 복잡해 진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렌즈배럴을 사용하지 않고 제1렌즈부(200)의 렌즈들을 직접 렌즈홀더(100)에 형성되는 중공(110)에 장착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1렌즈부(200)가 렌즈홀더(100)에 장착된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렌즈부(300)는 상기 렌즈홀더(100)와 결합하고, 상기 중공(110)을 폐쇄하며, 상기 제1렌즈부(200)와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렌즈홀더(100)와 결합하여 카메라 모듈의 최전방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300)는 상기 중공(110)을 폐쇄하여 상기 중공(110)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200)를 보호하고,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넓히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렌즈부(300)는 상기 렌즈홀더(100)와 나사결합 또는 접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렌즈부(300)와 렌즈홀더(100)의 결합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렌즈홀더(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부(200) 및 상기 제2렌즈부(300)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이미지센서(700)가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00)과 이미지센서(70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필터(80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렌즈부(300)는 렌즈홀더(100)와 결합하여 카메라 모듈의 최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부(300)와 렌즈홀더(100)의 결합을 위해,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120)는 상기 렌즈홀더(100)의 상부에 상기 중공(1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120)는 상기 제2렌즈부(300)를 구성하는 렌즈가 안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결합부(120)는 상기 제2렌즈부(300)를 구성하는 렌즈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되는 렌즈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응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로 안착되는 렌즈의 돌출구조 또는 회피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결합부(120)는 회피구조 또는 돌출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310)는 상기 제2렌즈부(300)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1결합부(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2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310)가 상기 제1결합부(120)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렌즈부(300)는 상기 렌즈홀더(100)와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2결합부(310)는 접착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결합부(120)의 외주면, 상기 제2결합부(310)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310)를 서로 결합시키면,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2결합부(310)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도 4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120)의 하면과, 상기 하면과 제2결합부(310)의 대응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310)는 서로 더욱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2결합부(310)는 나사결합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결합부(12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결합부(310)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과 형합하는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2결합부(310)는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접착방식으로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2결합부(310)가 결합하는 경우, 접착제가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310) 사이를 밀폐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중공(110) 부위로 외부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나사결합방식으로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2결합부(310)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310) 사이를 밀폐하기 위해 렌즈홀더(100)와 제2결합부(310) 사이에 실링부재(600)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600)는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2결합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310)에 상기 제1결합부(120)를 둘러싸는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실링부재(60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둘러싸는 형태의 공간은 렌즈홀더(100) 및/또는 제2결합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둘러싸는 형태의 공간은 렌즈홀더(100)와 제2결합부(310)가 실링부재(600)없이 결합되었을 때, 빈공간, 구멍 등의 회피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회피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600)는 예를 들어 오링(O-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실링부재(600)는 상기 중공(110)에 외부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홀더(100)에 형성되는 상기 중공(110)에 복수의 렌즈가 광축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렌즈부(200)는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는 별도의 렌즈배럴에 장착되지 않으며, 상기 중공(110)이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상으로 보아 제1렌즈부(200)를 형성하는 복수의 렌즈들은 렌즈홀더(100)에 형성된 중공(110)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차례로 장착될 수 있다.
최하측에 장착되는 렌즈는, 그 하면이 상기 중공(110)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면으로 인해 더이상 하부로 내려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면이 형성되는 단차부는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최상층에 장착되는 렌즈는, 그 상면이 상기 중공(110)의 상부에 형성된 단차면에 의해 더이상 상부로 올라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면이 형성되는 단차부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중공(110)에 광축방향으로 제1렌즈부(200)를 형성하는 복수의 렌즈들이 차례로 장착된 후, 상기 제2렌즈부(300)가 렌즈홀더(100)에 결합하여 상기 제1렌즈부(200)의 렌즈들은 상기 렌즈홀더(100)의 중공(110)에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제1렌즈부(200)와 제2렌즈부(300) 사이에는 스페이서(500)(spac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500)는 상기 제1렌즈부(200)의 렌즈들이 상기 중공(110)에서 광축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2렌즈부(300)가 렌즈홀더(100)에 결합하면, 제2렌즈부(300)는 상기 스페이서(500)를 광축방향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500)는 상기 제1렌즈부(200)를 광축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제1렌부의 렌즈들은 상기 중공(110)에서 광축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렌즈부(200)의 렌즈들이 광축과 수직한 방향 즉, x-y평면 상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1렌즈부(200)의 렌즈들의 직경과 중공(110)의 직경을 적절히 조절하여, 제1렌즈부(200)의 렌즈들이 중공(110)에 꽉 끼도록 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렌즈배럴을 사용하지 않고 렌즈들을 렌즈홀더(100)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렌즈배럴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카메라 모듈에서 설계상의 렌즈배럴의 배치와 실제 배치 사이에 과도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렌즈부(200)의 틸트각이 설계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렌즈부(200)와 이미지센서(700) 간 초점거리 정렬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제1렌즈부(200)를 접착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렌즈홀더(100)에 장착함으로써,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 결합공정이 빠르고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배럴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렌즈배럴에 구비되는 별도의 실링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필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8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부(200)와 상기 이미지센서(7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부(200) 및 상기 이미지센서(700)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800)는 제1렌즈부(200)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700)로 향하는 광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센서(700)로 입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80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차단필터 또는 적외선 통과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800)는 광축방향으로 보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통공의 하단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필터(800)가 배치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필터(800)는 상기 중공(11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상기 중공(110)의 단차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필터(8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800)는 상기 중공(110)의 하단과 상기 이미지센서(700)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중공(110)의 하단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렌즈홀더(100)의 하부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홀더(100)는 제3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130)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홀더(100) 하면로부터 돌출형성되고, 하면을 바라보았을 때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폐곡선 형상이 아닌 불연속적으로 일부가 끊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결합부(13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이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제3결합부(130)에 접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접착방식에 의한 인쇄회로기판(400)과 제3결합부(130) 사이의 결합은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는데,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해 접착제는 열경화성 및 자외선경화성 재질의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 공정은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400)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1렌즈부(200)와 이미지센서(700) 사이의 초점거리를 조절하거나, 인쇄회로기판(400)을 광축방향과 수직한 x-y평면 상에서 틸트(tilt) 즉, 회전시켜 제1렌즈부(200)와 이미지센서(700) 사이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공정을 말한다.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는 액티브 얼라인 공정 진행중에는 가경화되고, 액티브 얼라인이 완료된 후 영구경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제3결합부(130)를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제는 예를 들어, 자외선 및 열에 모두 반응하여 경화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 공정 중에는 제1렌즈부(200)와 이미지센서(700) 사이의 초점거리를 조절한 상태에서 자외선을 인쇄회로기판(400) 및/또는 제3결합부(130)에 조사하여 상기 접착제를 가경화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접착제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제를 영구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오븐(oven)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접착제를 가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통해 카메라 모듈의 렌즈홀더(100)와 인쇄회로기판(400)을 결합함으로써, 렌즈홀더(100)에 결합하는 제1렌즈부(200)의 초점을 인쇄회로기판(400)에 장착되는 이미지센서(700)의 최적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접착제는, 하기의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접착부(90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900)에 대해서는 도 8 등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이미지센서(700)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400)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제1렌즈부(200)와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제1렌즈부(200)와 대향하되, 상기 필터(8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렌즈부(2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렌즈부(200)와 마주보는 면에 이미지센서(700)가 장착될 수 있고, 기타 각종의 회로소자 등이 구비되는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7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구비되고, 상기 제1렌즈부(200) 및 상기 제2렌즈부(300)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700)는 상기 제1렌즈부(2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센싱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부(200)와 제2렌즈부(300)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센서(700)에 구비되는 상기 센싱부(710)에서 센싱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센싱부(710)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렌즈홀더(100)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홀더(100)의 배면 즉, 하면에는 장착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홀더(100)는 하우징(미도시)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렌즈홀더(100)와 하우징 사이에는 빈틈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빈틈으로 이물질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침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홀더(100)와 하우징의 결합부위에는 이물질이 출입할 수 있는 빈틈을 폐쇄하기 위해 가스킷(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가스킷의 장착을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40)은 상기 렌즈홀더(100)의 하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둘러싸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스킷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홈(140)에는 도피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홀더(100)에 관통부(150)가 형성되므로, 상기 관통부(150)를 도피하기 위한 구조가 장착홈(140)에 필요하므로, 따라서 상기 장착홈(140)에 상기 관통부(150)에 대응하는 부위에 도피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 지면(paper)으로 보아, 상기 장착홈(140)은 상기 관통부(150)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50)와 대응되는 부위 즉, 장착홈(140)의 코너부에는 상기 도피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홈(140)에 도피부(141)가 형성되므로,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장착홈(140)의 상기 도피부(141)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의 도피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서 접착부(900)를 추가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접착부(900)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도 접착부(900)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접착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9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홀더(100)의 하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렌즈홀더(100)의 하면 및 인쇄회로기판(400)의 상면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렌즈홀더(1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부(900)의 일 측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렌즈홀더(10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9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상면 또는 상기 렌즈홀더(100)의 하면 즉, 제3결합부(130)의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는 예를 들어, 자외선 및 열에 모두 반응하여 경화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한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9 이하의 도면들에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인쇄회로기판(400)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부(900)를 도시하였으나, 당연히, 상기 접착부(900)는 상기 제3결부의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측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접착부(900)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홀더(100)의 하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4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체결구(미도시)가 배치되는 부위인 인쇄회로기판(400)의 모서리 부분에는 도피용 함몰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접착부(900)도 모서리에 도피용 함몰구조가 형성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900)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접착부(900)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렌즈홀더(10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개구부의 일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9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10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1100)은 상기 접착부(900)에 형성되므로, 상기 접착부(900)의 경화를 위해 가열하는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결합이 진행된 후,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렌즈홀더(10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충진되고 가열로 인해 팽창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1관통홀(110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즉, 상기 제1관통홀(1100)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면, 그 중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접착부(900)가 가열되는 경우에도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의 팽창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쇄회로기판(400)의 변형,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 변경 등이 억제될 수 있다.
제1관통홀(1100)의 폭(D1)은, 예를 들어, 0.1mm 내지 0.3mm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모듈 전체의 크기, 각 부품의 배치를 고려하여 이보다 넓거나 좁은 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접착부(900)의 변 부위에 1개의 제1관통홀(1100)이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관통홀(1100)은 상기 접착부(900)의 도피용 함몰구조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관통홀(110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개구부의 다른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제1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1200)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비아홀(via hol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900)의 경화를 위해 가열하는 경우, 상기 내부공간에 충진되고 가열로 인해 팽창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2관통홀(120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즉,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면, 그 중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접착부(900)가 가열되는 경우에도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의 팽창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쇄회로기판(400)의 변형, 초점거리 변경 등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접착부(900)가 형성하는 곡선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이미지센서(700)와 접착부(9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1200)의 폭(D2)은, 예를 들어, 0.1mm 내지 0.3mm로, 더욱 적절하게는 약 0.2mm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모듈 전체의 크기, 각 부품의 배치를 고려하여 이보다 넓거나 좁은 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접착부(900)의 변 부위에 근접하여 1개의 제2관통홀(1200)이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이미지센서(700)와 상기 접착부(900) 사이에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관통홀(1200)의 단면은 도 11에서는 일 실시예로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개구부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홀더(100) 하부에 상기 렌즈홀더(100)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3관통홀(130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홀(1300)은,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홀더(100)의 하부 즉, 상기 제3결합부(130)에 상기 렌즈홀더(100)의 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홀(1300)은 상기 렌즈홀더(100)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900)의 경화를 위해 가열하는 경우, 상기 내부공간에 충진되고 가열로 인해 팽창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3관통홀(130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즉, 상기 제3관통홀(1300)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면, 그 중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접착부(900)가 가열되는 경우에도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의 팽창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쇄회로기판(400)의 변형, 초점거리 변경 등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홀(1300)의 폭(D3)은, 예를 들어, 0.3mm 내지 0.5mm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모듈 전체의 크기, 각 부품의 배치를 고려하여 이보다 넓거나 좁은 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일 실시예로 1개의 제3관통홀(1300)이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3관통홀(1300)은 상기 제3결합부(130)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홀(130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되어 이미지센서(700) 등의 부품에 흡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작동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는 상기 렌즈홀더(1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결합이 완료된 후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는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거치는 상기 홀더(1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접착부(900)를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과정에서만 그 역할을 하므로, 접착부(900)를 가열하여 경화가 완료된 후에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렌즈홀더(100)와 인쇄회로기판(400)의 결합이 완료된 후, 외부 이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예를 들어, 열 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상기한 하이브리드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부(900)를 경화하기 위해 가열하는 동안 상기 내부공간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하면, 상기 충진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팽창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의 설계범위를 벗어나는 변경, 접착부(900) 또는 인쇄회로기판(400)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의 설계범위를 벗어나는 변경, 접착부(900) 또는 인쇄회로기판(400)의 파손 등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작동불량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렌즈홀더
110: 중공
120: 제1결합부
130: 제3결합부
140: 장착홈
150: 관통부
200: 제1렌즈부
300: 제2렌즈부
310: 제2결합부
400: 인쇄회로기판
500: 스페이서
600: 실링부재
700: 이미지센서
710: 센싱부
800: 필터
900: 접착부

Claims (27)

  1. 중공이 형성되는 렌즈홀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제1렌즈부;
    상기 렌즈홀더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하는 접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렌즈홀더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부에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제1결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고,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제2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제1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적외선 차단필터로 구비되고, 광축방향으로 보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홀더 하면로부터 돌출형성되고,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하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둘러싸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가스킷이 장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코너부에 체결구가 삽입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관통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도피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일측면은 상기 내부공간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렌즈홀더의 하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접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의 폭은 0.1mm 내지 0.3mm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제1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접착부가 형성하는 곡선의 내부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홀의 폭은 0.1mm 내지 0.3mm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렌즈홀더 하부에 상기 렌즈홀더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3관통홀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관통홀의 폭은 0.3mm 내지 0.5mm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이 완료된 후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7. 중공이 형성되는 렌즈홀더;
    상기 중공에 수용되고,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부;
    상기 렌즈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중공을 폐쇄하며, 상기 제1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제2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고,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제2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필터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096738A 2016-07-29 2016-07-29 카메라 모듈 KR10254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38A KR102545725B1 (ko) 2016-07-29 2016-07-29 카메라 모듈
CN201780056670.7A CN109716747B (zh) 2016-07-29 2017-07-07 摄像机模块
JP2019504774A JP6730510B2 (ja) 2016-07-29 2017-07-07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組立方法
US16/321,280 US11137529B2 (en) 2016-07-29 2017-07-07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PCT/KR2017/007283 WO2018021722A1 (ko) 2016-07-29 2017-07-07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방법
EP17834665.6A EP3493518B1 (en) 2016-07-29 2017-07-07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2020114817A JP7023328B2 (ja) 2016-07-29 2020-07-02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組立方法
US17/470,815 US11874482B2 (en) 2016-07-29 2021-09-09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38A KR102545725B1 (ko) 2016-07-29 2016-07-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74A true KR20180013274A (ko) 2018-02-07
KR102545725B1 KR102545725B1 (ko) 2023-06-20

Family

ID=6120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738A KR102545725B1 (ko) 2016-07-29 2016-07-2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7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9033A (ja) * 2005-01-31 2006-08-10 Seiko Precision Inc レンズモジュール、これを備えた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11714A (ja) * 2007-10-30 2009-05-21 Kyocera Corp 撮像モジュール
KR20140127588A (ko) * 2013-04-25 2014-1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045383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JP2016111676A (ja) * 2014-11-27 2016-06-20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撮像装置、並びに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9033A (ja) * 2005-01-31 2006-08-10 Seiko Precision Inc レンズモジュール、これを備えた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11714A (ja) * 2007-10-30 2009-05-21 Kyocera Corp 撮像モジュール
KR20140127588A (ko) * 2013-04-25 2014-1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045383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JP2016111676A (ja) * 2014-11-27 2016-06-20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撮像装置、並び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725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5726B (zh) 摄像机模块
US11874482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N110719386B (zh) 相机模块
KR102647850B1 (ko) 카메라 모듈
KR20240134803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13274A (ko) 카메라 모듈
KR101943449B1 (ko) 카메라 모듈
KR102280163B1 (ko) 카메라 모듈
KR102572852B1 (ko) 카메라 모듈
KR102441951B1 (ko) 카메라 모듈
KR102011261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119661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