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543A - 터릿형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터릿형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543A
KR20180011543A KR1020160094010A KR20160094010A KR20180011543A KR 20180011543 A KR20180011543 A KR 20180011543A KR 1020160094010 A KR1020160094010 A KR 1020160094010A KR 20160094010 A KR20160094010 A KR 20160094010A KR 20180011543 A KR20180011543 A KR 2018001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processed
turret
hou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신은전
홍광호
Original Assignee
이지훈
홍광호
신은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훈, 홍광호, 신은전 filed Critical 이지훈
Priority to KR102016009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543A/ko
Publication of KR2018001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가 전체적으로 터릿형으로 구성되어 장치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 print)가 대폭 감소되고 열효율이 우수하여 적은 에너지로 피건조물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터릿형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터릿형 건조 장치는, 원형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터릿 구조체; 상기 터릿 구조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탈착가능하게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상하 방향으로 탑재한 상태에서 건조하는 건조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 모듈 내에 고온의 건조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건조 기체 공급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피처리물 로딩 위치로 이동된 건조 모듈에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로딩하는 로딩 모듈; 상기 로딩 모듈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피처리물 언로딩 위치로 이동된 건조 모듈에서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릿형 건조 장치{THE TURRET TYP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장치가 전체적으로 터릿형으로 구성되어 장치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 print)가 대폭 감소되고 열효율이 우수하여 적은 에너지로 피건조물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터릿형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LCD, OLED, 태양전지 등의 정밀 제조 분야 뿐만아니라 대량으로 제품을 양산하는 제조 분야에서는 전체 제조 공정 중에 물이나 화학 약품을 사용하는 습식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이렇게 습식 공정이 수행되면, 다음 공정 진행을 위하여 피처리물을 완벽하게 건조시킬 필요가 있다. 피처리물 건조에는 일반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644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터널형 건조장치가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터널형 건조장치는 전체적으로 길게 설치되는 터널형 건조로에 피처리물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건조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풋프린트가 커지고, 피처리물 통과를 위한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조장치가 전체적으로 터릿형으로 구성되어 장치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 print)가 대폭 감소되고 열효율이 우수하여 적은 에너지로 피건조물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터릿형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릿형 건조 장치는, 원형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터릿 구조체; 상기 터릿 구조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탈착가능하게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상하 방향으로 탑재한 상태에서 건조하는 건조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 모듈 내에 고온의 건조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건조 기체 공급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피처리물 로딩 위치로 이동된 건조 모듈에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로딩하는 로딩 모듈; 상기 로딩 모듈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피처리물 언로딩 위치로 이동된 건조 모듈에서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터릿 구조체는, 원판형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앙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원판형으로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건조 모듈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 모듈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회전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회전기어; 상기 상부 회전기어와 하부 회전기어에 취부되어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회전 체인; 상기 회전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처리물이 탑재되는 다수개의 탑재 트레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회전기어 또는 하부 회전기어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 체인을 순환구동시키는 체인 구동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건조 기체를 인입시키는 건조기체 인입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건조 기체를 인출시키는 건조기체 인출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피처리물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피처리물 통과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기체 공급 모듈은, 상기 건조기체 인입부에 결합되어 건조기체를 공급하는 건조기체 공급관; 상기 건조기체 인출부에 결합되어 건조기체를 배출하는 건조기체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온도를 제1 설정 온도로 유지하며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제1 터릿형 건조장치;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에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피처리물 공급부;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내부 온도를 제2 설정온도로 유지하며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제2 터릿형 건조장치;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와 제2 터릿형 건조장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로부터 제2 터릿형 건조장치로 상기 피처리물을 이동시키는 피처리물 이동부; 상기 제2 터릿형 건조장치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터릿형 건조장치로부터 피처리물을 배출하는 피처리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터릿형 건조 시스템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2 터릿형 건조장치는, 원형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터릿 구조체; 상기 터릿 구조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탈착가능하게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상하 방향으로 탑재한 상태에서 건조하는 건조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 모듈 내에 고온의 건조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건조 기체 공급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터릿형 건조장치에 의하면 건조장치가 전체적으로 터릿형으로 구성되어 장치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 print)가 대폭 감소되고, 하나의 터릿 구조체에 다수개의 건조 모듈이 설치되어 대량으로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므로 택타임이 매우 짧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릿형 건조장치는 외부 공간으로 열린 부분이 없이 건조 공정을 진행하므로 열효율이 우수하여 적은 에너지로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터릿형 건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 구조체와 건조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모듈과 터릿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 구조체와 건조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릿형 건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릿형 건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
본 실시예에 따른 터릿(Turret)형 건조장치(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릿(turret) 구조체(110), 건조 모듈(120), 건조기체 공급 모듈(130), 회전 모듈(도면에 미도시), 로딩 모듈(140) 및 언로딩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터릿 구조체(11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릿 구조체(110)는 하부 플레이트(112), 중심축(114), 상부 플레이트(116) 및 하부 결합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바닥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이고, 상기 중심축(114)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의 중앙에 기립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114)의 상단에 결합되어 원판형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렇게 상하부 플레이트(112, 116)와 중심축(114)에 의하여 전체적인 터릿 구조체(12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결합부(1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건조 모듈(120)의 하부가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건조 모듈(120)의 하면이 밀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건조 모듈과 일치되는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결합부(118)에는 후술하는 건조기체 공급관(132)이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결합부(118)는 하나의 터릿 구조체(110)에 설치되는 건조 모듈(120)의 개수만큼 다수개로 설치되며, 각 하부 결합부(118)는 동일한 각간격을 가지도록 방사형으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상부 플레이트(116)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결합부(118)와 동일한 각간격으로 상기 건조 모듈(120)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상부 결합부(도면에 미도시) 다수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 모듈(120)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릿 구조체(110)에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탈착가능하게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피처리물(1)을 상하 방향으로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서 건조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건조 모듈(120)은 상기 터릿 구조체(110)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터릿 구조체(1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로딩 공정, 건고 공정 및 언로딩 공정위치로 이동하면서 내부에 로딩된 다수개의 피처리물(1)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 모듈(120)을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1), 상부 회전기어(122), 하부 회전기어(123), 회전 체인(124), 탑재 트레이(125), 체인 구동부(126), 건조기체 인입부(127), 건조기체 인출부(128) 및 피처리물 통과 게이트(12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일정한 밀폐 공간을 가져서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고 건조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회전기어(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1)의 내부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회전기어(123)는 상기 하우징(121)의 내부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 회전기어(122)와 하부 회전기어(123)에 회전 체인(124)이 걸쳐진 상태로 취부되어 상하부 회전기어(122, 123)의 회전에 의하여 순환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탑재 트레이(1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체인(124)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건조 공정을 위하여 상기 피처리물(1)이 탑재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재 트레이(125)는 피처리물(1)을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다수개의 탑재 트레이(125)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렇게 다수개의 탑재 트레이(125)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면, 전체적인 건조 공정에 투입된 피처리물(1)의 개수가 많아져도 장치 자체가 차지하는 바닥 면적은 터널형 건조장치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인 구동부(1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1)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회전기(122)어 또는 하부 회전기어(123)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 체인(124)을 순환구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체인 구동부(126)는 상기 상하부 회전 기어(122, 123)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기체 인입부(12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1)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21) 내부로 건조 기체를 인입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 건조기체 인입부(127)는 후술하는 건조기체 공급관(132)의 말단 개구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기체 인입부9127)는 상기 하우징(121)의 4측면 중 상기 중심축(114) 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상기 건조기체 공급관(132)의 설치 및 결합이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체 인출부(1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21) 내부의 건조 기체를 인출시키는 통로역할을 한다. 이 건조기체 인출부(128)는 후술하는 건조기체 배출관(134)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기체 인출부(128)는 건조 모듈(120)의 설치 및 분리의 편의성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1)의 상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피처리물 통과 게이트(129)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1)의 전면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21) 내부로 피처리물(1)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처리물 통과 게이트(129)는 상기 하우징(121)의 전측벽 하단에 피처리물(1)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로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며, 이 피처리물 통과 게이트(129)는 별도로 차단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하여 열고 닫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기체 공급모듈(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릿 구조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 모듈(120) 내에 고온의 건조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렇게 상기 건조 기체 공급 모듈(13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21) 내부에 고온의 건조기체가 순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21) 내부에 탑재된 다수개의 피처리물(1)이 건조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기체 공급 모듈(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체 공급관(132)과 건조기체 배출관(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건조기체 공급관(1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114)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기체 인입부(127)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이 건조기체 공급관(132)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열풍 발생장치(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되어 고온의 건조기체를 하우징(121)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체 배출관(1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체 인출부(128)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21) 내부에서 건조 기능을 수행하고 온도가 낮아진 건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물론 이 건조기체 배출관(134)을 통하여 배출되는 건조기체는 다시 상기 열풍 발생장치(도면에 미도시)로 이동되어 재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모듈(도면에 미도시)은 상기 터릿 구조체(11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모듈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딩 모듈(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릿 구조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피처리물 로딩 위치로 이동된 건조 모듈(120)에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로딩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로딩 모듈(140)이 설치되는 위치가 피처리물 로딩 위치(L)가 되며 이 위치로 회전 이동한 건조 모듈(120)에 대하여 피처리물을 로딩한다.
마직막으로 상기 언로딩 모듈(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 모듈(14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피처리물 언로딩 위치(U)로 이동된 건조 모듈(120)에서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언로딩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언로딩 모듈(150)은 상기 로딩 모듈(140)과 바로 인접하게 설치되며, 이 언로딩 모듈(150)이 설치된 위치가 언로딩 위치(U)가 되며, 이 위치로 이동된 건조 모듈(120)에 탑재된 피처리물은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보고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 모듈(140)이나 언로딩 모듈(15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따른 터릿형 건조 시스템(200)은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터릿형 건조장치(210, 220)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터릿형 건조장치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각 터릿형 건조장치는 서로 다른 건조 온도로 설정되어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릿형 건조 시스템(200)은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릿형 건조장치(210), 피처리물 공급부(230), 제2 터릿형 건조장치(220), 피처리물 이동부(250) 및 피처리물 배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2 터릿형 건조장치(210, 220)와 피처리물 공급부(230) 및 피처리물 배출부(240)는 실시예 1의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피처리물 이동부(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210)와 제2 터릿형 건조장치(2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210)로부터 제2 터릿형 건조장치(220)로 상기 피처리물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피처리물 이동부(250)는 제1 터릿형 건조장치(210)에서 건조 공정을 거친 피처리물이 냉각되지 않고 가열된 상태 그대로 제2 터릿형 건조장치(220)로 이동되어 이어지는 건조 공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피처리물 이동부(250)는 외부와 차단된 밀폐 구조를 가지며, 단순하게 피처리물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Turret)형 건조장치
110 : 터릿(turret) 구조체 120 : 건조 모듈
130 : 건조기체 공급 모듈 140 : 로딩 모듈
150 : 언로딩 모듈

Claims (8)

  1. 원형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터릿 구조체;
    상기 터릿 구조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탈착가능하게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상하 방향으로 탑재한 상태에서 건조하는 건조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 모듈 내에 고온의 건조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건조 기체 공급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피처리물 로딩 위치로 이동된 건조 모듈에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로딩하는 로딩 모듈;
    상기 로딩 모듈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피처리물 언로딩 위치로 이동된 건조 모듈에서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모듈;을 포함하는 터릿형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릿 구조체는,
    원판형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앙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원판형으로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건조 모듈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형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모듈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회전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회전기어;
    상기 상부 회전기어와 하부 회전기어에 취부되어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회전 체인;
    상기 회전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처리물이 탑재되는 다수개의 탑재 트레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회전기어 또는 하부 회전기어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 체인을 순환구동시키는 체인 구동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건조 기체를 인입시키는 건조기체 인입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건조 기체를 인출시키는 건조기체 인출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피처리물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피처리물 통과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형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체 공급 모듈은,
    상기 건조기체 인입부에 결합되어 건조기체를 공급하는 건조기체 공급관;
    상기 건조기체 인출부에 결합되어 건조기체를 배출하는 건조기체 배출관;을 포함하는 터릿형 건조장치.
  5. 내부 온도를 제1 설정 온도로 유지하며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제1 터릿형 건조장치;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에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피처리물 공급부;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내부 온도를 제2 설정온도로 유지하며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제2 터릿형 건조장치;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와 제2 터릿형 건조장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터릿형 건조장치로부터 제2 터릿형 건조장치로 상기 피처리물을 이동시키는 피처리물 이동부;
    상기 제2 터릿형 건조장치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터릿형 건조장치로부터 피처리물을 배출하는 피처리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터릿형 건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터릿형 건조장치는,
    원형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터릿 구조체;
    상기 터릿 구조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탈착가능하게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피처리물을 상하 방향으로 탑재한 상태에서 건조하는 건조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 모듈 내에 고온의 건조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건조 기체 공급 모듈;
    상기 터릿 구조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형 건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모듈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회전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회전기어;
    상기 상부 회전기어와 하부 회전기어에 취부되어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회전 체인;
    상기 회전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처리물이 탑재되는 다수개의 탑재 트레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회전기어 또는 하부 회전기어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 체인을 순환구동시키는 체인 구동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건조 기체를 인입시키는 건조기체 인입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건조 기체를 인출시키는 건조기체 인출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피처리물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피처리물 통과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형 건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체 공급 모듈은,
    상기 건조기체 인입부에 결합되어 건조기체를 공급하는 건조기체 공급관;
    상기 건조기체 인출부에 결합되어 건조기체를 배출하는 건조기체 배출관;을 포함하는 터릿형 건조 시스템.
KR1020160094010A 2016-07-25 2016-07-25 터릿형 건조 장치 KR20180011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10A KR20180011543A (ko) 2016-07-25 2016-07-25 터릿형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10A KR20180011543A (ko) 2016-07-25 2016-07-25 터릿형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43A true KR20180011543A (ko) 2018-02-02

Family

ID=6122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010A KR20180011543A (ko) 2016-07-25 2016-07-25 터릿형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5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6102A (zh) * 2019-06-27 2019-09-10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副车架清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6102A (zh) * 2019-06-27 2019-09-10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副车架清洗装置
CN110216102B (zh) * 2019-06-27 2024-02-09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副车架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0427B2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US106826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CN107871688B (zh) 基板处理方法以及基板处理装置
US20160322241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202100827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US105355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 treatment of substrates
KR20180011543A (ko) 터릿형 건조 장치
KR20200125462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JP5384226B2 (ja) 熱風加熱装置
KR100935475B1 (ko) 열처리장치
KR102229786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2117353B1 (ko) 약액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KR20150031184A (ko) 기판 액 처리 장치
US8006636B2 (en)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JP6687436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KR101522896B1 (ko)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KR101817213B1 (ko) 기판 처리 장치
CN107799440B (zh) 用于处理基板的装置和方法
JP6312615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KR20200074307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108962785A (zh) 用于制造清洗液的设备和方法
KR20190055343A (ko) 고춧가루 살균 건조장치
KR101964656B1 (ko) 기판 처리 장치
JP2013191689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JP5384225B2 (ja) 熱風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