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474A -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474A
KR20180012474A KR1020160095335A KR20160095335A KR20180012474A KR 20180012474 A KR20180012474 A KR 20180012474A KR 1020160095335 A KR1020160095335 A KR 1020160095335A KR 20160095335 A KR20160095335 A KR 20160095335A KR 20180012474 A KR20180012474 A KR 20180012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vibration
impaired person
hearing impaired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채
이건호
김신비
이학주
정민경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474A/ko
Publication of KR2018001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1/16Transforming into a non-visible repres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각장애인이 자신의 목소리 크기를 주변 상황에 맞게 발성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는, 청각장애인의 신체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소리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어하고, 진동발생 여부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청각장애인의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진동발생부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 VOICE CONTROL DEVICE FOR HEARING IMPAIRED PERSON }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각장애인이 자신의 목소리 크기를 주변 상황에 맞게 발성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각 장애인은 소리를 듣는 기관에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장애를 입어 음향을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청각 장애도 장애 정도에 따라 단계가 나뉘어 있는데, 크게 나누면,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거나 잔존 청력이 있다 해도 소리만으로는 의사 소통이 불가능한 경우를 '농'이라 하고, 보청기와 같은 기구의 도움을 통해 잔존 청력을 사용하여 의사 소통이 가능한 경우를 '난청'이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사고 등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고막 등에 입은 상처로 인하여 청력이 손실되었다가 상처가 나으면서 청력이 정상으로 되돌아오는 경우라 하여도, 청력이 손실되어 있는 동안에는 이 사람도 일시적 청각 장애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청력이 정상적인 수준으로 복구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경우는 영구적 청각 장애라고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영구적 청각 장애를 가진 사람을 가리켜 청각 장애인이라고 한다.
이러한 청각 장애인들에게 있어서,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청각과 관련된 여러 상황들을 일반인과 같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은, 농인인 경우에는 당연히 불가능하며, 난청인인 경우에도 보청기 등을 사용한다 하여도 일반인에 비하여 그 인식 수준이 현저히 떨어진다.
특히 선천적인 청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소리 자극이라는 것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개념 자체가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더욱 이러한 인식 수준이 떨어지게 됨은 당연하다.
일반적으로 청각장애인들은 외부 소리를 잘 듣기 위해 보청기를 사용한다.
보청기는 외부 소리를 증폭시켜 무슨 소리든 잘 들리게 해주지만, 청각장애인이 말하는 목소리 또한 크게 증폭시킨다.
이로 인해, 청각장애인들은 조용한 상황에서 큰 소리로 말하기도 하고 시끄러운 상황에서 작은 소리로 말하기도 하여, 제대로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고충을 겪고 있다.
이런 문제의 반복으로 청각장애인은 대화에 자신감이 떨어지고 공동생활을 피하게 되어 점점 고립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1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218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크기가 주변 상황에 맞지 않을 경우 이를 진동을 통해 알려주어 청각장애인이 보다 신속하게 주변 상황에 맞는 본인의 목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는, 청각장애인의 신체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소리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어하고, 진동발생 여부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청각장애인의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진동발생부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청각장애인의 목에 결합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주변소리의 크기를 기준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청각장애인의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를 통해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시킨다.
청각장애인의 귀에 장착되는 보청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보청기의 소리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버튼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보청기 또는 상기 본체에는 마이크가 장착되고, 상기 보청기는 휴대폰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보청기 및 마이크를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크기가 주변 상황에 맞지 않을 경우, 진동발생부에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청각장애인이 보다 신속하게 주변 상황에 맞는 본인의 목소리 크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도면.
본 발명의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는, 본체(10)와, 진동발생부(20)와, 측정부(30)와,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청각장애인의 신체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본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대략 'C'형상으로 이루어져 청각장애인의 목이 걸쳐져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진동발생부(2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발생부(20)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0)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발생부(20)는 1개로 이루어져 진동을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발생부(20)는 사용자의 목에 직접 접촉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이격된 상태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 측정부(3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외부의 소리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10)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발생부(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진동발생부(20)가 진동을 발생시킬 것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이 되는 기준값을 설정한다.
이러한 상기 기준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부(30)를 이용하여 측정된 주변소리의 크기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에는 설정버튼(35)이 장착되고, 상기 설정버튼(35)을 누르게 되면 상기 측정부(30)에서는 주변의 소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측정부(30)에서 측정한 주변소리의 크기를 기준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측정부(30)에서 측정한 청각장애인의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진동발생부(20)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즉 청각장애인은 본인의 목소리가 현재 주변의 소리 크기와 비슷한지 여부를 쉽게 파악하여 본인의 목소리 크기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측정부(30)에서 측정한 청각장애인의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20)를 통해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위와 같이,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에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청각장애인은 본인의 목소리가 주변의 소리보다 큰지 작은지 여부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의 귀에 장착되는 보청기(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보청기(50)의 소리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버튼(15)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10)와 보청기(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보청기(50) 또는 상기 본체(10)에는 마이크(60)가 장착되고, 상기 보청기(50)는 휴대폰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보청기(50) 및 마이크(60)를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청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설정버튼(35)을 눌러 기준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버튼(35)이 눌리면, 상기 측정부(30)는 주변 소리를 측정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측정부(30)에서 측정한 주변 소리의 크기를 기준값을 설정하게 된다.
그 후, 청각장애인이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할 때, 상기 측정부(30)에서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40)는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진동발생부(20)를 작동시킨다.
상기 진동발생부(20)가 작동되게 되면 진동이 사용자의 목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인의 목소리의 크기가 주변 상황에 맞지 않다는 것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발생부(20)에서는 상기 측정부(30)에서 측정한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1진동을 발생시키고,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진동과 다른 미리 설정된 제2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의 목소리 크기가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볼륨버튼(15)을 이용하여 보청기(50)의 소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60) 및 보청기(50)를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청각장애인들이 본인의 목소리를 크기를 주변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단체생활에서 자신감을 얻고 좀 더 생활을 윤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5 : 볼륨버튼,
20 : 진동발생부, 30 : 측정부,
35 : 설정버튼, 40 : 제어부,
50 : 보청기, 60 : 마이크.

Claims (6)

  1. 청각장애인의 신체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소리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어하고, 진동발생 여부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청각장애인의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진동발생부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청각장애인의 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주변소리의 크기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청각장애인의 목소리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설정범위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를 통해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청각장애인의 귀에 장착되는 보청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보청기의 소리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버튼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또는 상기 본체에는 마이크가 장착되고,
    상기 보청기는 휴대폰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보청기 및 마이크를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KR1020160095335A 2016-07-27 2016-07-27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KR20180012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335A KR20180012474A (ko) 2016-07-27 2016-07-27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335A KR20180012474A (ko) 2016-07-27 2016-07-27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474A true KR20180012474A (ko) 2018-02-06

Family

ID=6122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335A KR20180012474A (ko) 2016-07-27 2016-07-27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4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567A (ko) * 2020-01-30 2021-08-09 정도영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567A (ko) * 2020-01-30 2021-08-09 정도영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773B2 (en) Hearing aid device for hands free communication
EP3057337A1 (en)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separate microphone unit for picking up a users own voice
JP2017535204A (ja) 自身の声を迅速に検出する方法と装置
JP6400796B2 (ja) 着用者の状態を知らせる聴音補助装置
US20160127829A1 (en) Self-voice occlusion mitigation in headsets
KR20180012474A (ko)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제어 장치
US10200795B2 (en)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KR20180016812A (ko) 스마트폰 용 탈부착 골전도 통화기
JP6594096B2 (ja) 補聴器を用いた会話支援システム
US9538295B2 (en) Hearing aid specialized as a supplement to lip reading
JP2002062886A (ja) 感度調整機能を有する音声受信装置
Kumar et al. Hearing impaired aid and sound quality improvement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
KR20200066913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목소리 크기 감지 장치
US20220369050A1 (en) Advanced assistance for prosthesis assisted communication
EP2835983A1 (en) Hearing instrument presenting environmental sounds
KR20170071364A (ko) 보청기 및 음원 출력 장치의 자가 피팅 방법
KR101821671B1 (ko)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US8811641B2 (en) Hearing aid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id device
JP2003284194A (ja) 補聴器
GB190901420A (en)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Assisting the Deaf to H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