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988A -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 Google Patents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988A
KR20180011988A KR1020160094637A KR20160094637A KR20180011988A KR 20180011988 A KR20180011988 A KR 20180011988A KR 1020160094637 A KR1020160094637 A KR 1020160094637A KR 20160094637 A KR20160094637 A KR 20160094637A KR 20180011988 A KR20180011988 A KR 20180011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ring box
wiring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919B1 (ko
Inventor
최태식
김종희
Original Assignee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9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inths, channels, raceways or simil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대의 형상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주배선과 적어도 하나의 분기용 배선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배선박스에 있어서, 상기 배선박스는 상기 배선박스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고정부재는 복 수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배선박스의 하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구와, 복 수개의 슬릿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지지대의 벽면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구조물에 착탈이 용이함에 따라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지지구조물의 형상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하여 자재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이 간편함에 따라 시간과 인력이 보다 감축되어 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APPARATUS FOR FIXING THE ELECTRIC BOX USING ELASTIC FORCE}
본 발명은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선작업시 사용되는 배선박스에 있어서, 대부분의 배선용 박스는 천장 또는 바닥 등에 설치할 때, 별도의 고정부재가 구비되지 않아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장소에 직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볼트 등의 고정수단은 설치장소의 벽면에 설치하거나 별도의 설치용 부재를 더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도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별도의 부재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도 늘어나는 불편 함이 있었다.
또한, 배선작업을 위하여 설치 장소에 별도로 설치하는 구조물등에 부착하기 난해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선박스를 이전 설치된 구조물 등에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부재가 구비된 기술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지만, 직경이 얇은 환봉(예를 들면, 철근)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위와 같이 배선박스가 고정되는 구조물은, 예를 들면, 상면이 개방된 M형, 측면이 개방된 C형, T형등 다양한 바 형상의 구조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선박스가 설치되는 지지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거나 배선박스의 형상을 변형시키기에 시공이 번거롭고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1739호(2010.12.30 등록)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선박스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형상에 거의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대의 형상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을 제안하기 위하여, 주배선과 적어도 하나의 분기용 배선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배선박스에 있어서, 상기 배선박스는 상기 배선박스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복 수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구 및 상기 복 수개의 슬릿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지지대의 벽면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에서 상기 탄성부와 대항된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한쪽 벽면에 밀착되는 절곡된 지지절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릿에 걸림되도록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배선박스의 하면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의 벽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주배선과 적어도 하나의 분기용 배선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배선박스에 있어서,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 양측에서 각각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의 벽면을 가압하여 상기 배선박스를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의 한쪽을 가압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대향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의 반대쪽을 가압하는 이동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이동부 사이에 고정되어 지지대의 벽면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 가이드판, 상기 고정 가이드판에서 절곡된 양면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지지대의 벽면에 밀착되는 고정 절곡판 및 상기 고정 절곡판에서 상기 이동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1지지봉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 상기 슬라이딩판에서 절곡되고, 양면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지지대의 벽면을 가압하는 이동 절곡판 및 상기 이동 절곡판에서 상기 가이드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2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면에서 상기 슬라이딩판을 안내하도록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봉 및 제2지지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 상기 탄성 스프링이 끼움되는 외면에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 양측에서 정렬되는 복 수개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배선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와 이동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대에 밀착되는 양면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형성된 복 수개의 마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와 가이드부의 상호 대향된 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고리에 양측 끝단이 걸림 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주배선 또는 분기배선이 인출입되도록 절개된 절개구, 상기 절개구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절개구로 인출입되는 주배선 또는 분기배선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배선지지부 및 상기 배선지지부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지지부는 상기 고정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배선과 분기배선중 적어도 하나는 주름관 배선 구조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선박스는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구조물에 착탈이 용이함에 따라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지지구조물의 형상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시 자재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이 간편함에 따라 시간과 인력이 보다 감축되어 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선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대의 형상별로 설치되는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지지대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지지대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선박스의 적용 형태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00)와, 주배선(A)과 적어도 하나의 분기용 배선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부(140)를 수용하는 배선박스(100)와, 배선박스(100)를 지지대(200)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지지대(200)는 다 수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 및/또는 단독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대(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대(200)는 상면이 개방된 M형과, 측면이 개방된 C형과, T형 바로 이루어진 지지대(200)중 어느 하나이다. 도 1 및 도 2는 상면이 개방된 M형의 지지대(200)를 일예로 도시되었다.
제1고정부재(300)는 배선박스(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가이드부(310)와, 제1가이드부(310)를 배선박스(100)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구(330)와, 제1가이드부(310)에 체결되어 지지대(200)의 벽면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320)를 포함한다. 상세한 구성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고정부재의 제1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가이드부(310)는 배선박스(100)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판 형상의 가이드판(311)과, 가이드판(311)의 한쪽 끝단에서 절곡되어 탄성부(320)와 대향된 위치에서 지지대(200)의 한쪽 벽면에 밀착되는 지지절곡판(313)과, 가이드판(311)에서 절개 형성된 복 수개의 슬릿(312)과, 제1고정구(33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314)을 포함한다.
가이드판(311)은 배선박스(100)의 하면과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절곡판(313)은 가이드판(311)의 한쪽 끝단에서 절곡된다. 여기서 지지절곡판(313)은 탄성부(320)와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대(200)의 벽면에 밀착되는 외면에서 복 수개의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슬릿(312)은 가이드판(311)에서 절개되어 복 수개가 형성된다. 슬릿(312) 간의 간격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되거나 동일한 간격과 다른 간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체결홀(314)은 가이드판(311)의 양측에서 제1고정구(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가 체결된다.
제1고정구(330)는 가이드판(311)의 체결홀(314)에 삽입되어 가이드판(311)을 배선박스(100)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수단(331)과, 가이드판(311)과 배선박스(100)의 하면 사이를 이격시키는 제1이격수단(3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격수단(332)은 가이드판(311)과 배선박스(100) 사이에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와셔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고정수단(331) 및 제1이격수단(332)은 리벳을 적용함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제1고정구(330)는 가이드판(311)을 배선박스(100)의 외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탄성부(320)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강으로 제조되어 제1가이드부(310)의 슬릿(312)을 통하여 체결된다.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탄성부(32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탄성부(320)는 제1가이드부(310)와 배선박스(100)의 하면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헤드(321)와, 헤드(321)에서 하향 연장되어 지지대(200)의 벽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는 가압판(322)을 포함한다.
헤드(321)는 일측 또는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선박스(100)의 하면과 제1가이드부(310) 사이의 이격된 공간 사이로 슬라이딩된다.
가압판(322)은 헤드(321)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술한 지지절곡판(313)과 대향된 위칭에서 지지대(200)의 다른 벽면을 가압한다.
즉, 탄성부(320)는 복 수개의 슬릿(312)중 지지대(200)의 양측 벽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슬릿(312)에 가압판(322)이 삽입된다. 그리고, 헤드(321)는 제1가이드부(310)와 배선박스(100) 하면 사이로 슬라이딩 된다. 가압판(322)은 헤드(321)가 슬릿(312)의 외주면에서 걸림된 상태에서 억지끼움식으로서 지지대(2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인입됨에 따라 지지대(200)의 벽면을 탄성력으로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로, 가압판(322)은 지지대(200)에 밀착되는 외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선박스(100)는 일방향에서 인입되는 주배선(A)을 분기시키는 커넥터부(140)를 수용하는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선박스(100)는 바닥판의 각 변에서 직립된 벽면으로 구성되어 내측에서 공간을 이루는 본체(110)와, 주배선(A)을 적어도 하나의 분기배선(B)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부(140)와, 주배선(A) 및/또는 분기배선(B)을 본체(110)에 고정시키는 배선지지부(120)와, 배선지지부(120)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구(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상부가 밀폐되고,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직립된 벽면을 이루어져 커넥터부(1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본체(110)는 벽면들 중에서 주배선(A)과 적어도 하나의 분기배선(B)이 인출입되도록 절개된 절개구(111)와, 제2고정구(130)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112)을 포함한다.
절개구(111)는 본체(110)로 인출입되는 주배선(A) 및 분기배선(B)의 숫자에 따라 설치 갯수가 가변된다. 여기서, 절개구(111)는 본체(110)의 벽면을 'U'자형으로 절개함에 따라 ACF와 같은 금속 주름관 형태의 배선관(도시되지 않음)을 장착할 경우에 별도의 고정 연결구(도시되지 않음) 등이 없어도 주름관의 오목한 부분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주름관은 표면에 오목홈이 다 수 형성되었기에 절개구(111)의 단면에 걸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선박스에 연결되는 배선을 주름관으로 적용할 경우에 외부의 충격이 흔들림과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되어도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지지부(120)는 절개구(111)와 배선(A, B)간의 직경 차이에 의하여 이격을 대응하기 위하여 절개구(111)의 직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배선지지부(120)는 주름관 및 그외 모든 배선을 별도의 부시 형태의 고정 연결구등이 없어도 유동이나 이탈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배선지지부(120)는 절개구(111)의 직경을 조절하도록 벽면에 이동가능 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배선지지부(120)는 일방향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장공(121)을 포함한다.
배선지지부(120)는 절개구(111)가 인접된 벽면에 제2고정구(130)에 의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제2고정구(130)는 장공(121)을 통하여 삽입되어 고정홀(112)에 체결된다. 이때 배선지지부(120)는 장공(121)을 통해 삽입된 제2고정구(130)가 완전 고정된 상태가 아닌 단순 체결된 상태일 경우에 장공(121)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배선지지부(120)는 절개구(111)를 통하여 인입된 주배선(A)의 직경이 절개구(111)의 직경보다 적다면, 절개구(111)측으로 이동되어 주배선(A)의 일측에 밀착된다. 그리고, 배선지지부는 제2고정구(130)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완전 고정된다.
커넥터부(140)는 인입된 주배선(A)(예를 들면, 케이블)에서 인출된 복 수개의 전선이 연결되는 주배선 연결단자(141)와, 분기용 배선이 연결되는 복 수개의 분기용 커넥터(143)과, 주배선 연결단자(141) 및 분기용 커넥터(143)를 지지하는 기판(142)을 포함한다.
주배선 연결단자(141)는 기판(142)을 통하여 분기용 커넥터(143)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주배선 연결단자(141)와 분기용 커넥터(143)는 주배선(A)과 분기용 배선(B)에서 인출된 전선의 외피를 제거하지 않고, 기판을 통하여 주배선(A)과 분기배선(B)간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무탈피 결선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무탈피 결선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는 배선박스(10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연결되는 양측의 전선을 절단상태에서 결선할 필요가 없이 연속 상태의 주름관 외피만을 벗겨내고 결선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면, 무탈피 결선 커넥터는 전선과 기판(142)의 연결단자를 통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칼날이 전선의 내측으로 침투되어 도선에 밀착된다. 따라서, 주배선(A)에서 인출된 전선과 분기배선(B)에서 인출된 전선은 기판과 통전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선박스는 무탈피 결선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지지대(200)에 배선박스(100)가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되, 도 2에 도시된 상면이 개방된 M형의 지지대(200)가 적용된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배선박스(100)의 하면에서 제1고정구(330)를 제1가이드부(310)의 체결홀(314)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제1이격수단(332)을 제1가이드부(310)와 하면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고정구(330)를 체결홀(314) 및 제1이격수단(332)으로 연통시켜 제1가이드부(310)를 배선박스의 하면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1가이드부(310)는 제1이격수단(332)에 의해 배선박스(100)의 하면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작업자는 지지대(200)의 양측 벽면 사이의 거리(예를 들면, 도 2의 지지대(200)의 양측 선단(22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절곡판(313)과 탄성부(320)간의 간격이 지지대(200)의 양측 벽면 사이의 거리보다 긴 거리를 갖도록 복 수개의 슬릿(312)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작업자는 선택된 슬릿(312)에 탄성부(320)를 삽입하여 헤드(321)를 배선박스(100)의 하면과 제1가이드부(310) 사이로 슬라이딩시켜 설정된 위치로 가압판(322)을 이동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가압판(322)과 지지절곡판(313)이 상호 대향 되도록 위치되면, 지지대(2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가압판(322)과 지지절곡판(313)을 억지 끼움 한다. 따라서, 가압판(322)과 지지절곡판(313)은 지지대(200)의 양측 벽면(또는 양측 선단(210))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가압판(322)과 지지절곡판(313)은 각각 복 수개의 마찰돌기가 더 구비됨에 따라 마찰력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지지대(200)중에서, 상면이 개방된 M형의 지지대(200) 외에 측면이 개방된 C형의 지지대(200')와, 'T'형의 지지대(200'')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가 C형의 지지대에 체결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C형의 지지대(200')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측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로 본 발명의 제1고정부재(300)가 체결된다. 즉, 배선박스(100)는 C형의 지지대(200')의 개방된 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가압판(322)은 지지절곡판(313)과의 간격이 C형의 지지대(200')의 개방된 측면을 이루는 상단과 하단 사이의 간격보다 긴 거리를 갖도록 복 수개의 슬릿(312)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체결된다.
즉, 가압판(322)과 지지절곡판(313)은 C형의 지지대(200)의 개방된 측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길이보다 더 긴 거리를 갖도록 조립되어 C형 지지대(200')의 개방된 측면에 억지 끼움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가 T형의 지지대(200)에 체결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T형의 지지대(200'')는 편평한 상판(201)의 하측 중심부에서 직립된 직립판(20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절곡판(313)을 상판(201)의 일측, 가압판(322)을 상판(201)의 타측면에 각각 밀착시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압판(322)과 지지절곡판(313) 사이의 간격은 상판(20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간격을 갖도록 조립된다. 즉, 가압판(322)과 지지절곡판(313)은 상판(201)의 길이보다 적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판(201)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대(200, 200', 200'')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제1가이드부(310) 및 탄성부(320)를 이용하는 제1실시예외에 탄성 스프링(430)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지대(200)에 범용적으로 설치 가능한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제2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커넥터부(140)를 수용하는 배선박스(100)와, 배선박스(100)를 지지대(200)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400)를 포함한다.
이중, 제2고정부재(400)는 배선박스(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가이드부(410)와, 제2가이드부(410)와 대향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부(420)와, 제2가이드부(410)와 이동부(42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지지하는 탄성 스프링(430)과, 제2가이드부(410)를 고정시키는 제3고정구(430)와, 배선박스(100)의 하면에서 하나 이상이 돌출되어 이동부(4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50)를 포함한다.
제2가이드부(410)는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 가이드판(411)과, 고정 가이드판(411)에서 절곡된 고정 절곡판(412)과, 고정 절곡판(412)을 연통하여 탄성 스프링(430)을 지지하는 제1지지봉(413)을 포함한다.
고정 가이드판(411)은 배선박스(100)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고정 가이드판(411)은 제3고정구(430)에 의하여 배선박스(100)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 가이드판(411)은 배선박스(100)의 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이동판이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정 가이드판(411)은 제3고정구(430)가 체결되는 체결홀(353)이 양측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복 수개가 정렬되어 그 사이로 이동부(420)가 이동되도록 가이드로(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 절곡판(412)은 고정 가이드판(411)의 일측에서 절곡된다. 예를 들면, 고정 절곡판(412)은 상면이 개방된 M형 지지대(200)의 상면에서 일측 선단(또는 일측 벽면)(이하에서는 벽면으로 총칭함)(210)에 밀착된다.
또한, 고정 절곡판(412)은 양면중 적어도 하나에 복 수개의 마찰돌기(41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 수개의 마찰돌기(412a)는 접촉된 지지대(200)의 벽면(210)과 마찰력을 발생시켜 고정 절곡판(412)과 지지대(200)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지지봉(413)은 고정 절곡판(412)의 외측에서 연통 삽입되어 외면에 체결된 탄성 스프링(430)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1지지봉(413)은 고정 절곡판(412)의 외면에 걸림되는 헤드부(413a와), 탄성 스프링(430)이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41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420)는 고정 가이드판(411)과 배선박스(100) 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421)과, 슬라이딩판(421)에서 절곡된 이동 절곡판(422)과, 이동 절곡판(422)의 외면에서 연통 삽입되어 탄성 스프링(430)을 지지하는 제2지지봉(423)을 포함한다.
슬라이딩판(421)은 고정 가이드판(411)과 배선박스(100) 하면 사이로 슬라이딩 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슬라이딩판(421)의 폭은 고정 가이드판(411)에서 양측방향으로 정렬된 체결홀(414)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동 절곡판(422)은 슬라이딩판(42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양면중 어느 하나에서 지지대(200)의 벽면에 밀착된다. 또한, 이동 절곡판(422)은 양면중 적어도 하나에서 복 수개의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복 수개의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는 접촉된 지지대(200)의 벽면과 마찰력을 발생시켜 이동 절곡판(422)과 지지대(200)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지지봉(423)은 이동 절곡판(422)의 외면에서 연통 삽입되어 외면에 체결된 탄성 스프링(430)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제2지지봉(423)은 이동 절곡판(422)의 외면에 걸림되는 제2헤드부(423a)와, 탄성 스프링(430)이 외면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2나사봉(4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구(430)는 고정 가이드판(411)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배선박스(100)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제3고정수단(431)과, 고정 가이드판(411)과 배선박스(100)의 하면 사이를 이격시키는 제2이격수단(43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3고정수단(431)은 나사이고, 제2이격수단(432)은 와셔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제3고정수단(431)은 리벳이 적용될 수 있다.
탄성 스프링(430)은 한쪽이 제1지지봉(413)의 외면에 끼움 및 고정되고, 반대쪽이 제2지지봉(423)의 외면에 끼움 및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 스프링(430)은 이동부(420)의 슬라이딩판(421)을 탄성력에 의하여 끌어당기는 힘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이동부(420)는 배선박스(100)의 외면에서 하향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50)에 의하여 이동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스토퍼(150)는, 예를 들면, 배선박스(100)의 내측에 수용된 커넥터부(140)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의 헤드부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면이 개방된 M형의 지지대(200)를 이용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설명한 측면이 개방된 C형의 지지대(200')와, T형의 지지대(200'')에도 적용가능 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고정 가이드판(411)의 상면에 슬라이딩판(421)을 적층시키고, 고정 절곡판(412)과 이동 절곡판(422)에 제1지지봉(413)과 제2지지봉(423)을 각각 체결시킨다. 이때, 탄성 스프링(430)은 고정 절곡판(412)과 이동 절곡판(412)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탄성 스프링(430)은 양측에서 제1지지봉(413)과 제2지지봉(423)의 나사봉(413b, 423b)에 각각 체결된다.
또한, 고정 절곡판(412)과 이동 절곡판(422)은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2고정부재(400)를 배선박스(100)의 하면에 고정시킨다. 즉, 작업자는 복 수개의 제3고정수단(431)을 고정 가이드판(411)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정렬된 체결홀(414)에 각각 삽입한다. 이때, 제3고정수단(431)은 고정 가이드판(411)의 하측에서 삽입되어 고정 가이드판(411)의 상면에 위치된 제3이격수단(432)을 연통하여 배선박스(100)의 하면에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 가이드판(411)은 배선박스(100)의 하면과 이격되어 슬라이딩판(421)의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갖도록 고정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2고정부재(400)를 지지대(200)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진행한다. 즉, 작업자는 슬라이딩판(421)을 이동 절곡판(422) 측으로 잡아당겨 이동 절곡판(422)과 고정 절곡판(412) 사이의 간격이 지지대(200)의 양측 벽면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호간에 간격이 좁혀진 이동 절곡판(422)과 고정 절곡판(412)은 지지대(200)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인입시킨 뒤에 이동 절곡판(422)의 가압을 해제한다. 따라서, 이동 절곡판(422)은 작업자로부터 가해진 힘이 해제되면서 탄성 스프링(43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팽창되면서 지지대(200)의 벽면에 밀착된다. 아울러, 고정 절곡판(412)은 탄성 스프링(430)의 탄성력 의해 반대쪽 벽면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이동 절곡판(422)과 고정 절곡판(412)은 탄성 스프링(43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 지지대(200)의 벽면을 가압한다. 이때, 이동 절곡판(422)과 고정 절곡판(412)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된 마찰돌기(412a)에 의해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탄성 스프링(430)에 의한 탄성력으로서 배선박스(100)를 지지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스프링의 고정구조를 변형하여 보다 다양한 형상을 갖는 지지대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드린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생략되었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서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관한 기재가 없더라도 필수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지지대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2가이드부(410)와 이동부(420)에서 상호 대향되는 면에 탄성스프링을 고정시키는 걸림고리를 더 포함한다.
걸림고리(414, 424)는 탄성스프링(44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걸림고리(414, 424)는 중심부가 빈공간을 이루도록 띠형상으로 연결되는 고리임에 따라 탄성스프링(440)의 착탈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걸림고리의(414, 424) 구조는 이동부(420)가 외측으로 이동될수록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평형된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201)과, 상판(201)의 하면 중심점에서 직립된 직립판(202)으로 이루어진 T형의 지지대에 배선박스(100)를 고정시킬 경우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이동부(420)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제2가이드부(410)와의 간격을 벌린 뒤에 그 사이에 상판(201)이 위치되도록 이동시킨다. 작업자가 이동부(420)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탄성스프링(440)은 이동부(420)와 제2가이드부(410)를 잡아당긴다. 그러므로, 이동부(420)와 제2가이드부(410)가 상판(201)의 양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동부(420)와 제2가이드부(410)에서 상호 대향된 면에 복 수개의 마찰돌기(413a, 도 9 참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배선박스 110 : 본체
111 : 절개구 120 : 배선지지부
121 : 장공 130, 330, 430 : 고정구
140 : 커넥터부 141 : 주배선 연결단자
142 : 기판 143 : 분기용 커넥터
200, 200', 200'' : 지지대 210 : 선단(벽면)
300 : 제1고정부재 310 : 제1가이드부
311 : 가이드판 312 : 슬릿
313 : 지지 절곡판 314, 414 : 체결홀
320 : 탄성부 321 : 헤드
322 : 가압판 331, 431 : 고정수단
332, 432 : 이격수단 400 : 제2고정부재
410 : 제2가이드부 411 : 고정 가이드판
412 : 고정 절곡판 412a : 마찰돌기
413 : 제1지지봉 413a, 423a : 헤드부
413b, 423b : 나사봉 420 : 이동부
421 : 슬라이딩판 422 : 이동 절곡판
423 : 제2지지봉 440 : 탄성 스프링

Claims (13)

  1. 주배선과 적어도 하나의 분기용 배선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배선박스에 있어서,
    상기 배선박스는 상기 배선박스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복 수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구; 및
    상기 복 수개의 슬릿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지지대의 벽면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에서 상기 탄성부와 대항된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한쪽 벽면에 밀착되는 절곡된 지지절곡판; 을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릿에 걸림되도록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배선박스의 하면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의 벽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4. 주배선과 적어도 하나의 분기용 배선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배선박스에 있어서,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 양측에서 각각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의 벽면을 가압하여 상기 배선박스를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의 한쪽을 가압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대향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의 반대쪽을 가압하는 이동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이동부 사이에 고정되어 지지대의 벽면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선박스의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 가이드판;
    상기 고정 가이드판에서 절곡된 양면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지지대의 벽면에 밀착되는 고정 절곡판; 및
    상기 고정 절곡판에서 상기 이동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1지지봉;을 구비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
    상기 슬라이딩판에서 절곡되고, 양면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지지대의 벽면을 가압하는 이동 절곡판; 및
    상기 이동 절곡판에서 상기 가이드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2지지봉을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면에서 상기 슬라이딩판을 안내하도록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봉 및 제2지지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 상기 탄성 스프링이 끼움되는 외면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9.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 양측에서 정렬되는 복 수개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배선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이동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대에 밀착되는 양면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형성된 복 수개의 마찰돌기를 더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와 가이드부의 상호 대향된 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고리에 양측 끝단이 걸림 되어 착탈 가능한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12. 제1항 또는 제4항의 배선박스는
    주배선 또는 분기배선이 인출입되도록 절개된 절개구;
    상기 절개구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절개구로 인출입되는 주배선 또는 분기배선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배선지지부; 및
    상기 배선지지부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지지부는 상기 고정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을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선과 분기배선중 적어도 하나는 주름관 배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KR1020160094637A 2016-07-26 2016-07-26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KR101890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637A KR101890919B1 (ko) 2016-07-26 2016-07-26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637A KR101890919B1 (ko) 2016-07-26 2016-07-26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88A true KR20180011988A (ko) 2018-02-05
KR101890919B1 KR101890919B1 (ko) 2018-08-22

Family

ID=6122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637A KR101890919B1 (ko) 2016-07-26 2016-07-26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4858B2 (en) * 2018-10-30 2022-08-02 Scott Norris Quick connect mount for electrical fix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eiling mounted fixture to an electrical junction bo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312B1 (ko) * 2023-04-12 2023-10-12 이준성 배선박스용 케이블 커넥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0961A (ja) * 2002-08-21 2004-03-11 Nichido Denko Kk 配線用ボックス間柱固定金具
KR100645825B1 (ko) * 2006-08-17 2006-11-15 (주)럭키기술단 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805073B1 (ko) * 2007-09-13 2008-02-2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JP2010209553A (ja) * 2009-03-09 2010-09-24 Mirai Ind Co Ltd ボックス支持具、ボックス支持装置及びボックス支持具の取着方法
KR200451739Y1 (ko) 2010-08-04 2011-01-10 문영재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선용 박스
KR20110019848A (ko) * 2009-08-21 2011-03-02 대신산전 주식회사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0961A (ja) * 2002-08-21 2004-03-11 Nichido Denko Kk 配線用ボックス間柱固定金具
KR100645825B1 (ko) * 2006-08-17 2006-11-15 (주)럭키기술단 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805073B1 (ko) * 2007-09-13 2008-02-2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JP2010209553A (ja) * 2009-03-09 2010-09-24 Mirai Ind Co Ltd ボックス支持具、ボックス支持装置及びボックス支持具の取着方法
KR20110019848A (ko) * 2009-08-21 2011-03-02 대신산전 주식회사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KR200451739Y1 (ko) 2010-08-04 2011-01-10 문영재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선용 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4858B2 (en) * 2018-10-30 2022-08-02 Scott Norris Quick connect mount for electrical fix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eiling mounted fixture to an electrical junction box
US20220285924A1 (en) * 2018-10-30 2022-09-08 Scott Norris Method for connecting a ceiling mounted fixture to an electrical junction box
US11689005B2 (en) * 2018-10-30 2023-06-27 Scott Norris Method for connecting a ceiling mounted fixture to an electrical junction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919B1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3749A (en) Channel clip
US7837156B1 (en) Cable support hook
US20040113024A1 (en) Cable support system
KR101710378B1 (ko) 천장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천장패널 조립체
US20100170817A1 (en) Structure of sleeve seat
KR101890919B1 (ko)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KR101047854B1 (ko) 건물 마감용 패널 및 패널 프레임의 조립구조
CN110601103A (zh) 电缆固定支架组件
KR101864568B1 (ko)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EP2514054B1 (en) Cable positioning arrangement
US9334981B2 (en) Conduit hanger
KR101731208B1 (ko) 와이어 고정구를 구비한 창틀 행거
JP6251837B1 (ja) ケーブル支持具
US20030074849A1 (en) Slotted metal stud
CN215171269U (zh) 一种卡轨座及设备
CN108107994B (zh) 一种计算机
KR101743038B1 (ko) 천막 긴장장치
CN203733997U (zh) 连接线固定装置和空调器
KR101389958B1 (ko) 천장 루버
KR200480808Y1 (ko) 메쉬트레이용 조명장치 장착구
KR20039615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JP7152754B2 (ja) 野縁受けハンガー
KR20160061464A (ko) 천장용 캐링채널 고정장치
CN205534943U (zh) 一种安装架
CN210663103U (zh) 一种压线结构、室外机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