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904A - 돋보기 야광 시계 - Google Patents

돋보기 야광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904A
KR20180010904A KR1020160093823A KR20160093823A KR20180010904A KR 20180010904 A KR20180010904 A KR 20180010904A KR 1020160093823 A KR1020160093823 A KR 1020160093823A KR 20160093823 A KR20160093823 A KR 20160093823A KR 20180010904 A KR20180010904 A KR 2018001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bers
luminous
clock
dark plac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경
Original Assignee
박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경 filed Critical 박하경
Priority to KR102016009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0904A/ko
Publication of KR2018001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2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by luminescent subst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4Hands; Discs with a single mark or the like
    • G04B19/042Construction and manufacture of the hands; arrangements for increasing reading accuracy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2Selection of materials for dials or graduations mark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4Position of the hands projected optic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돋보기 야광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숫자가 야광물질로 되어 있어 어두운 곳에서도 숫자가 잘 보이고, 분침과 시침 끝에 볼록 렌즈가 달려 있어 멀리서도 시간 확인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아날로그 시계의 숫자를 읽기 어렵고, 거리가 멀면 눈이 잘 보이지 않아 시간을 확인하는 데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계에 있어서 벽에 걸 수 있게 원형으로 형성한 시계판,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볼록렌즈를 부착한 돋보기, 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한 야광숫자, 바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한 분침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숫자가 야광물질로 되어 있어 어두운 곳에서도 숫자가 잘 보이고, 분침과 시침 끝에 볼록 렌즈가 달려 있어 멀리서도 시간 확인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아날로그 시계의 숫자를 읽기 어렵고, 거리가 멀면 눈이 잘 보이지 않아 시간을 확인하는 데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돋보기 야광 시계{The magnifier and luminous wall clock}
본 발명은 돋보기 야광 시계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계에 있어서,
벽에 걸 수 있게 원형으로 형성한 시계판,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볼록렌즈를 부착한 돋보기, 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한 야광숫자, 바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한 분침으로 구성 하여서,
숫자가 야광물질로 되어 있어 어두운 곳에서도 숫자가 잘 보이고, 분침과 시침 끝에 볼록 렌즈가 달려 있어 멀리서도 시간 확인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현재 시각을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계는 시계판, 분침, 시침, 초침 모터, 태엽, 톱니바퀴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시계는 태엽의 힘으로 톱니바퀴가 돌면 바늘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그 시침과 분침이 가리키는 숫자를 보며 현 시각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계는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아날로그 시계의 숫자를 읽기 어렵고, 거리가 멀면 눈이 잘 보이지 않아 시간을 확인하는 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제 2020090004925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시계가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아날로그 시계의 숫자를 읽기 어렵고, 거리가 멀면 눈이 잘 보이지 않아 시간을 확인하는 데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벽에 걸 수 있게 원형으로 형성한 시계판,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볼록렌즈를 부착한 돋보기, 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한 야광숫자, 바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한 분침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벽에 걸 수 있게 원형으로 형성한 시계판,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볼록렌즈를 부착한 돋보기, 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한 야광숫자, 바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한 분침으로 구성 함으로써, 숫자가 야광물질로 되어 있어 어두운 곳에서도 숫자가 잘 보이고, 분침과 시침 끝에 볼록 렌즈가 달려 있어 멀리서도 시간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을 앞에서 본 그림
도 2: 본 발명을 부분 확대하여 본 그림
즉 본 발명은 벽에 걸 수 있게 원형으로 형성한 시계판(1),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볼록렌즈를 부착한 돋보기(2), 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한 야광숫자(3), 바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한 분침(4)으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분침(4)은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한 것이다.
여기서, 야광숫자(3)는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돋보기(2)는 볼록렌즈를 부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계에 있어서 벽에 걸 수 있게 원형으로 형성한 시계판(1),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볼록렌즈를 부착한 돋보기(2), 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한 야광숫자(3), 바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한 분침(4)으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아날로그 시계의 숫자를 읽기 어렵고, 거리가 멀면 눈이 잘 보이지 않아 시간을 확인하는 데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한 분침(4)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바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한 야광숫자(3)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볼록렌즈를 부착한 돋보기(2)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될 것이다.
1. 시계판, 2. 돋보기, 3. 야광숫자, 4. 분침

Claims (4)

  1. 시계에 있어서,
    벽에 걸 수 있게 원형으로 형성한 시계판,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볼록렌즈를 부착한 돋보기, 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한 야광숫자, 바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한 분침으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 야광 시계.
  2. 제 1항에 있어서;
    돋보기를 통하여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볼록렌즈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 야광 시계.
  3. 제 1항에 있어서;
    야광숫자를 통하여 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 야광 시계.
  4. 제 1항에 있어서;
    분침을 통하여 바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야광물질로 형성된 M 글자를 각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 야광 시계.
KR1020160093823A 2016-07-23 2016-07-23 돋보기 야광 시계 KR20180010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823A KR20180010904A (ko) 2016-07-23 2016-07-23 돋보기 야광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823A KR20180010904A (ko) 2016-07-23 2016-07-23 돋보기 야광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904A true KR20180010904A (ko) 2018-01-31

Family

ID=6108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823A KR20180010904A (ko) 2016-07-23 2016-07-23 돋보기 야광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09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5086A (zh) * 2022-07-04 2022-09-02 李军 便于识别的带有放大镜手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5086A (zh) * 2022-07-04 2022-09-02 李军 便于识别的带有放大镜手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66630B (en) Message indicating unit and its control method
WO2006120402A3 (en) Spectacles with embedded segmented display comprising light guide end
DE60101854D1 (de) Vorrichtung zur aufrechterhaltung der raumpositionen in linsenraster-anzeigegeräten
KR20180010904A (ko) 돋보기 야광 시계
US10012958B1 (en) Time keeping assembly with plurality of display appearances and associated systems
CN102097227A (zh) 具有显示屏幕的按钮开关结构
US20190324409A1 (en) Clock using bright dot display
US7147345B1 (en) Themes for flashlight inserts
CN111025878B (zh) 发光的显示装置
CN203456055U (zh) 一种显示铭板及显示设备
CN109960133B (zh) 滚轮式显示装置
JP3658629B2 (ja) 時計
CN203852331U (zh) 可矫正轻度近视弱视的新型带箱视力表
JP4728035B2 (ja) 表示装置
CN201064279Y (zh) 学生书法练习桌
GB1135883A (en) Improvements in writing instruments
JP3184549U (ja) 印鑑
CN103474004A (zh) 一种显示铭板、显示铭板的制作方法及显示设备
JP2016109681A (ja) 計時器のような携行可能な物のための表示デバイス
JP2005308622A (ja) 表示装置
JP6149017B2 (ja) 装飾装置付き時計
KR101344122B1 (ko) 렌즈식별 렌즈통
TW200512075A (en) A knife box with magnifying glass
JP3106136U (ja) 太陽電池電源式表札看板
JP2015222268A (ja) 発光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