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371A -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371A
KR20180009371A KR1020180005384A KR20180005384A KR20180009371A KR 20180009371 A KR20180009371 A KR 20180009371A KR 1020180005384 A KR1020180005384 A KR 1020180005384A KR 20180005384 A KR20180005384 A KR 20180005384A KR 20180009371 A KR20180009371 A KR 2018000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iltable
slot
ra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재원
장구일
양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371A/ko
Publication of KR2018000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Application or adaptation of safety means
    • A61B6/102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e.g. anti-collision devices
    • A61B6/105Braking or 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83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a detector unit being housed in a casset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Abstract

엑스선 디텍터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개시한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가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slot)을 포함하는 수납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수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은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직접 전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엑스선 디텍터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X-ray)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선 영상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상체 내부를 영상화할 수 있다. 의료용 엑스선 영상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대상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 소스와 엑스선 디텍터가 일정 공간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엑스선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엑스선 영상장치가 위치하는 검사실로 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로 엑스선 촬영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는 이동 가능한 본체에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고, 휴대용 엑스선 디텍터(portable x-ray detector)를 사용하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직접 찾아가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가 수납될 수 있다.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 가능한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특성 상, 도난 내지 보안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는 휴대가 용이하므로 도난 내지 보안 문제에 더욱 취약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엑스선 디텍터의 도난을 방지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의 개별 잠금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의 동시 잠금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가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slot)을 포함하는 수납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수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은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직접 전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는 제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동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 제한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압부재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제한 유닛은 상기 가압부재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제 1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로드(rod) 및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는 상기 로드와 마주하는 로드 대응면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대응면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로드 대응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로드 대응면에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대응면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 1부분 및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부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부분보다 상방에 형성되는 제 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부분에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대응면은 상기 제 1부분 및 상기 제 2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부분을 향하여 기울어진 제 3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제한 유닛은 상기 로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가 장착되고, 일 측벽에 로드 가이드가 형성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는 상기 로드의 상하 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로드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가이드 핀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제 1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관통하는 회동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 샤프트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제 2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은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회동 제한 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 핀이 관통하는 가이드 핀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구획하는 격벽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 샤프트는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2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탄성부재의 일 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 2탄성부재의 타 단부는 상기 제 2탄성부재의 일 단부가 고정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 측벽과 마주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일 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는 본체,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가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slot)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수납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수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은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제 1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가압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동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로드(rod)를 포함하는 회동 제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는 상기 로드와 마주하는 로드 대응면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대응면에는 상기 로드 대응면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 샤프트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면서 상기 회동 샤프트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걸림홈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로드 대응면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 1부분 및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부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부분보다 상방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는 제 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 대응면은 상기 제 1부분 및 상기 제 2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부분을 향하여 기울어진 제 3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 대응면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일 면에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가이드 핀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방향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제 1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회동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 샤프트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제 2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에는 상기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방향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제 3탄성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1탄성부재가 수축되면 상기 제 3탄성부재는 이완되고, 상기 제 1탄성부재가 이완되면 상기 제 3탄성부재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로부터 가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 상기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가 수납되는 복수의 슬롯(slot)을 포함하는 수납유닛 및 상기 복수의 슬롯에 수납된 상기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동시에 제한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설치되는 잠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롯은 제 1슬롯 및 상기 제 1슬롯과 격벽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 2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제 1슬롯 및 상기 제 2슬롯에 수납된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동시에 제한하도록 상기 격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롯은 서로 인접한 제 1슬롯 및 제 2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제 1슬롯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회동부재 및 상기 제 2슬롯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회동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복수의 회동부재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복수의 회동부재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동시에 제한하도록 선형 운동하는 로드(rod)를 포함하는 회동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제한할 수 있도록 수납유닛에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의 도난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수납유닛에 복수의 잠금유닛을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슬롯에 수납된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개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하나의 가압부재 및 하나의 회동 제한 유닛을 이용하여 복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복수의 슬롯에 수납된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동시에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수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있어서, 잠금유닛의 배치구조가 보이도록 도 2와 다른 각도로 수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슬롯을 락킹(locking)하기 위한 잠금유닛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슬롯을 락킹 해제(unlocking)하기 위한 잠금유닛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수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슬롯이 락킹(locking)된 상태에서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슬롯이 락킹 해제(unlocking)된 상태에서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부호 "3"은 엑스선 영상 촬영을 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지칭한다. 여기서 대상체는 인간이나 동물의 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에 의해 그 내부 구조가 영상화될 수 있는 것이면 대상체가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엑스선 발생을 제어하기 위해 엑스선 소스(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엑스선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핸드 스위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드 스위치(4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아 이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핸드 스위치(40)가 입력 받는 명령으로는 엑스선 조사 준비(ready) 명령 또는 엑스선 조사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의 촬영을 위해 핸드 스위치(40)를 통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촬영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핸드 스위치(40)를 통해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하여 엑스선 소스(20)가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본체(10)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복수의 바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디스플레이(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0)는 환자관련 정보, 엑스선 촬영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0)는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본체(10)에 마련되는 핸들(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70)을 파지하여 본체(1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지지 암(80) 및 지지 프레임(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엑스선 소스(20)는 이동 가능한 본체(10)에 지지 암(80)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지지 암(80)은 지지 프레임(9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90)은 본체(10)의 일 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 암(80)은 회전이 가능하고 기울기를 바꿀 수 있어, 엑스선 소스(2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암(80)에 결합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20)는 전원을 공급받아 엑스선을 발생시키며, 관전압에 의해 엑스선의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고, 관전류 및 엑스선 노출 시간에 의해 엑스선의 세기 또는 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엑스선 소스(2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크기는 엑스선 영상 촬영을 하고자 하는 대상체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는 사용 편의성을 위해 무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는 엑스선 영상 촬영 후 수납유닛(100)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는 수납유닛(100)에 수납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가 수납되는 수납유닛(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유닛(100)은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수납유닛(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수납유닛(100)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출납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수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있어서, 잠금유닛의 배치구조가 보이도록 도 2와 다른 각도로 수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잠금유닛(200)의 배치구조가 잘 보이도록 격벽(130)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가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slot)(110,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일 예로써,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엑스선 디텍터가 수납되는 제 1슬롯(110) 및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엑스선 디텍터가 수납되는 제 2슬롯(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슬롯(110) 및 제 2슬롯(120)은 격벽(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격벽(130)은 수납유닛(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납유닛 바디(101)의 측벽으로부터 수납유닛(1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2슬롯(120)은 격벽(130) 및 프레임(14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프레임(140)은 격벽(13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납유닛 바디(101)의 측벽으로부터 수납유닛(1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40) 및 격벽(130)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 예로써,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개수는 두 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일 예로써,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이 제 1슬롯(110) 및 제 2슬롯(120)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출납을 제한하도록 수납유닛(10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출납을 개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제 1슬롯(110)에 수납되는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제한하는 제 1잠금유닛(200a) 및 제 2슬롯(120)에 수납되는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제한하는 제 2잠금유닛(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수납유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 1잠금유닛(200a)은 격벽(13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잠금유닛(200a)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격벽(1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잠금유닛(200b)은 프레임(14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잠금유닛(200b)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프레임(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입구에 인접하도록 수납유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가압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210)는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210)는 제 1방향(A)을 따라 상하 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압부재(210)는 제 1방향(A)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가압부재(210)는 가이드 핀(213)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 핀(213)은 가압부재(21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제 1방향(A)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핀(213)은 가압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에는 가압부재(210)의 가압력이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210)의 가압력이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을 설계할 경우, 가압부재(210)와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구성들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의 소형화 및 구조적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 1잠금유닛(200a)의 회동부재(220)는 제 1슬롯(11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제 2잠금유닛(200b)의 회동부재(220)는 제 2슬롯(12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제 2방향(B)을 따라 연장되는 회동 샤프트(229)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회동 샤프트(229)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를 제 2방향(B)으로 관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방향(A) 및 제 2방향(B)은 서로 수직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가압부재(210)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회동 제한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21) 및 회동 제한부(222)는 제 1방향(A)을 따라 가압부재(210)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동 제한부(222)는 가압부재(210)의 가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회동하는 방향(R)으로 가압부(221)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221)는 가압부재(210)의 하면(211)(도 6a참고)과 마주하고, 회동 제한부(222)는 가압부재(210)의 가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회동하는 방향(R)을 향하는 가압부재(210)의 전면(前面)(212)(도 6a참고)과 마주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회동 제한 유닛(230)과 마주하는 로드 대응면(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로드(231)와 마주하는 로드 대응면(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드 대응면(225)을 향하는 로드(231)의 일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회동함에 따라 로드 대응면(22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로드 대응면(225)에는 로드(231)의 일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홈(227)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로드 대응면(225)은 가압부재(210)의 가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회동하는 방향(R)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 1부분(225a)(도 6a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드 대응면(225)은 가압부재(210)의 가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회동하는 방향(R)으로 제 1부분(225a)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부분(225b)(도 6a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부분(225b)은 제 1방향(A)으로 제 1부분(225a)보다 상방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27)은 제 2부분(225b)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드 대응면(225)은 제 1부분(225a) 및 제 2부분(225b)을 연결하는 제 3부분(225c)(도 6a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부분(225c)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이 잠금 해제(unlocking)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 1방향(A)에 대하여 제 2부분(225b)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로드 대응면(225)을 향하는 로드(231)의 일 면(231a)에는 제 1방향(A)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회동하는 방향(R)으로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231)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회동함에 따라 로드(231)의 일 면(231a)이 제 3부분(225c)에 접촉된 상태로 제 3부분(225c)을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가압부재(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 제한 유닛(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 제한 유닛(230)은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를 사이에 두고 가압부재(210)와 마주할 수 있다.
회동 제한 유닛(230)은 로드(rod)(231)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231)는 가압부재(210)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제 1방향(A)을 따라 상하 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로드(231)는 가압부재(210)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제 1방향(A)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회동 제한 유닛(230)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로드(231)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로드(231)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233)는 케이블(239)에 의해 솔레노이드(233)의 작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233)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주로 작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솔레노이드(233)가 작동함에 따라 로드(231)가 제 1방향(A)을 따라 하방을 향하여 움직이다. 이에 따라 로드(231)의 일 단부는 걸림홈(227)으로부터 분리되고,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가압부재(210)에 의해 가압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잠금이 해제된다.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RF 카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잠금 해제를 명할 수 있다.
회동 제한 유닛(230)은 로드(231) 및 솔레노이드(233)가 장착되는 케이싱(2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34)의 일 측벽(234a)에는 로드 가이드(235)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 가이드(235)는 로드(231)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 1방향(A)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드(231)에는 로드(231)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232)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231)의 움직임은 스토퍼(232) 및 로드 가이드(235)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로드(23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232)는 로드(231)의 상하 운동을 제한하도록 로드 가이드(235)에 결합된 상태로 제 1방향(A)을 따라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가압부재(210) 및 회동 제한 유닛(23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40)는 가압부재(210) 및 케이싱(234)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240)에는 가이드 핀(213)이 관통하는 가이드 핀 관통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핀(213)은 제 1방향(A)으로 가이드 핀 관통홀(241)을 통과하여 가압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수납유닛(10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 1잠금유닛(200a)의 지지부재(250)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을 구획하는 격벽(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잠금유닛(200b)의 지지부재(250)는 프레임(140)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는 수납유닛(100)에 설치되는 설치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50)는 설치부(251)로부터 가압부재(210)의 가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회동하는 방향(R)으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252)에는 회동 샤프트 결합홀(253)이 형성될 수 있다. 회동 샤프트(229)는 지지부재(250) 및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를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 샤프트(229)는 지지부재(250)의 회동 샤프트 결합홀(253) 및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에 형성되는 회동 샤프트 관통홀(228)을 관통할 수 있다. 연결부재(240)는 설치부(251)에 형성된 고정홀(254)을 관통하는 고정부재(260)에 의해 지지부재(25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케이싱(234)은 지지부재(250)의 복수의 리브(252)에 형성된 체결공(255)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70)에 의해 지지부재(25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260) 및 체결부재(270)는 일 예로써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제 1탄성부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탄성부재(280)는 제 1방향(A)을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탄성부재(280)는 가이드 핀(213)에 마련되어 가압부재(210)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210)가 제 1방향(A)을 따라 하방으로 움직일 경우, 제 1탄성부재(280)는 수축될 수 있다. 반대로, 가압부재(210)가 제 1방향(A)을 따라 상방으로 움직일 경우, 제 1탄성부재(280)는 이완될 수 있다. 제 1탄성부재(280)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재(210)는 가압되기 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제 2탄성부재(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탄성부재(290)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의 회동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탄성부재(290)는 회동 샤프트(229)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탄성부재(290)의 일 단부는 지지부재(250)의 일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탄성부재(290)의 일 단부는 지지부재(250)의 복수의 리브(252)에 형성되는 홀(hole)(256)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2탄성부재(290)의 타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에 형성되는 돌기(221a)에 고정되거나 돌기(22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돌기(221a)는 제 2탄성부재(290)의 일 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재(250)의 일 측벽, 즉, 제 2탄성부재(290)의 일 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재(250)의 복수의 리브(252)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의 일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돌기(221a)는 제 2탄성부재(290)의 일 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재(250)의 복수의 리브(252)와 마주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의 가압부(221)로부터 제 2방향(B)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가압부재(210)에 의해 가압되면 제 2탄성부재(290)는 수축될 수 있다.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가압부재(210)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면 제 2탄성부재(290)는 이완될 수 있다. 제 2탄성부재(290)의 복원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가압되기 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200)은 제 3탄성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탄성부재(300)는 제 1방향(A)을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탄성부재(300)는 로드(231)에 마련되어 로드(231)의 움직임에 따라 제 1방향(A)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231)의 일 단부가 걸림홈(227)에 삽입되면 제 3탄성부재(300)는 이완될 수 있다. 반대로, 로드(231)의 일 단부가 걸림홈(227)으로부터 분리되면 제 3탄성부재(300)는 수축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 1탄성부재(280)가 수축되면 제 3탄성부재(300)는 이완되고, 제 1탄성부재(280)가 이완되면 제 2탄성부재(290)는 수축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슬롯을 락킹(locking)하기 위한 잠금유닛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210)가 가압되면 가압부재(210)의 가압력은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에 직접 전달된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가압부재(210)의 가압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한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면,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인출을 방해하여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가 회동함에 따라 로드 대응면(225)과 마주하는 로드(231)의 일 단부는 로드 대응면(225)을 따라 이동하고, 로드(231)의 일 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에 형성된 걸림홈(227)에 삽입되면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 때, 제 1탄성부재(280) 및 제 2탄성부재(290)는 수축되고, 제 3탄성부재(300)는 이완된다. 로드(231)는 제 3탄성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제 1방향(A)을 따라 상방으로 움직인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은 잠금(locking)상태가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이 잠금 상태일 경우, 회동 샤프트(229)는 제 1방향(A)으로 걸림홈(227)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슬롯을 락킹 해제(unlocking)하기 위한 잠금유닛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의 잠금 해제 명령을 입력하면 솔레노이드(233)가 작동한다. 솔레노이드(233)의 작동에 의해 로드(231)는 제 1방향(A)을 따라 하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로드(231)가 제 1방향(A)을 따라 하방으로 움직임으로써 로드(231)의 일 단부는 걸림홈(227)으로부터 분리되고,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220)는 제 2탄성부재(290)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재(210)에 의해 가압되기 전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제 1탄성부재(280) 및 제 2탄성부재(290)는 이완되고, 제 3탄성부재(300)는 수축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슬롯(110,120)은 잠금 해제(unlocking)상태가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수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유닛(500)은 복수의 슬롯(110,120)에 수납되는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출납을 동시에 제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슬롯(110,120)이 격벽(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제 1슬롯(110) 및 제 2슬롯(120)을 포함한다고 가정할 경우, 제 1슬롯(110) 및 제 2슬롯(120)에 수납되는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출납은 하나의 잠금유닛(500)에 의해 동시에 제한될 수 있다.
잠금유닛(500)은 수납유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유닛(500)은 제 1슬롯(110) 및 제 2슬롯(120)에 수납된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출납을 동시에 제한하도록 격벽(1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9에서 지지부재(250)는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유닛(500)은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210)는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210)는 가이드 핀(213)을 따라 제 1방향(A)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잠금유닛(500)은 복수의 회동부재(521,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동부재(521,522)는 제 1슬롯(11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회동부재(521) 및 제 2슬롯(12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회동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210)는 복수의 회동부재(521,522)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210)의 가압력은 복수의 회동부재(521,522)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제 1회동부재(521) 및 제 2회동부재(522)는 제 2방향(B)을 따라 연장되는 회동 샤프트(229)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 1회동부재(521)를 관통하는 회동 샤프트(229) 및 제 2회동부재(522)를 관통하는 회동 샤프트(229)는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잠금유닛(500)은 복수의 회동부재(521,522)의 회동을 동시에 제한하는 회동 제한 유닛(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 제한 유닛(230)은 복수의 회동부재(521,522)를 사이에 두고 가압부재(210)와 마주할 수 있다.
회동 제한 유닛(230)은 로드(rod)(531)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531)는 가압부재(210)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제 1방향(A)을 따라 상하 운동할 수 있다. 로드(531)는 제 1회동부재(521)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 1걸림부(531a) 및 제 2회동부재(522)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 2걸림부(53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드(531)는 제 1걸림부(531a) 및 제 2걸림부(531b)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1걸림부(531a) 및 제 2걸림부(531b)를 연결하는 연결부(53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 제한 유닛(230)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로드(531)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로드(531)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233)는 케이블(239)에 의해 솔레노이드(233)의 작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233)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회동 제한 유닛(230)은 로드(531) 및 솔레노이드(233)가 장착되는 케이싱(2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34)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가압부재(210) 및 하나의 회동 제한 유닛(230)을 이용하여 복수의 회동부재(521,522)의 회동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슬롯(110,120)에 수납되는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30)의 출납을 동시에 제한할 수 있다.
복수의 회동부재(521,522)는 서로 대칭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슬롯이 락킹(locking)된 상태에서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210)가 가압되면 가압력은 복수의 회동부재(521,522)에 동시에 전달된다. 복수의 회동부재(521,522)는 가압부재(210)의 가압력에 의해 복수의 슬롯(110,12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한다. 복수의 회동부재(521,522)가 회동함에 따라 로드 대응면(225)과 마주하는 제 1걸림부(531a) 및 제 2걸림부(531b)는 각각 제 1회동부재(521)의 로드 대응면(225) 및 제 2회동부재(522)의 로드 대응면(225)을 따라 이동하고, 제 1걸림부(531a) 및 제 2걸림부(531b)가 각각 제 1회동부재(521)의 걸림홈(227) 및 제 2회동부재(522)의 걸림홈(227)에 삽입되면 복수의 회동부재(521,522)의 회동이 동시에 제한된다. 이 때, 제 1탄성부재(280) 및 제 2탄성부재(290)는 수축되고, 제 3탄성부재(300)는 이완된다. 로드(531)는 제 3탄성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제 1방향(A)을 따라 상방으로 움직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슬롯이 락킹 해제(unlocking)된 상태에서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슬롯(110,120)의 잠금 해제 명령을 입력하면 솔레노이드(233)가 작동한다. 솔레노이드(233)의 작동에 의해 로드(531)는 제 1방향(A)을 따라 하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로드(531)가 제 1방향(A)을 따라 하방으로 움직임으로써 제 1걸림부(531a) 및 제 2걸림부(531b)는 각각 제 1회동부재(521)의 걸림홈(227) 및 제 2회동부재(522)의 걸림홈(227)으로부터 분리되고, 복수의 회동부재(521,522)는 제 2탄성부재(290)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재(210)에 의해 가압되기 전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제 1탄성부재(280) 및 제 2탄성부재(290)는 이완되고, 제 3탄성부재(300)는 수축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0: 본체
20: 엑스선 소스 30: 엑스선 디텍터
40: 핸드 스위치 50: 바퀴
60: 디스플레이 70: 핸들
80: 지지 암 90: 지지 프레임
100: 수납유닛 110: 제 1슬롯
120: 제 2슬롯 130: 격벽
140: 프레임 200: 잠금유닛
200a: 제 1잠금유닛 200b: 제 2잠금유닛
210: 가압부재 211: 하면
212: 전면 213: 가이드 핀
220: 회동부재 221: 가압부
221a: 돌기 222: 회동 제한부
225: 로드 대응면 225a: 제 1부분
225b: 제 2부분 225c: 제 3부분
227: 걸림홈 228: 회동 샤프트 관통홀
230: 회동 제한 유닛 231: 로드
231a: 일 면 232: 스토퍼
233: 솔레노이드 234: 케이싱
234a: 일 측벽 235: 로드 가이드
240: 연결부재 241 가이드 핀 관통홀
250: 지지부재 251: 설치부
252: 리브 253: 회동 샤프트 결합홀
254: 고정홀 255: 체결공
256: 홀 260: 고정부재
270: 체결부재 280: 제 1탄성부재
290: 제 2탄성부재 300: 제 3탄성부재
500: 잠금유닛 521: 제 1회동부재
522: 제 2회동부재 531: 로드
531a: 제 1걸림부 531b: 제 2걸림부
531c: 연결부 229: 회동 샤프트
239: 케이블 101: 수납유닛 바디

Claims (18)

  1. 본체;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가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slot)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수납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수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유닛은,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제 1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가압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동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로드(rod)를 포함하는 회동 제한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에 직접 전달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는 상기 로드와 마주하는 로드 대응면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대응면에는 상기 로드 대응면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샤프트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면서 상기 회동 샤프트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걸림홈의 상방에 위치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대응면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 1부분; 및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부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부분보다 상방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는 제 2부분;을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대응면은 상기 제 1부분 및 상기 제 2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부분을 향하여 기울어진 제 3부분을 더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대응면을 향하는 상기 로드의 일 면에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가 형성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가이드 핀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방향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제 1탄성부재가 마련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회동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 샤프트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제 2탄성부재가 마련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는 상기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방향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제 3탄성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1탄성부재가 수축되면 상기 제 3탄성부재는 이완되고, 상기 제 1탄성부재가 이완되면 상기 제 3탄성부재는 수축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로부터 가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한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3.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
    상기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가 수납되는 복수의 슬롯(slot)을 포함하는 수납유닛; 및
    상기 복수의 슬롯에 수납된 상기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동시에 제한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설치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은 제 1슬롯 및 상기 제 1슬롯과 격벽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 2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제 1슬롯 및 상기 제 2슬롯에 수납된 복수의 엑스선 디텍터의 출납을 동시에 제한하도록 상기 격벽에 설치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은 서로 인접한 제 1슬롯 및 제 2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제 1슬롯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회동부재 및 상기 제 2슬롯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회동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복수의 회동부재에 직접 전달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복수의 회동부재를 동시에 가압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동부재의 회동을 동시에 제한하도록 선형 운동하는 로드(rod)를 포함하는 회동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KR1020180005384A 2018-01-16 2018-01-16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KR20180009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384A KR20180009371A (ko) 2018-01-16 2018-01-16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384A KR20180009371A (ko) 2018-01-16 2018-01-16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778A Division KR101823507B1 (ko) 2015-12-17 2015-12-17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371A true KR20180009371A (ko) 2018-01-26

Family

ID=6102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384A KR20180009371A (ko) 2018-01-16 2018-01-16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3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370B1 (ko) 수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엑스선 촬영기기
US10172586B2 (en) 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223920B2 (en) Patient positioning imaging device and method
US83630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tomosynthetic 3D X-ray image
JP6546397B2 (ja) 放射線発生用装置
WO1992002277A1 (en) Portal imaging device
US20120076264A1 (en) Portable radiation imaging system
CN108348209B (zh) 放射线照射装置
KR20150004332U (ko) X선 촬영 장치
JP6612926B2 (ja) 放射線照射装置
KR101823507B1 (ko)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JP2001502566A (ja) デジタル画像を生成するカセットを位置付けるシステム
JP2015167603A (ja) 撮影台
KR20180009371A (ko)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US20080279339A1 (en) Stand For Holding a Radiation Detector For a Radiation Therapy Device
CN109069084A (zh) 移动式放射线发生装置
US10772589B2 (en) Receiving device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956050B2 (ja) 移動型x線診断装置
JP7220801B2 (ja) 移動型放射線撮影装置
KR101565109B1 (ko) 제어패널의 회전멈춤장치
JP2629306B2 (ja) X線透視撮影装置
KR102582646B1 (ko)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JP2022026901A (ja) X線ct装置
JP2021053168A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S63117732A (ja) 頭部規格x線撮影を兼ねた全顎x線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