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701A -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701A
KR20180009701A KR1020170086417A KR20170086417A KR20180009701A KR 20180009701 A KR20180009701 A KR 20180009701A KR 1020170086417 A KR1020170086417 A KR 1020170086417A KR 20170086417 A KR20170086417 A KR 20170086417A KR 20180009701 A KR20180009701 A KR 2018000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splay device
external devic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826B1 (ko
Inventor
조윤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650,43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15722B2/en
Priority to CN201780044898.4A priority patent/CN109478129A/zh
Priority to PCT/KR2017/007598 priority patent/WO2018016809A1/en
Priority to EP17181738.0A priority patent/EP3273342B1/en
Publication of KR2018000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외부 장치, 제1 주변 장치 및 제2 주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및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영상 각각을 제2 주변 장치에 전송하고, 제1 영상 및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DISPLAY SYSTEM }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연결의 재설정 없이 데이터 소스를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광고,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방송 등의 목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함께 사용되어 영상을 표현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박람회 등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로 다른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전체 영상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영상을 제공하는 데이터 소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때,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데이터 소스로서 사용하려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을 다시 재설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을 재설정하지 않아도 데이터 소스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을 재설정하지 않아도 데이터 소스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변경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외부 장치, 제1 주변 장치 및 제2 주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및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영상 각각을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영상에 대응되는 제2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소스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 소스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영상 소스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선택되면,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선택되면,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주변 장치 및 상기 제2 주변 장치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중 상기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영상을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합성된 영상 중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역을 선택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합성된 영상 중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주변 장치 및 제2 주변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및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영상 각각을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영상에 대응되는 제2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소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소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영상 소스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선택되면,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선택되면,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주변 장치 및 상기 제2 주변 장치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중 상기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된 영상을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합성된 영상 중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합성된 영상 중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주변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장치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영상 각각을 다른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 라인이 폐루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제2 외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소스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 소스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영상을 상기 다른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외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6은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합성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합성된 영상에서 표시할 영상의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제어 명령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주변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를 저장 또는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노트북, 스마트폰, 셋탑박스, 외장 메모리(USB, SD card 등)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주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종 또는 이종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주변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통신 라인은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통신 라인 연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주변 장치 또한 복수의 외부 장치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200-3, 200-4)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로 다른 영상을 분할하여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조합되면 하나의 전체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에 하나씩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2개 이상의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 있고,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의 경우 사과에 대한 하나의 영상을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가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에서 표시되는 각각의 영상의 출처는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에 각각 연결된 4대의 외부 장치(200-1, 200-2, 200-3, 200-4) 중 어느 하나이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연결된 제1 외부 장치(200-1)로부터 사과 영상을 수신하여, 수신된 사과 영상을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100-3, 100-4)에 전송하여, 전송된 사과 영상이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의 소스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외부 장치(200-1)에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호스트 장치라 명명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100-3, 100-4)를 슬레이브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외부 장치(200-1)가 영상 소스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제1 외부 장치(200-1) 뿐만 아니라, 제2 내지 제4 외부 장치(200-2 내지 200-4) 중 적어도 하나가 영상 소스의 역할을 수행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1)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 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n)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부 장치(200-1)가 연결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2)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 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 중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부 장치(200-1, 200-n)가 연결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1)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 중 어느 하나는 외부 장치(200-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200-1)는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영상을 제공하는 데이터 소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소스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영상에 대한 영상 소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외부 장치는 노트북, 스마트폰, 셋탑박스, 외장 메모리(USB, SD card 등) 등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하나의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2 이상의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200-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구비된 연결 포트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연결 포트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GB(Red Green Blue), DSUB, S-Video(Super Video), Component Video, Composite Video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유선이 아닌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1)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폐루프(closed-loop) 형식으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 명령 및 컨텐츠를 기설정된 연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신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폐루프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인접한 두 개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과 연결되는 것으로,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다른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연결 상태에 따르면,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와 간접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데이터를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로 전송하고자 한다면, 데이터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통하여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장치(200-1)와 연결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연결된 제1 외부 장치(200-1)의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의 정보는, 외부 장치의 종류, 외부 장치의 모델명, 연결 포트의 종류 등을 포함하는 장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수신된 외부 장치(200-1)의 정보를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는, 수신한 외부 장치(200-1)의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및 제 n 디스플레이 장치(100-n)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및 제 n 디스플레이 장치(100-n)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가 원형 폐루프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방향성을 갖고 전송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상호 공유하게 되면,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1)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영상은, 이상에 기재한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가 외부 장치(200-1)의 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원형 폐루프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방향성을 갖고 전송됨으로써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에서 상호 공유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수신된 영상 또는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연결 포트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는 동일한 영상을 상호 공유하여 공유된 영상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1)은 영상을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의 배치 위치를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분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조합하면 하나의 전체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가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이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은, 영상 소스인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과 함께 수신되어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에서 상호 공유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직접 연결되고, 방향성을 가지고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형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 모두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양방향 모두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선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연결을 하나의 선으로 도시하였으나, 2 이상의 통신 경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유선이 아닌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2)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 중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 복수의 외부 장치(200-1, …, 200-n)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외부 장치(200-1, …, 200-n)는 각각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에 영상을 제공하는 데이터 소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소스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영상에 대한 영상 소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외부 장치는 노트북, 스마트폰, 셋탑박스, 외장 메모리(USB, SD card 등) 등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하나의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2 이상의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외부 장치(200-1, …, 200-n)는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에 구비된 연결 포트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연결 포트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GB(Red Green Blue), DSUB, S-Video(Super Video), Component Video, Composite Video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유선이 아닌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2)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폐루프(closed-loop) 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에 대한 설명에 기재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연결 상태에 따르면,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와 간접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데이터를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로 전송하고자 한다면, 데이터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통하여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제1 외부 장치(200-1)와 연결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연결된 제1 외부 장치(200-1)의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의 정보는, 외부 장치의 종류, 외부 장치의 모델명, 연결 포트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수신된 제1 외부 장치(200-1)의 정보를 함께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제 구현시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2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외부 장치와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2 외부 장치의 정보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수신된 제1 외부 장치(200-1)의 정보를 함께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및 제 n 디스플레이 장치(100-n)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및 제 n 디스플레이 장치(100-n)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n 외부 장치(200-n)과 연결된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는, 수신한 제1 외부 장치(200-1)의 정보와 제n 외부 장치(200-n)의 정보를 함께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외부 장치(200-1)의 정보와 제n 외부 장치(200-n)의 정보는 동시에 전송되거나 순서에 무관하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1 외부 장치(200-1)로부터 수신한제1 외부 장치(200-1)의 정보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로부터 수신한 제n 외부 장치(200-n)의 정보를 함께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또한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에 연결된 제n 외부 장치(200-n)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가 원형 폐루프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방향성을 갖고 전송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각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각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상호 공유하게 되면,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의 역할을 할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2)은 상호 공유된 제1 내지 제n 외부 장치(200-1, …, 200-n)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 리스트를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장치 리스트를 표시하는 UI는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200-1, …, 200-n)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면, 사용하고 있는 외부 장치를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로 결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외부 장치(200-1, …, 200-n) 중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로 결정된 하나의 외부 장치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영상은, 이상에 기재한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가 복수의 외부 장치(200-1, …, 200-n)의 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원형 폐루프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방향성을 갖고 전송됨으로써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에서 상호 공유될 수 있다.
한편,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 200-n)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로 결정된 외부 장치에 연결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된 각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수신된 영상 또는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연결 포트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는 동일한 영상을 상호 공유하여 공유된 영상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2)은 영상을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의 배치 위치를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분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조합하면 하나의 전체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가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이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은, 영상 소스로 결정된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과 함께 수신되어 제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에서 상호 공유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직접 연결되고, 방향성을 가지고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형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 모두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양방향 모두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선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연결을 하나의 선으로 도시하였으나, 2 이상의 통신 경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유선이 아닌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및 프로세서(150)을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연결 포트인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GB(Red Green Blue), DSUB, S-Video(Super Video), Component Video, Composite Video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유선 방식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단 외부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면,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의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 장치로 결정되면,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또는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과 함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정보 또는 영상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영상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가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외부 장치의 정보에 따라, 영상을 수신 및 전송하는 대상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결정되면, 통신부(110)는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전송한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와 구별되는 다른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또는 영상이 방향성을 갖고 한 방향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한편,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결정되면, 통신부(110)는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전송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구별되는 다른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 순서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 순서가 마지막이 아니라면,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다른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 순서가 마지막이라면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다른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통신부(110)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 또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합성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영상과 함께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생성된 선택 가능한 영상 소스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복수의 영상 소스 리스트 중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로서의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선택된 영상 소스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소스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면,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 소스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면, 통신부(110)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설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각각의 영상을 합성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합성된 영상의 일부 영역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내지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복수의 영상 소스 리스트 중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를 선택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생성한 합성 영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될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는 리모콘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거나,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직접적인 터치에 의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14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저장부(14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타 외부 장치의 정보, 수신된 복수의 외부 장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 리스트,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로 결정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복수의 외부 장치에서 제공된 영상들을 합성한 영상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구성 요소들(110 내지 150)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 120)를 제어하고, 수신된 복수의 외부 장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소스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생성된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영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사용자가 입력부(130)에 의해 선택한 외부 장치를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로 결정하거나,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외부 장치를 영상 소스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영상 소스로 결정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결정되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결정되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1 영상, 그리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2 영상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결정된 영상 소스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정된 영상 소스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면,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을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다른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영상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도록 수신된 영상을 통신부(110)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데이터를 전송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구별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및 다른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 영상과 함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수신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명령을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다른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호 공유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20)가 표시하는 영상은, 수신된 영상,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설정된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합성한 합성 영상 및 합성 영상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 및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을 합성한 영상을 제3 영상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의 정보를 공유함으로 인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을 재설정하지 않아도 영상 소스의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 장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외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장치(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도 4에 대한 설명에 기재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며, 외부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면, 외부 장치(20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200)가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로 결정되면,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영상 및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외부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200)의 정보 또는 영상 등의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외부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외부 장치(200)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하고, 외부 장치(200)가 영상 소스로 결정되면,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입력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외부 장치(20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장치(200)의 정보를 공유하게 함으로 인해 영상 소스인 외부 장치가 변경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을 재설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6은 영상 소스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통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한 것으로, 도시된 UI가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선택 가능한 영상 소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30-1)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30-1)에 표시되는 복수의 선택 가능한 영상 소스 리스트는,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포트의 종류(HDMI, DSUB, DVI 등), 각 외부 장치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기부여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번호,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델명, 해상도 등) 및 영상 소스로서의 외부 장치를 결정함에 따라 결정되는 데이터의 전달 경로(1번 세트, 2번 세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4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고, 4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각각 하나의 외부 장치가 연결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 디스플레이 장치는 HDMI 포트로 연결되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는 DVI 포트, 제4 디스플레이 장치는 DSUB 포트로 연결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130-1)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상 소스 리스트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종류(노트북, 스마트폰, 셋탑박스 등), 모델명 등을 포함한 정보, 외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영상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1)에 표시된 복수의 영상 소스 리스트를 확인하고,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의 역할을 수행할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300-1)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공할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별도의 원격 제어 장치 없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1)를 직접 터치하여 데이터를 제공할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가 변경되어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은 재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의 전달 경로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300-1)을 이용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영상 소스로 선택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로 전송된 데이터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원형 루프 형태로 연결됨에 따라 제3, 제4 및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2, 제3, 제4 디스플레이 장치로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합성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복수의 외부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10-2 내지 10-4)에 대응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은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10-2 내지 10-4)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23)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합성 영상(23)은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10-2 내지 10-4)의 첫번째 프레임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합성 영상(23)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합성될 수 있고, 도 7의 경우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가 2x2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합성 영상(23)은 2x2 형태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영상이 전송 및 수신된다는 것은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전송 및 수신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지 않거나, 연결되었더라도 영상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제공되는 제1 영상은 검은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2 외부 장치의 영상(10-2)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외부 장치의 영상(10-2)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우측 상부에 배치하여 합성 영상(21)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이 제공되지 않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좌측 상부 및 아직 영상이 제공되지 않은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3, 100-4)에 대응되는 하부 영역은 검은 화면일 수 있다. 그 다음,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합성 영상(21)을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3 외부 장치의 영상(10-3)을 수신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부터 수신된 합성 영상(21)에 수신된 제3 외부 장치의 영상(10-3)을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우측 하부에 배치하여 합성 영상(22)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합성 영상(22)을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0-4)을 수신하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부터 수신된 합성 영상(22)에 수신된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0-4)을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좌측 하부에 배치하여 합성 영상(23)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는 합성 영상(23)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합성 영상(23)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와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된 제2 내지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0-2 내지 10-4)을 모두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모두 합성한 영상을 상호 공유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을 구성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부터 배치하여 합성된 영상을 생성하였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와 연결된 외부 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된 영상부터 배치하여 합성된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합성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은 복수의 외부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합성된 영상 및 합성 중인 영상을 수신 및 전송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은 도 7에서의 방법으로 합성 영상(23)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합성 영상(23)은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첫번째 프레임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은 합성 영상(23)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 다시 전달하면서,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두번째 프레임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23-1)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로부터 합성 영상(23)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공받은 합성 영상(2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지 않거나, 연결되었더라도 영상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첫번째 프레임으로 합성 영상(23)과 함께 제공되는 두번째 프레임으로 합성된 영상(20-1)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에 대응되는 영역들이 검은 화면 또는 백색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첫번째 프레임으로 합성 영상(23) 및 두번째 프레임으로 합성된 영상(20-1)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2 외부 장치의 영상(11-2)을 수신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영상(20-1)에, 수신된 제2 외부 장치의 영상(11-2)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우측 상부에 배치하여 합성된 영상(21-1)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이 제공되지 않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좌측 상부 및 아직 영상이 제공되지 않은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3, 100-4)에 대응되는 하부 영역은 검은 화면 또는 백색 화면일 수 있다. 그 다음,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합성된 영상(21-1)을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부터 첫번째 프레임으로 합성 영상(23) 및 두번째 프레임으로 합성된 영상(21-1)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3 외부 장치의 영상(11-3)을 수신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영상(21-1)에, 수신된 제3 외부 장치의 영상(11-3)을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우측 하부에 배치하여 합성된 영상(22-1)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합성된 영상(22-1)을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부터 첫번째 프레임으로 합성 영상(23) 및 두번째 프레임으로 합성된 영상(22-1)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1-4)을 수신하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영상(22-1)에 수신된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1-4)을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좌측 하부에 배치하여 합성된 영상(23-1)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는 합성된 영상(23-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합성된 영상(23-1)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와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된 제2 내지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1-2 내지 11-4)을 모두 포함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첫번째 프레임으로 합성 영상(23)에서 기설정된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첫번째 프레임으로 영상을 합성할 때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합성 영상(23)이 완성될 때 까지는 출력을 하지 않고, 두번째 프레임으로 영상을 합성하면서, 첫번째 프레임으로 합성 영상(23)을 함께 전달하여 합성 영상(23)에서 기설정된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번째 프레임으로 합성된 영상(23-1)이 완성되면, 세번째 프레임으로 영상을 합성하면서 두번째 프레임으로 합성된 영상(23-1)을 함께 순차적으로 전달하며 두번째 프레임으로 합성된 영상(23-1)에서 기설정된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모두 합성한 영상을 상호 공유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을 구성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부터 배치하여 합성된 영상을 생성하였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와 연결된 외부 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된 영상부터 배치하여 합성된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의 방법으로 합성된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와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된 제2 내지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0-2 내지 10-4)을 모두 포함하여 합성 영상(23)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각각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HDMI 포트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2 외부 장치의 영상(10-2)을 표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와 DVI 포트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3 외부 장치의 영상(10-3)을 표시, 그리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와 DSUB 포트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0-4)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인접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영상을 표시할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인접 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에 따라, 타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을 구성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HDMI 포트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2 외부 장치의 영상(10-2)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와 DVI 포트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3 외부 장치의 영상(10-3)을 표시하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와 DSUB 포트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0-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없었으므로,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4 외부 장치의 영상(10-4)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는 경우, 이상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아무 영상도 표시하지 않은 검은 화면으로 표시되거나, 합성 영상(23)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고, 합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합성된 영상에서 표시할 영상의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통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한 것으로, 도시된 UI가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합성 영상(23)에서 디스플레이(130-1)에 표시될 영상의 범위를 선택하기 위해 합성 영상(23) 디스플레이(130-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으로 디스플레이(130-1)에 표시될 영상의 범위(91)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 영상(23) 중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된 영상 자체만을 표시할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합성 영상(23)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1)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합성 영상(23)에서 제2 영상과 함께 제2 외부 장치의 영상과 인접한 제1, 제3 및 제4 외부 장치의 영상의 일부가 함께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별도의 원격 제어 장치 없이도,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130-1)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고자하는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1)의 디스플레이(130-1)에 표시될 영상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1)의 디스플레이(130-1)에서 선택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제어 명령이 포함되어 영상과 제어 명령이 함께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0)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연결된 제2 외부 장치(200-2)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연결된 제4 외부 장치(20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제2 외부 장치(200-2) 및 제4 외부 장치(200-4)의 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정보 공유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대한 설명에 기재된 방식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연결된 제2 외부 장치(200-2) 및 제4 외부 장치(200-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된 데이터는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데이터는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에 상호 공유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만 각각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30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모두에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포함되어 영상과 함께 전송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S1101).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연결 포트를 이용하는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정된 영상 소스 따라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영상을 수신하거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1102).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된 영상 소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면,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1 영상으로 기재한다. 한편, 결정된 영상 소스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것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2 영상으로 기재한다. 이때,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한 영상 소스는 복수의 영상 소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외부 장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한 영상 소스로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정된 영상 소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이면, 수신된 제1 영상을 다른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1103).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결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데이터 전송의 시작점인 호스트 장치이므로, 복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영상을 전송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구별되는 다른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결정된 영상 소스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순서에 따라 수신된 제2 영상을 다른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된 영상 소스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순서가 제2 영상이 전달되는 마지막에 배치된 것이 아니라면, 수신된 제2 영상을 다른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순서가 제2 영상이 전달되는 마지막에 배치된 것이라면, 수신된 제2 영상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104).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정된 영상 소스에 따라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영상 소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결정된 영상 소스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이면, 타 디스플레이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을 재설정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 또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데이터 전달의 시작점으로 가정하고,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연결된 제1 외부 장치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있다(S801). 그 다음, 제2 외부 장치와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수신된 제1 외부 장치의 정보 및 연결된 제2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 전송할 수 있다(S802). 그 다음, 제3 외부 장치와 연결된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은 수신된 제1 및 제2 외부 장치의 정보 및 연결된 제3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 전송할 수 있다(S803). 이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수신된 제1 내지 제3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3)와 각각 연결된 제1 내지 제3 외부 장치의 정보가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3)의 순서대로 전달되고, 또 다시 순서대로 전달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3)을 순환하면서, 각각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제1 내지 제3 외부 장치의 정보가 모두 수신되면, 사용자는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S805). 이때,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영상에 대한 영상 소스일 수 있으며, 수신된 제1 내지 제3 외부 장치의 정보의 리스트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영상 소스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소스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영상에 대한 영상 소스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를 이용한다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 제1 내지 제3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 다음,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 결정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06). 예를 들어, 결정된 영상 소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에 연결된 제3 외부 장치일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가 제3 외부 장치로 결정된 영상 소스의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3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807). 이때,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가 제3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표시될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3 외부 장치를 영상 소스로 결정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1 또는 2 외부 장치가 영상 소스로 결정된다면,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가 영상 소스로 결정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결정된 외부 장치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영상이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표시되도록 수신된 데이터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수신된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S808). 그 다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수신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809). 이와 같이 폐루프를 형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기설정된 순서대로 데이터가 전송됨으로 인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은 표시될 영상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3)는 수신된 영상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S810a, S810b, S810c). 한편, 이상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공유되는 데이터는 동일하나 영상 중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기설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만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각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합성한 영상 자체 또는 합성한 영상에서 선택된 영역을 표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을 재설정하지 않아도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소스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를 변경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도 영상 소스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비된 연결 포트의 개수보다 더 많은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텐츠 표시 방법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프로그램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어, 호스트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통신부 120 : 디스플레이
130 :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프로세서 200 : 외부 장치
210 : 통신부 220 : 저장부
230 :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외부 장치, 제1 주변 장치 및 제2 주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및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영상 각각을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영상에 대응되는 제2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소스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 소스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영상 소스를 선택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를 영상 소스로 선택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를 영상 소스로 선택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주변 장치 및 상기 제2 주변 장치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중 상기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될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합성 영상 중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2 주변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이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주변 장치 및 제2 주변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및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영상 각각을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영상에 대응되는 제2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소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소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영상 소스를 선택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를 영상 소스로 선택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를 영상 소스로 선택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주변 장치 및 상기 제2 주변 장치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중 상기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될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합성 영상 중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주변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장치;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 영상을 직접 수신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제1 영상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 각각을 제3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인접한 두 개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과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2 영상을 제공하는 제2 외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소스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 소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70086417A 2016-07-19 2017-07-07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369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50,431 US10715722B2 (en) 2016-07-19 2017-07-14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display system
CN201780044898.4A CN109478129A (zh) 2016-07-19 2017-07-14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以及显示系统
PCT/KR2017/007598 WO2018016809A1 (en) 2016-07-19 2017-07-14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display system
EP17181738.0A EP3273342B1 (en) 2016-07-19 2017-07-17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1238 2016-07-19
KR1020160091238 2016-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701A true KR20180009701A (ko) 2018-01-29
KR102369826B1 KR102369826B1 (ko) 2022-03-04

Family

ID=6102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417A KR102369826B1 (ko) 2016-07-19 2017-07-07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9826B1 (ko)
CN (1) CN1094781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710A1 (ko) * 2022-02-03 2023-08-10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8892A (ja) * 2017-10-25 2019-05-2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CN112099745B (zh) * 2020-09-11 2024-01-19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图像的显示方法及装置、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1083A1 (en) * 2011-09-27 2013-03-28 Chungeun YU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3171585A (ja) * 2012-02-20 2013-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50034950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78227A1 (en) * 2012-08-31 2015-06-25 Gurulogic Microsystems Oy Cooperation of device and display
KR20160049345A (ko) * 2014-10-27 201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지 체인 형태의 멀티비전 및 그의 id할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8537A (ja) * 2013-06-10 2014-12-1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伝送システム及び映像伝送方法
KR20150093013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2051B1 (ko) * 2014-08-01 2021-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1083A1 (en) * 2011-09-27 2013-03-28 Chungeun YU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33672A (ko) * 2011-09-27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JP2013171585A (ja) * 2012-02-20 2013-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178227A1 (en) * 2012-08-31 2015-06-25 Gurulogic Microsystems Oy Cooperation of device and display
KR20150034950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9345A (ko) * 2014-10-27 201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지 체인 형태의 멀티비전 및 그의 id할당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710A1 (ko) * 2022-02-03 2023-08-10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8129A (zh) 2019-03-15
KR102369826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587B2 (en) Method for parallel image processing and routing
WO2013099377A1 (ja) Av機器
KR1023698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49191B1 (ko) 전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30023068A (ko) 가상화 디스플레이 출력 포트들의 구성
JP6535431B2 (ja) 会議システム、共有表示装置に対する表示方法および切換装置
EP3273342B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display system
CN113711176A (zh) 形成壁挂式显示器的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10572209B2 (en) Multi-display system
JP6467822B2 (ja) 表示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0191709B2 (en)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to determine a processing mode to transfer image contents to another display apparatus
KR20170123966A (ko) 멀티 비전 장치
US11539971B2 (en) Method for parallel image processing and routing
US201800628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213423B1 (ko) 스케일러를 이용한 uhd 영상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JP2015060021A (ja) 表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33987B2 (en) Multi-display system
TWI627623B (zh) 顯示控制裝置以及顯示控制方法
JP2016127423A (ja) 画面表示の同期方法、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US9508252B2 (en) Control target selection
JP6516448B2 (ja) 映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映像処理システム
JP2019204032A (ja) 表示装置
US9685104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WO2016009348A1 (en) Video player for remotely viewing media
JP2005303793A (ja) 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