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122B1 - 렌즈식별 렌즈통 - Google Patents

렌즈식별 렌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122B1
KR101344122B1 KR1020120077753A KR20120077753A KR101344122B1 KR 101344122 B1 KR101344122 B1 KR 101344122B1 KR 1020120077753 A KR1020120077753 A KR 1020120077753A KR 20120077753 A KR20120077753 A KR 20120077753A KR 101344122 B1 KR101344122 B1 KR 101344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tained
present
receiving portion
identific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정석
강태훈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7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585/545Contact lens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식별 렌즈통에 관한 것으로, 렌즈액이 담긴 렌즈수용부가 형성된 몸통부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수용부에 렌즈를 보관하는 렌즈통에 있어서,렌즈의 취출 용이성을 위해 바닥을 위로 볼록한 모양으로 구성한 렌즈 수용부; 렌즈가 담겨졌을 경우 선이 굴절되어 보이게 하여 렌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렌즈수용부 바닥에 표시한 식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렌즈 수용부에 렌즈가 담겨졌을 경우 상기 식별선의 굴절됨을 확인하여 렌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렌즈통의 렌즈 수용부를 위로 볼록하게 구성하고 그 볼록한 곡면에 식별선을 표시하여 렌즈가 렌즈통에 담겨 졌을 때, 그 식별선이 휘어져 보이는 굴절효과를 이용하여 렌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렌즈 분실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렌즈 구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렌즈 수용부를 위로 볼록하게 구성함으로써, 취출의 용이성을 높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렌즈식별 렌즈통{IDENTIFIABLE LENS CASE}
본 발명은 렌즈식별 렌즈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렌즈수용부에 표시된 식별선의 굴절을 이용한 사용자의 시각적 착시효과로 렌즈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분실위험을 줄이고, 렌즈가 담기는 부분을 위로 볼록한 모양으로 구성하여 렌즈 취출의 용이성도 높인 렌즈식별 렌즈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액이 담긴 렌즈수용부가 형성된 몸통부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수용부에 렌즈를 보관하는 렌즈통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렌즈통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렌즈의 사용을 위해 뚜껑을 열었을 때 투명한 렌즈가 렌즈수용부의 투명한 렌즈액 내에 담겨져 있기 때문에 렌즈의 유무가 잘 확인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렌즈의 유무가 확인이 어려울 경우 분실의 위험이 높아지게 되는데, 렌즈 분실시 렌즈를 새로 사야하고 이에 따른 렌즈사용자의 시간과 많은 비용이 낭비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10-2006-136543호 한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 20-1999-002507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렌즈가 렌즈통의 렌즈수용부에 잘 들어가 있나 확인할 수 있도록 굴절되는 식별선을 상기 렌즈통의 렌즈수용부에 표시하여 렌즈의 분실을 막도록 한 렌즈식별 렌즈통을 제공함에 있다.
즉, 렌즈통의 렌즈가 담기는 렌즈수용부의 바닥을 위로 볼록하게 구성하고 그 볼록한 곡면에 식별선을 표시하여 렌즈가 렌즈액이 담긴 렌즈수용부의 볼록한 곡면에 닿았을 때, 식별선이 휘어져 보이는 굴절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렌즈가 렌즈수용 내에 들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렌즈식별 렌즈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렌즈식별 렌즈통은, 렌즈수용부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수용부에 렌즈를 보관하는 렌즈통에 있어서, 렌즈의 취출 용이성을 위해 위로 볼록한 모양으로 구성한 렌즈수용부; 렌즈가 담겨졌을 경우 선이 굴절되어 보이게 하여 렌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수용의 바닥에 표시한 식별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렌즈수용부 곡면의 곡률은 일반적인 렌즈 곡면의 곡률 평균과 비슷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별선은 상기 렌즈수용부의 곡면상에 표시되며, 굴절을 강화하기 위해 렌즈수용부의 가장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렌즈식별 렌즈통에 의하면, 렌즈통의 렌즈수용부 바닥을 위로 볼록하게 구성하고 그 볼록한 곡면에 식별선을 표시하여 렌즈가 렌즈액이 담긴 렌즈수용부에 담겨졌을 때, 상기 식별선이 렌즈에 의해 휘어져 보이는 굴절효과를 이용하여 렌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렌즈 분실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렌즈 구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렌즈수용부를 위로 볼록하게 구성함으로써, 취출의 용이성을 높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렌즈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식별 렌즈통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식별 렌즈통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식별 렌즈통의 사용 예 부분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렌즈식별 렌즈통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렌즈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식별 렌즈통의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식별 렌즈통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종래 일반적인 렌즈통을 도시한 도 1을 본 발명의 렌즈통을 설명할 때 채택한 것은 상기 도 1의 렌즈통이 본 발명의 렌즈통과 외관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식별 렌즈통은 2개의 렌즈수용부(1)가 나란히 형성된 몸통부(3), 식별선(2), 뚜껑(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이 위로 볼록한 상기 렌즈수용부(1)의 곡면에 상기 식별선(2)이 표시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렌즈수용부(1)는 렌즈(5)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렌즈수용부(1)의 바닥이 위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바닥이 위로 볼록한 상기 렌즈수용부(1) 곡면의 곡률은 일반적인 렌즈 곡면의 곡률 평균에 비슷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식별선(2)은 위로 볼록한 렌즈수용부(1)의 곡면상에 표시되며, 렌즈액에 지워지지 않는 유성잉크로 마킹하거나, 스티커와 같은 것으로 테이핑 처리하여 오랜 기간 선명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식별선(2)은 바닥이 위로 볼록한 렌즈수용부(1)의 곡면 가장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식별선(2)의 굴절 효과를 높여 사용자가 식별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식별선(2)의 색은 렌즈수용부(1)와 차별되는 색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렌즈수용부(1)와 차별되는 색이란, 렌즈수용부(1)가 검은색일 경우 흰색, 렌즈수용부(1)가 노란색일 경우 검은색을 말한다. 이는, 렌즈수용부(1)의 색과 비슷한 색을 식별선(2)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렌즈(5)를 렌즈수용부(1)에 넣어도 식별선(2)의 굴절이 제대로 보이지 않아, 렌즈(5)의 유무를 판단할 수 없게 되어 식별선(2)의 기능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5)가 렌즈 수용부(1)에 담겨졌을 경우, 상기 식별선(2)이 굴절되어 보이기 때문에 렌즈(5)의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통부(3)와 뚜껑(4) 등은 자주 교체를 해주어야 하므로 ABS수지 같은 비교적 저렴하고 가벼운 재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렌즈식별 렌즈통은 사용자가 뚜껑(4)을 열었을 때, 투명한 렌즈액이 담긴 렌즈수용부(1)에 렌즈(5)가 담겨 있다면 렌즈(5)와 투명한 렌즈액에 의해 식별선(2)이 굴절되게 보일 것이다. 만약 식별선(2)이 굴절되어 보이지 않는다면 렌즈수용부(1)에 렌즈(5)가 없는 것이다. 렌즈(5)가 들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면 렌즈수용부(1)의 바닥 위로 볼록하게 구성된 것을 이용하여 손쉽게 렌즈(5)를 꺼내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식별 렌즈통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렌즈수용부 2 : 식별선
3 : 몸통부 4 : 뚜껑
10 : 렌즈통 5 : 렌즈

Claims (4)

  1. 렌즈액이 담기는 렌즈수용부가 형성된 몸통부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수용부에 렌즈를 보관하는 렌즈통에 있어서,
    렌즈의 취출 용이성을 위해 바닥을 위로 볼록한 모양으로 구성한 렌즈 수용부; 및
    렌즈가 담겨졌을 경우 선이 굴절되어 보이게 하여 렌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렌즈수용부의 색과 차별되는 색으로 상기 렌즈수용부 바닥에 표시한 식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식별선은 렌즈가 상기 렌즈 수용부에 담겨졌을 경우 식별선의 굴절을 강화하기 위해 렌즈수용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식별 렌즈통.
  2. 제 1항에 있어서,
    위로 볼록한 상기 렌즈수용부 곡면의 곡률은 일반적인 렌즈 곡면의 곡률 평균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식별 렌즈통.
  3. 삭제
  4. 삭제
KR1020120077753A 2012-07-17 2012-07-17 렌즈식별 렌즈통 KR101344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753A KR101344122B1 (ko) 2012-07-17 2012-07-17 렌즈식별 렌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753A KR101344122B1 (ko) 2012-07-17 2012-07-17 렌즈식별 렌즈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122B1 true KR101344122B1 (ko) 2013-12-23

Family

ID=4998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753A KR101344122B1 (ko) 2012-07-17 2012-07-17 렌즈식별 렌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942A (ko) 2020-12-04 2022-06-13 최유정 미닫이 렌즈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942A (ko) 2020-12-04 2022-06-13 최유정 미닫이 렌즈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4928B1 (en) Apparatus to identify information on containers
CN104871078B (zh) 具有透明盖的电光学显示装置
RU2013126612A (ru) Капсула, аппара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CA139496S (en) Container
KR101344122B1 (ko) 렌즈식별 렌즈통
US20160265730A1 (en) Lighting attachment
CN204807718U (zh) 防伪感光镜片
CN204833948U (zh) 一种用led灯光来显示数字的结构
CN206974508U (zh) 液体传感器
CN203884910U (zh) 隐形眼镜盒
AR082056A1 (es) Envases tipo burbuja para lentes oftalmicas coloreadas
KR101409865B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483148Y1 (ko) 접이식 렌즈 진열대
CN203260108U (zh) 密码键盘防窥装置
KR102012299B1 (ko) 청색광 차단 수단을 구비한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장치
KR200458769Y1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광고 표현이 가능한 컵
ES2321368A1 (es) Acbeza de tecla.
KR20180010904A (ko) 돋보기 야광 시계
KR20190025441A (ko) 샘플용 컬러 콘택트렌즈의 습식 진열 케이스
CN205679867U (zh) 一种可拆卸镜腿的眼镜
KR200472496Y1 (ko) 유통기한 표시기
KR200469935Y1 (ko) 콘택트렌즈 테스트용 안구모형기구
KR200471531Y1 (ko) 기능성 카드
KR20130063629A (ko) 빛의 굴절 현상을 이용하여 내부에 인쇄물을 넣는 병
CN207336969U (zh) 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