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835A -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 Google Patents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835A
KR20180012835A KR1020180005826A KR20180005826A KR20180012835A KR 20180012835 A KR20180012835 A KR 20180012835A KR 1020180005826 A KR1020180005826 A KR 1020180005826A KR 20180005826 A KR20180005826 A KR 20180005826A KR 20180012835 A KR20180012835 A KR 20180012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ire
pet bottle
waste pe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7371B1 (ko
Inventor
성현준
Original Assignee
성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현준 filed Critical 성현준
Priority to KR102018000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3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62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PET병을 활용한 화재 안전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제품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시 쉽고 빠르게 착용 가능한 마스크를 만들어 거주자를 화연과 유독가스로부터 보호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PET병을 활용한 화재 안전 마스크는, 폐PET병의 절단을 통해 마개가 결합된 입구 부분이 있는 부분을 마스크 본체로 하고 나머지 부분을 덮개로 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에 물을 흡수하는 재질의 필터를 삽입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에 착용을 위한 밴드를 연결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밴드를 착용자에 걸고 상기 입구 부분을 흡입부로 하여 호흡을 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Safety mask for fire}
본 발명은 화재 시 사용하는 안전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 PET병을 화재 시 사용 가능한 안전 마스크로 재활용함으로써 화연 등의 위험상황에서 생명을 안전하게 구할 수 있는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 시 화연과 유독가스로 인해 의식을 잃거나 사망하는 피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지하철 역사 등 공공장소에 마스크를 비치하고 있으나, 가정에는 화재용 마스크를 구비하지 않아 화재 시 화연과 유독가스로 인한 피해를 줄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화재 발생 시 수건에 물을 적셔 입과 코를 막고 대피할 수 있지만 위험상황에서 수건을 찾는 것이 어렵고 또한 수건에 물을 적시는 것 또한 어렵기 때문에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재용 마스크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03-003656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제품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시 쉽고 빠르게 착용 가능한 마스크를 만들어 거주자를 화연과 유독가스로부터 보호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는, 폐PET병의 절단을 통해 마개가 결합된 입구 부분이 있는 부분을 마스크 본체로 하고 나머지 부분을 덮개로 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에 물을 흡수하는 재질의 필터를 삽입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에 착용을 위한 밴드를 연결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밴드를 착용자에 걸고 상기 입구 부분을 흡입부로 하여 호흡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에 의하면,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 PET병, 필터(손수건), 물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만들어 비용 부담이 없고, 폐 PET병으로 만든 안전 마스크를 수시로 착용하는 연습이 가능하여 위급상황에서 신속한 착용이 가능하므로 거주자를 질식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의 분해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의 제조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에 필터 고정대를 적용한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이하 “안전 마스크”라 약칭함)는, 폐 PET병을 버리지 않고 재활용하는 것을 기술의 시작으로 한 것이며, 즉, 폐 PET병은 본 발명 안전 마스크의 재료인 것이다.
폐 PET병을 절단하여 마스크 본체(10)와 덮개(20)를 만든다. 마스크 본체(1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 마스크로 사용되는 것이고 덮개(20)는 필터(30)에 물을 적실 때 사용되는 것이다. 즉, 필터(30)가 물을 갖고 있는 상태로 마스크 본체(10)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덮개(20)를 사용되지 않고 폐기될 수 있고, 또한, 평상 시 필터(30)의 오염 방지를 위하여 밀폐용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스크 본체(10)와 덮개(20)는 폐 PET병을 2분할로 절단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것이고, 마스크 본체(10)는 입구 및 마개(11)가 있는 부분이고, 덮개(20)는 나머지 부분이다.
마스크 본체(10)가 착용되는 것이므로 폐 PET병의 절단은 마스크 본체(10)의 크기를 먼저 결정하여 적절한 위치를 절단하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10)의 입구는 착용자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반대로 내부 공기를 내뿜을 있도록 흡입부로 사용되고, 이 때, 마개(11)를 열어 입구 전체를 흡입부로 사용하는 방법, 마개(11)에 하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마개(11)를 마스크 본체(11)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흡입부로 사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귀에 걸어 착용될 수 있도록 밴드(12)가 구성된다.
밴드(12)는 귀에 각각 걸리는 한 쌍의 귀걸이 밴드, 머리에 걸리는 하나의 헤드 밴드가 가능하다.
밴드(12)는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고무줄이 사용 가능하다.
마스크 본체(10)는 입구부분이 좁은 형태이기 때문에 필터(30)의 크기를 마스크 본체(10)와 동일하게 한다면 필터(30)가 자연스럽게 마스크 본체(10)의 내부에 자리 잡을 수 있지만, 필터(30)의 위치를 미리 정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10)의 내부에 필터 거치대(13)를 구성할 수 있다.
필터 거치대(13)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마스크 본체(10)의 내주면에 분리 가능한 끼움 또는 부착될 수 있고,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의 턱의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30)가 착용자의 코와 입에 붙지 않고 삽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필터 거치대(13)의 반대쪽에는 필터 고정대(14)(도 4 참고)가 구성될 수 있다.
필터 고정대(14)는 필터(30)를 마스크 본체(10)안에 삽입한 후 필터(30)의 뒤쪽에서 마스크 본체(10)의 내부에 끼워짐으로써 필터(30)를 지지할 수 있고, 링의 형태가 바람직하며, 폐 PET병을 링 형태로 절단하는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폐 PET병은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 고정대는 구부러지면서 마스크 본체(10) 안에 삽입되어 필터(30)를 뒤(착용자쪽)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구부러짐을 막기 위하여 폐 PET병을 링 형태로 절단한 후 일측을 절단하여 절단된 양쪽이 겹쳐지면서 마스크 본체(10)에 자연스럽게 끼워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30)는 화재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바람직하게 손수건, 스폰지이다.
손수건과 스폰지는 물을 흡수하여 담고 있는 특징이 있으며, 따라서, 유해가스의 필터링 효과가 높아 착용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필터(30)는 다른 예로서, 기성품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1회용 마스크를 2개 이상 적층하여 마스크 본체(10) 안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마스크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며, 마스크 본체(10)와 덮개(20)를 분리하고, 마스크 본체(10) 안에 물마스크 본체(10)를 물로 채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필터(30)를 적시기 위한 것이므로 소량의 물을 사용을 채우고 필터(30)를 삽입한 후 덮개(20)를 마스크 본체(10)에 결합하며, 이어서 마스크 본체(10)와 덮개(20)를 흔들어 필터(30)에 물이 스며들도록 한다.
덮개(20)를 마스크 본체(10)에서 분리또는 덮개(10)의 분리와 함께 마개(11)의 분리한 후 마스크 본체(10) 내부의 물을 배출한다.
밴드(12)를 착용자의 귀나 머리에 걸어 착용하고 마스크 본체(10)의 가장자리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10 : 마스크 본체, 11 : 마개
12 : 밴드, 20 : 덮개
30 : 필터,

Claims (5)

  1. 폐 PET병의 절단을 통해 마개가 결합된 입구 부분이 있는 부분을 마스크 본체로 하고 나머지 부분을 덮개로 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에 물을 흡수하는 재질의 필터를 삽입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에 착용을 위한 밴드를 연결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밴드를 착용자에 걸고 상기 입구 부분을 흡입부로 하여 호흡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을 통해 호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를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분리하여 상기 흡입부를 통해 호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 필터와 물을 넣고 상기 덮개로 상기 덮개를 상기 마스크 본체를 밀폐한 후 상기 필터가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필터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KR1020180005826A 2018-01-17 2018-01-17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KR101957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826A KR101957371B1 (ko) 2018-01-17 2018-01-17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826A KR101957371B1 (ko) 2018-01-17 2018-01-17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835A true KR20180012835A (ko) 2018-02-06
KR101957371B1 KR101957371B1 (ko) 2019-03-13

Family

ID=6122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826A KR101957371B1 (ko) 2018-01-17 2018-01-17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9786A1 (en) * 2020-04-14 2021-10-21 Terekas, Uab Method of manufacture of face protection device and face protect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223A (ja) * 1992-03-04 1993-09-24 Hiroshi Sato 緊急避難用防煙手段
KR20030036563A (ko) 2003-04-16 2003-05-09 김중만 화재 현장 탈출용 휴대용 물 젖은 마스크 제조
US20050126566A1 (en) * 2003-09-26 2005-06-16 Stone Gary R. Adaptor for use with drinking tube on protective mask
KR20100124430A (ko) * 2009-05-19 2010-11-29 김돈년 펫트병 마스크
KR20120066702A (ko) * 2010-09-28 2012-06-25 방응직 방연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223A (ja) * 1992-03-04 1993-09-24 Hiroshi Sato 緊急避難用防煙手段
KR20030036563A (ko) 2003-04-16 2003-05-09 김중만 화재 현장 탈출용 휴대용 물 젖은 마스크 제조
US20050126566A1 (en) * 2003-09-26 2005-06-16 Stone Gary R. Adaptor for use with drinking tube on protective mask
KR20100124430A (ko) * 2009-05-19 2010-11-29 김돈년 펫트병 마스크
KR20120066702A (ko) * 2010-09-28 2012-06-25 방응직 방연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9786A1 (en) * 2020-04-14 2021-10-21 Terekas, Uab Method of manufacture of face protection device and face pro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371B1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55370A1 (en) Half facepiece
BRPI0709442B1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respiratória para a face inteira
US4811728A (en) Respirator hood
NO144009B (no) Beskyttelseshjelm mot stoev.
KR101957371B1 (ko)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CN111035870A (zh) 多场景应用可换滤片多重防护组合式面罩
JP2024061814A (ja) 内視鏡用保護具および内視鏡用保護具のキャップ
KR101832801B1 (ko) 헬멧형 방독면
EP3335765A1 (en) Emergency filter system for ventilated hood
KR101547601B1 (ko) 휴대용 방연/방독 마스크
JP4317457B2 (ja) 呼吸用保護具
IT202000013420A1 (it) Mascherina sanitaria a doppia protezione, preferibilmente per il filtraggio di polveri, smog, aerosol, agenti patogeni, virus e similari
KR101793207B1 (ko) 두건형 방독면의 파우치 구조
KR20100007100U (ko) 방한용 마스크
CN111150133A (zh) 一种防护服
JP3110058U (ja) マスク付き医療用フード装置
KR200477907Y1 (ko) 비상용막대
CN212088209U (zh) 一种卫生防疫头罩
KR20050104851A (ko) 화재대피를 위한 휴대용 방연마스크(후드형)
KR20190001328A (ko) 탈부착식 방재 마스크
KR200485320Y1 (ko) 휴대용 방연 마스크
KR102031764B1 (ko) 방연 마스크세트
KR102080261B1 (ko) 유해가스 검출 방독면
KR20130115534A (ko)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KR20160000158U (ko) 대피용 방진방연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