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603A -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603A
KR20180011603A KR1020160094189A KR20160094189A KR20180011603A KR 20180011603 A KR20180011603 A KR 20180011603A KR 1020160094189 A KR1020160094189 A KR 1020160094189A KR 20160094189 A KR20160094189 A KR 20160094189A KR 20180011603 A KR20180011603 A KR 20180011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mage
area
event detection
det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782B1 (ko
Inventor
장세미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782B1/ko
Priority to PCT/KR2016/009008 priority patent/WO2018021608A1/ko
Publication of KR2018001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03A/ko
Priority to US16/257,826 priority patent/US1091168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4Portable terminal, e.g. mobile phone, used for viewing video remote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9Remote control of cameras, e.g. remote orientation or image zooming control for a PTZ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화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부는, 상기 영상에서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지점에 설정되는 이벤트 감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여 수치적으로 표시한다.

Description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The Apparatus And The System For Monitoring}
본 발명은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특별히 집중적으로 감시하기를 원하는 감시 희망 영역에서만 발생한 이벤트를 검색할 수 있고,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를 특별한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백화점, 일반 주택가를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감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시스템은 범죄 예방, 보안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실내의 애완동물 또는 어린 아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감시 시스템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스템은, 감시를 원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사용자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감시할 수 있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CCTV 시스템은 이벤트(Event)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벤트(Event)란, 카메라가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각종 사건을 말한다. 예를 들면, 사람이나 동물이 움직이는 모션 이벤트, 찬장의 유리잔이 떨어져 깨지는 모션 및 소리 이벤트, 화재가 발생하는 열 및 빛 이벤트 등이 있다. 최근 CCTV는 각종 센서들과 연결되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 사실을 알려주는 이벤트 알림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특별히 감시하기를 희망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침입자가 금고에서 귀중품을 훔쳐갈 수 있으므로 금고 근처를 특별히 감시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또는, 어린 아이가 혼자 집에 있다면 주방에서 주방용품을 잘못 사용하여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방 근처를 특별히 감시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는 일부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 영상만을 따로 분류하여 저장하지 않고, 모두 통합하여 저장하였다.
또한, 이벤트에는 모션 이벤트, 소리 이벤트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나, 카메라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영상들을 따로 분류하여 저장하지 않고 모든 종류의 이벤트 영상들을 통합하여 저장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과거의 이벤트 발생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이벤트 검색 기능을 사용하여 검색 결과를 추출하면, 그 내용이 누적되어 양이 너무나 방대하였다. 그래서 특정 영역에서만 발생하거나, 또는 특정 종류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모든 이벤트 영상들을 확인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일본특허등록 제5685840호 일본특허등록 제464666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특별히 집중적으로 감시하기를 원하는 감시 희망 영역에서만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고,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를 특별한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화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부는, 상기 영상에서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지점에 설정되는 이벤트 감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여 수치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상기 영상 및 상기 신호를 전송받고 저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부; 전송된 상기 영상 및 상기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화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부는, 상기 영상에서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지점에 설정되는 이벤트 감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여 수치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영상을 전송받고 저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을 전송받는 통신부; 전송된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화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 ROI가 지정되면, 상기 ROI를 통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며, 상기 화면부는, 상기 영상에서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지점에 설정되는 이벤트 감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여 수치적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특별히 집중적으로 감시하기를 원하는 감시 희망 영역에서만 발생한 이벤트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이벤트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를 특별한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니터링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시작하기 위한 안내 창(113a)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의 전체 화각을 촬영하기 위한 안내 창(113b)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수행된 카메라(2)의 전체 화각의 촬영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하기 위해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b)에서 일 지점이 선택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수행된 일 지점의 선택에 의해 윈도우(114)가 상기 일 지점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b)에 드래그(Drag)가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c)이 패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4)에 드래그(Drag)가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윈도우(114)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4)의 꼭지점에 드래그(Drag)가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4)가 확대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뷰 버튼(21)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화면부(11)에 파노라마 뷰가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4)의 내부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한 안내 창(113e)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아이콘(115)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설정된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리스트(116)가 화면부(11)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상방에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118)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버튼(23)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검색 결과가 출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니터링 장치(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카메라(2)가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장치(1)의 화면부(11)에는 상기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의 화면부(11)는 상기 영상에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표시한다. 카메라(2)가 촬영을 하는 특정 영역 중에서도, 사용자가 특별히 집중적으로 감시하기를 원하는 감시 희망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 영역(117)은 상기 영상에서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지점에 사용자가 설정하는 영역을 말한다.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는, 특정 시간 동안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 횟수가 카운팅 되어, 수치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통해 특정 시간 동안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를 특별한 조작 없이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2),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3),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하고, 센서(3)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장치(1)를 포함한다. 카메라(2) 또는 센서(3)와 모니터링 장치(1)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는 패닝(Panning), 틸팅(Tilting)이 가능한 팬틸트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카메라(2)는 최근에 소개된 360°카메라일 수도 있다. 360°카메라란, 카메라 자체가 물리적인 패닝 또는 틸팅이 되지 않고, 어안 렌즈를 복수로 장착하여 전방위가 동시에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360°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은, 모니터링 장치(1)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패닝 또는 틸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카메라(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3)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3), 연기 발생을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3), 사람 또는 동물의 출몰을 감지하는 열 감지 또는 모션 감지 센서(3) 등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이 발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3)는 이러한 IoT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 IoT 전용 모듈에 내장된 센서(3)일 수도 있다. 즉, 센서(3)는 제한되지 않고, 어떠한 종류의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3)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는 센서(3)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3)가 없더라도, 카메라(2)가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도중에 감시 희망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한다면,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 자체를 통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분석한다. 이 때, 사용자는 카메라(2)가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인 ROI(Region Of Interest)를 지정할 수 있다. ROI란,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말한다. 만약 카메라(2)를 통해 획득한 영상에서 ROI가 지정되면, 카메라(2)가 촬영하는 특정 영역 중 상기 ROI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센서(3)가 없이도 이벤트 발생 여부 및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3)가 특정 영역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센서(3)를 통해 이벤트를 확인하기 원한다면, 센서(3)를 활성화하도록 이벤트 감지 영역(117)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센서(3)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사용자가 상기 기술한 ROI를 통해 이벤트를 확인하기 원한다면, 특정 영역에 ROI를 지정함으로써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이벤트를 확인하는 방법을 미리 선택하여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방법을 통해,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3) 또는 ROI에 제한되지 않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센서(3) 및 ROI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및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는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센서(3)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게 된다. 모니터링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탑(Laptop) 등 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마우스 등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 모니터링 장치(1)는 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인 것을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화면부(11)는 카메라(2)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영상은, 카메라(2)가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획득한 실시간 영상(라이브 뷰(Live View))일 수도 있고, 이미 과거에 촬영하여 저장부(13)에 저장된 후 로딩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플레이백(Play Back))일 수도 있다. 그리고 화면부(11)는 상기 영상에서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는 특정 시간 동안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 횟수가 카운팅 되어 수치적으로 표시된다. 모니터링 장치(1)가 터치 기능을 제공한다면, 화면부(11)는 터치 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면부(11)를 통해 직접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화면부(11)와 함께 일체로 장착될 수 있으며, 화면부(11)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좌표, 터치의 횟수 및 세기 등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결과를 제어부(14)에 전달한다. 터치 센서(111)가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정전 용량 방식, 전기저항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가 터치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화면부(11)가 터치 센서(111)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별도의 터치 패드가 입력부로써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미세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팁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만약, 모니터링 장치(1)가 터치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마우스 등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12)는 카메라(2) 및 센서(3)와 유무선으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2)는 상기 제어부(14)로부터 신호 및 데이터를 변조 및 주파수 업컨버팅하여 송신하거나, 카메라(2) 및 센서(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데이터를 주파수 다운컨버팅 및 복조하여 제어부(14)로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통신부(12)는 카메라(2)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센서(3)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4)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카메라(2) 또는 센서(3)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13)는 모니터링 장치(1)의 동작들을 처리 및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각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 그리고 카메라(2)를 통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 및 센서(3)를 통해 수신된 신호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3)는 모니터링 장치(1)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네트워크 카메라(2) 시스템의 경우에는 NVR(Network Video Recorder) 등과 같이 별도의 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14)는 모니터링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통신부(12)와 카메라(2) 또는 센서(3)의 신호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신부(12)를 통해 영상이 전송되면 디코딩 및 렌더링 등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화면부(11)가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설정되면,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서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한 이벤트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저장부(13)에 영상을 저장시키고, 저장된 영상을 로딩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논리 연산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는 제스처 검출부, 좌표 변환부를 포함한다. 제스처 검출부는 터치 센서(111)로부터 터치 제스처를 검출한다. 터치 제스처는, 터치 센서(111)로부터 발생한 모든 터치 동작들을 포함한다. 만약, 모니터링 장치(1)가 터치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 명령을 검출한다. 제스처 검출부는 터치 센서(111)를 관리하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에서 터치 제스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를 포함한다. API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제스처 검출부는 API를 통해, 카메라(2)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다.
좌표 변환부는 제스처 검출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좌표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영상 및 이미지의 변화 값을 생성한다. 사용자가 일 지점에 터치(Touch)를 수행한다면, 일 지점에 대한 좌표가 추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드래그(Drag)를 수행하면, 드래그 경로 상의 좌표를 일정 주기 또는 간격마다 추출한다. 좌표 변환부는 상기 추출한 좌표들을 통해 터치가 수행된 지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사용자 명령을 판단한다. 또는, 상기 추출한 좌표들을 통해 드래그가 수행되는 방향 및 거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영상이 패닝되어야 할 값으로 변환한다. 상기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거나 영상을 패닝시켜 화면부(11)를 통해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시작하기 위한 안내 창(113a)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의 전체 화각을 촬영하기 위한 안내 창(113b)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를 실행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라이브 뷰(Live View), 플레이백(Play Back), 이벤트(Event), 옵션(Option) 등을 선택하는 메뉴가 표시된다. 여기서, 이벤트(Event)를 선택하면, 화면부(11)에 메인 영상(112)이 디스플레이 된다. 메인 영상(112)은, 카메라(2)가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획득한 라이브 뷰(Live View)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미 과거에 촬영된 후 로딩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만약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설정되어 있다면 곧바로 메인 영상(112)에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표시된다. 메인 영상(112)에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표시된 모습은 도 18에 도시되어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러나, 만약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하기 위한 안내 창(113a)이 표시된다.
상기 안내 창(113a)은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시작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두 가지의 선택 버튼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나중에 하기' 버튼을 선택한다면 이벤트 감지 영역(117)은 표시되지 않고, 단순히 메인 영상(112)만이 화면부(11)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시작하기' 버튼을 선택한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의 전체 화각을 촬영하기 위한 안내 창(113b)이 표시된다.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카메라(2)의 전체 화각을 촬영해야 한다. 카메라(2)가 촬영할 수 있는 전체 화각 영상(112a)을 통해 사용자가 이벤트 감지 영역(117)으로 설정할 지점을 정확히 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상기 안내 창(113b)에서 '촬영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카메라(2)는 촬영할 수 있는 전체 화각을 촬영한다.
도 5는 도 4에서 수행된 카메라(2)의 전체 화각의 촬영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가 전체 화각의 촬영을 완료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부(11)에 전체 화각 영상(112a)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체 화각 영상(112a)은 카메라(2)가 촬영할 수 있는 모든 범위를 영상으로 나타내는 파노라마 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파노라마 뷰(Panorama View)란, 하나의 영상 속에 많은 풍경을 담아내기 위해, 일반 영상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이다. 만약, 카메라(2)가 팬틸트 카메라라면, 파노라마 뷰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파노라마 뷰는 카메라(2)가 패닝 또는 틸팅을 하여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를 길게 합성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획득한 파노라마 뷰는, 라이브 뷰가 아니라 정적인 사진이 된다. 또한, 팬틸트 카메라(2)의 패닝 또는 틸팅의 각도가 제한되어 있다면, 제한된 각도가 좁을수록 파노라마 뷰의 길이가 짧아지고, 제한된 각도가 넓을수록 파노라마 뷰의 길이가 길어진다.
카메라(2)가 촬영을 완료하면, 카메라(2)가 획득한 전체 화각 영상(112a)을 저장하기 위한 안내 창(113c)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버튼(20)을 선택하면 상기 전체 화각 영상(112a)은 저장되고, 사용자는 상기 전체 화각 영상(112a) 상에서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카메라(2)가 360°카메라라면 화각이 매우 넓으므로, 파노라마 뷰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미 화면부(11)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메인 영상(112)이 파노라마 뷰로 촬영된 영상일 수 있고, 파노라마 뷰는 실시간 영상인 라이브 뷰(Live View)일 수 있다. 이 때, 이미 메인 영상(112)이 파노라마 뷰로 촬영된 영상이며 실시간 영상이므로, 별도로 카메라(2)가 전체 화각을 촬영하는 단계, 카메라(2)가 획득한 전체 화각 영상(112a)을 저장하는 단계가 필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모습이 화면부(11)에 표시될 필요가 없다. 또한, 카메라(2)의 전체 화각이 360°이므로, 파노라마 뷰의 좌우 양단은 동일한 영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하기 위해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b)에서 일 지점이 선택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수행된 일 지점의 선택에 의해 윈도우(114)가 상기 일 지점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체 화각 영상(112a)이 저장되면, 사용자가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할 수 있도록, 화면부(11)에는 전체 화각 영상(112b)이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전체 화각 영상(112b)에서 일 지점을 선택함으로써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전체 화각 영상(112a)은 파노라마 뷰이므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전체 화각 영상(112a)이 화면부(11)를 통해 전부 디스플레이 되면, 사용자가 일 지점을 선택할 의도일지라도, 실제로는 일 지점과 다소 다른 지점을 선택할 수가 있다. 이는, 전체 화각 영상(112a)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충분히 확대되지 않은 점, 손가락 등의 접촉 면적으로 인해 정밀한 선택이 어렵다는 점 등을 원인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화면부(11)에는 전체 화각 영상(112a)이 확대되어, 일부 영상(112b)만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탭(Tab)이란 터치 제스처 중 하나로서, 화면부(11)에 짧게 터치를 한 후 즉시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은 1초 미만이다. 그리고 짧은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탭을 여러 번 수행할 때 마다, 두 번 수행하면 더블 탭(Double Tab), 세 번 수행하면 트리플 탭(Triple Tab)이라 한다.
사용자가 모니터링 장치(1)에 터치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점에 탭(Tab)을 수행하여 일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화면부(11)에는, 사용자가 일 지점에 탭(Tab)을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창(113d)이 표시된다. 그리고, 일 지점이 선택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 지점에 윈도우(114)가 표시된다. 윈도우(114)는 사용자가 이벤트 감지 영역(117)으로 설정할 영역을 정확히 지정하도록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임시 레이아웃이다. 윈도우(114)는 사용자가 이벤트 감지 영역(117)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사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114)를 조절함으로써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
윈도우(114)는, 사용자가 일 지점을 선택하기 이전부터 화면부(11)를 통해 표시될 수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 지점을 선택하면, 윈도우(114)가 일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일 지점을 선택하기 이전에는 화면부(11)를 통해 표시되지 않다가, 사용자가 일 지점을 선택하면 비로소 일 지점에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후, 일 지점에 윈도우(114)가 표시될 수 있다면, 사용자가 일 지점을 선택하기 이전에는, 윈도우(114)는 특정 시점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시점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모니터링 장치(1)에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일 지점에 클릭(Click)을 수행하여 일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 만약 카메라(2)가 360°카메라(2)라면 이미 메인 영상(112)이 파노라마 뷰로 촬영된 영상이므로, 별도로 카메라(2)가 전체 화각을 촬영하는 단계, 카메라(2)가 획득한 전체 화각 영상(112a)을 저장하는 단계가 필요 없다. 즉,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곧바로 사용자가 일 지점을 선택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b)에 드래그(Drag)가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c)이 패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드래그(Drag)란, 터치 제스처 중 하나로서, 화면 상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일 지점으로부터 타 지점까지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끌어오는 것을 말한다.
모니터링 장치(1)의 화면부(11)에서는,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b)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Drag)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일부 영상(112b)을 터치(Touch)한다. 그리고 상기 일부 영상(112b)을 일 지점으로부터 타 지점까지 끌어온다. 그러면 상기 일부 영상(112c)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닝 또는 틸팅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일부 영상(112b)을 끌기 위해서, 사용자는 터치를 계속 유지하여야 한다.
일부 영상(112c)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패닝 또는 틸팅되었다면, 유지하던 터치를 해제한다. 한 번의 드래그만으로 원하는 영역까지 패닝 또는 틸팅될 수 없다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사용자가 모니터링 장치(1)에 마우스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면, 상기 일부 영상(112b)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하면 상기 일부 영상(112c)이 패닝 또는 틸팅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4)에 드래그(Drag)가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윈도우(114)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윈도우(114)를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14)의 대략 중심부에 손가락 등의 터치(Touch)를 수행한다. 그리고 터치(Touch)를 즉시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를 수행한 후 홀드(Hold)를 한다. 홀드(Hold)란, 터치(Touch)를 수행한 후 드래그(Drag)를 수행하기 전에 소정의 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는 행위를 말한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대략, 0.5초 내지 1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손가락 등의 터치를 유지하며 윈도우(114)를 일 지점으로부터 타 지점으로 끌어온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14)가 손가락 등의 드래그에 따라 일 지점으로부터 타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원하는 지점에 도착한 후에는, 상기 유지하던 터치(Touch)를 해제한다. 터치를 해제하면, 드래그되던 윈도우(114)는 터치가 해제된 지점에 고정된다.
만약, 사용자가 모니터링 장치(1)에 마우스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면, 상기 윈도우(114)를 마우스로 드래그(Drag)하면 윈도우(114)가 일 지점으로부터 타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4)의 꼭지점에 드래그(Drag)가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4)가 확대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윈도우(114)의 사이즈를 확대시키기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14)의 꼭지점 또는 윈도우(114)의 경계에 대하여 손가락 등의 터치(Touch)를 수행한 후 홀드(Hold)한다. 그리고 손가락 등의 터치를 유지하며 윈도우(114)의 꼭지점 또는 경계를 끌어온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14)의 사이즈가 확대된다. 윈도우(114)가 원하는 사이즈로 확대된 후에는, 상기 유지하던 터치를 해제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윈도우(114)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모니터링 장치(1)에 마우스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면, 사용자가 마우스 커서를 윈도우(114)의 꼭지점 또는 경계에 마우스 오버를 하고 이를 드래그 함으로써, 윈도우(114)의 사이즈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핀치 인(Pinch In)을 수행하여 윈도우(114)를 확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핀치(Pinch)란, 터치 제스처 중 하나로서, 화면부(11)에 두 손가락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핀치는 화면부(11)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만약 두 손가락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면, 핀치 인(Pinch In) 또는 핀치 클로즈(Pinch Close)라 하고, 이 때에는 영상이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두 손가락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면, 핀치 아웃(Pinch Out) 또는 핀치 오픈(Pinch Open)이라 하고, 이 때에는 영상이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114)의 내부 영역에 두 손가락으로 터치를 수행하고, 핀치 인(Pinch In)을 수행한다면, 윈도우(114)의 사이즈가 축소된다. 반면에, 윈도우(114)의 내부 영역에 두 손가락으로 터치를 수행하고, 핀치 아웃(Pinch Out)을 수행한다면, 윈도우(114)의 사이즈가 확대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뷰 버튼(21)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화면부(11)에 파노라마 뷰가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현재 화면부(11)에는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b)만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체 화각 영상(112a) 전부를 모니터링 하기 원할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노라마 뷰 버튼(21)에 탭(Tab)을 수행한다. 그러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부(11)에 디스플레이 되던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b)은, 전체 화각 영상(112a)의 전부인 파노라마 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파노라마 뷰 버튼(21)은 토글 버튼이다. 즉, 사용자가 파노라마 뷰 버튼(21)에 탭(Tab)을 수행하면, 화면부(11)에 전체 화각 영상(112a)의 파노라마 뷰가 디스플레이 되면서, 파노라마 뷰 버튼(21)은 오리지널 뷰 버튼(22)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다시 오리지널 뷰 버튼(22)에 탭(Tab)을 수행하면, 화면부(11)에 전체 화각 영상의 일부 영상(112b)만이 디스플레이 되고, 오리지널 뷰 버튼(22)은 파노라마 뷰 버튼(21)으로 다시 변환한다. 즉, 토글 버튼에 대하여 탭(Tab)을 수행할 때마다, 파노라마 뷰와 오리지널 뷰가 교대로 번갈아가며 화면부(11)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4)의 내부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한 안내 창(113e)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윈도우(114)를 통해 이벤트 감지 영역(117)으로 설정할 영역을 정확히 지정하였다면,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14)의 내부에 탭(Tab)을 수행한다. 그러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이름과 종류를 입력할 수 있는 안내 창(113e)이 표시된다.
상기 안내 창(113e)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을 완료할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이름과 종류를 입력할 수 있다. 종류에는 센서(3) 또는 ROI가 있으며, 사용자는 라디오 버튼을 이용하여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 센서(3)가 특정 영역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센서(3)를 통해 이벤트를 확인하기 원한다면, 사용자는 센서(3)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센서(3)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사용자가 상기 기술한 ROI를 통해 이벤트를 확인하기 원한다면, 사용자는 ROI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이벤트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센서(3) 또는 ROI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종류를 선택했다면, 구체적인 하위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센서(3)를 선택하였다면, 센서(3)의 구체적인 감지 기능도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빛, 열, 모션, 소리, 온도 등이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센서(3)가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미리 설치한 센서(3)의 종류가 모션 감지 센서(3)로서, 소리, 열, 빛 등의 감지를 전혀 할 수 없다면, 상기 안내 창(113e)에는 모션 감지 기능만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고, 나머지 기능들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종류로 센서(3)를 선택하고, 센서(3)가 감지하는 기능으로는 모션과 소리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센서(3)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하는 블루투스 센서(3)라는 의미로, Bluetooth 1이라는 이름을 입력하였다. 이와 같이, 이름 및 종류 등을 모두 입력한 후에 '저장 및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이 완료된다. 여기서 만약, 사용자가 '다른 영역 추가' 버튼을 선택한다면,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과정부터 다시 반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모두 설정된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부(11)에 메인 영상(112)이 디스플레이 되고, 메인 영상(112)에는 설정된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표시된다. 이 때, 도 18에서는 사용자가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3개 설정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만약 도 17에 도시된 안내 창(113e)에서, 사용자가 '다른 영역 추가' 버튼을 선택한다면,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술한 바, 이벤트 감지 영역(117)은 메인 영상(112)에서,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지점에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이다. 그리고 감시 희망 영역이란, 카메라(2)가 촬영을 하는 특정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특별히 집중적으로 감시하기를 원하는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감시 희망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는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가 카운팅 되어 수치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통해 특정 시간 동안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를 특별한 조작 없이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는 27이라는 숫자가 표시되고, 제2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는 7이라는 숫자가 표시되며, 제3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는 13이라는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 대응되는 제1 감시 희망 영역에서는, 특정 시간 동안 이벤트가 27회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 대응되는 제2 감시 희망 영역에서는, 특정 시간 동안 이벤트가 7회 발생하였으며, 제3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 대응되는 제3 감시 희망 영역에서는, 특정 시간 동안 이벤트가 13회 발생하였다. 여기서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는,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설정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체적인 하위 기능을 통해 감지된 이벤트만을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센서(3)가 감지하는 기능으로 모션과 소리를 선택하였다면,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는 모션과 소리가 발생한 이벤트만으로 카운팅 되며, 열이나 빛이 발생하더라도 이벤트의 횟수로 카운팅 되지 않는다.
이벤트 감지 영역(117)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영상의 사각지대를 제거하기 위해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아이콘(115)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설정된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리스트(116)가 화면부(11)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현재 설정된 이벤트 감지 영역(117)들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그 내용을 수정하기를 원할 경우가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아이콘(115)에 탭(Tab)을 수행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설정된 이벤트 감지 영역(117)들의 리스트(116)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설정된 이벤트 감지 영역(117)들은 총 3개이다. 그리고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이름은 'Bluetooth 1', 제2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이름은 'ROI_창문', 제3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이름은 'ROI_소파'이다. 이러한 이름은 상기 기술한 바,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116)에 나열된 각각의 이벤트 감지 영역(117) 이름의 같은 열 우측에는 설정 변경 아이콘 및 삭제 아이콘이 각각 표시된다. 사용자가 설정 변경 아이콘에 탭(Tab)을 수행하면, 해당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의 감지를 센서(3)로 할 것인지 ROI로 할 것인지 등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빛, 열, 모션, 소리, 온도 등의 구체적인 하위 기능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 입력하였던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이름도 변경할 수도 있다.
만약, 해당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더 이상 필요없다면, 사용자는 삭제 아이콘에 탭(Tab)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삭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만약,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추가로 설정되어야 한다면, 사용자는 미설정된 리스트(116)에 탭(Tab)을 수행함으로써 이벤트 감지 영역(117)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부터 도 17까지 설명한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상방에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118)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에는, 감시 희망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횟수가,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 수치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시간 동안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내용을 자세히 확인하기를 원할 경우가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모니터링 장치(1)를 통해 감시 희망 영역에 대응되는 이벤트 감지 영역(117)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자세히 확인하기를 원할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 대하여 탭(Tab)을 수행한다. 그러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상방에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118)이 표시된다.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118)이란,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를 이벤트의 종류 별로 각각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의 상방에 표시된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118)에는, 모션 감지가 17, 소리 감지가 10으로 나타나 있다. 이는, 특정 시간 동안, 제1 감시 희망 영역에서는 모션 이벤트가 17회 발생하여 감지되었고, 소리 이벤트가 10회 발생하여 감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술한 바,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은 구체적인 하위 기능으로 모션 감지와 소리 감지만이 선택되었으므로, 다른 감지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모션 감지가 17회, 소리 감지가 10회이므로 두 수를 합치면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 표시된 27이라는 수가 도출된다. 즉,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118)에서 표시되는 숫자들을 모두 더하면, 해당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서 표시되는 숫자가 도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버튼(23)에 탭(Tab)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도 23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검색 결과가 출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기술한 바, 사용자가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 대하여 탭(Tab)을 수행하면,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118)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발생한 이벤트를 하나씩 확인하기를 원할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버튼(23)에 탭(Tab)을 수행한다. 그러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서 감지된 이벤트들이 검색되어 출력된다. 만약,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카메라(2)가 해당 영역에 대하여 촬영을 수행하였고, 이벤트가 종료된 경우 곧바로 촬영도 종료하였다면, 하나의 영상에는 하나의 이벤트의 내용이 촬영되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검색된 영상들의 개수는 27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영상들을 재생시키면, 사용자는 발생한 이벤트들을 확인할 수 있다.
검색 결과에는,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 이벤트의 횟수가 카운팅된 기간 및 시간 등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 감지 영역(117)에서 감지된 이벤트는 총 27회이며, 모션 이벤트가 17회, 소리 이벤트가 10회이다. 만약, 사용자가 모션 이벤트만을 확인하기 원할 경우, 모션 이벤트만을 선택한다면 검색되는 영상들의 개수는 17개가 된다. 그리고, 이벤트의 횟수가 카운팅된 기간이, 2016년 3월 13일 0시부터, 2016년 3월 14일 0시까지이다. 만약 사용자가 다른 기간을 검색하고자 한다면, 날짜 및 시간의 같은 열 우측에 표시된 캘린더 아이콘을 선택하여, 원하는 다른 기간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모니터링 장치 11: 화면부
12: 통신부 13: 저장부
14: 제어부 111: 터치 센서
112: 메인 영상 113: 안내 창
114: 윈도우 115: 리스트 아이콘
116: 리스트 117: 이벤트 감지 영역
118: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 20: 저장 버튼
21: 파노라마 뷰 버튼 22: 오리지널 뷰 버튼
23: 검색 버튼

Claims (20)

  1.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화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부는,
    상기 영상에서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지점에 설정되는 이벤트 감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여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부는,
    상기 선택된 이벤트 감지 영역 주변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종류별로 카운팅하여 각각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을 더 표시하는,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상기 이벤트를 검색하는,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를 종류별로 검색하는,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리스트 아이콘을 더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 아이콘이 선택되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의 이름을 리스트에 나열하여 표시하는,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상기 리스트에 나열된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의 이름의 주변에 설정 변경 아이콘 및 삭제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설정 변경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의 설정이 변경되며,
    상기 삭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이 삭제되는,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은,
    센서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모니터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 ROI가 지정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은,
    상기 ROI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모니터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팬틸트 카메라이고,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이 설정되기 전에,
    상기 카메라의 전체 화각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화면부는,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으로 설정할 영역을 정확히 지정하도록 조절되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장치.
  11.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상기 영상 및 상기 신호를 전송받고 저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부;
    전송된 상기 영상 및 상기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화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부는,
    상기 영상에서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지점에 설정되는 이벤트 감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여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부는,
    상기 선택된 이벤트 감지 영역 주변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종류별로 카운팅하여 각각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을 더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상기 이벤트를 검색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를 종류별로 검색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리스트 아이콘을 더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 아이콘이 선택되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의 이름을 리스트에 나열하여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6.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영상을 전송받고 저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을 전송받는 통신부;
    전송된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화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 ROI가 지정되면, 상기 ROI를 통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며,
    상기 화면부는,
    상기 영상에서 감시 희망 영역과 대응되는 지점에 설정되는 이벤트 감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여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부는,
    상기 선택된 이벤트 감지 영역 주변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종류별로 카운팅하여 각각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이벤트 상세 표시 영역을 더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감시 희망 영역에서 발생한 상기 이벤트를 검색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를 종류별로 검색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리스트 아이콘을 더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 아이콘이 선택되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이벤트 감지 영역의 이름을 리스트에 나열하여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094189A 2016-07-25 2016-07-25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2644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89A KR102644782B1 (ko) 2016-07-25 2016-07-25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PCT/KR2016/009008 WO2018021608A1 (ko) 2016-07-25 2016-08-17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US16/257,826 US10911685B2 (en) 2016-07-25 2019-01-25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which detects events occurred in a region of interest and counts a number of occurred ev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89A KR102644782B1 (ko) 2016-07-25 2016-07-25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03A true KR20180011603A (ko) 2018-02-02
KR102644782B1 KR102644782B1 (ko) 2024-03-07

Family

ID=6101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89A KR102644782B1 (ko) 2016-07-25 2016-07-25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11685B2 (ko)
KR (1) KR102644782B1 (ko)
WO (1) WO20180216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544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188B1 (ko) * 2016-11-30 2024-02-05 한화비전 주식회사 영상 감시 시스템
US10969956B2 (en) * 2018-03-20 2021-04-06 Cemtrex Inc. Smart desk with gesture detection and control features
US11218639B1 (en) * 2018-10-12 2022-01-04 Staples, Inc. Mobile interface for marking and organizing images
EP4035353A1 (en) * 2019-09-27 2022-08-03 Ricoh Company, Ltd.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setting,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WO2021145071A1 (ko) * 2020-01-14 2021-07-22
CN113112722B (zh) * 2021-03-03 2023-03-2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事件检测方法、装置、系统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5840U (ko) 1979-12-03 1981-07-10
US20150142587A1 (en) * 2013-11-20 2015-05-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Dynamic Correlation View for Cloud Based Incident Analysis and Pattern Detection
JP2016039437A (ja) * 2014-08-06 2016-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アホン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20160074811A (ko) * 2014-12-18 2016-06-2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가상라인을 이용하여 방향별 발생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cctv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3084B2 (en) * 2005-09-12 2013-10-08 3Vr Security, Inc. Specifying search criteria for searching video data
KR101082026B1 (ko) * 2009-08-31 2011-11-10 주식회사 아이디스 이벤트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8743204B2 (en) * 2011-01-07 2014-06-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and monitoring event occurrences using fiber optic sensors
US9584774B2 (en) * 2011-10-24 2017-02-2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n image capture position of a camera
US9472072B2 (en) * 2012-05-04 2016-10-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post event/alarm analysis in CCTV and integrated security systems
KR101976493B1 (ko) * 2012-11-23 2019-08-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감시장치에서 객체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56831B1 (ko) * 2013-07-24 2020-01-1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60014242A (ko) * 2014-07-29 2016-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센서의 위치 및 이벤트 동작의 매핑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5840U (ko) 1979-12-03 1981-07-10
US20150142587A1 (en) * 2013-11-20 2015-05-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Dynamic Correlation View for Cloud Based Incident Analysis and Pattern Detection
JP2016039437A (ja) * 2014-08-06 2016-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アホン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20160074811A (ko) * 2014-12-18 2016-06-2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가상라인을 이용하여 방향별 발생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cctv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544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782B1 (ko) 2024-03-07
US10911685B2 (en) 2021-02-02
US20190174070A1 (en) 2019-06-06
WO2018021608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1603A (ko)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US10791258B2 (en)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US9591209B2 (en) Method for photographing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61713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9033957A1 (zh) 交互位置确定方法、系统、存储介质和智能终端
CN103841320B (zh) 用于显示图像的拍摄设备及其方法
JP6229816B2 (ja) モバイル監視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2014014705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US10158805B2 (en) Method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US11675832B2 (en) Search apparatus
CN106797429A (zh) 控制装置、对控制装置进行控制的方法和程序
KR20110093040A (ko) 피사체 감시 장치 및 방법
US11086933B2 (en) Event search system, device, and method
KR102474745B1 (ko)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75254B1 (ko)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2518855B1 (ko)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73041B1 (ko) 이벤트 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6515975B2 (ja) モバイル監視装置、モバイル監視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20220099704A (ko) 모니터링 장치
JP2019164802A (ja) モバイル監視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