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264A -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 배치를 달리하는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 배치를 달리하는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264A
KR20180013264A KR1020160096716A KR20160096716A KR20180013264A KR 20180013264 A KR20180013264 A KR 20180013264A KR 1020160096716 A KR1020160096716 A KR 1020160096716A KR 20160096716 A KR20160096716 A KR 20160096716A KR 20180013264 A KR20180013264 A KR 2018001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humbnail
importance
interes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509B1 (ko
Inventor
이호정
박현규
김연우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5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264A/ko
Priority to KR1020230097233A priority patent/KR20230117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04N5/4459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의 크기를 달리 하여 단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획득한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원본 영상 중에서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중요도를 결정하는 중요도 결정부; 상기 결정된 영상 중요도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에 따른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썸네일 영상을 취합하여 단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를 포함함으로써, 한 화면에서 다수의 영상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 배치를 달리하는 영상 표시 장치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weighted thumbnail}
본 발명은 썸네일을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썸네일의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의 크기를 달리 하여 단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백화점, 일반 주택가를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감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시스템은 범죄 예방, 보안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실내의 애완동물 또는 어린 아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감시 시스템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스템은, 카메라가 감시하기 원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감시할 수 있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시스템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여러 대의 카메라가 연결된 감시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의 화면부에 각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개별 카메라의 명칭을 썸네일 영상 일부에 작게 표시해서 나열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썸네일 영상의 개수가 한 화면이 수용가능한 범위를 넘어서면 단일의 화면에 모든 썸네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고, 사용자가 직접 스크롤을 하거나 페이지를 넘겨야만 비로소 일부 썸네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부 영상은 더 자주 확인이 필요하거나 더 자세히 관찰해야 할 필요가 있는 등, 썸네일 영상 별로 사용자 개인이 느끼는 중요도 혹은 우선순위의 차이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시각화하지 않아서 사용자의 모니터링 상의 편의를 돕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432554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중요도가 다른 썸네일 영상마다 크기를 다르게 하여 단일의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획득한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개수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의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에 따른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썸네일 영상을 취합하여 단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개수가 변경될 때,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개수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의 변경된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변경된 크기에 따른 변경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원본 영상 중에서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중요도를 결정하는 중요도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결정된 영상 중요도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에 따른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중요도는 상기 원본 영상에 대한 접속 횟수, 상기 원본 영상에 대한 모니터링 시간, 또는 상기 원본 영상의 이벤트 발생 빈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관심 영역은, 대응되는 상기 원본 영상에서 오브젝트의 이동이 일어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썸네일 영상은, 대응되는 상기 원본 영상을 획득한 카메라가 어안 카메라인 경우, 상기 관심 영역을 드워프(dewarp)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화면부는 상기 단일의 화면을 일정 갱신주기마다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한 화면에서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얻은 썸네일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동시에 용이하게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썸네일의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 크기를 달리하고, 관심 영역 추출 위치를 달리 함으로써 용이하게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카메라의 대수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여 화면부에 디스플레이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의 크기를 달리해 화면부에 디스플레이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관심 영역을 설정해 썸네일화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어안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드워프해서 썸네일화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최종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카메라의 대수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여 화면부에 디스플레이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의 크기를 달리해 화면부에 디스플레이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관심 영역을 설정해 썸네일화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어안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드워프해서 썸네일화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최종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는,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 3)와 연결된다. 카메라(2, 3)와 영상 표시 장치(1)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카메라(2, 3)가 영상 데이터 또는 신호를 발신하면 발신된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1)가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에 연결된 카메라(2, 3)로는 줌 타입 카메라, 돔 타입 카메라, PTZ 카메라, IR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2, 3)가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 3)가 획득한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1)는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 3)로부터 수신한 원본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영상과, 그밖에 사용자 편의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탑(Laptop) 등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데스크탑(Desktop), 비디오 월(Video Wall) 등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는 카메라(2, 3)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12), 수신한 영상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중요도 결정부(13), 중요도 결정부(13)가 결정한 중요도에 따라 원본 영상의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크기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14), 생성된 썸네일 영상을 취합하여 단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는 터치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입력 수단이 별도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력 수단으로는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리모콘 등이 있다. 만약 터치 기능을 제공한다면 화면부(11)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화면부(11)와 함께 일체로 장착되며, 화면부(11)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좌표, 터치의 횟수 및 세기 등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결과를 중요도 결정부(13)에 전달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이 터치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화면부(11)가 터치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별도의 터치 패드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미세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팁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화면부(11)를 통해 이루어진다.
수신부(12)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 3)로부터 유무선으로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부(12)는 카메라(2, 3)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주파수 다운컨버팅 및 복조하여 중요도 결정부(13)로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수신부(12)는 카메라(2, 3)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수신부(12)가 카메라(2, 3)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는 영상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2, 3)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 신호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연결된 카메라(2, 3)의 종류가 관심 영역 설정에 영향을 끼치므로, 연결된 카메라(2, 3)가 어떤 카메라(2, 3)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부(12)가 더 받아들일 수 있다.
중요도 결정부(13)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원본 영상의 각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중요도를 결정한다. 중요도 결정부(13)는 수신부(12)로부터 원본 영상을 전달받고, 원본 영상에서 일정 기준에 의해 썸네일 영상으로 만들고자 하는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각 개별 관심 영역의 영상 중요도를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판단한다. 관심 영역은 원본 영상 하나당 하나가 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원본 영상에서 복수의 관심 영역이 추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기준은 오브젝트의 이동 여부, 원본 영상의 화질, 원본 영상을 획득한 카메라(2, 3)의 종류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영상의 화질이 고화질인 경우, 전체 영상을 썸네일화해서 지속적으로 화면부(11)에서 관찰하기에는 통신망과 썸네일 생성부(14), 수신부(12)를 포함한 전체 영상 장치에 과도한 부하가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원본 영상의 중심 영역 등의 특정한 일부 영역을 잘라내서 관심 영역으로 두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화질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두는 경우, 지나친 화질 저하와 전체 영상 표시 장치(1)에 대한 과도한 부하 없이도 원하는 부분을 관심 영역으로 두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관심 영역은 그 외에도 사용자가 원본 영상에서 직접 선택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기타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영상 중요도를 판단하는 요소는 영상 표시 장치(1)에 연결된 카메라(2, 3) 대수, 이벤트 검출 횟수,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에 접근한 횟수, 사용자가 해당 영상을 모니터링한 시간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영상 중요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요도 결정부(13)는 원본 영상의 이벤트 검출 횟수에 따라서 영상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란, 관찰하고자 하는 원본 영상에 관찰 대상이 될 만한 유의미한 변화가 일어난 상황을 의미한다. 따라서 관찰하고자 하는 사물이 움직이거나, 영상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는 등의 이벤트 상황을 상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사용자가 관심을 둘 만한 상황이라면 다른 이벤트 상황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와 연결된 카메라(2, 3)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연기 발생을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 사람 또는 동물의 출몰을 감지하는 열 감지 또는 적외선 감지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센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어떠한 종류의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에서 오브젝트의 이동량이 일정 기준 이상이 된 경우 오브젝트를 검출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요도 결정부(13)는 관심 영역의 이벤트 검출 횟수를 감지하여 이벤트 검출 횟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관심 영역에 대해서 영상 중요도를 더 크게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중요도는 각 관심 영역의 특징을 나타내는 변수이다. 중요도 결정부(13)는 각 관심 영역의 이벤트 검출 횟수에 비례하여 영상 중요도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서 가중치와 이벤트 검출 횟수의 곱을 영상 중요도로 할 수 있고, 기존 다른 요소에 의해 정해져 있던 영상 중요도에 상기 값을 가산할 수도 있다. 영상 중요도에 이벤트 검출 횟수를 반영하는 방법은 이 밖에도 사용자가 이벤트 검출 횟수에 얼마나 관심을 두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중요도 결정부(13)는 사용자가 관심 영역을 썸네일화 한 썸네일 영상을 선택해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에 접근한 횟수에 따라 영상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썸네일 생성부(14)와 화면부(11)에 대해서 후술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영상 중요도를 결정하고 나면 썸네일 생성부(14)가 관심 영역을 썸네일 영상으로 만든다. 이렇게 썸네일 영상이 생성되면, 화면부(11)에서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클릭 혹은 터치를 통해 선택이 가능하다. 썸네일 영상을 선택함으로써 원본 영상에 접근하는 것이다. 선택된 썸네일 영상에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이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원본 영상이라면 해당 영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썸네일 영상을 보다 자주 선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썸네일 영상을 선택해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에 접근한 횟수를 비교하면 사용자가 어떤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요도 결정부(13)는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을 선택해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에 접근한 횟수를 수집해 접근한 횟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에 대해서 영상 중요도를 더 크게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중요도는 각 관심 영역의 특징을 나타내는 변수이다. 중요도 결정부(13)는 사용자가 각 썸네일 영상에 접근한 횟수에 비례하여 영상 중요도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서 가중치와 접근 횟수의 곱을 영상 중요도로 할 수 있고, 기존 다른 요소에 의해 정해져 있던 영상 중요도에 상기 값을 가산할 수도 있다. 영상 중요도에 썸네일 영상 접근 횟수를 반영하는 방법은 이 밖에도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 접근 횟수에 얼마나 관심을 두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중요도 결정부(13)는 사용자가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한 시간에 따라 영상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썸네일 생성부(14)와 화면부(11)에 대해서 후술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썸네일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은 선택된 썸네일 영상에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을 보다 자세히 관찰하겠다는 의도를 가진 행동이다. 따라서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시, 화면부(11)는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의 영상을 전체 화면에 크게 관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화면부(11)는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상이 화면 중심을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주변 여백에 별도의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부(11)는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의 영상의 귀퉁이에 'x' 모양 버튼을 표시하거나 토글 버튼을 표시해 이를 선택하면 다시 썸네일 영상이 나열된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의 영상을 사용자가 보다 잘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중요도 결정부(13)는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모니터링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타이머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에 오래 머물렀다는 뜻은 해당 영상에 관심이 있다는 뜻이므로, 관심 영역의 영상 중요도가 머무른 시간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요도 결정부(13)는 사용자가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 한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긴 관심 영역에 대해서 영상 중요도를 더 크게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중요도는 각 관심 영역의 특징을 나타내는 변수이다. 중요도 결정부(13)는 사용자가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 한 시간에 비례하여 영상 중요도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서 가중치와 모니터링 시간의 곱을 영상 중요도로 할 수 있고, 기존 다른 요소에 의해 정해져 있던 영상 중요도에 상기 값을 가산할 수도 있다. 영상 중요도에 모니터링 시간을 반영하는 방법은 이 밖에도 사용자가 모니터링 시간에 얼마나 관심을 두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썸네일 생성부(14)는, 중요도 결정부(13)로부터 각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중요도가 결정된 후, 상기 영상 중요도와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전달받은 영상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크기의 썸네일 영상으로 관심 영역을 변환한다. 썸네일 생성부(14)는 후술하겠지만 연결된 카메라(2, 3)의 개수에 따라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고, 연결된 카메라(2, 3)의 개수가 변경될 때 마다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갱신된 크기에 따른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심 영역이 하나의 원본 영상으로부터 복수 개 추출될 수 있으므로, 관심 영역의 개수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의 개수 역시 하나의 원본 영상으로부터 복수 개 생성될 수 있다. 썸네일 영상은 일반적으로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에 비해 크기가 작게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나, 대응하는 관심 영역의 영상 중요도에 따라 본래 관심 영역이나 원본 영상에 비해 더 큰 썸네일 영상이 생성될 수도 있다. 썸네일 생성부(14)가 썸네일 영상 크기를 결정하고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3c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화면부(11)는 썸네일 생성부(14)가 생성한 썸네일 영상을 취합하여 단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단일의 화면에서 썸네일 영상을 전부 확인하지 못하고 스크롤 혹은 페이지 넘기기를 통해서 모니터링 해야 한다면 불편함이 따르므로, 단일의 화면에 전체 썸네일 영상을 보여주어야 한다. 따라서 썸네일 생성부(14)에서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할 때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전체 썸네일 영상을 취합했을 때 단일의 화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화면부(11)는 단일의 화면에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화면부(11)는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썸네일 영상의 개수, 크기 등에 차이가 생김에도 불구하고 이를 바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갱신주기마다 화면부(11)를 갱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화면부(11)는 설정된 소정의 갱신주기마다 갱신 될 수도 있지만, 연결된 카메라(2, 3)의 개수가 달라지거나 연결된 카메라(2, 3)의 종류가 달라진다면 썸네일 영상의 크기, 개수 및 레이아웃도 변경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연결된 카메라(2, 3)의 개수가 달라지거나 종류가 달라지는 경우 화면부(11)가 갱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a 내지 2e를 참조하여 카메라(2, 3)의 대수에 따라 썸네일 생성부(14)가 썸네일 영상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가 카메라(2, 3)의 대수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한 레이아웃(40, 41, 42, 43, 44)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 3)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2, 3)가 연결된 경우 화면부(11)에 디스플레이 해야 할 썸네일 영상(400 ~ 440)의 개수도 늘어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e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에 연결된 복수의 카메라(2, 3)가 동일한 종류이고, 동일한 영상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가정해서 단일의 화면의 레이아웃(40, 41, 42, 43, 44)을 구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영상 표시 장치(1)에 카메라(2, 3)가 두 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화면부(11)는 도 2a와 같이 단일의 화면을 양분하여 각 카메라(2, 3)가 획득한 원본 영상에 대응되는 썸네일 영상(400)을 배치할 수 있다. 썸네일 생성부(14)는 단일의 화면을 이등분한 자리에 썸네일 영상(400)이 들어갈 수 있도록 썸네일 영상(400)의 크기를 결정한다. 도 2a에서는 좌우로 썸네일 영상(400)을 배치하는 레이아웃(40)을 도시하였으나, 위아래로 단일의 화면을 이등분하여 썸네일 영상(400)을 배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 표시 장치(1)에 카메라(2, 3)가 4대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2b), 6대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2c), 9대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2d), 16대 연결되어 있는 경우의 레이아웃(도 2e) (41, 42, 43, 44)을 구성할 수 있다. 화면부(11)는 단일의 화면을 연결된 카메라(2, 3)의 대수로 나누어 썸네일 영상(400 ~ 440)을 배치하고, 썸네일 생성부(14)는 상기 분할한 레이아웃(40, 41, 42, 43, 44)에 썸네일 영상(400 ~ 440)이 들어갈 수 있도록 썸네일 영상(400 ~ 440)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된 카메라(2, 3)의 개수에 따라 썸네일 영상의 크기와 개수를 결정하고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과정은, 연결된 카메라(2, 3)의 개수가 접속 또는 접속해제에 의해 변경될 때 마다 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된 카메라(2, 3)의 개수가 변경될 때 마다 썸네일 영상의 크기와 개수 및 썸네일 영상이 배치되는 레이아웃의 구성이 동적으로 변경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가 영상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의 크기를 달리해 화면부(11)에 디스플레이한 레이아웃(50, 51, 5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썸네일 영상(501)은 제2 썸네일 영상(502)에 비해서 더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도 3a의 제1 썸네일 영상(501)에 대응되는 관심 영역은 제2 썸네일 영상(502)에 대응되는 관심 영역에 비해 중요도 결정부(13)로부터 부여받은 영상 중요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심 영역의 영상 중요도는 다양한 요소로부터 정량적으로 산출되고, 썸네일 생성부(14)로 전달된다. 썸네일 생성부(14)는 관심 영역을 변환해서 만들 썸네일 영상(501, 502)의 크기를 전달받은 영상 중요도에 따라 결정한다. 이 때, 썸네일 영상(501, 502)의 크기의 합이 전체 화면의 크기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썸네일 영상(501, 502) 간에는 영상 중요도의 비율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어야 한다. 도 3a에서는 좌우로 썸네일 영상(501, 502)을 배치하는 레이아웃(50)를 도시하였으나, 위아래로 단일의 화면을 2분하여 썸네일 영상(501, 502)을 배치하는 레이아웃(50)도 가능하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썸네일 영상(511 ~ 514)이 단일의 화면을 불균형하게 4분하여 배치되는 레이아웃이 형성되며(51), 썸네일 영상(511 ~ 514) 각각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의 썸네일 영상(511 ~ 514)들에 대응되는 관심 영역들이 중요도 결정부(13)로부터 부여받은 영상 중요도가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심 영역의 영상 중요도는 다양한 요소로부터 정량적으로 산출되고, 썸네일 생성부(14)로 전달된다. 썸네일 생성부(14)는 관심 영역을 변환해서 만들 썸네일 영상(511 ~ 514)의 크기를 전달받은 영상 중요도에 따라 결정한다. 이 때, 썸네일 영상(511 ~ 514)의 크기의 합이 전체 화면의 크기를 넘지 않도록 썸네일 영상(511 ~ 514) 간에 영상 중요도의 비율에 따른 썸네일 영상 크기 조절이 있어야 한다. 도 3b에서는 상하좌우로 총 4개의 썸네일 영상(511 ~ 514)을 배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하 혹은 좌우로 단일의 화면을 4분하여 썸네일 영상(511 ~ 514)을 배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도 3c의 경우 역시 도 3a 내지 도 3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총 5개의 썸네일 영상(521 ~ 525)에 대해, 대응하는 관심 영역의 영상 중요도 차이에 따라 썸네일 영상(521 ~ 525)의 크기가 결정되고, 이를 단일의 화면 안에 전부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레이아웃(52)이 구성된다. 총 5개의 썸네일 영상(521 ~ 525)을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 3c와 다른 방법으로 화면을 분할하는 방법도 단일의 화면 안에 표현 가능한 레이아웃(52)을 구성할 수 있다면 사용이 가능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는 가능한 썸네일 영상(400 ~ 525)의 개수 및 그 크기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레이아웃(40, 41, 42, 43, 44, 50, 51, 52)에 따라 썸네일 영상(400 ~ 525)의 크기를 결정하고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썸네일 생성부(14)는 단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야 하는 썸네일 영상(400 ~ 525)의 개수와 영상 중요도의 차이에 따라 생각해볼 수 있는 레이아웃(40, 41, 42, 43, 44, 50, 51, 52)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a 내지 3c에서는 카메라(2, 3)의 대수에 따라 이미 정해진 화면 배치 방식을 따라서 썸네일 영상(501 ~ 525)을 배치하는 방법을 설시하였다. 그러나 대응되는 관심 영역의 영상 중요도의 등급을 나누어 썸네일 영상(501 ~ 525)이 배치되는 영역을 구분하고, 해당 영역 내에서는 썸네일 영상(501 ~ 525)이 동일한 크기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배치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부(11)의 단일의 화면 가장 좌측부터 중심 수직선까지의 영역에 높은 영상 중요도의 관심 영역에 대응되는 썸네일 영상(501 ~ 525)이 배치되도록 하고, 중심 수직선부터 가장 우측까지의 영역에 낮은 영상 중요도의 관심 영역에 대응되는 썸네일 영상(501 ~ 525)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영역 안에서는 도 2a 내지 2e의 형상과 유사하게 균일한 크기의 썸네일 영상(501 ~ 525)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가 관심 영역(620, 621)을 설정해 썸네일화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본 영상(61)은 주차장, 차도, 계단이 형성된 주택가를 촬영하고 있는 고정형 감시 카메라(2, 3)로부터 얻은 영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시 카메라(2, 3) 영상에서 사용자가 주로 관찰하기를 원하는 영역은 이동이 없는 주택 영역이 아니라, 차량이 빈번하게 오가는 주차장 및 차도 영역일 것이다. 또한 보행자가 주로 오가며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계단 영역도 사용자가 주로 관찰하기를 원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고정형 감시 카메라(2, 3)가 촬영한 원본 영상(61)에서는 움직임이 많이 일어나는 영역을 주로 관심 영역(620, 621)으로 두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중요도 결정부(13)는 차량이나 보행자와 같은 오브젝트(object)의 움직임이 일정량 이상 감지되는 영역을 관심 영역(620, 621)으로 둘 수 있다.
도 4에서는 차량의 이동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주차장 영역을 잘라내어 관심 영역(620)으로 두었고, 보행자의 이동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계단 영역을 잘라내어 다른 관심 영역(621)으로 두었다. 이러한 관심 영역(620, 621)에 대하여 중요도 결정부(13)는 영상 중요도를 판단하고, 썸네일 생성부(14)가 각기 다른 썸네일 영상(630, 631)화 하여 화면부(11)로 전달해 두 개의 썸네일 영상(630, 631)이 있을 경우의 화면부(11) 레이아웃(60)에 맞춰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가 어안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드워프해서 썸네일화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2, 3)가 획득해서 수신부(12)로 전송하고, 수신부(12)가 수신한 원본 영상은 어안 영상(71)이다. 따라서 그대로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해도 어떠한 형상이 있는지는 확인은 가능하나, 왜곡이 일어나 있기 때문에 보정을 해서 디스플레이 한다면 관찰하기에 더 용이할 것이다.
이와 같이 어안 카메라에 의해 형성된 왜곡된 형태의 어안 영상(71)을 보정하는 것을 보통 '왜곡 보정(Distortion Calibration)' 또는 '드워프(Dewarp)'라고 하며, 이러한 드워프는 어안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투사 방식에 따라 어안 렌즈의 초점 거리나 광중심 위치 등과 같은 파라미터(parameter)를 이용하여 적절한 수식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카메라(2, 3)의 직선 왜곡이 없는 매핑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원근법 투사(
Figure pat00001
) 방법이다. 이는 일반 카메라(2, 3)로 촬영된 원근법 이미지 내의 지점의 위치를 찾아 매핑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어안 렌즈를 위한 가장 단순한 매핑 함수로써 리니어-스케일드(linear-scaled) 투사(
Figure pat00002
) 방법이 있다. 이는 어안 렌즈를 통해 촬영된 원본 영상 내 지점의 방사위치를 찾는 방법이다. 왜곡된 어안 영상(71)을 보정하기 위해 실제 어안 영상(71)을 원근법 이미지처럼 변형하여 매핑하여야 한다. 따라서 위 원근법 매핑과 어안 매핑을 정의하는 2개의 연립방정식을 풀이하여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의 관계를 찾음으로써 왜곡된 어안 영상(71)을 보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영역은 빌딩이 각각 위치한 장소이다. 따라서 중요도 결정부(13)가 해당 영역을 관심 영역(712, 713, 714)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빈번한 영역을 관심 영역(712, 713, 714)으로 지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설명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관심 영역(712, 713, 714)으로 설정된 영역은 썸네일 생성부(14)에 의해 그 크기를 결정받는다. 다만 어안 카메라가 촬영한 어안 영상(71)의 관심 영역(712, 713, 714)이므로, 이를 드워프 해서 사용자가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썸네일 영상(72, 73, 74)을 생성한다. 도면 부호 72, 73, 74는 각 대응되는 관심 영역(712, 713, 714)이 드워프되어 형성된 썸네일 영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가 최종 레이아웃(40, 41, 42, 43, 44, 50, 51, 52, 60)을 구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는 작동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는 영상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2, 3)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 신호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된 카메라(2, 3)의 종류에 따라서 관심 영역 설정에 영향이 있으므로, 연결된 카메라(2, 3)가 어떤 카메라(2, 3)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부(12)가 더 받아들인다.
원본 영상과 관련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정보는 중요도 결정부(13)로 넘어가서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에 들어간다(S200). 관심 영역의 지정을 위해서 먼저 카메라(2, 3)의 종류를 판단한다. 중, 저 해상도 카메라(2, 3)의 경우 전체 원본 영상을 관심 영역으로 지정해서 썸네일 영상으로 관찰해도 전체 영상 표시 장치(1)에 무리가 되지 않으므로 전체 원본 영상을 관심 영역으로 지정한다(S201). 고해상도 카메라(2, 3)의 경우 오브젝트의 이동량이 일정 이동량 이상인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1)에 무리한 부하를 가하지 않으면서 확대된 관심 영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02). 본 순서도에서는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카메라(2, 3) 해상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거나 일정 영역으로 고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관심 영역이 설정된 후, 중요도 결정부(13)는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중요도를 결정하고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영상 중요도를 판단하는 요소는 영상 표시 장치(1)에 연결된 카메라(2, 3) 대수, 이벤트 검출 횟수,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을 선택해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에 접근한 횟수, 사용자가 해당 영상을 모니터링한 시간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영상 중요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을 선택해 대응되는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에 접근한 횟수, 사용자가 해당 영상을 모니터링 한 시간 등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가 방금 작동을 시작한 상황에서 알기 힘든 요소들에 대해서는 영상 처리 장치를 계속 사용하고 있는 경우 반영할 수 있는 요소이며, 최초부터 고려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최초에는 해당 요소들에 의한 영상 중요도 기여분은 모든 관심 영역에 대해 동일할 것이다.
썸네일 영상의 크기는 대응되는 관심 영역의 영상 중요도에 따라 달라지며, 화면부(11)의 단일의 화면에 스크롤 없이 배치할 수 있는 레이아웃(40, 41, 42, 43, 44, 50, 51, 52, 60)을 구성하기 위해 전체 썸네일 영상의 크기의 합이 전체 화면의 크기보다 크지 않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관심 영역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나타나나, 어안 카메라가 촬영한 어안 영상(71)에서 추출한 관심 영역은 직사각형을 띄고 있지 않을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원본 영상을 획득한 카메라(2, 3)가 어안 카메라인지 여부를 확인해서(S400), 어안 카메라가 맞는 경우 관심 영역을 드워프해서 직사각형의 프레임에 맞추도록 한다(S401).
썸네일 영상의 크기가 결정되면 썸네일 생성부(14)는 관심 영역을 결정된 크기에 맞추어 썸네일 영상으로 생성한다(S500).
썸네일 영상이 생성되면, 화면부(11)는 썸네일 영상을 취합하여 단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최종 레이아웃(40, 41, 42, 43, 44, 50, 51, 52, 60)을 구성해서 디스플레이한다(S600).
관심 영역의 영상 중요도 및 관심 영역이 되는 부분은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순서도에서 나타낸 과정은 일정 갱신주기마다 화면부(11)가 갱신되면서 반복될 수 있다. 또는 연결된 카메라(2, 3)의 개수가 변하거나 카메라(2, 3)의 종류가 변경되면 화면부(11)가 갱신되면서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영상 표시 장치
2, 3 : 카메라
11 : 화면부
12 : 수신부
13 : 중요도 결정부
14 : 썸네일 생성부
40, 41, 42, 43, 44, 50, 51, 52, 60 : 레이아웃
61 : 원본 영상
71 : 어안 영상
72, 73, 74, 400, 410, 420, 430, 440, 501, 502, 511, 512, 513, 514, 521, 522, 523, 524, 525, 630, 631 : 썸네일 영상
620, 621, 712, 713, 714 : 관심 영역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획득한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개수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의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에 따른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썸네일 영상을 취합하여 단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개수가 변경될 때,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개수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의 변경된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변경된 크기에 따른 변경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영상 중에서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중요도를 결정하는 중요도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결정된 영상 중요도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썸네일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에 따른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중요도는 상기 원본 영상에 대한 접근 횟수, 상기 원본 영상에 대한 모니터링 시간, 또는 상기 원본 영상의 이벤트 발생 빈도에 의해 결정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은, 대응되는 상기 원본 영상에서 오브젝트의 이동이 일어나는 영역인 영상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영상은, 대응되는 상기 원본 영상을 획득한 카메라가 어안 카메라인 경우, 상기 관심 영역을 드워프(dewarp)한 영상인 영상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상기 단일의 화면을 일정 갱신주기마다 갱신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160096716A 2016-07-29 2016-07-29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 배치를 달리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561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16A KR102561509B1 (ko) 2016-07-29 2016-07-29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 배치를 달리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230097233A KR20230117312A (ko) 2016-07-29 2023-07-26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16A KR102561509B1 (ko) 2016-07-29 2016-07-29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 배치를 달리하는 영상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233A Division KR20230117312A (ko) 2016-07-29 2023-07-26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64A true KR20180013264A (ko) 2018-02-07
KR102561509B1 KR102561509B1 (ko) 2023-07-28

Family

ID=612043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716A KR102561509B1 (ko) 2016-07-29 2016-07-29 중요도에 따라 썸네일 배치를 달리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230097233A KR20230117312A (ko) 2016-07-29 2023-07-26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233A KR20230117312A (ko) 2016-07-29 2023-07-26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1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8147A (zh) * 2018-09-25 2019-09-17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装置
US11095810B2 (en) 2019-01-07 2021-08-17 Hanwha Techwin Co., Ltd. Setting system for a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5541B2 (ja) 2004-11-16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再生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再生画像処理装置
KR20100033605A (ko) * 2008-09-22 2010-03-31 (주) 엑스알플러스 영상감시 시스템의 다분할 화면 표시방법 및 분할화면의 정보표시방법
KR20130116623A (ko) * 2012-04-16 2013-10-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벤트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130130544A (ko) * 2012-05-22 2013-12-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영상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94077A (ko) * 2013-01-21 2014-07-30 이선구 영상 표시부에 폐공간을 없앤 전방위촬영시스템 및 촬영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5541B2 (ja) 2004-11-16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再生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再生画像処理装置
KR20100033605A (ko) * 2008-09-22 2010-03-31 (주) 엑스알플러스 영상감시 시스템의 다분할 화면 표시방법 및 분할화면의 정보표시방법
KR20130116623A (ko) * 2012-04-16 2013-10-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벤트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130130544A (ko) * 2012-05-22 2013-12-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영상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94077A (ko) * 2013-01-21 2014-07-30 이선구 영상 표시부에 폐공간을 없앤 전방위촬영시스템 및 촬영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8147A (zh) * 2018-09-25 2019-09-17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装置
EP3841741A4 (en) * 2018-09-25 2021-10-20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PLAYBACK
CN110248147B (zh) * 2018-09-25 2022-08-23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装置
US11468754B2 (en) 2018-09-25 2022-10-11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display
US11095810B2 (en) 2019-01-07 2021-08-17 Hanwha Techwin Co., Ltd. Setting system for a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312A (ko) 2023-08-08
KR102561509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04561B (zh) 用于追踪场景中的移动对象的系统及方法
CN110089104B (zh) 事件存储装置、事件搜索装置和事件警报装置
JP4790613B2 (ja) 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この装置におけるズーム倍率制御方法
TWI580273B (zh) 監視系統
TWI314008B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on computer-readable medium, and imaging system
JP622653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26538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11731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695249B1 (ko) 감시 영상 표시 방법 및 시스템
JP2006523043A (ja) 監視を行なう方法及びシステム
CN107409239B (zh) 基于眼睛追踪的图像传输方法、图像传输设备及图像传输系统
US10791258B2 (en)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JP2016127571A (ja) カメラ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93040A (ko) 피사체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80011603A (ko)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2083926B1 (ko) 영상 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431846B (zh) 基于多个摄像机的图像传输方法、设备和系统
JP2016123004A (ja) 撮像装置の設置支援装置、撮像装置の設置支援方法および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7243270A (ja) 映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4129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KR20190002142A (ko) 보안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감시 방법
JP6517515B2 (ja) 監視システム
JP3858018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18124629A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79953A (ko) 감시 영역 설정을 통한 객체 감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