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577A -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577A
KR20180012577A KR1020160095589A KR20160095589A KR20180012577A KR 20180012577 A KR20180012577 A KR 20180012577A KR 1020160095589 A KR1020160095589 A KR 1020160095589A KR 20160095589 A KR20160095589 A KR 20160095589A KR 20180012577 A KR20180012577 A KR 20180012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as
combustor
temperatur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406B1 (ko
Inventor
민병욱
Original Assignee
민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욱 filed Critical 민병욱
Priority to KR102016009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4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6Heat exchange, direct or indir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46Compressors o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0Screws or pistons for moving along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2Hop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을 열분해 처리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류폐기물, 하/폐수슬러지, 축산분뇨, 등을 내부기류순환 및 응축수의 생성으로 배출가스 없이 건조하고 외부공기공급으로 발열시켜 발생되는 건류가스는 건조 및 용융열원으로 활용되고 고형물은 결합제로 활용하여 에너지비용을 대폭 절감시키며, 폐합성수지 등의 가연성쓰레기를 내부기류순환으로 용융하여 결합제의 혼합에 의한 융합기술의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Description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및 장치{A solid fuel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the organic waste}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을 열분해 처리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부패성폐기물을 건조하고 열분해하여 가연성쓰레기의 용융합성에 필요한 결합제의 활용으로 고형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악취가 많고 함수율이 높은 음식물류폐기물 또는 하,폐수슬러지(탈수케익)와 부피가 큰 폐합성수지 등을 내부기류순환 및 응축물의 생성으로 배출가스 없이 건조하고 열분해하여 발생하는 건류가스를 건조 및 합성열원으로 활용하며 잔류물은 결합제의 활용으로 고형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부 환경백서 2012년에 의하면 국내 폐합성수지의 연간 총 발생량 약 400만톤이 매년 발생되고, 폐합성수지를 탄소원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수행한 예가 드물고 체계적이지 못하여 열분해 공정에서는 다량의 배출가스 발생과 과다한 연료비용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이 소각하거나 매립 및 방치되고 있는 실정임.
또한 부패성폐기물은 음식물류폐기물에서 약 400만톤, 하,폐수슬러지에서 약 500만톤, 축산분뇨에서 약 430만톤이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재활용 방식은 퇴비화, 사료화, 바이오가스화 등으로 악취 및 침출수처리와 불안정한 부산물의 발생 등으로 곤란을 겪고 있으며, 유지비용의 증가에 따른 어려움으로 방치되는 사례가 많고 2차환경오염의 악취의 발생으로 혐오시설의 인식에 의한 재활용 처리가 어려운 실정임.
따라서 국내 선행기술 실용신안등록 제20-0480359호의 고형연료의 가스발생기(2)의 경우 중공지지간(205)과 스크레퍼날개(206)의 형성된 위치가 단계적으로 일정하게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열분해공정에서 스크레퍼날개(206)의 회전에 의한 과도한 압축으로 굳게 되고 열분해가 균일하게 이루어 질수 없고 덩어리로 굳어 이송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배출기(3)는 자연적 낙하배출 및 자연적 누적배출을 하고 있으나 원료의 특성에 따라 점질물이 많이 발생되는 관계로 끈기에 의하여 달라붙어 점차 자연적 낙하배출에 막힘이 있고 밀접배출이 어려워 가스누출이 발생되며 단순한 가스발생기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뿐이며, 또한 선행기술의 특허출원 제10-1998-0031811호의 유기성폐기물을 이용한 발효건조방법 및 장치의 경우에는 발효,건조실(1)과 냉각,응축실(11) 사이엔 내부공기 순환급송용 강제급송기구(17)를 설치하여 발생된 응축수는 기외로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예열기를 거처 발효건조실(1)내부로 복귀시켜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 하는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외부기류와의 차단에 의한 압력저하에 의하여 내부기류순환의 저하로 건조촉진이 이루어질 수 없고 산소공급의 저하로 이어져 잔류기류가 정화되기 어려우며 외부열원의 활용으로 에너지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 하고자 열분해공정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되 나선형 교반기에 의한 상향교반 배출장치에 의해서 압축방지 및 배출조정으로 가스추출을 높이고, 건조 및 용융합성 공정에서는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 및 용융합성 하되 누적교반에 의한 산소의 활성으로 악취를 근본적으로 분해하고 열분해 정화된 배출가스의 유입에 의한 압력유지로 건조 및 열분해촉진을 이루며 발생되는 건류가스를 건조열원의 활용으로 에너지비용을 대폭 감소시키는 반면 잔류물의 활용으로 품질 높은 고형연료를 합성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패성폐기물을 가열과 교반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하고, 외부공기 공급으로 발열시키며 압착배출 하는 가스발생방법에 있어서 악취가 많고 함수율이 높은 부패성 폐기물을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하되 저장호퍼(1)에서 누적교반에 의한 산화작용으로 악취를 근본적으로 분해하고 A연소기(501)의 배출구에서 연소열원을 공급받아 가열과 교반에 의하여 발생한 증발기류를 B응축기(503)와 제습기(504)를 거처 냉각응축으로 응축수는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A연소기(501)의 배출구에 유입하여 습기를 함유한 연소열원을 건조열원으로 활용한 후 다시 A응축기(502)에서 냉각응축 시켜 응축수는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건조기 내부의 유입으로 복귀되어 내부기류순환건조가 이루어지고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기 내부 공간의 A온도쎈서(507)의 온도감지에 의한 열원공급을 중단 및 조정할 수 있는 건조기(5)단계와 건조물을 외부공기공급으로 발열시켜 열분해 시키는 입형의 열분해가스기에 있어서 내부에 나선형 A교반기(901)에 의하여 상향방향으로 교반시켜 반대의 나선형방향으로 하향낙하이송 되고 하부의 A스크류날개(909)에 의해 배출조정 되며 발생되는 가스는 A연소기(501) 내부의 유입으로 연소시키고 연소기 내부의 B온도쎈서(511)의 감지에 의하여 온도제어를 할 수 있는 가스기(9)단계와 또 다른 외부공기공급으로 재 발열시키고 압착배출 시키는 입형의 가스추출기에 있어서 상측은 낙하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은 압축교반으로 배출시키되 하측 나선형 B교반기(1101)에 의하여 다시 상향방향으로 교반시켜 반대의 나선형방향으로 하향낙하 이송되어 B스크류(1105)에 의해 배출 조정되고 발생 및 추출되는 가스는 또 다른 B연소기(1401)의 배출구로 유입시켜 연소시키며 B연소기(1401) 내부의 D온도쎈서(1407)의 감지에 의하여 온도제어를 할 수 있는 추출기(11)단계와 가연성쓰레기를 투입하여 용융합성 시키는 합성기에 있어서 상기의 B연소기(1401)의 배출구를 통해 연소열원을 공급받아 가열교반에 의한 용융으로 발생되는 증발기류를 B연소기(1401)의 배출구에 유입시켜서 연소열원이 혼합되어 합성기(14)의 용융열원으로 사용된 후 C응축기(1402)에 의하여 냉각응축 시켜 응축물을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합성기(14) 내부의 유입으로 복귀되어 내부기류순환으로 용융되며 용융이 완료되면 합성기(14)의 내부공간에 또 다른 C온도쎈서(1404)의 감지에 의해서 용융열원을 중단 및 조정되고 상기 추출기(11)를 거친 고형물의 공급으로 교반에 의하여 냉각 합성시켜주는 합성기(14)단계의 포함으로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이 제공되며,
또한 부패성폐기물을 가열과 교반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하고, 외부공기 공급으로 발열시키며 압착배출 하는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가스기(9) 내부에 교반기를 형성하되 A교반기(901)의 A중공관(904) 나선형 위치에 A중공지지봉(902)을 연통고정하고 A나선형교반날개(908)를 접촉 고정하며 그 하부에 A스크류날개(909)를 접촉고정하여 A중공관(904)의 중공으로 공기유입관(903)이 설치되며 중공을 통해 냉각수입구(905)와 냉각수출구(906)로 냉각수를 통과 할 수 있으며 공기유입관(903)을 통해 외부공기공급으로 발생되는 건류가스는 A연소기(501)의 A가스유입구(508)에 유입하여 연소시키며 B온도쎈서(511)의 감지에 의하여 온도제어를 하는 가스기(9)단계와 그리고 추출기(11)는 내측 하부에 교반기를 형성하되 B교반기(1101)의 B중공관(1102)에 나선형으로 연통 고정된 B중공지지봉(1103)에 의해 B나선형교반날개(1104)가 접촉 고정되며 그 하부에 접촉 고정된 B스크류날개(1105)를 형성하고, B중공관(1102)의 중공을 통해 공기유입구(1106)를 통하여 다수의 공기배기공(1107)으로 외부공기가 발열층(1110)중앙으로 분산 공급되며 발생 및 추출되는 건류가스는 B연소기(1401)의 B가스유입구(1405)에 유입하여 연소시키며 D온도쎈서(1407)의 온도감지에 의하여 온도제어가 되고 최종 잔류고형물은 5차스크류(12)를 통해 B저장공급기(13)을 거처 C연동이송기(1301)을 통해 합성기(14)내부로 유입하는 추출기(11)단계와, 건조기(5)는 상기의 A연소기(501)를 통해 건조열원을 공급받고, 가열과 교반에 의한 증발기류는 순환송풍기(512)의 연통작동으로 B응축기(503)를 거치고 제습기(504)를 거치며 A연소기(501)의 A잔류기류유입구(509)를 거처서 A가열관(506)에 유입과 유출되고 A응축기(502)를 거처 생성된 응축수는 기외로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건조기(5)내부의 복귀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하며 A온도쎈서(507)의 온도감지에 의한 열공급을 중단 및 조정하는 건조기(5)단계와 그리고 합성기(14)는 상기의 B연소기(1401)를 통해 용융열원을 공급받고, 가열과 교반에 의한 건류가스는 B연소기(1401)의 B잔류가스유입구(1408)를 통해 B가열관(1403)에 유입과 유출되고 C응축기(1402)를 거처 생성된 응축물은 기외로 배출하며 잔류기류는 합성기(14)내부의 복귀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으로 용융 합성되며 C온도쎈서(1404)의 온도감지에 의한 공기유입구(1106)를 통하여 외부공기공급 조정에 의한 온도제어를 하는 합성기(14)단계를 포함으로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공기 공급으로 열분해 하는 공정에서 나선형 교반기에 의한 상향교반으로 압착을 방지할 수 있고 나선형방향으로 원활한 배출촉진이 되며 배출조정 및 가스발생과 추출을 촉진할 수 있으며, 건조공정에서는 잔류기류가 연소열의 혼용으로 열분해 되어 응축수가 정화 되고, 건조물을 열분해 시켜 발생되는 건류가스가 연소되고 연소열원을 건조열원으로 활용하여 에너지소비를 대폭 절감 할 수 있으며, 내부기류순환 및 응축수의 생성으로 배출가스 없이 건조 및 용융합성 할 수 있고 최종잔류물은 결합제의 활용으로 탄소율이 높아 품질 높은 고형연료를 생산하는 효과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평면배치도.
도 3은 도2의 일부를 발취한 가스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2의 일부를 발취한 추출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도2의 일부를 발취한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도2의 일부를 발취한 합성기의 종단면도.
도 7은 도2의 일부를 발취한 정량공급기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한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모식도로서 음식물류폐기물 및 하,폐수슬러지를 투입하고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하며 발생되는 응축수는 배출하고 건조물은 열분해 하며 열분해가스의 연소열원의 일부는 건조열원 및 응축수 변환전의 분해열원으로 활용되는 한편 폐합성수지 등 가연성쓰레기가 투입되고 나머지 일부의 연소열원이 내부기류순환으로 용융되며 발생되는 응축수는 배출하고 열분해 고형물과 혼합합성 하여 고형연료로 생산 되는 추진체계의 모식도이다.
도2~도6에서 살펴보면 악취가 많고 함수율이 높은 음식물류폐기물 또는 하폐수슬러지(탈수케익) 또는 축산분뇨를 저장호퍼(1)에서 저장 공급하되 누적교반에 의한 자체함유한 산소를 활성화 시켜서 산화에 의한 악취를 분해시키고 1차스크류(2)를 거처 2차스크류(3)를 통하여 장거리 이송을 할 수 있으며, 회분식공급기(4)에서 건조용량에 필요한 용량을 회분식으로 공급하고. A연동이송기(401)를 통해 건조기(5)내부에 유입되며, 건조기(5)는 유입 받은 내용물을 A연소기(501)에서 건조열원을 공급받아 가열하고 교반에 의한 작동으로 발생되는 증발기류는 순환송풍기(512)의 흡입과 배출작동에 의해 연통된 B응축기(503)를 거치고 제습기(504)를 거처 응축효율을 높이는 반면 A연소기(501)의 A잔류기류유입구(509)에 유입되어 연소열원에 의하여 열분해 및 습기를 함유한 건조열원을 만들어 주며 A가열관(506)의 유입으로 습기에 의한 열전도촉진 및 가열에 의한 냉각을 할 수 있으며 A응축기(502)를 거처 다시 냉각응축 되고 응축수는 기외로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건조기(5)내부에 복귀되어 저습의 잔류기류에 의한 고습의 증발기류의 혼입이 이루어지고 기류압력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이 촉진되는 건조가 이루어져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기(5)내부에 습도가 낮아져 열전도의 저하에 의한 온도가 내려가 A온도쎈서(507) 감지에 의한 하강온도의 목표로 공기유입관(903)을 통하여 외부공기공급을 조정하거나 또는 가스기(9)에서 발생되는 가스유입(미표시)의 제한을 통해 온도제어를 할 수 있으며 열공급을 중단 및 조정 할 수 있는 건조기단계와, 건조물은 B연동이송기(505)를 통해 저장공급기(6)에 유입되고 3차스크류(7)를 거처 정량공급기(8)의 원료유입구(804)를 통해 유입되며 정량공급기(8)는 C레벨게이지(803)의 감지에 의해서 누적층(805)의 형성으로 고정누적 되고 C교반기(801)의 교반으로 압착되며 스크류(802)의 압착배출에 의한 후방의 가스누출을 방지하고 연통된 가스기(9) 내에서 A레벨게이지(907)의 감지에 의해 고정누적 되고 A불씨유입구(913)을 통해 누적층 중앙에 불씨를 넣고 폐쇄한 후 공기유입관(903)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내부중앙에서 공급되어 발열이 시도되며 발열은 점차 발열층(911)을 이루고 상층은 원료의 계속적인 공급에 의한 A상누적층(910)이 생겨나고, 하층은 계속적인 낙하적재에 의한 A하누적층(912)이 생겨나 발열층(911)의 가스가 자연적 누적층을 통과하여 가스정화가 이루어져 정화된 가스는 A연소기(501)의 A가스유입구(508)에 유입 되어 A점화구(510)을 통해 점화 연소되고 B온도쎈서(511)의 온도감지에 의하여 공기유입관(903)을 통해 외부공기공급의 조정으로 온도제어를 할 수 있으며 발열에 의한 끈기가 많은 고형물은 A교반기(901)에서 A중공관(904)에 나선형방향으로 연통 고정된 A중공지지봉(902)에 의해 A나선형상향교반날개(908)가 접촉고정 되어 나선형 A교반기(901)의 회전에 의하여 나선형방향으로 상향교반 되고 압착을 방지하며 반대의 나선형방향으로 하향 낙하 이송되며 A스크류날개(909)에 의한 정량적인 배출조정이 이루어 질 수 있고 A중공관의 중공을 통한 냉각수입구(905)와 냉각수출구(906)를 통하여 냉각수의 유입으로 A교반기(901)를 열분해부식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가스기단계와, 가스기(9) 단계를 거친 고형물은 4차스크류(10)를 통하여 추출기(11)의 고형물입구(1113)를 통해 유입되고 또 다른 B레벨게이지(1108)의 감지에 의해 고정누적 되며 B불씨유입구(1112)을 통하여 누적층 중앙에 불씨를 넣어 폐쇄하고, B중공관(1102)의 중공과 연통된 공기유입구(1106)를 통해 다수의 공기배기공(1107)을 통하여 누적층 중앙에 외부공기의 공급으로 발열되어 점차 또 다른 B발열층(1110)이 형성되며 가스기(9)에서 1차 처리로 끈기가 적은 고형물은 고형물입구(1113)를 통해 계속적인 낙하공급에 의한 B상누적층(1109)이 형성되어 발생 및 추출되는 가스는 자연적으로 B상누적층을 통과하여 가스정화가 이루어 지고 반대로 낙하적재에 의한 B하누적층(1111)이 형성되어 계속적인 발열과 추출반응에 의한 잔류고형물은 끈기가 없고 작은입자 형태로 밀접배출 되어 가스누출을 방지하고 자체 정화로 발생된 가스는 B연소기(1401)의 B가스유입구(1405)에 유입되어 B점화구(1406)를 통해 점화 연소되며, D온도쎈서(1407)의 온도감지에 의하여 공기유입구(1106)을 통해 또 다른 외부공기공급의 중단 및 조정으로 온도제어를 할 수 있으며 최종고형물은 B교반기(1101)의 B중공관(1102)에 B중공지지봉(1103)이 나선형방향으로 고정 연통되고 B나선형교반날개(1104)가 접촉고정 되어 B교반기(1101)의 회전에 의하여 나선형방향의 상향으로 교반되며 다시 압착을 방지하며 반대로 하향 나선형 방향으로 낙하배출 되고 B스크류날개(1105)에 의하여 배출조정 할 수 있는 추출기(11)단계와, 이렇게 발열이 종료된 고형물은 탄소율이 높은 반면 수분이 없으며 5차스크류(12)를 통해 B저장공급기(13)에 이송되며 C연동이송기(1301)를 통해 합성기(14)에 유입되고, 합성기(14)에서는 미리 폐합성수지 등 가연성쓰레기를 투입하고 B연소기(1401)에서 건조열원을 공급받아 가열하고 교반에 의한 작동으로 발생되는 증발기류는 B연소기(1401)의 B잔류기류유입구(1408)에 유입되어 연소열원에 의하여 열분해 및 저온의 용융열원을 만들어 주며 B가열관(1403)의 유입으로 가열에 의하여 냉각할 수 있으며 C응축기(1402)를 거처 다시 냉각응축 되어 응축물은 기외로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합성기(14) 내부에 복귀시켜 저온의 잔류기류에 의한 고온의 증발기류의 혼입이 이루어져 기류압력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의 촉진으로 용융할 수 있으며 용융이 이루어지면 예열축적으로 합성기(14)내부의 온도가 높아져 C온도쎈서(1404)의 온도감지에 의한 상승온도의 목표로 공기유입구(1106)을 통해 또 다른 외부공기공급의 중단 및 조정하거나 또는 추출기(11)에서 발생한 가스유입(미표시)의 제한으로 열원공급의 중단 및 조정으로 냉각 할 수 있고 냉각교반에 의한 합성입자로 배출하는 합성기(14)단계의 포함으로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배출가스 없이 부패성폐기물 및 가연성쓰레기를 열분해 처리하여 환경보전을 제공하고 잔류물 및 건류가스의 활용으로 경제성을 부여하며 저가의 고형연료를 제조 공급하여 생산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1-----저장호퍼. 2-----1차스크류. 3-----2차스크류. 4-----회분식공급기.
401---A연동이송기,
5-----건조기. 501---A연소기. 502---A응축기. 503---B응축기. 504---제습기. 505-==B연동이송기. 506---A가열관. 507---A온도쎈서. 508---A가스유입구. 509---A잔류기류유입구. 510---A점화구. 511---B온도쎈서. 512---순환송풍기.
6-----A저장공급기. 7-----3차스크류. 8-----정량공급기. 801---C교반기. 802---스크류이송기. 803---C레벨게이지. 804---원료유입구. 805---누적층.
9-----가스기. 901---A교반기. 902---A중공지지봉. 903---공기유입관. 904---A중공관. 905---냉각수입구. 906---냉각수출구. 907---A레벨게이지. 908---A나선형교반날개. 909---A스크류날개. 910---A상누적층. 911---A발열층. 912---A하누적층. 913---A불씨유입구.
10-----4차스크류. 11---추출기. 1101---B교반기. 1102---B중공관. 1103---B중공지지봉. 1104---B나선형교반날개. 1105---B스크류날개. 1106---공기유입구. 1107---공기배기공. 1108---B레벨게이지. 1109---B상누적층. 1110---B발열층. 1111---B하누적층. 1112---B불씨유입구. 1113---고형물입구.
12-----5차스크류. 13-----B저장공급기. 1301---C연동이송기.
14-----합성기. 1401---B연소기. 1402---C응축기. 1403---B가열관. 1404---C온도센서. 1405---B가스유입구. 1406---B점화구. 1407---D온도쎈서. 1408---B잔류가스유입구.

Claims (6)

  1. 부패성폐기물을 가열과 교반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하고, 외부공기 공급으로 발열시키며 압착배출 하는 가스발생방법에 있어서 악취가 많고 함수율이 높은 부패성 폐기물을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하되 저장호퍼(1)에서 누적교반에 의한 산화작용으로 악취를 근본적으로 분해하고 A연소기(501)의 배출구에서 연소열원을 공급받아 가열과 교반에 의하여 발생한 증발기류를 B응축기(503)와 제습기(504)를 거처 냉각응축으로 응축수는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A연소기(501)의 배출구에 유입하여 습기를 함유한 연소열원을 건조열원으로 활용한 후 다시 A응축기(502)에서 냉각응축 시켜 응축수는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건조기 내부의 유입으로 복귀되어 내부기류순환건조가 이루어지고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기 내부 공간의 A온도쎈서(507)의 온도감지에 의한 열원공급을 중단 및 조정할 수 있는 건조기(5)단계와 건조물을 외부공기공급으로 발열시켜 열분해 시키는 입형의 열분해가스기에 있어서 내부에 나선형 A교반기(901)에 의하여 상향방향으로 교반시켜 반대의 나선형방향으로 하향낙하이송 되고 하부의 A스크류날개(909)에 의해 배출조정 되며 발생되는 가스는 A연소기(501) 내부의 유입으로 연소시키고 연소기 내부의 B온도쎈서(511)의 감지에 의하여 온도제어를 할 수 있는 가스기(9)단계와 또 다른 외부공기공급으로 재 발열시키고 압착배출 시키는 입형의 가스추출기에 있어서 상측은 낙하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은 압축교반으로 배출시키되 하측 나선형 B교반기(1101)에 의하여 다시 상향방향으로 교반시켜 반대의 나선형방향으로 하향낙하이송 되어 B스크류(1105)에 의해 배출 조정되고 발생 및 추출되는 가스는 또 다른 B연소기(1401)의 배출구로 유입시켜 연소시키며 B연소기(1401) 내부의 D온도쎈서(1407)의 감지에 의하여 온도제어를 할 수 있는 추출기(11)단계와 가연성쓰레기를 투입하여 용융합성 시키는 합성기에 있어서 상기의 B연소기(1401)의 배출구를 통해 연소열원을 공급받아 가열교반에 의한 용융으로 발생되는 증발기류를 B연소기(1401)의 배출구에 유입시켜서 연소열원이 혼합되어 합성기(14)의 용융열원으로 사용된 후 C응축기(1402)에 의하여 냉각응축 시켜 응축물을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합성기(14) 내부의 유입으로 복귀되어 내부기류순환으로 용융되며 용융이 완료되면 합성기(14)의 내부공간에 또 다른 C온도쎈서(1404)의 감지에 의해서 용융열원을 중단 및 조정되고 상기 추출기(11)를 거친 고형물의 공급으로 교반에 의하여 냉각 합성시켜주는 합성기(14)단계의 포함으로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2. 부패성폐기물을 가열과 교반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하고, 외부공기 공급으로 발열시키며 압착배출 하는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가스기(9) 내부에 교반기를 형성하되 A교반기(901)의 A중공관(904) 나선형 위치에 A중공지지봉(902)을 연통고정하고 A나선형교반날개(908)를 접촉 고정하며 그 하부에 A스크류날개(909)를 접촉고정하여 A중공관(904)의 중공으로 공기유입관(903)이 설치되며 중공을 통해 냉각수입구(905)와 냉각수출구(906)로 냉각수를 통과 할 수 있으며 공기유입관(903)을 통해 외부공기공급으로 발생되는 건류가스는 A연소기(501)의 A가스유입구(508)에 유입하여 연소시키며 B온도쎈서(511)의 감지에 의하여 온도제어를 하는 가스기(9)단계와 그리고 추출기(11)는 내측 하부에 교반기를 형성하되 B교반기(1101)의 B중공관(1102)에 나선형으로 연통 고정된 B중공지지봉(1103)에 의해 B나선형교반날개(1104)가 접촉 고정되며 그 하부에 접촉 고정된 B스크류날개(1105)를 형성하고, B중공관(1102)의 중공을 통해 공기유입구(1106)를 통하여 다수의 공기배기공(1107)으로 외부공기가 발열층(1110)중앙으로 분산 공급되며 발생 및 추출되는 건류가스는 B연소기(1401)의 B가스유입구(1405)에 유입하여 연소시키며 D온도쎈서(1407)의 온도감지에 의하여 온도제어가 되고 최종 잔류고형물은 5차스크류(12)를 통해 B저장공급기(13)을 거처 C연동이송기(1301)을 통해 합성기(14)내부로 유입하는 추출기(11)단계와, 건조기(5)는 상기의 A연소기(501)를 통해 건조열원을 공급받고, 가열과 교반에 의한 증발기류는 순환송풍기(512)의 연통작동으로 B응축기(503)를 거치고 제습기(504)를 거치며 A연소기(501)의 A잔류기류유입구(509)를 거처서 A가열관(506)에 유입과 유출되고 A응축기(502)를 거처 생성된 응축수는 기외로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건조기(5)내부의 복귀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으로 건조하며 A온도쎈서(507)의 온도감지에 의한 열원공급을 중단 및 조정하는 건조기(5)단계와 그리고 합성기(14)는 상기의 B연소기(1401)를 통해 용융열원을 공급받고, 가열과 교반에 의한 건류가스는 B연소기(1401)의 B잔류가스유입구(1408)를 통해 B가열관(1403)에 유입과 유출되고 C응축기(1402)를 거처 생성된 응축물은 기외로 배출하며 잔류기류는 합성기(14)내부의 복귀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으로 용융 합성되며 C온도쎈서(1404)의 온도감지에 의한 공기유입구(1106)를 통하여 외부공기공급 조정에 의하여 온도제어를 하는 합성기(14)단계를 포함으로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음식물류폐기물 또는 하/폐수슬러지(탈수케익) 또는 축산분뇨를 저장호퍼(1)에서 저장 공급하되 누적교반에 의한 자체함유한 산소를 활성화 시켜서 산화에 의한 악취를 분해시키고 1차스크류(2)를 거처 2차스크류(3)를 통하여 장거리 이송을 할 수 있으며, 회분식공급기(4)에서 건조용량에 필요한 용량을 회분식으로 공급하고. A연동이송기(401)를 통해 건조기(5)내부에 유입되며, 건조기(5)는 유입 받은 내용물을 A연소기(501)에서 건조열원을 공급받아 가열하고 교반에 의한 작동으로 발생되는 증발기류는 순환송풍기(512)의 흡입과 배출작동에 의해 연통된 B응축기(503)를 거치고 제습기(504)를 거처 응축효율을 높이는 반면 A연소기(501)의 A잔류기류유입구(509)에 유입되어 연소열원에 의하여 열분해 및 습기를 함유한 건조열원을 만들어 주며 A가열관(506)의 유입으로 습기에 의한 열전도촉진 및 가열에 의한 냉각을 할 수 있으며 A응축기(502)를 거처 다시 냉각응축 되고 응축수는 기외로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건조기(5)내부에 복귀되어 저습의 잔류기류에 의한 고습의 증발기류의 혼입이 이루어지고 기류압력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이 촉진되어 건조가 이루어져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기(5)내부에 습도가 낮아져 열전도의 저하에 의한 온도가 내려가 A온도쎈서(507) 감지에 의한 하강온도의 목표로 열공급을 중단 및 조정 할 수 있는 건조기(5)의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건조물은 저장공급기(6)를 통해 3차스크류(7)를 거처 정량공급기(8)의 원료유입구(804)를 통해 유입되며 정량공급기(8)는 C레벨게이지(803)의 감지에 의해서 누적층(805)의 형성으로 고정누적 되고 C교반기(801)의 교반으로 압착되며 스크류(802)의 압착배출에 의한 후방의 가스누출을 방지하고 연통된 가스기(9) 내에서 A레벨게이지(907)의 감지에 의해 고정누적 되고 A불씨유입구(913)을 통해 누적층 중앙에 불씨를 넣고 폐쇄한 후 공기유입관(903)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내부중앙에서 공급되어 발열이 시도되며 발열은 점차 발열층(911)을 이루고 상층은 원료의 계속적인 공급에 의한 A상누적층(910)이 생겨나고, 하층은 계속적인 낙하적재에 의한 A하누적층(912)이 생겨나 발열층(911)의 가스가 자연적 누적층을 통과하여 가스정화가 이루어져 정화된 가스는 A연소기(501)의 A가스유입구(508)에 유입 되어 A점화구(510)을 통해 점화 연소되고 B온도쎈서(511)의 온도감지에 의하여 공기유입관(903)을 통해 외부공기공급의 중단 및 조정으로 온도제어를 할 수 있으며 발열에 의한 끈기가 많은 고형물은 A교반기(901)에서 A중공관(904)에 나선형방향으로 연통 고정된 A중공지지봉(902)에 의해 A나선형상향교반날개(908)가 접촉고정 되어 나선형 A교반기(901)의 회전에 의하여 나선형방향으로 상향교반 되고 압착을 방지하며 반대의 나선형방향으로 하향 낙하 이송되며 A스크류날개(909)에 의한 정량적인 배출조정이 이루어 질 수 있고 A중공관의 중공을 통한 냉각수입구(905)와 냉각수출구(906)를 통하여 냉각수의 유입으로 A교반기(901)를 열분해부식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가스기(9)의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가스기(9)를 통해 유입되는 고형물은 또 다른 B레벨게이지(1108)의 감지에 의해 고정누적 되며 B불씨유입구(1112)을 통하여 누적층 중앙에 불씨를 넣어 폐쇄하고, B중공관(1102)의 중공과 연통된 공기유입구(1106)를 통해 다수의 공기배기공(1107)을 통하여 누적층 중앙에 외부공기의 공급으로 발열되어 점차 또 다른 B발열층(1110)이 형성되며 가스기(9)에서 1차 처리로 끈기가 적은 고형물은 고형물입구(1113)를 통해 계속적인 낙하공급에 의한 B상누적층(1109)이 형성되어 발생 및 추출되는 가스는 자연적으로 B상누적층을 통과하여 가스정화가 이루어 지고 반대로 낙하적재에 의한 B하누적층(1111)이 형성되어 계속적인 발열과 추출반응에 의한 잔류고형물은 끈기가 없고 작은 입자형태로 밀접배출 되어 가스누출을 방지하고 자체 정화된 가스는 B연소기(1401)의 B가스유입구(1405)에 유입되어 B점화구(1406)를 통해 점화 연소되며, D온도쎈서(1407)의 온도감지에 의하여 공기유입구(1106)을 통해 또 다른 외부공기공급의 중단 및 조정으로 온도제어를 할 수 있으며 최종고형물은 B교반기(1101)의 B중공관(1102)에 B중공지지봉(1103)이 나선형방향으로 고정 연통되고 B나선형교반날개(1104)가 접촉고정 되어 B교반기(1101)의 회전에 의하여 나선형방향의 상향으로 교반되며 다시 압착을 방지하며 반대로 하향 나선형 방향으로 낙하배출 되고 B스크류날개(1105)에 의하여 배출조정 할 수 있는 추출기(11)의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추출기(11)를 거친 고형물은 B저장공급기(13)에서 합성기(14)에 유입되고, 합성기(14)에서는 미리 폐합성수지 등 가연성쓰레기를 투입하고 B연소기(1401)에서 건조열원을 공급받아 가열하고 교반에 의한 작동으로 발생되는 증발기류는 B연소기(1401)의 B잔류기류유입구(1408)에 유입되어 연소열원에 의하여 열분해 및 저온의 용융열원을 만들어 주며 B가열관(1403)의 유입으로 가열에 의하여 냉각할 수 있으며 C응축기(1402)를 거처 다시 냉각응축 되어 응축물은 기외로 배출하고 잔류기류는 합성기(14) 내부에 복귀시켜 저온의 잔류기류에 의한 고온의 증발기류의 혼입이 이루어져 기류압력에 의한 내부기류순환의 촉진으로 용융할 수 있으며 용융이 이루어지면 예열축적으로 합성기(14)내부의 온도가 높아져 C온도쎈서(1404)의 온도감지에 의한 상승온도의 목표로 공기유입구(1106)를 통해 외부공기 공급의 중단 및 조정으로 온도제어를 할 수 있고 냉각교반에 의한 합성입자로 배출하는 합성기(14)의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장치.
KR1020160095589A 2016-07-27 2016-07-27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8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89A KR101986406B1 (ko) 2016-07-27 2016-07-27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89A KR101986406B1 (ko) 2016-07-27 2016-07-27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77A true KR20180012577A (ko) 2018-02-06
KR101986406B1 KR101986406B1 (ko) 2019-09-27

Family

ID=6122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589A KR101986406B1 (ko) 2016-07-27 2016-07-27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505A (ko) *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가이아 커피 부산물을 이용한 바이오 펠릿과 그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496A (ko) * 2002-10-26 2004-04-30 윤종호 부패성 유기물 고체연료 제조방법, 장치 및 그 고체연료의연소 가열장치
KR20060008584A (ko) * 2004-07-21 2006-01-27 삼원바이오(주) 유기성 폐기물에 의한 고체 연료, 이를 이용한 연소 방법및 장치
KR20090111979A (ko) * 2008-04-23 2009-10-28 주식회사 대인기계공업 유기성 및 가연성 폐기물 종합처리 시스템
KR20110026927A (ko) * 2009-09-09 2011-03-16 민병욱 부패성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처리로 폐자원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20120073168A (ko) * 2012-05-17 2012-07-04 민병욱 부패성폐기물 가스화 연소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496A (ko) * 2002-10-26 2004-04-30 윤종호 부패성 유기물 고체연료 제조방법, 장치 및 그 고체연료의연소 가열장치
KR20060008584A (ko) * 2004-07-21 2006-01-27 삼원바이오(주) 유기성 폐기물에 의한 고체 연료, 이를 이용한 연소 방법및 장치
KR20090111979A (ko) * 2008-04-23 2009-10-28 주식회사 대인기계공업 유기성 및 가연성 폐기물 종합처리 시스템
KR20110026927A (ko) * 2009-09-09 2011-03-16 민병욱 부패성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처리로 폐자원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20120073168A (ko) * 2012-05-17 2012-07-04 민병욱 부패성폐기물 가스화 연소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505A (ko) *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가이아 커피 부산물을 이용한 바이오 펠릿과 그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406B1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9329B2 (ja) 減圧連続熱分解処理装置及び減圧連続熱分解方法
KR20080110969A (ko) 슬러지 건조와 탄화장치
CN102476907A (zh) 一种快速高效、环保节能污泥处理系统的设备及方法
CN106694538A (zh) 一种污泥微波气化残渣靶向修复有机污染土壤的系统及方法
WO20050639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ixed organic waste
JP4478441B2 (ja) 畜糞の乾燥物及び炭化物の製造設備
KR200284019Y1 (ko)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설비와 폐플라스틱의유화설비
KR101051093B1 (ko) 상압에서 유중증발기술을 이용한 고함수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JP2008238129A (ja) 汚泥の炭化処理設備
KR100845131B1 (ko) 회분식 건조와 입형 탄화방식에 의한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장치
KR20180012577A (ko) 유기성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JP2012224677A (ja) 湿潤バイオマスの炭化処理システム及び炭化処理方法
US201302917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heat through gasification of biomass
KR20020052173A (ko) 부산물 및 폐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 및 장치
JP4355667B2 (ja) 畜糞を原料とする有価物の製造方法
KR101180912B1 (ko) 폐수 슬러지의 소각장치
US2147151A (en) Drying and incineration of moist materials
CN108675613A (zh) 一种工业污泥裂解的工艺系统及方法
CN202973115U (zh) 一种升降螺旋式进料装置
JP2008298418A (ja) 有機物の燃焼化装置及び燃料化方法
CN202968331U (zh) 一种污泥焚烧炉
CN202973114U (zh) 一种矩形联体多层空心安息角炉排焚烧炉
KR20100040079A (ko) 가연성 또는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 장치
JP2002235913A (ja) 廃棄物と汚泥の混合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648223B1 (ko) 유기물 건조 및 열분해 교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