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465A -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465A
KR20180009465A KR1020160091123A KR20160091123A KR20180009465A KR 20180009465 A KR20180009465 A KR 20180009465A KR 1020160091123 A KR1020160091123 A KR 1020160091123A KR 20160091123 A KR20160091123 A KR 20160091123A KR 20180009465 A KR20180009465 A KR 20180009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component
feeder
occurrence rat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종
Original Assignee
이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종 filed Critical 이기종
Priority to KR102016009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465A/ko
Publication of KR20180009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65H20/22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6Supply management, e.g. supply of components or of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부품이 실장된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이용하여 기판 등에 부품을 실장하는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별로 속한 테이프 피더의 오류발생률을 산출하여 그룹별 오류발생률에 따라 장치의 구동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잦은 오류발생에 따른 장치중단 횟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CONTROLLOR FOR CHIP MOUNTING APPATUS WITH TAPE FEED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이 실장된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이용하여 기판 등에 부품을 실장하는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디바이스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에 따라, 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더욱 소형화되고 고밀도의 부품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기술도 인쇄회로기판표면에 직접 소형, 고밀도의 부품을 실장하는 SMT(Surface Mounted Technology)방식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SMT 방식에서는 반도체 칩을 인쇄회로기판의 일정 위치에 자동으로 설치하는 장치인 부품 실장기를 이용하게 되며, 그 부품 실장기는 인쇄회로기판에 소요되는 다품종의 부품을 여러 가지 형태로 공급받아 로봇에 의해 작동하는 흡착노즐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부품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트레이에 부품을 적재하는 방식으로 부품 공급을 수행하나, 부품이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이송 중 또는 설치작업 중에 배치된 위치에서 벗어나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 비교적 작은 부품은 테이프 피더(Type Feeder)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1)는 부품을 공급하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2)와, 작업할 인쇄회로기판을 반송하는 베이어 부(미도시)와, 테이프 피더(2)로부터 부품을 차례로 픽업하여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는 픽업헤드(3)로 구성된다. 상기 픽업헤드(3)는 다수의 픽업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이프 피더(2)는 테이프 포켓에 삽입된 부품을 테이프 커버를 제거하면서 픽업부재(5)이 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부품 실장기는, 구동시 먼저 인쇄회로기판을 반송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부품 실장기의 실장위치로 이동시키고, 부품 실장기의 픽업헤드를 피더의 픽업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픽업헤드에 부착된 진공발생기를 이용하여 노즐에 진공을 형성시킨다. 이때, 진공발생기의 밸브를 이용하여 진공 정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픽업헤드를 수직 하방으로 움직여서 이미 형성된 진공을 이용하여 피더의 부품을 노즐에 흡착시킨다.
다음으로, 노즐에 흡착된 부품을 비전시스템을 이용하여 부품의 위치와 회전 각 등을 인식하고,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상의 장착위치까지 이동시켜 장착위치에 도착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상에 놓고 진공을 해제함으로써,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부품 실장기의 경우에는 테이프 피더(2)들이 다수개씩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 상에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실장하는 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 그 다수의 테이프 피더(2)들이 각각 정위치에 장착되었는지, 또는 그 다수의 테이프 피더(2)들에는 각각 몇개씩의 부품이 남아 있고, 현재 사용가능한 상태인지 아니면 교정이 필요한 상태인지 등의 부품공급장치의 관리 측면에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공정이 완료된 기판에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불량이 테이프 피더(2)에 기인한 불량인지 또는 부품 실장기(1)의 픽업모듈에 기인한 불량인지 판단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오류검출수단에 의해 각 테이프 피더(2)에 발생하는 오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경우, 실제 오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오류발생으로 잘못 인식되어 이를 교체하기 위해 장치구동을 중단하는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고 이는 생산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이용하는 부품 실장기에서 각 모듈들의 잦은 오류발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구동을 제어하는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에 대응하는 피더 센서부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일정개로 그룹화하는 그룹화부와,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오류발생률 산출부와, 상기 오류발생률에 대응하여 구동 또는 중단여부를 판단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테이프 피더와 통신하는 피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류발생률 산출부는, 각 피더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피더 그룹에 대한 오류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부품 실장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듈에 대응하는 모듈 센서부로부터 감지결과를 더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류발생률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에 대한 감지결과를 하나의 피더 그룹에 준하여 오류발생률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듈은, 적어도 부품 실장기의 픽업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류발생률에 대응하는 오류내역을 생성 및 저장하는 리포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테이프 피더는, 구동을 위한 동력부를 내장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와 직접 연결되어 해당 테이프 피더의 구동오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은,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에 대응하는 피더 센서부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일정개로 그룹화하는 단계와,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발생률에 대응하여 장치의 구동 또는 중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오류발생원인이 제거되면 장치를 재구동하고, 장치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각 피더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피더 그룹에 대한 오류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일정개로 그룹화하는 단계 이전에, 부품 실장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듈에 대응하는 모듈 센서부로부터 감지결과를 더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듈에 대한 감지결과를 하나의 피더 그룹에 준하여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류발생원인이 제거되면 장치를 재구동하고, 장치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오류발생률에 대응하는 오류내역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별로 속한 테이프 피더의 오류발생률을 산출하여 그룹별 오류발생률에 따라 장치의 구동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잦은 오류발생에 따른 장치중단 횟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전체 구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에 의해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전체 구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1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테이블 형태를 가지며, 상부면에 테이프 피더(110)등 각종 장치를 배치한 구성을 구비한다. 부품 실장기(100)의 중앙에는 인쇄회로기판 반송용 반송 컨베이어(160)가 배치되어 있으며, 장치 구동시 가로 방향으로 순환 구동하게 된다.
인쇄회로기판은 반송 컨베이어(160)에 의해 중앙의 작업대(162)까지 운반되고, 일측으로 반송 컨베이어(160)의 반송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150)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대(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부품 공급대(140)에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110)가 장착되게 된다. 테이프 피더(110)는 서로 나란하게 장착된다.
전술한 작업대(162)에서는 상기 테이프 피더(110)를 통해서 이송되는 전자 부품(150)을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실장처리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은 다시 반송 컨베이어(160)를 통해서 가로방향으로 운반되어 부품 실장기(100)의 외부로 반출되게 된다.
특히, 상기 작업 위치에는 부품 실장을 위한 모듈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방향에 해당하는 서보모터 및 서모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픽업헤드(180) 등이 배치되게 된다.
또한, 부품 실장기(100)상에는 한 쌍의 지지대(171)가 설치되어 있다. 두 지지대(171)는 작업 위치의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에 위치하고 있고,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대(171)에는 그 상면에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각각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볼나사(174)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볼나사(174)는 이는 픽업헤드(180)를 세로방향으로 왕복 이송하게 된다.
또한, 픽업 헤드(180)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볼나사(177)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에 부설된 모터(175)에 의해 제2 볼나사(177)가 전진 또는 후퇴를 반복하여 픽업 헤드(180)를 가로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픽업 헤드(180)는 부품 실장기(100)상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송되며, 그 픽업 헤드(180)에는 실제 전자부품(150)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픽업부재(182)가 열 형상을 이루면서 복수개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픽업부재(182)는 작업대(162) 즉, 하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픽업 헤드(180)는 각 서보모터의 구동에 따라, 테이프 피더(110)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자부품(150)을 부품 공급위치로부터 인출하여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부품 실장기(100)에는 부품인식 카메라(C)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부품인식 카메라(C)는 픽업헤드(180)에 의해 인출된 전자 부품(150)을 촬영하여 전자부품(150)의 흡착자세를 검출한다. 그 검출결과는 부품 실장기(100)의 정상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부품 실장기(100) 및 이에 장착되는 테이프 피더(110)의 일측에는 각각 하나이상의 카메라 센서부(190, 19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센서부들(190, 195)은 부품 실장기(100)의 구동시 발생할 수 있는 테이프 오정렬, 부품(150) 흡착불량 및 테이프 이송불량 등의 각종 오류들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부(190, 195)는 부품 실장기(100)의 작업 위치와, 모든 테이프 피더(110)의 구동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00)는 부품 실장기(100)의 구동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명령을 실행하게 되며, 상기 카메라 센서부(190, 195)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일정개로 그룹화하고, 그룹단위로 테이프 피더의 오류발생률을 산출하여 부품 실장기(100)의 구동 또는 중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종래의 부품 실장기에서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에서 하나의 테이프 피더에만 경미한 오류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부품 실장기 전체의 구동전체를 중단함으로써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거나, 혹은 오류가 아님에도 모니터링 작업에서 오판에 따른 장치 전체의 구동중단을 방지하는 불합리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소정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단위로 오류발생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만 오류로 판단하여 부품 실장기(100)의 구동을 중단하여 해당 부품교체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테이프 피더의 그룹화를 통한 오류발생률 산출 및 이에 따른 구동여부 판단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에 따라, 다수의 테이프 피더 각각에 대한 경미한 오류는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그룹단위로 잦은 오류가 발생하면 이를 비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을 중단함에 따라 장치중단 횟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에 포함되는 테이프 피더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110)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부품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10)가 감겨있는 릴(20)이 장착되고, 그 캐리어 테이프(10)는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 테이프(11) 및 이에 수납된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커버 테이프(12)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테이프 피더(110)는 릴(20)에 감긴 부품공급 테이프(11)를 홈을 통해 이송시키면서 커버 테이프(12)를 벗겨 내고, 커버 테이프(12)가 제거됨에 따라 남은 부품공급 테이프(11)는 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동시에 부품 공급 테이프(11)에 수납된 부품이 부품 실장기(도 2의 100)에 공급되며, 탈거된 커버 테이프(12)는 롤러를 지나 구동부재(3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테이프 피더(110)에 구비된 각 롤러 및 회전부재에는 링크 등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50)가 내장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110)는 내장된 동력부(50)와 외부의 제어장치(도 2의 200)가 직접 연결됨으로써, 동력부(50)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테이프 피더(110)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이를 오류발생률 산출시에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외부 카메라 센서부 등을 이용한 오류감지방식보다 정확하게 각 테이프 피더(110)의 현재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200)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110)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100)의 제어장치로서, 다수의 테이프 피더(110)에 대응하는 피더 센서부(190)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210)와,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110)를 일정개로 그룹화하는 그룹화부(220)와,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오류발생률 산출부(230)와, 상기 오류발생률에 대응하여 구동 또는 중단여부를 판단하는 구동제어부(240)와, 테이프 피더(200)와 통신하는 피더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장치(200)는 오류발생률에 대응하는 오류내역을 생성 및 저장하는 리포팅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링부(210)는 부품 실장기(100)에 장착된 테이프 피더(110)들 및 부품 실장기(100)에 구비된 픽업 헤드(180)와 같은 각종 모듈들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니터링부(210)는 작업자가 부품 실장기(100)에 대한 설비 정보, 모델 정보, 부품 정보를 설정하고, 생산 및 품질에 영향을 주는 부품, 헤드, 노즐 등의 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공정에러 레벨 설정 조건을 설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부(210)는 본 부품 실장기(100)외 당해 SMT 라인에 포함되는 외부의 장비들로부터 취합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SMT 라인의 가동 상황 정보, 소정 기간별 공정 지표 정보 및 불량 발생에 따른 해결책 정보를 생성하고, 수치 및 그래표와 같은 형태로 작업자에게 그 해결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룹화부(220)는, 감지대상인 다수의 테이프 피더(110)를 그룹화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다수의 테이프 피더(110)는 현재 부품 실장기(100)에 장착된 것을 대상으로 하며, 소정개수의 이웃한 테이프 피더(110)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분류하게 된다. 일예로서, 총 24개의 테이프 피더(110)가 구비되는 부품 실장기(100)에서 3개의 테이프 피더(110)를 하나의 그룹으로 정의하면 3×8, 즉 8개의 피더 그룹(G1 ~ G8)이 생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테이프 피더(110) 뿐만 아니라, 부품 실장기(100) 자체에서 발생하는 오류 또한 감지 및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모듈 센서부(195)를 이용하여 부품 실장기(100)에 구비된 각종 모듈들을 감지하여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되, 전술한 각종 모듈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정의하여 상기 피더 그룹과 동일하게 이후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품 실장기(100)에 중요모듈로서 픽업 헤드(150)는 상기 모듈 그룹에 포함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류발생률 산출부(230)는, 소정기간마다 각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 빈도를 계산하여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 테이프 피더(110)마다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것이 아닌,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및 중단여부를 결정하는 특징이 있다.
일 예로서, 제4 테이프 피더에 오류가 발생하면 이는 제2 피더 그룹(G2)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테이프 피더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이는 제8 피더 그룹(G8)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일예로서, 각 테이프 피더마다 1회이상 오류감지시 장치의 구동을 중단하게 되면, 오류판단이 엄격하게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너무 잦은 구동중단에 의해 생산성이 크게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3회이상으로 설정하는 경우, 오류판단이 느슨하게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부품 실장기(100)의 구동중단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불량률이 현저하게 높아지게 된다. 특히, 지정된 기간동안 제1 내지 제3 테이프 피더들에 대하여 1회씩 오류감지가 발생하는 경우, 전체로 보았을 때 동일기간동안 3회의 높은 확률로 오류가 발생하였으나, 실제오류로 판단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테이프 피더들이 모두 제1 그룹(G1)으로 설정됨에 따라, 각각 다른 테이프 피더에서 1회의 오류가 감지되더라도 하나의 그룹에 3회의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게 된다.
도면에서는 이웃한 테이프 피더(110)들 간에 그룹을 설정하였으나,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오류가 잦은 테이프 피더들만을 별로도 그룹으로 설정하고 그 임계치를 낮게 설정하는 형태로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불량률을 낮추는 방법도 적용가능하다.
구동제어부(240)는 산출된 오류발생률을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부품 실장기(100)의 구동을 개시, 유지, 중단 또는 재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명령은 후술하는 피더 통신부(250)를 통해 각 테이프 피더(110) 뿐만 아니라, 부품 실장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
피더 통신부(250)는 제어장치(200)와 테이프 피더(110)간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테이프 피더(110)는 피더 통신부(250)를 통해 오류발생률에 대응하여 구동 또는 중단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테이프 피더(110)의 교체발생시 그 결과를 제어장치(200)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테이프 피더(110)에 내장된 동력부가 피더 통신부(250)을 통해 각 테이프 피더(110)의 구동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리포팅부(260)는 산출된 오류발생률에 대응하는 오류내역을 생성 및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작업자는 상기 오류내역을 확인하여 오류발생률 및 임계치값을 재설정할 수 있으며, 각 테이프 피더(110) 및 피더그룹의 오류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포팅부(260)는 테이프 피더(110) 교체 또는 기타 모듈교체시, 변경된 장치에 대한 장치이력을 갱신 및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200)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110)를 소정개로 그룹화하여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오류발생률을 산출하여 소정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만 부품 실장기의 구동을 중단함으로써, 경미한 오류는 무시하고 치명적인 오류만을 판단하여 대응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은, 크게 다수의 테이프 피더에 대응하는 피더 센서부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일정개로 그룹화하는 단계와,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고, 오류발생률에 대응하여 장치의 구동 또는 중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및 오류발생원인이 제거되면 장치를 재구동하고, 장치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룹화 단계이전에, 부품 실장기에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장착하고, 제어장치의 모니터링부에 의해 복수의 센서부를 통해 테이프 피더와, 모듈들을 감지하여 오류발생을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장치의 그룹화부가 각 테이프 피더를 소정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룹화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00).
이어서, 오류발생률 산출부가 각 그룹별로 지정된 기간내 오류발생률을 산출하게 된다(S110). 구동제어부는 상기 오류발생률을 수신하고, 미리 설정되 임계치와 비교하여(S120), 그 미만이거나 이하이면 현재 부품 실장기의 구동을 그대로 유지하고, 그 이상이거나 초과이면 피더 통신부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장치의 구동을 중단시킨다(S130).
다음으로, 리포팅부는 발생한 오류에 대한 내역을 생성 및 저장하고(S140), 제어장치는 오류발생의 원인인 부품의 교체여부를 판단하여(S150), 교체가 완료전이면 대기상태를 유지하고(S160), 교체가 완료되었으며, 교체된 장치에 대한 이력을 갱신한다(S170). 그리고, 중단된 부품 실장기의 구동을 재개한다. 이에 따라 상기 S110 단계를 재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 부품 실장기 110 : 테이프 피더
140 : 부품 공급대 150 : 전자부품
160 : 반송 컨베이어 162 : 작업대
171 : 지지대 174 : 제1 볼나사
175 : 모터 177 : 제2 볼나사
180 : 픽업헤드 182 : 픽업부재
190, 195 : 카메라 센서부 200 : 제어판
C : 부품 인식 카메라

Claims (10)

  1.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에 대응하는 피더 센서부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오류발생률 산출부;
    상기 오류발생률에 대응하여 구동 또는 중단여부를 판단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테이프 피더와 통신하는 피더 통신부
    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발생률 산출부는,
    각 피더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피더 그룹에 대한 오류로 처리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부품 실장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듈에 대응하는 모듈 센서부로부터 감지결과를 더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류발생률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에 대한 감지결과를 하나의 피더 그룹에 준하여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은,
    적어도 부품 실장기의 픽업 헤드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발생률에 대응하는 오류내역을 생성 및 저장하는 리포팅부
    를 더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는, 구동을 위한 동력부를 내장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와 직접 연결되어 해당 테이프 피더의 구동오류신호를 수신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장치.
  7.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에 대응하는 피더 센서부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그룹화하는 단계;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오류발생률에 대응하여 장치의 구동 또는 중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오류발생원인이 제거되면 장치를 재구동하고, 장치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각 피더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피더 그룹에 대한 오류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테이프 피더를 일정개로 그룹화하는 단계 이전에,
    부품 실장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듈에 대응하는 모듈 센서부로부터 감지결과를 더 수신하여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더 그룹별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듈에 대한 감지결과를 하나의 피더 그룹에 준하여 오류발생률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오류발생원인이 제거되면 장치를 재구동하고, 장치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오류발생률에 대응하는 오류내역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제어방법.
KR1020160091123A 2016-07-19 2016-07-19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09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123A KR20180009465A (ko) 2016-07-19 2016-07-19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123A KR20180009465A (ko) 2016-07-19 2016-07-19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65A true KR20180009465A (ko) 2018-01-29

Family

ID=6102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123A KR20180009465A (ko) 2016-07-19 2016-07-19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4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3180A (zh) * 2018-01-09 2018-09-21 厦门华联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上料防错功能的smd物料空盘回收系统
KR102052457B1 (ko) * 2019-09-05 2019-12-05 오정기 고속 칩 마운팅 장치
CN111526709A (zh) * 2019-02-04 2020-08-11 先进装配系统有限责任两合公司 部件皮带监测
KR20230154537A (ko) 2022-05-02 2023-11-09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부품공급장치와 통신을 통한 표면실장기의 정합성 체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3180A (zh) * 2018-01-09 2018-09-21 厦门华联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上料防错功能的smd物料空盘回收系统
CN111526709A (zh) * 2019-02-04 2020-08-11 先进装配系统有限责任两合公司 部件皮带监测
CN111526709B (zh) * 2019-02-04 2021-05-07 先进装配系统有限责任两合公司 部件皮带监测
KR102052457B1 (ko) * 2019-09-05 2019-12-05 오정기 고속 칩 마운팅 장치
KR20230154537A (ko) 2022-05-02 2023-11-09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부품공급장치와 통신을 통한 표면실장기의 정합성 체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875B2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screen printing method
KR20180009465A (ko) 테이프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0375870B2 (en) Board work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unting order of components in board work system
US10477751B2 (en)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error stoppage diagnosis method for component mounting device
US10420262B2 (en) Feeder management device
CN110268814B (zh) 生产管理装置
US20180148289A1 (en) Component supplying device, surface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supplying component
JP6653333B2 (ja) 部品実装機の制御装置
JP5214478B2 (ja) 電子部品装着方法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3402968B2 (ja) 実装装置
JP7253679B2 (ja) 不調検知システムおよび部品実装ラインの不調検知方法
CN111096097B (zh) 元件安装机及元件落下的判定方法
JP5100684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の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管理方法
JP5155217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5342374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8147313A (ja) 実装条件決定方法
JP7109129B2 (ja) 部品実装機およびテープ剥離リカバリ方法
JP4425529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方法および電子回路部品装着システム
JP2004071830A (ja) 部品実装装置の未吸着部品実装防止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部品実装装置
JP4135445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WO2024053099A1 (ja) 基板生産システムおよび基板生産方法
JP6318367B2 (ja) 部品実装方法および部品実装装置
US11818845B2 (en) Component mounter
JPH08172296A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の装着方法
US11310949B2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