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115A -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115A
KR20180013115A KR1020160096299A KR20160096299A KR20180013115A KR 20180013115 A KR20180013115 A KR 20180013115A KR 1020160096299 A KR1020160096299 A KR 1020160096299A KR 20160096299 A KR20160096299 A KR 20160096299A KR 20180013115 A KR20180013115 A KR 20180013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branch
present
lumin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835B1 (ko
Inventor
신익수
강문성
이지열
공석환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8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3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mobile ions
    • H01L51/503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21K2/06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 F21K2/08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activated by an electric field, i.e. electrochemiluminescence
    • H01L51/5203
    • H01L51/52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발광 소자는 기판,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제 1 전극에서 분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 1 브랜치 전극, 제 2 전극에서 분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 2 브랜치 전극 및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 전해질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투명 전극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발광소자는 두 전극 사이에 발광 소재와 더불어 다양한 기능성 소재가 삽입된 적층형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발광소자는 빛이 투과 가능한 투명 전극을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극선택에 제한을 가진다.
투명 전극으로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과 같이 내재적으로 투명한 전도성 소재와 박막 형태의 금속 소재 또는 전도성 고분자 등이 있으나 이러한 투명 전극은 전기적 전도도가 일반적인 불투명 금속 전극에 비하여 매우 낮은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최근에 요구되는 투명성과 전기적 특성을 모두 만족해야하는 소재개발에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한다.
한편, 기존의 발광소자는 복수의 물질층이 수직으로 적층되어있는 적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인쇄 공정과 같은 용액 공정을 통해서 이러한 적측형 구조의 소자를 제작시 하나의 물질층에 대한 용액 공정이 이미 공정되어 증착된 하부의 물질층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4298 호(발명의 명칭: 평면정렬 전극 유기발광다이오드)는 기판상 동일 평면에 정렬되는 양극과 음극을 제공하는 평면 정렬 전극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 평면에 정렬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절연층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구조여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야 하며, 이로인해 저전력 구동 환경에는 적절하지 않은 구성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극과 음극을 서로 동일 평면에 배치하고, 발광성 전해질층의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에 기초한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발광 소자는 기판,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제 1 전극에서 분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 1 브랜치 전극, 제 2 전극에서 분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 2 브랜치 전극,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와 상부에 배치된 발광 전해질층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음극과 양극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단일 발광층 만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용액 공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어, 대형화에 유리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전극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극 소재 선택이 자유롭고, 특히 저전력 환경에서 구동할 수 있는 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릭스 고분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질 물질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발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10)는 기판(100), 기판(100)상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전극(110) 및 제 2 전극(120),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에서 각각 분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 1 브랜치 전극(112) 및 복수의 제 2 브랜치 전극(122),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발광 전해질층(130)을 포함한다.
기판(100)으로는 유리 기판, 세라믹 기판, 실리콘 기판, 종이 기판, 고무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은 단일 물질 뿐만 아니라 굴절율 향상을 위해 반사면이 증착된 후처리가 수행된 것일 수 있다. 기판(100)의 두께, 크기 또는 형상등은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 어느 하나는 양의 전극으로서 기능하고, 나머지는 음의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불투명 물질로서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수준의 빛 투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이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을 불투명 물질로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ITO 와 같은 투명 물질을 통해서도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을 형성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을 채택하면서 투명 물질을 이용하여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을 형성한다면, 발광소자의 빛 투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브랜치 전극(112)은 제 1 전극(110)에 교차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 사이의 공간 또는 제 2 전극(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 1 브랜치 전극(112)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제 2 브랜치 전극(122)은 제 2 전극(120)에 교차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 사이의 공간 또는 제 1 전극(1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 2 브랜치 전극(122)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 1 브랜치 전극(112)들은 제 2 브랜치 전극(122)들 사이의 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제 1 브랜치 전극(112)들 사이에 하나의 제 2 브랜치 전극(122)이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두 개의 제 2 브랜치 전극(122)들 사이에 하나의 제 1 브랜치 전극(112)이 배치되어, 제 1 브랜치 전극(112)들과 제 2 브랜치 전극(122)들이 마치 빗(comb) 형상 처럼 형성되고, 이들이 서로 마주보며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된다.
제 1 브랜치 전극(112)과 제 2 브랜치 전극(122)의 기판(100)으로부터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브랜치 전극(112)과 제 2 브랜치 전극(122)의 폭과 제 1 브랜치 전극(112)과 제 2 브랜치 전극(122) 사이의 간격은 발광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1 브랜치 전극(112)과 제 2 브랜치 전극(122)의 기판(100)으로부터의 높이는 50nm, 제 1 브랜치 전극(112)과 제 2 브랜치 전극(122)의 폭은 10um, 제 1 브랜치 전극(112)과 제 2 브랜치 전극(122) 사이의 간격은 10um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전극(110), 제 2 전극(120), 제 1 브랜치 전극(112) 및 제 2 브랜치 전극(122)의 형성을 위한 공정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극 형성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및 증착법(열 증착법(thermal evaporation), 전자빔 증착법(e-beam evaporation), 스퍼터링 증착법(sputtering)) 등을 통해 형성되며, 또한 프린팅 기법(리버스 옵셋 프린팅(offset printing), 그라뷰어 옵셋 프린팅(gravure offset printing), 나노임프린팅(nanoimprinting))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공정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10)의 단면도를 살펴보면, 각각의 브랜치 전극(112, 122)들이 서로 교호하는 형태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브랜치 전극(112, 122)의 사이와 그 상부에 발광 전해질층(130)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전해질층(130)의 상부에 상부기판(14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발광 전해질층(130)은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 사이의 공간과 그 상부에 적층되도록 형성되며, 제 1 브랜치 전극(112)과 제 2 브랜치 전극(122)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발광 전해질층(130)은 발광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발광 전해질층(130)은 전해질 물질 및 발광성 반도체 물질과 고분자 매트릭스(matrix)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발광 전해질층(130)의 기계적 특성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고분자 매트릭스는 필요에 따라 생략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발광 전해질층(130)은 tris(2,2'-bipyridine)ruthenium(II) hexafluorophosphate [Ru(bpy)3(PF6)2] : polystyrene-b-polymethylmethacrylate-b-polystyrene [PS-b-PMMA-b-PS] :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M-TFSI] = 1 : 4 : 16의 무게 조성 배합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무게 조성 배합비율에 따라 소자의 발광 특성이 조절되고, 구동 특성(교류 또는 직류)은 변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을 도시한 것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질 물질을 도시한 것이다.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은 발광 전해질층(130)이 물리적 또는 기계적인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예시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단일 모노머로 이루어진 고분자, 공중합 고분자(copolymer)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해질 물질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b에 도시된 X는 할로겐(halogen), 도 5에 도시된 M은 알칼리 금속 원소를 타나내며, R은 지방족(aliphatic), 방향족(aromatic) 탄화수소 및 작용기(functional group) 중 어느하나 일 수 있다.
발광성 반도체 물질은 발광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발광성 물질의 일례로 이온성 전이 금속 착화합물, 발광성 유기 반도체, 양자점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이금속 화합물의 일례로 루테늄(ruthenium, Ru), 이리듐(iridium, Ir), 레늄 (rhenium, Re), 백금 (platinum, Pt), 오스뮴 (osmium, Os), 구리 (copper, Cu), 철 (iron, F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ris(2,2'-bipyridine)ruthenium(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exafluorophosphate) [Ru(bpy)3(PF6)2], tris(4,7-diphenyl-1,10-phenanthroline)ruthenium(II) bis(hexafluorophosphate) [Ru(dp-phen)3(PF6)2], bis(2-phenylpyridine)(2,2'-dipyridine)iridium(I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exafluorophosphate) [Ir(ppy)2(bpy)PF6], bis(2-phenylpyridine)(4,4'-di-tert-butyl-2,2'-dipyridyl)iridium(I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exafluorophosphate) [Ir(dtbbpy)(ppy)2PF6], 4,4'-di-tert-butyl-2,2'-dipyridyl-bis[2-(2',4'-difluorophenyl)pyridine]iridium(I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exafluorophosphate) [Ir(ppy-F2)2(dtb-bpy)PF6], 1,10-[phenanthroline]rhenium(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exafluorophosphate) [Re(phen)PF6], platinum(II) coproporphyrin [PtCP], tris(2,2'-bipyridine)osmium(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exafluorophosphate) [Os(bpy)3(PF6)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발광성 유기 반도체의 일례로는 발광성 단분자, 고분자 등의 발광이 가능한 공액형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루브린(rubrene)과 그의 유도체들, 안트라센(anthracene)과 유도체들, 파이렌(pyrene)과 그 유도체들, decycloxyphenyl substituted poly(1,4-phenylene vinylene [super yellow], poly(2-methoxy-5-(2-ethylhexyloxy)-1,4-phenylenevinylene) [MEH-PPV], poly(2-methoxy-5-(3′,7′-dimethyloctyloxy)-1,4-phenylenevinylene) [MEMO-PPV], poly(9,9-dioctylfluorene-alt-benzothiadiazole [F8B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자점 물질은 일례로 13-15족, 12-15족 원소의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렌화카드뮴(CdSe), 황화카드뮴(CdS), 셀렌화아연(ZnSe), 인화인듐(InP), 황화납(PbS), 셀렌화납(PbS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부기판(140)으로는 유리 기판, 세라믹 기판, 실리콘 기판, 종이 기판, 고무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으며, 빛의 투과를 위해 광 투과성 물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발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교류 구동 방식을 나타내고, 도6b는 직류 구동 방식을 나타낸다.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전기장이 형성되면, 이에 의하여 전해질 내의 각 이온이 각 전극의 계면에 축적된다. 이때 각 전극 계면에 존재하는 발광성 반도체 물질은 전기 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산화된 발광 물질과 환원된 발광 물질이 서로 만나 전자 전달을 하는 과정에서 각 전극 또는 브랜치 전극의 테두리(교류구동) 또는 브랜치 전극 사이(직류구동)에서 발광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교류 또는 직류 구동 방식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 즉, 발광 소자 구동부(미도시됨)는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120)에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을 인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을 인가할 경우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μm이하 단위의 폭을 지닌 브랜치 전극의 테두리 또는 그 전극 사이에서 전기화학적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한 선 형태의 발광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연속적인 선 형태의 발광 현상은 마치 발광 전해질층(130)의 전체 부분에서 면발광 현상이 발생하는 것처럼 시각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극과 양극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단일 발광층 만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용액 공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어, 대형화 및 집적화에 유리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전극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극 소재 선택이 자유롭고, 특히 저전력 환경에서 구동할 수 있는 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발광소자
100: 기판
110: 제 1 전극
112: 제 1 브랜치 전극
120: 제 2 전극
122: 제 2 브랜치 전극
130: 발광 전해질층
140: 상부기판

Claims (6)

  1. 발광 소자에 있어서,
    기판;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에서 분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 1 브랜치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서 분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 2 브랜치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에 인가되는 직류 또는 교류 전압에 의하여 전기장이 형성되면, 상기 발광 전해질층에서 일어나는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발광 현상이 발생하는 발광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브랜치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에 교차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전극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브랜치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에 교차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전극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제 1 브랜치 전극들 사이에 상기 제 2 브랜치 전극이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인 발광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전해질층은 고분자 매트릭스, 전해질 물질 및 발광성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발광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에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인 발광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전해질층 상부에 배치된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기판을 더 포함하는 발광소자.
KR1020160096299A 2016-07-28 2016-07-28 발광 소자 KR10186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299A KR101864835B1 (ko) 2016-07-28 2016-07-28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299A KR101864835B1 (ko) 2016-07-28 2016-07-28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15A true KR20180013115A (ko) 2018-02-07
KR101864835B1 KR101864835B1 (ko) 2018-06-05

Family

ID=6120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299A KR101864835B1 (ko) 2016-07-28 2016-07-28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000A (ko) * 2019-03-12 2020-09-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도성 섬유 기반 유연 발광 장치
WO2023027318A1 (ko) * 2021-08-25 2023-03-0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신축 가능한 멀티 발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102B1 (ko) * 2020-04-03 2023-12-1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플로팅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발광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4747A (ja) * 2007-10-29 2009-10-01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発光素子、発光表示装置、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発光体
KR20120095195A (ko) * 2011-02-18 2012-08-2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화학형 발광 셀 구조
KR20150088083A (ko) * 2014-01-23 2015-07-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제어 전기 형광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4747A (ja) * 2007-10-29 2009-10-01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発光素子、発光表示装置、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発光体
KR20120095195A (ko) * 2011-02-18 2012-08-2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화학형 발광 셀 구조
KR20150088083A (ko) * 2014-01-23 2015-07-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제어 전기 형광소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000A (ko) * 2019-03-12 2020-09-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도성 섬유 기반 유연 발광 장치
US10794553B1 (en) 2019-03-12 2020-10-06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lexible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conductive fiber
WO2023027318A1 (ko) * 2021-08-25 2023-03-0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신축 가능한 멀티 발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835B1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an et al. Saturated and Multi‐Colored Electroluminescence from Quantum Dots Based Light Emitting Electrochemical Cells
EP2465006B1 (en) Solid state lighting element comprising an electrode with improved optical and electrical performances
JP5552433B2 (ja) 高効率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素子およびそれ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
JP5260647B2 (ja) 有機機能素子、及び当該素子の製造法
Xu et al. Challenging conventional wisdom: finding high-performance electrodes for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s
US8120245B2 (en) Interdigitated electrode dual electroemissive/electrochromic devices
KR101864835B1 (ko) 발광 소자
US9273000B2 (en)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Sato et al. Low‐Cost, Organic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s with Mass‐Producible Nanoimprinted Substrates Made Using Roll‐to‐Roll Methods
Sessolo et al. Ionic iridium complex and conjugated polymer used to solution-process a bilayer white light-emitting diode
JP2010534739A (ja) 無機ナノ粒子を含有する導電性ポリマーの水性分散体
KR20140008426A (ko) 안정한 전기변색 모듈
Kim et al. Flexible memristive devices based on InP/ZnSe/ZnS core–multishell quantum dot nanocomposites
EP2793281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JP2013509710A (ja) 発光電気化学デバイス、そのデバイスを含むシステム、およびそのデバイスの使用
Kamijo et al. Printed copper grid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KR20130053388A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22309A (ko) 고굴절률 덮개층을 가지는 고효율 발광소자
US10930872B2 (en)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 composition for forming light-emitting layer of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 and ionic compound for light-emitting layer of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
US1024316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EP2151877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article
WO2009084273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100213450A1 (en) Phosphor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20100276675A1 (en) Light-emitting device
US11489081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