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504A - 옻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504A
KR20180011504A KR1020160093897A KR20160093897A KR20180011504A KR 20180011504 A KR20180011504 A KR 20180011504A KR 1020160093897 A KR1020160093897 A KR 1020160093897A KR 20160093897 A KR20160093897 A KR 20160093897A KR 20180011504 A KR20180011504 A KR 20180011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hangover
purified water
rhus verniciflu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준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16009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504A/ko
Publication of KR20180011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38Undefined mineral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옻나무 추출액
을 정제수에 희석한 수용액을 고전압으로 전기분해 하면서, 그 전극으로 아연, 구리, 은, 철 및/또는 주석을
채택하여 일정 미량의 미네랄이 고전위의 미네랄 이온으로 수용액 상에 석출 및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잔존할
수 있는 옻나무 추출액의 독성을 완전히 제거하고 미네랄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극대화시킨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옻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음료 제조방법{poison ivy manufacture}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0001]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옻나무
추출액을 정제수에 희석한 수용액을 고전압으로 전기분해 하면서 그 전극으로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5종을 채택하여, 일정 미량의 미네랄이 고전위의 미네랄 이온으로 수용액 상에 석출 및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잔존할 수 있는 옻나무 추출액의 독성을 완전히 제거하고 미네랄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극대화시킨 숙취해소음
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체내에서의 알코올은 일정 부분 인체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과다한 음주는 인체에 부담을 주게 된다. 특히
알코올을 직접 분해하는 기관인 간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0003] 인체에 섭취된 알코올은 소화관을 통하여 흡수되며, 흡수된 후 약 100분 내지 180분 사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게 된다. 흡수된 알코올은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에서 대사되는데, 특히 간에서는 산화반응을 통해서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되는 것이 주된 대사이다.
[0004] 이러한 과정 중에 직접적으로 알코올을 분해하거나 그 대사물질을 분해함으로써 인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물
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지만 알코올에 대항하여 직접분해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거의 전무한 실정
이다. 그 이유는 인간이 섭취하는 대부분의 식품이 유기물의 성분이므로 알코올의 화학결합을 깨뜨리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0005] 최근 들어 옻나무 추출액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그 효과 중 하나로 숙취해소효능과 알코올 분해효능이 밝혀
지고 있다. 하지만 옻나무 추출액은 심각한 독성으로 인하여 식품으로의 적용에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에 최근 독성 제거 기술의 개발로 식용으로서의 범위를 점차 넓혀가고 있는 추세이나, 여전히 새로운 독성 제
거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0006] 또한 인간이 섭취할 수 있는 무기물로서의 미네랄은 알코올 분해나 인체 신진대사를 돕는 효과가 알려져 있으
나, 눈에 띌만한 효과가 학계에 보고 되지는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미네랄 입자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미네
랄의 형태로 존재하거나 그 자체로서 안정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네랄의 안정화를 깨뜨려 그 알코올
분해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는데, 그러한 방법의 하나로 미네랄의 원자구조상에서 전자를
이탈시켜 불안정한 상태인 이온상태로 만드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숙취해소음료는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 1~20중량%; 당류 1~20중량%; 헛개나무 추출
액 0.1~5중량%; 오리나무 추출액 0.1~5중량%; 및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미네랄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정제수 잔량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옻나무 추출액의 무독성 처리 및 미네랄의 이온화가 고전압 전기분해방법
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0014] 알코올의 분해과정은 다음의 화학반응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0015] (O-) (O-)
[0016] CH3CH2OH --→ CH3CHO (아세트알데히드) --→ CHCOOH (아세트산)
[0017] 위 반응식은 알코올이 일차 분해되어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되고 그 다음 대사산물인 아세트산으로 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음료에 포함된 옻나무 추출액과 정제수에 함유되어 있는 고전위의 미네
랄 이온이, 알코올로부터 발생기산소(O-)를 뽑아내어 환원시키고, 다시 그에 산소이온(O-)을 공급하는 산화작
용을 반복하여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0018] 이 과정에서 이차 분해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와 뇌신경 세포를 손상시키고 두통과 오한, 복통 등을
유발하여 숙취의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옻나무 추출액의 성분은 숙취에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학
계에 보고 되고 있으나 식품으로서는 독성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어 있지 않은 형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독성물질의 완전한 제거방법의 하나로, 수용액 상의 고전압 전기분해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0019] 또한 미네랄은 화학반응을 유도하는 역할을 통해 인체촉매(효소)로서 인간에게 꼭 필요한 영양분으로 자리매
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역시 고전압 전기분해방법으로 미네랄 원자의 전자를 이탈시켜 미네랄을 양
이온화하고, 특히 그 전극으로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을 채택하여 상기의 미네랄 이온이 고준위를 가지
게 하여 활성도를 높임으로써 보통의 미네랄 입자가 갖는 미약한 알코올 분해효능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0020] 본 발명의 숙취해소음료는 상기와 같이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과 미량의 미네랄이 이온화되어 있는 정제수를 주성분으로 하면서, 그에 몇 가지 보조제를 첨가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옻나무 추출액은 옻나무로부터 추출된 것이기만 하면 [0021] 별다른 제한은 없다. 이 때,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종래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옻나무를 잘게 분쇄한 후 물 또는 유기용
매를 가하여 적정온도에서 적정시간 가열함으로써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를
옻나무 중량의 2~30배로 가하여 80~150℃에서 1~1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옻나무 추출액을 얻는다. 이 때,
상기 유기용매로는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법
외에도 옻나무에 아스퍼질러스 등의 국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옻나무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0022] 옻나무에는 페놀 계통의 이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펜타데실카테콜(pentadecylcatechol)이라는 화합물
이 알러지 유발 독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옻나무를 추출하면 이러한 독성물질이 어느
정도 제거될 수 있다.
[0023] 본 발명의 옻나무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일차로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액을 수
용액 상에서 고전압 방전으로 전기분해하여 그 독성을 완전히 제거한 것이다.
[0024] 이러한 옻나무 추출액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음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로 포함된다. 옻나무 추출액이 상기 범위로 포함되면, 숙취해소효과 뿐만 아니라 음료의 맛과 외관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0025]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제수는 미네랄 전극의 고전압 방전으로 미량의 미네랄 이온, 예를 들면 3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의 미네랄 이온이 그에 함유(분산)되어 있
는 것이다. 이 때, 상기의 미네랄 이온은 바람직하게는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5종의 미네랄
이온이다. 이로써 상기 미네랄 이온은 높은 준위를 가지며, 그에 의해 상기 정제수는 아주 강한 알코올 분해
효능을 가지게 된다. 덧붙여 상기의 정제수는 그 자체가 방부성이 뛰어나 최종 제품에 별도로 안정제를 쓸 필
요가 없다.
[0026] 이러한 정제수는 나머지 성분의 함량에 따라 본 발명의 음료를 100중량%가 되게 하는 잔량으로 포함된다.
[0027] 한편 상기 옻나무 추출액의 완전한 무독성 처리 및 미네랄의 이온화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 전기분해방법
에 의해 수행된다. 이 때 인가되는 고전압의 범위나 인가시간은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
게는 500 내지 300,000 V의 전압을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고전압은 직류 또는
맥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0028] 상기한 성분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류, 헛개나무 추출액 및 오리나무 추출액을 포함한다.
[0029] 당류는 음료의 맛 면에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과당 및 설탕 중 1종 이상을 본 발명의 숙취해소음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로 포함한다.
[0030] 헛개나무 추출액과 오리나무 추출액은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음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헛개나무 추출
액과 오리나무 추출액은 옻나무 추출액과 잘 조합되어 부작용 없이 숙취해소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31] 헛개나무의 추출액 및 오리나무 추출액은 얻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데, 예컨대 상기의 추출액들은 각 나무의 잎이나 잔가지 또는 열매를 그늘에서 건조한 후 물을 붓고 가열한
다음 여과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0032] 이러한 헛개나무 추출액과 오리나무 추출액은 각각 본 발명의 숙취해소음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추출액들이 전술한 범위로 포함되면, 보다 뛰어난
숙취해소효과를 나타내면서 음료의 관능면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0033] 또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음료는 상기한 성분들 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
명의 숙취해소음료는 유기산 또는 그의 염, 색소, 영양 강화제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색소, 아스파라긴산, 구연산나트륨, 글리신, 글루타민산나트륨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0.001~3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0034]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음료는,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 1~20중량%; 액상과당 1~10중량%;
설탕 1~10중량%; 헛개나무 추출액 0.1~5중량%; 오리나무 추출액 0.1~5중량%; 무수구연산 0.01~1중량%; 캐러멜
색소 0.01~1중량%; 아스파라긴산 0.01~1중량%; 구연산나트륨 0.001~1중량%; 글리신 0.001~3중량%; 글루타민산나트륨 0.001~2중량%; 및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미네랄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정제수 잔량을 포함하
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숙취해소음료의 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0035] 상기의 제조방법은 (a) 옻나무
추출액을 정제수에 희석하여 전해조 용기에 투입하고,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금속 전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분해하는 단계 및 (b) 전기분해에 의해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 및 미네랄 이온을 함유하
게 된 정제수의 혼합 수용액에 나머지 원료를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36] (a) 단계
[0037] 먼저 옻나무 추출액을 준비한 다음, 이를 순수 정제수에 희석하여 전기분해를 위한 전해조에 투입한다.
[0038] 상기 옻나무 추출액은 전술하였듯이 옻나무를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또는 옻나무에 국균
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얻은 추출액으로 상기와 같은 처리에 의해 일차로 독성이 제거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옻나무 추출액은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에 의해 일차로 무독성 처리된 것이다.
[0039] 이러한 옻나무 추출액은 희석 전에 여과 및 살균하는 것이 효과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은 예를 들면
80~150℃에서 여과한 옻나무 추출액을 1분 내지 1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0040] 전해조에서 양극(+)과 음극(-)의 전극에 전극판으로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금속판을 다중간극으로 설
치하여 초고전압을 인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초고전압 인가를 위해 전해조에 물리적인 저항을 설치하여 극소량
의 전류만이 통전되도록 한다. 상기 물리적인 저항의 예로는 전류차단판을 들 수 있는데, 자세히는 전류차단
판을 설치하여 완전 밀폐한 후 전류제어구멍의 를 조절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극소량의 전류만이 인가될 때
미네랄이 미네랄 이온으로 전환되어 수용액 상에 분산되며, 초고전압 통전의 효과로 미네랄 이온이 높은 전위
를 갖게 된다.
[0041] 전기분해를 하는 통전시간은 3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요구되며, 예컨대 30분 내지 24시간 동안일
수 있다. 이 때, 전기분해를 위한 초고전압은 크게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00 V 범위일
수 있으며, 직류 또는 맥류의 형태일 수 있다.
[0042] (b) 단계
[0043] 이어서, 상기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미네랄 이온으로 인해서 완전히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 및 고전
위의 미네랄 이온을 함유하게 된 정제수의 혼합 수용액을 전해조에서 꺼내어 나머지 원료와 배합한다. 배합은
회전배합기에서 원료가 골고루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4] 그 후 배합된 제품은 통상의 공정에 의해 여과, 살균 및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최종 완제품으로 출하할 수 있
다. 구체적으로는 배합된 제품을 여과하고 고온살균한 다음, 필링(filling) 및 캡핑(capping) 과정을 거치고,
후살균 처리를 한 후 냉각함으로써 전술한 조성의 완제품으로 출하할 수 있다.
[0045] 상기에서 고온살균과정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95~98℃의 온도로 약 10초~5분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필링
및 캡핑 과정은 85℃ 이상에서 할 수 있으며, 후살균 처리는 70℃의 온도로 10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6] 한편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음료의 제조공정도를 보여주며, 도 2는 보다 바람직한 숙
취해소음료의 제조공정도를 보여준다.
[0047]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0048] [실시예 및 비교예: 숙취해소음료의 제조]
[0049] 실시예 1
[0050] 실온 음지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잘게 부순 옻나무의 수피 또는 목재부 4 ㎏에 에탄올 20 ℓ를 가하고 100℃
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일차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을 얻었다. 일차로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액
을 여과하고 100℃에서 10분 동안 끓여 살균한 다음, 순수 정제수에 희석한 후 전기분해를 위한 전해조에 투
입하였다. 이 때, 양극(+)과 음극(-)의 전극에 전극판으로 아연, 구리, 은, 철, 주석의 5종 금속판을 다중간
극으로 설치하여 30,000 V의 초고전압을 인가하였다. 초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전해조에 전류차단판을 설
치하고 완전 밀폐되도록 하여 극소량의 전류만이 통전되도록 하였다. 3시간 정도 통전되도록 한 다음, 전해조속의 수용액을 꺼내어 나머지 원료와 함께 회전배합기에서 배합하였다. 배합물을 여과한 후 96℃에서 약 30초
간 살균하고, 약 90℃를 유지하면서 제품용기에 담았다. 이후 70℃에서 10분간 후살균 처리한 다음 냉각과정
을 거쳐 완제품을 얻었다. 위와 같이 제조된 숙취해소음료의 구체적인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 제품의 당도는 12.0±0.1, pH는 6.20±0.3, 총산(산도)는 0.15±0.02로 측정되었다.
표 1
[0051] 원료명 함량(중량%) 비고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 10.00
초고압 처리된 미네랄 이온 함유 정제수 잔량 Zn, Cu, Ag, Fe, Sn 미네랄 이온
총 100 ppm 함유
액상과당 5.00
설탕 5.00
헛개나무 추출액 2.00
오리나무 추출액 2.00
무수구연산 0.10
캐러멜 색소 0.10
아스파라긴산 0.10
구연산나트륨 0.05
글리신 0.03
글루타민산나트륨 0.02
합계 100.00
[0052] 실시예 2
[0053] 옻나무 추출액의 함량을 5 중량%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0054] 실시예 3
[0055] 옻나무 추출액의 함량을15 중량%, 액상과당의 함량을10 중량%, 헛개나무 추출액의 함량을 5중량%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0056] 실시예 4
[0057] 미네랄 이온 함유량이 총 10 ppm인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0058] 비교예 1
[0059] 일차로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액을 고전압 전기분해하지 않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
게 실시하였다.
[0060] 비교예 2
[0061] 일차로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액과 정제수 모두를, 고전압 전기분해하지 않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
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0062] [시험예: 숙취해소음료의 효능평가]
[0063] 시험예 1: 알코올대사에 미치는 영향
[0064]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제품을 각각 흰쥐에 투여하여 각 음료가 실험동물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3주형 스프라그-돌리 흰쥐를 사용하였고, 음료수는 증류수를 공급하였다. 실
험기간 중 3개의 실험구와 1개의 대조구에 대해 각각 5마리씩 도합 20마리의 흰쥐를 24시간 절식시킨 후 30%
에틸알코올 50 cc를 위장에 투입하고, 10분 뒤 3개의 실험구에는 각각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제품을 5
cc 단위량으로 투여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만 투여하였다. 상기 투여 90분 후에 흰쥐들을 모두 희생시킨
다음 뇌와 간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인산으로 완충된 생리식염수를 0.5ml/g tissue 단위량으로 처리하
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뇌와 간을 조직균질기로 균질화하여 180㎕ 에펜도르프 튜브에 옮기고, 0.5㎕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가한 후 볼텍스 믹서로 격렬하게 교반하여 탈수하고, 다시 교반한 다음 얼음에 보관하여 분석하
였다.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표 2
[0065] 구분 에틸알코올 농도
실시예 1 15.00±3
비교예 1 32.50±5
비교예 2 95.00±2
대조구 100±17
주: 에틸알코올 농도는 상대적 알코올 농도로서, 100=0.92㎎ EtOH/㎖ Blood임.
[0066] 이 실험결과, 대조구에서의 에틸알코올 농도를 100 기준으로 하였을 때, 실시예 1 제품 실험구의 에틸알코올
농도는 15.00±3, 비교예 1 제품 실험구의 에틸알코올 농도는 32.50±5, 비교예 2 제품 실험구의 에틸알코올
농도는 95.00±2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제품의 체내 알코올 분해효과가 가장 탁월함을 알 수 있
었다.
[0067] 시험예 2: 안전성 (급성독성)
[0068]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제품을 사용하여 ICR계 4주령 웅성 마우스(체중 20~25g) 20 마리에 경
구투여용 zonde를 사용하여 각각 1일 10회 1시간 간격으로 실시예 제품 5 ml/1 mouse를 30일 동안
투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제품은 모두 별다른 증상 없이 사망개체수 0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제품의 경우에는 사망개체수는 없었지만 모든 개체가 약간의 홍반, 가려움 등의
증상을 보였다.
표 3
[0069] 구분 증상 사망개체수/실험개체수
실시예 1 없음 0/20
실시예 2 없음 0/20
실시예 3 없음 0/20
실시예 4 없음 0/20
비교예 1 있음(약간의 홍반, 가려움) 0/20
비교예 2 있음(약간의 홍반, 가려움) 0/20
[0070] 시험예 3: 알코올취, 매박수 및 안색 변화
[0071]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제품의 알코올취, 맥박수 및 안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알코올 대상에 이상
이 없는 건강한 20~40대 남자 20명을 피검사자로 하여 각 제품 120ml를 음용시킨 뒤, 각각 20분간 알코올 농
도 20%의 소주 200ml를 마시게 하고, 매 30분 간격으로 알코올취, 맥박수 및 안색의 경시적 변화를 관찰, 조
사하였다. 알코올취는 음주측정용 alcohol detector로 측정하였고, 맥박은 1분 동안의 박동수를
측정하였으며, 안색변화는 10명의 관찰자를 별도 선정하여 피검자의 안색의 경시적 변화를 육안관찰하여 평균
점수를 산출하였다. (안색 상태: 5점: 매우 빨감, 4점: 약간 빨감, 3점: 정상, 2점: 약간 창백, 1점: 매우 창
백)
[0072]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0073] 음주 후 경과시간(분) 30 60 90 120 150 180
실시예1
알코올취(농도%) 0.055 0.040 0.020 0.015 0.01 0.01
맥박수/분 75 71 68 65 63 62
안색 3.51 3.20 3.13 3.08 3.05 3.03
비교예1
알코올취(농도%) 0.077 0.61 0.45 0.32 0.21 0.18
맥박수/분 80 75 72 70 67 65
안색 3.75 3.63 3.55 3.33 3.31 3.28
비교예2
알코올취(농도%) 0.91 0.79 0.59 0.45 0.29 0.27
맥박수/분 85 78 75 72 70 69
안색 4.20 4.01 3.84 3.62 3.52 3.48상기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제품은 비교예 제품에 [0074] 비해 30분만 경과하여도 현저한 효
과를 나타내어 알코올 분해 효능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맥박수와 안색의 경시적 변
화의 측정값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 실험에 참여한 20명의 피검자들 중 평소 음주 후 두통이나 오
한, 구토 등을 일으키던 사람들은, 비교예 제품의 경우 약간의 두통이 느껴졌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제품을
음용한 경우에는 그러한 고통이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음료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보다 바람직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음료는, 초고전압 방전에 의한 전기분해효과로 옻나무 추출액의 독성을 완전히 제거
하고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을 고준위의 미네랄 이온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식품으로서 높은 안전성을
가지며 뛰어난 알코올 분해효과와 숙취물질제거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인류 건강 증진과 숙취
해소음료의 산업분야 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

  1.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 1~20중량%; 당류 1~20중량%; 헛개나무 추출액 0.1~5중량%; 오리나무 추출액
    0.1~5중량%; 및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미네랄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정제수 잔량을 포함하고,
    상기 옻나무 추출액의 무독성 처리 및 미네랄의 이온화가 고전압 전기분해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숙취해소음료.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이온은 정제수에 300 ppm 이하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음료.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전기분해는 500 내지 300,000 V의 전압을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인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숙취해소음료.
    청구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음료는 구연산, 색소, 아스파라긴산, 구연산나트륨, 글리신 및 글루타민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음료.
    청구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음료는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 1~20중량%;
    액상과당 1~10중량%;
    설탕 1~10중량%;
    헛개나무 추출액 0.1~5중량%;
    오리나무 추출액 0.1~5중량%;
    무수구연산 0.01~1중량%;
    캐러멜 색소 0.01~1중량%;
    아스파라긴산 0.01~1중량%;
    구연산나트륨 0.001~1중량%;
    글리신 0.001~3중량%;
    글루타민산나트륨 0.001~2중량% 및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미네랄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정제수 잔량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
    청구항 6
    (a) 옻나무 추출액을 정제수에 희석하여 전해조 용기에 투입하고,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금속 전극판
    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분해하는 단계; 및
    (b) 전기분해에 의해 무독성 처리된 옻나무 추출액 및 미네랄 이온을 함유하게 된 정제수의 혼합 수용액에 나머지 원료를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청구항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는 500 내지 300,000 V의 고전압을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인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제조방법.
    청구항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은 직류 또는 맥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청구항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옻나무 추출액은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에 의해 일차로 무독성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60093897A 2016-07-25 2016-07-25 옻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음료 제조방법 KR20180011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897A KR20180011504A (ko) 2016-07-25 2016-07-25 옻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897A KR20180011504A (ko) 2016-07-25 2016-07-25 옻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04A true KR20180011504A (ko) 2018-02-02

Family

ID=6122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897A KR20180011504A (ko) 2016-07-25 2016-07-25 옻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5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14B1 (ko) 2018-09-07 2019-03-29 (주)카데시인코퍼레이션 미네랄 이온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콜분해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14B1 (ko) 2018-09-07 2019-03-29 (주)카데시인코퍼레이션 미네랄 이온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콜분해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11441T2 (de) Verwendung von carnitinen und resveratrol zur herstellung einer zusammensetzung zur verhinderung oder behandlung von zerebralenerkrankungen verursacht durch alterung und verwendung neurotoxischer mittel
CN101076253A (zh) 宿醉治疗和减轻酒精的组合物
DE3641495A1 (de) Mittel zum hemmen der entwicklung der pathologischen trunksucht
Jafta et al. The Production and Role of Hydrogen‐Rich Water in Medical Applications
US7029708B2 (en) Herbal supplement for cognitive related impairment due to estrogen loss
EP2376094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ktusfruchtextrakt
KR20180011504A (ko) 옻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숙취음료 제조방법
KR20120067462A (ko) 옻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EP1562613A1 (de) Zusammensetzung umfassend nadh/nadph
EP1575593A2 (de) VERWENDUNG VON TETRAHYDROBIOPTERINDERIVATEN ZUR BEHANDLUNG UND ERN HRUNG VON PATIENTEN MIT AMINOS URESTOFFWECHSELST&Ouml ;RUNGEN
Sakagami et al. Biological interaction between Sasa senanensis Rehder leaf extract and toothpaste ingredients
JP3723892B2 (ja) 還元型抗酸化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012190A2 (de) Verfahren zur verbesserten resorption von isotonischen, probiotischen getränken mittels elektrolyse zur teilung der wassermolekül-ketten in mikrocluster-formation
KR20030084666A (ko) 목초액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JP7148680B2 (ja) 血中ニコチン濃度減少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RU2464996C1 (ru)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тонизирующим, общеукрепляющим и антидепрессантным действием
KR20040031800A (ko)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KR20180042795A (ko) 신규한 퀘르세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240034744A1 (en) Complex compound of comprising the citrate and iron ion and the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N109843087B (zh) 包含新的后发酵茶来源的山奈酚类化合物的认知功能改善组合物
AU2000234779B2 (en) Herbal supplement for cognitive related impairment due to estrogen loss
DE102005005054A1 (de) Hydrophile Biochinon-Verbind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0450496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Rahamat et al. Remineralization Evaluation of Cocos Nucifera Extracts via Element Qua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