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383A -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383A
KR20160045383A KR1020140140847A KR20140140847A KR20160045383A KR 20160045383 A KR20160045383 A KR 20160045383A KR 1020140140847 A KR1020140140847 A KR 1020140140847A KR 20140140847 A KR20140140847 A KR 20140140847A KR 20160045383 A KR20160045383 A KR 20160045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upport
diameter portion
circuit board
electro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085B1 (ko
Inventor
양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085B1/ko
Priority to US14/823,492 priority patent/US9554022B2/en
Priority to CN201910959978.3A priority patent/CN110798596B/zh
Priority to CN201510502063.1A priority patent/CN105530411B/zh
Publication of KR20160045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383A/ko
Priority to US15/377,434 priority patent/US10009529B2/en
Priority to US15/991,729 priority patent/US10805513B2/en
Priority to US17/014,650 priority patent/US11418688B2/en
Priority to KR1020210054961A priority patent/KR102330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aiding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9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obstacle w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고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3기판; 상기 제1기판 및 제3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3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2기판; 일측은 상기 제1기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기판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서포트; 및 일측은 상기 제2기판 및 상기 제1서포트 상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3기판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3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using for automobile}
실시예는, 외력에 의한 충격, 진동으로부터 위치이탈,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견고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주차할 경우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자동차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경위, 사고원인 등을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상황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인식장치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스마트카, 즉 자동차의 주행시 전후방의 충돌가능성을 미리 탐지하여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충돌경고시스템, 자동차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차 간 충돌을 운전자에 운전에 의하지 않고 상기 제어장치가 직접 회피할 수 있는 충돌회피시스템 등이 장착되는 자동차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고 관련기술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카의 외부상황 인식수단으로 카메라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의 생산과 기술개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PCB)가 복수로 구비되고 각 인쇄회로기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운행하는 자동차에 장착되므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에 비해 외력에 의한 충격, 진동을 많이 겪게 된다.
특히, 지속적인 외력에 의한 충격, 진동에 의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은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할 우려가 높으며, 또한 각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파손될 우려도 크다.
따라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연결하는 커넥터가 외력에 의한 충격, 진동으로부터 위치이탈,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견고한 회로기판의 연결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실시예는, 외력에 의한 충격, 진동으로부터 위치이탈,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견고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고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3기판; 상기 제1기판 및 제3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3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2기판; 일측은 상기 제1기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기판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서포트; 및 일측은 상기 제2기판 및 상기 제1서포트 상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3기판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3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3기판과 상기 제2서포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구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기판, 제2기판 및 제3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각 기판에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외부누설을 방지하는 전자기장차폐부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차폐부는,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전자기장차폐부와 상기 제3기판이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체결구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3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유연회로기판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트 또는 제2서포트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소경부; 및 중앙에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된 소경부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대경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경부는 폭방향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경부는, 단부에 상기 대경부 중심을 통과하는 일(一)자형 함몰부가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경부는, 단부에 상기 대경부 중심을 통과하는 십(十)자형 함몰부가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경부는 폭방향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기판, 제2기판 및 제3기판은,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소경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관통홀 또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함몰형 홀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삽입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소경부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트의 소경부는 상기 제1기판의 삽입부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제2서포트의 소경부는 상기 제1서포트의 대경부에 나사결합하며,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1서포트의 대경부와 상기 제2서포트의 대경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트 또는 상기 제2서포트는, 접지용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렌즈부;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고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2기판; 일측은 상기 제1기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기판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서포트; 및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각 기판에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외부누설을 방지하는 전자기장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회로기판;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용 회로기판; 일측은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전력공급용 회로기판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 및 상기 전력공급용 회로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서포트; 및 상기 전력공급용 회로기판과 상기 서포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각 기판은 서포트, 체결구에 의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각 기판간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기판은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외력에 의한 충격 또는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더라도 각 기판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서로 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므로 기판은 파손, 카메라 모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서포트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각 기판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기판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조립공차를 주어 커넥터가 각 기판에 타이트(tight)하게 결합하지 않도록 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의 파손,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내부구조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내부구조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서포트 또는 제2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서포트 또는 제2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서포트 또는 제2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각 기판과 서포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각 기판과 서포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 전방커버(20), 결합구(30), 제1실링부재(40), 제1실링부재(40), 브라킷(5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0)는 외부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역할을 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렌즈베럴, 상기 렌즈베럴을 포커싱 하기 위한 제1방향으로 구동하는 렌즈 구동장치,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렌즈베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떨림 보정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렌즈베럴은 단품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렌즈가 제1방향으로 정렬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부(10)는 전방커버(20)와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하므로, 렌즈부(10)와 전방커버(20)의 결합부위의 틈새로 수분, 먼지 기타 이물질의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전방커버(20)는 전방부에 렌즈부(10)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전방커버(20)의 전방부에는 렌즈부(10)가 장착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커버(20)는 후방부에서 브라킷(50)과 결합할 수 있다.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의 결합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구(30)는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구(30)의 체결을 위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킷(50)에 홀을 형성하고 전방커버(20)에는 상기 브라킷(50)의 홀에 대응되는 부위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브라킷(50)에 홀이 형성되므로 결합구(30)가 용이하게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에 체결되도록 결합구(30)를 위한 제1도피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결합구(30)를 이용한 브라킷(50)과 전방커버(20)의 결합구조를 달리하거나, 결합구(30)를 사용하지 않고 브라킷(50)과 전방커버(20)를 결합시키는 경우 제1도피홈(5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와 반대방향으로 결합구(30)가 체결되는 경우 즉, 상기 전방커버(20)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킷(50)에 홈을 형성하여 결합구(30)의 체결시 전방커버(20)의 홀로부터 브라킷(50)의 홈 방향으로 결합구(30)가 체결되는 경우 제1도피홈(51)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로, 결합구(30)를 사용하지 않고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을 형상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 결합구(30)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때에도 제1도피홈(51)을 형성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제1실링부재(40)는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의 결합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의 결합부위의 틈새로 수분, 먼지 기타 이물질의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실링부재(4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의 결합부위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개스킷(gasket), 오링(O-ring) 기타 적절한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브라킷(50)은 전방커버(20)와 결합하고, 카메라 모듈의 대부분의 구성부품을 수용하며 이러한 구성부품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수용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구성부품의 파손, 오작동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수분, 먼지 기타 이물질의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브라킷(5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구(30)가 용이하게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에 체결되도록 결합구(30)를 위한 제1도피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의 결합구조가 달라지거나, 결합구(30)를 사용하지 않은 형상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전방커버(20)와 브라킷(50)이 결합하는 경우 제1도피홈(5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브라킷(50)의 후방에는 돌출부(5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외부의 케이블과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의 케이블이 장착되는 부위를 밀폐하기 위해 형성된다. 돌출부(52) 내부에는 터미널(70), 일단이 터미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케이블관통부(80), 부싱(90), 제2실링부재(91)가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구성부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은 커넥터(60), 터미널(70), 케이블관통부(80), 부싱(90), 제2실링부재(9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60)는 후술하는 제1기판(200-1)과 제2기판(200-2) 및 상기 제2기판(200-2)과 상기 제3기판(200-3)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넥터(60)의 구체적인 구조는 하기에서 후술한다.
터미널(70)은 후술하는 상기 제3기판(200-3)에 결합되도록 배치되고 카메라 모듈의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터미널(70)과 연결되는 케이블로부터 전력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3기판(200-3), 상기 제3기판(200-3)과 커넥터(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기판(200-2) 및 상기 제1기판(200-1)에 공급된다.
또한, 제1기판(200-1)은 렌즈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기판(20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렌즈부(10)에 포함되는 전술한 렌즈 구동장치, 떨림 보정장치 등이 작동할 수 있다.
케이블관통부(80)는 중공형 부재로 형성되어 그 중공부에 상기 터미널(7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터미널(70)과 결합하는 케이블이 그 중공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70)과 케이블은 솔더링(soldering), 전기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방식 등에 의해 단선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부싱(90)은 일측이 케이블관통부(80)의 내주면에 끼워지거나, 반대로 케이블관통부(80)의 일측이 상기 부싱(90)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블관통부(80)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관통부(80)를 연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싱(90)은 케이블관통부(80)와 연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중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관통부(80)를 충분히 길게 형성하는 경우 별도로 부싱(90)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별도의 부싱(90)을 구비할 것인지 케이블관통부(80)만을 사용할 것인지는 카메라 모듈의 크기, 형상, 부품의 배치구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제2실링부재(91)는 부싱(90) 또는 케이블관통부(80)의 단부와 브라킷(50)의 돌출부(52) 사이의 틈새에 배치되어 그 틈새를 통해 수분, 먼지 기타 이물질의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링부재(91)는 대체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주면은 부싱(90) 또는 케이블관통부(80)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끼워지고, 외주면은 돌출부(52)에 형성되는 중공부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끼워질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내부구조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내부구조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서포트(100-1) 또는 제2서포트(100-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서포트(100-1) 또는 제2서포트(100-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서포트(100-1) 또는 제2서포트(100-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각 기판과 서포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각 기판과 서포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는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200-1), 제2기판(200-2), 제3기판(200-3), 제1서포트(100-1), 제2서포트(100-2), 커넥터(6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기판(200-1)은 렌즈부(1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고, 렌즈부(10)를 통해 투광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센싱부에서 촬상하여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및/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것은 제2기판(200-2)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1기판(200-1)은 상기 렌즈부(10)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케이블, 제3기판(200-3), 제2기판(200-2)을 통해 제1기판(200-1)은 전력을 공급받아 렌즈부(10)의 렌즈 구동장치, 떨림 보정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3기판(200-3)은 상기 제1기판(200-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70)을 포함하고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기판(200-2)은 상기 제1기판(200-1) 및 제3기판(200-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200-1) 및 상기 제3기판(20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기판(200-2)과 제3기판(200-3)은 상기 제1기판(200-1)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기판(200-1)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및/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판(200-2)은 제1기판(200-1)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및/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송하거나, 제3기판(200-3)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정류하여 제1기판(200-1)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기판(200-2)은 제1기판(200-1)과 제3기판(200-3)의 중간에 배치되어 제1기판(200-1)과 제3기판(200-3)이 수행하는 역할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수행할 수도 있다.
제3기판(200-3)은 주로 상기 렌즈부(1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기판(200-1)과 제2기판(200-2)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및/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기판(200-3)에는 렌즈부(10)의 작동에 필요한 적절한 전압 및 전류를 가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콘덴서, 정류기, 변압기 등의 소자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3기판(200-3)에는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이미지 재생장치, 카메라 모듈 제어장치 등과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의 단부가 결합하는 터미널(7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기판(200-1), 제2기판(200-2), 제3기판(200-3)에는 콘덴서, 정류기, 변압기, 터미널(70) 등 일정한 부피를 차지하는 소자가 장착 또는 결합할 수 있으므로, 각 기판들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카메라 모듈에 충격,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각 기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는 하기에 후술하는 실시예로 제1서포트(100-1), 제2서포트(100-2)로 예시된 서포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의 구체적인 구조는 하기에 후술한다.
한편,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200-1), 제2기판(200-2), 제3기판(200-3) 각각에는 그 모서리 부위에 제2도피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각 기판들이 상기 브라킷(50)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브라킷(50)에 형성되는 제1도피홈(5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도피홈(51)의 형성이 필요없는 경우, 즉 상기 결합구(30)를 이용한 브라킷(50)과 전방커버(20)의 결합구(30)조를 달리하거나, 결합구(30)를 사용하지 않고 브라킷(50)과 전방커버(20)를 결합시키는 경우 제1도피홈(5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제2도피홈(22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인쇄회로기판에 필요한 소자들을 장착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판은 외력에 의해 카메라 모듈에 충격,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견고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커넥터(60)는 각 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200-1)과 제2기판(200-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60), 제2기판(200-2)과 제3기판(200-3)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60)가 카메라 모듈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60)가 각 기판의 측면에 1개씩 구비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각 기판의 회로구조,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고려하여 커넥터(60)의 개수, 배치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커넥터(60)는 각 기판과 결합작업이 용이한 점, 카메라 모듈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진동에 파손되지 않도록 이러한 충격,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것으로 커넥터(60)는 유연회로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충격, 진동에 강한 것이라면 견고한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선 다발을 사용하여 커넥터(6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60)와 각 기판의 결합을 위해 솔더링, 전기전도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방식, 형상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60)는 각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B2B(board to board) 커넥터(60)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서포트(100-1)는 일측은 상기 제1기판(200-1)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기판(200-2)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기판(200-1)과 상기 제2기판(200-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서포트(100-2)는 일측은 상기 제2기판(200-2) 및 상기 제1서포트(100-1)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3기판(200-3)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기판(200-2)과 상기 제3기판(200-3)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서포트(100-1)와 제2서포트(100-2)는 제1기판(200-1)과 제2기판(200-2), 제2기판(200-2)과 제3기판(200-3) 사이의 간격을 각각 일정하게 유지하는 점, 따라서 그 배치위치가 다른 점을 제외하면 그 구체적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1서포트(100-1)와 제2서포트(100-2)의 구체적 구조는 하기에서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서포트(100-1)와 제2서포트(100-2)를 통칭하는 서포트는 소경부(110), 대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경부(110)는 폭방향의 길이가 상기 대경부(120)보다 작은 부위이고,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대경부(120)는 중앙에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된 소경부(110)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대경부(120)의 결합홈(121)에는 다른 서포트의 소경부(110)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경부(120)는 일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서포트의 소경부(110)를 각 기판의 삽입부(210) 또는 다른 서포트의 결합홈(121)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대경부(120)는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대경부(120)의 단부에는 상기 대경부(120) 중심을 통과하는 십(十)자형 함몰부(122-1)가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십자형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서포트의 소경부(110)를 각 기판의 삽입부(210) 또는 다른 서포트의 결합홈(121)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대경부(120)는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대경부(120)의 단부에는 상기 대경부(120) 중심을 통과하는 일(一)자형 함몰부(122-2)가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자형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서포트의 소경부(110)를 각 기판의 삽입부(210) 또는 다른 서포트의 결합홈(121)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대경부(120) 또는 함몰부의 몇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포트의 체결을 위한 공구의 종류에 따라 상기 대경부(120) 또는 함몰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200-1), 제2기판(200-2) 및 제3기판(200-3)에는,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제1서포트(100-1) 또는 제2서포트(100-2)의 소경부(110)가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0)의 일 실시예로 도 9,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0)는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0)의 다른 실시예로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함몰형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함몰형 홀은 각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각 기판의 상하방향으로는 관통된 홀을 형성하고 측면방향으로는 일부가 기판의 단부와 만나 홀의 일부가 개구되는 형태의 삽입부(210)를 의미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각 기판과 서포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200-1), 제2기판(200-2), 제3기판(200-3)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기판(200-1)과 제2기판(200-2) 사이에 제1서포트(100-1)가 배치되고, 제2기판(200-2)과 제3기판(200-3) 사이에 제2서포트(100-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기판(200-3)과 상기 제2서포트(100-2)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구(400)는 제3기판(200-3)에 형성되는 삽입부(210)를 관통하여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제2서포트(100-2)의 대경부(120)에 형성되는 결함홈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구(400)는 나사, 결합핀 기타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제1서포트(100-1)의 소경부(110)는 상기 제1기판(200-1)의 삽입부(210)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제2서포트(100-2)의 소경부(110)는 상기 제1서포트(100-1)의 대경부(120)에 나사결합하며, 상기 제2기판(200-2)은 상기 제1서포트(100-1)의 대경부(120)와 상기 제2서포트(100-2)의 대경부(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서포트(100-1), 제2서포트(100-2) 및 체결구(400)를 체결하여 각 기판과 각 서포트 및 체결구(400) 간 결합구조를 완성한다.
상기 제1기판(200-1), 제2기판(200-2), 제3기판(200-3)은 제1서포트(100-1), 제2서포트(100-2) 및 체결구(400)에 의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이러한 결합구조는 견고하므로 외력에 의한 충격, 진동에 대해 각 기판들이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서포트(100-1) 또는 상기 제2서포트(100-2)는 접지용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접지용 전선은 터미널(70)에 결합하는 복수의 케이블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접지용 전선이 제1서포트(100-1) 또는 제2서포트(100-2)와 연결됨으로써 각 기판에 발생할 수 있는 갑작스런 서징(surging)전압으로부터 각 기판의 파손, 쇼트(short)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각 기판과 서포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자기장차폐부(300)가 추가된 것이다.
전자기장차폐부(300)는 상기 제1기판(200-1), 제2기판(200-2) 및 제3기판(200-3)을 수용하고 상기 각 기판에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외부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자기장차폐부(300)는 체결구(400)에 의해 상기 제3기판(200-3)과 결합하여 카메라 모듈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기장차폐부(300)는, 상기 체결구(400)에 의해 상기 전자기장차폐부(300)와 상기 제3기판(200-3)이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체결구(400)가 체결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구(400)는 상기 관통공(310)과 제3기판(200-3)에 형성되는 삽입부(210)를 관통하여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제2서포트(100-2)의 대경부(120)에 형성되는 결합홈(121)에 체결될 수 있다.
전자기장차폐부(300)에는 제3도피홈(32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각 기판들이 상기 브라킷(50)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브라킷(50)에 형성되는 제1도피홈(51),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도피홈(2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도피홈(51)의 형성이 필요없는 경우, 즉 상기 결합구(30)를 이용한 브라킷(50)과 전방커버(20)의 결합구조를 달리하거나, 결합구(30)를 사용하지 않고 브라킷(50)과 전방커버(20)를 결합시키는 경우 제1도피홈(5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제3도피홈(32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로, 2개의 기판을 가지는 경우에도 상기한 구조와 유사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부(10)를 제어하는 제어용 회로기판, 상기 렌즈부(10) 및 제어용 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용 회로기판이 카메라 모듈에 내장되는 경우, 상기 실시예에서 제2기판(200-2)과 제1서포트(100-1)를 제외하고 제1기판(200-1), 제3기판(200-3), 제2서포트(100-2), 체결구(400)를 사용하여 조립된 것과 유사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어용 회로기판, 전력공급용 회로기판, 서포트, 체결구(400)에 의해 2개의 기판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견고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60)는 상기의 실시예와 달리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기장차폐부(300)도 상기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4개 이상의 기판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로 각 기판들 간 일정하고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실시예에 의하면, 각 기판은 서포트, 체결구(400)에 의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각 기판간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기판은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외력에 의한 충격 또는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더라도 각 기판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서로 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므로 기판은 파손, 카메라 모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서포트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각 기판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기판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60)에 조립공차를 주어 커넥터(60)가 각 기판에 타이트(tight)하게 결합하지 않도록 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넥터(60)의 파손,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1: 제1서포트
100-2: 제2서포트
110: 소경부
120: 대경부
121: 결합홈
122-1: 십자형 함몰부
122-2: 일자형 함몰부
200-1: 제1기판
200-2: 제2기판
200-3: 제3기판
210: 삽입부
220: 제2도피홈
300: 전자기장차폐부
310: 관통공
320: 제3도피홈
400: 체결구

Claims (18)

  1. 렌즈부;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고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3기판;
    상기 제1기판 및 제3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3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2기판;
    일측은 상기 제1기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기판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서포트; 및
    일측은 상기 제2기판 및 상기 제1서포트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3기판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3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서포트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판과 상기 제2서포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제2기판 및 제3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각 기판에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외부누설을 방지하는 전자기장차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차폐부는,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전자기장차폐부와 상기 제3기판이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체결구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3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유연회로기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 또는 제2서포트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소경부; 및
    중앙에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된 소경부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대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폭방향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단부에 상기 대경부 중심을 통과하는 일(一)자형 함몰부가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단부에 상기 대경부 중심을 통과하는 십(十)자형 함몰부가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폭방향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제2기판 및 제3기판은,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소경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관통홀 또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함몰형 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소경부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의 소경부는 상기 제1기판의 삽입부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제2서포트의 소경부는 상기 제1서포트의 대경부에 나사결합하며,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1서포트의 대경부와 상기 제2서포트의 대경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 또는 상기 제2서포트는,
    접지용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7. 렌즈부;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고 전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제2기판;
    일측은 상기 제1기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기판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서포트; 및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각 기판에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외부누설을 방지하는 전자기장차폐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8.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회로기판;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용 회로기판;
    일측은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전력공급용 회로기판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 및 상기 전력공급용 회로기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서포트; 및
    상기 전력공급용 회로기판과 상기 서포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구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140847A 2014-10-17 2014-10-17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248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847A KR102248085B1 (ko) 2014-10-17 2014-10-17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US14/823,492 US9554022B2 (en) 2014-10-17 2015-08-11 Camera module for use in automobile
CN201910959978.3A CN110798596B (zh) 2014-10-17 2015-08-14 机动车中使用的相机模块
CN201510502063.1A CN105530411B (zh) 2014-10-17 2015-08-14 机动车中使用的相机模块
US15/377,434 US10009529B2 (en) 2014-10-17 2016-12-13 Camera module for use in automobile
US15/991,729 US10805513B2 (en) 2014-10-17 2018-05-29 Camera module for use in automobile
US17/014,650 US11418688B2 (en) 2014-10-17 2020-09-08 Camera module for use in automobile
KR1020210054961A KR102330674B1 (ko) 2014-10-17 2021-04-28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847A KR102248085B1 (ko) 2014-10-17 2014-10-17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961A Division KR102330674B1 (ko) 2014-10-17 2021-04-28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83A true KR20160045383A (ko) 2016-04-27
KR102248085B1 KR102248085B1 (ko) 2021-05-04

Family

ID=5575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847A KR102248085B1 (ko) 2014-10-17 2014-10-17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9554022B2 (ko)
KR (1) KR102248085B1 (ko)
CN (2) CN10553041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274A (ko) * 2016-07-29 2018-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017880A (ko) * 2016-08-11 2018-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방법
WO2018074829A1 (ko) * 2016-10-18 2018-04-26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모듈
US11874482B2 (en) 2016-07-29 2024-01-1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085B1 (ko) 2014-10-17 2021-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USD786331S1 (en) * 2015-09-14 2017-05-09 Jaunt Inc. Camera assembly
US9674414B1 (en) * 2015-12-02 2017-06-06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Camera module having compact camera subassembly insertable into the camera housing
WO2017105074A1 (ko) * 2015-12-16 2017-06-22 주식회사 아모텍 전자기기의 컨택터 결합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2502284B1 (ko) 2016-01-12 2023-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760645B2 (ja) * 2016-08-09 2020-09-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489238B1 (ko) * 2016-09-26 2023-01-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인도어-아웃도어 겸용 카메라 어셈블리
WO2018058333A1 (zh) 2016-09-27 2018-04-0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相机及拍摄组件
JP7059541B2 (ja) * 2017-09-11 2022-04-26 株式会社デンソー 撮像装置
TWI639047B (zh) * 2017-10-13 2018-10-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車用相機模組
US11230234B1 (en) * 2020-05-18 2022-01-25 Waymo Llc Compliant camera mounting
TWM612181U (zh) * 2020-12-24 2021-05-2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1516A (ja) * 1991-05-16 1992-11-27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部低温靱性の優れたCu添加鋼の製造法
JP2001075555A (ja) * 1999-08-31 2001-03-23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用フレームの取付機構
KR200252100Y1 (ko) * 2001-08-07 2001-11-23 정운기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JP2011014809A (ja) * 2009-07-06 2011-01-20 Nec Access Technica Ltd 積層型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0767A (ko) * 2011-11-08 2013-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9289A (en) * 1996-07-15 1999-03-09 Universal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Hand-held portable endoscopic camera
US7270274B2 (en) * 1999-10-04 2007-09-18 Hand Held Products, Inc. Imaging module comprising support post for optical reader
US7965336B2 (en) * 2002-11-14 2011-06-21 Donnelly Corporation Imaging system for vehicle
US20090244361A1 (en) * 2005-10-28 2009-10-01 Magna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for vehicle vision system
KR101263954B1 (ko) * 2006-08-22 2013-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파 방해와 무선 노이즈를 감소시킨 카메라모듈
JP5148369B2 (ja) * 2008-05-27 201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8482664B2 (en) * 2008-10-16 2013-07-09 Magna Electronics Inc. Compact camera and cable system for vehicular applications
US8985454B2 (en) * 2010-02-01 2015-03-24 The Code Corporation Imaging engine with multi-functional structure
WO2011111248A1 (ja) * 2010-03-10 2011-09-15 Smk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1237594A (ja) * 2010-05-10 2011-11-24 Sony Corp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20130013640A (ko) * 2011-07-28 201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8861951B2 (en) * 2011-12-05 2014-10-14 Flextronics Ap, Llc Two part camera module
WO2013103548A1 (en) * 2012-01-05 2013-07-11 Magna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for vehicle vision system
US9565342B2 (en) * 2012-03-06 2017-02-07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tolerance compensating connector
JP6027329B2 (ja) * 2012-03-30 2016-11-16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140168507A1 (en) * 2012-12-17 2014-06-19 Integrated Micro-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With Enhanced Heat Dissipation
KR101422954B1 (ko) * 2012-12-18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039514B2 (ja) * 2013-07-29 2016-12-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モジュール
JP2015034912A (ja) * 2013-08-09 2015-02-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9621769B2 (en) * 2014-06-11 2017-04-11 Magna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for vehicle vision system
KR102248085B1 (ko) 2014-10-17 2021-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1516A (ja) * 1991-05-16 1992-11-27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部低温靱性の優れたCu添加鋼の製造法
JP2001075555A (ja) * 1999-08-31 2001-03-23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用フレームの取付機構
KR200252100Y1 (ko) * 2001-08-07 2001-11-23 정운기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JP2011014809A (ja) * 2009-07-06 2011-01-20 Nec Access Technica Ltd 積層型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0767A (ko) * 2011-11-08 2013-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274A (ko) * 2016-07-29 2018-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874482B2 (en) 2016-07-29 2024-01-1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KR20180017880A (ko) * 2016-08-11 2018-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방법
WO2018074829A1 (ko) * 2016-10-18 2018-04-26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모듈
US10771661B2 (en) 2016-10-18 2020-09-0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11303785B2 (en) 2016-10-18 2022-04-1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54022B2 (en) 2017-01-24
US20200404133A1 (en) 2020-12-24
CN110798596A (zh) 2020-02-14
US10805513B2 (en) 2020-10-13
US11418688B2 (en) 2022-08-16
US20170094140A1 (en) 2017-03-30
CN110798596B (zh) 2022-06-14
US20180278819A1 (en) 2018-09-27
KR102248085B1 (ko) 2021-05-04
US20160112607A1 (en) 2016-04-21
CN105530411A (zh) 2016-04-27
US10009529B2 (en) 2018-06-26
CN105530411B (zh)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5383A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248086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US11856697B2 (en)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KR20180042566A (ko) 카메라 모듈
US2022020946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igning and coupling a circuit board with a chassis and another circuit board
KR20230150932A (ko) 카메라 모듈
KR20160126538A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330674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330673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