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995A - 상품 검색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검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995A
KR20180008995A KR1020160090009A KR20160090009A KR20180008995A KR 20180008995 A KR20180008995 A KR 20180008995A KR 1020160090009 A KR1020160090009 A KR 1020160090009A KR 20160090009 A KR20160090009 A KR 20160090009A KR 20180008995 A KR20180008995 A KR 20180008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display
portable termina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훈
장원상
김세영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8995A/ko
Publication of KR2018000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06K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3차원 공간에서 스캔이 가능한 범위 내에 휴대 단말기가 배치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의 스캔 정보를 분석해서 상기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품을 파악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파악된 상품에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검색 장치{APPARATUS FOR SEARCHING GOODS}
본 발명은 매장 내 상품을 검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이용해서 각종 포탈사이트 또는 개인 단말기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품 구매와 관련된 상품 검색 역시 통신망을 이용해서 원거리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매장에 배치된 상품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이용해서 원거리에서 검색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을 이용한 상품의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해킹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소비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만으로 상품을 판단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악용해서 저질의 상품을 이미지만 고급스럽게 변환해서 전시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따라서, 해킹을 방지하고, 고품질의 상품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매장을 직접 찾아서 상품을 살펴보는 구매 환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3932호에는 특정 상품에 기록된 바코드의 고유 번호를 이용해서 쇼핑몰의 특정 상품을 검색하고, 해당 쇼핑몰에 특정 상품이 없는 경우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판매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3932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방문해서 상품을 선택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3차원 공간에서 스캔이 가능한 범위 내에 휴대 단말기가 배치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의 스캔 정보를 분석해서 상기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품을 파악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파악된 상품에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스캔해서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상품의 스캔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와 통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 및 휴대 단말기는 해킹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에 포함된 QR 코드 뿐만 아니라 문자열, 사진 등을 이용해서 매장에 배치되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지할 수 있는 상품이 표시된 화면을 그대로 이용해서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QR 코드는 정확한 상품의 검색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일부 상품의 경우 QR 코드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를 이용해서 QR 코드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QR 코드를 상품 검색 장치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품 검색 장치는 QR 코드를 이용해서 정확하게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스캔부의 스캔 가능 범위에 배치된 휴대 단말기를 향해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휴대 단말기가 스캔 가능 범위에 배치된 경우에만 온(on)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휴대 단말기가 배치된 스캔부의 위치로부터 상품의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이동 경로를 이용해서 상품의 위치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이동 경로를 휴대 단말기에서 광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휴대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이동 코드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에 표시된 이동 코드를 광학적으로 인식한 후 인식된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이동 경로를 이용해서 상품의 위치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 코드의 전달이 통신을 이용하는 대신 카메라 등의 광학 수단을 통해 전달되므로, 해킹의 위험이 없다.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상품이 없으면, 해당 상품의 유사 상품으로 설정된 다른 상품의 정보를 표시해서,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상품 검색 장치(100)는 스캔부(110), 분석부(130), 추출부(150), 표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휴대 단말기(10)가 갖고 있는 상품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의 상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품 검색 장치는 휴대 단말기(10)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유무선 통신에 따르면 해킹의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품 검색 장치와 휴대 단말기(10)가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더라도, 상품 검색 장치와의 통신을 허락하는 것을 꺼려하기 쉽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해킹의 염려 없이 상품을 검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블루투스, 와이파이, LTE 등의 통신 채널을 통해 휴대 단말기(10)와 통신하지 않으면서, 휴대 단말기(10)가 갖고 있는 상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스캔부(110)가 이용될 수 있다.
스캔부(110)는 3차원 공간에서 스캔이 가능한 범위 ⓒ 내에 휴대 단말기(10)가 배치되면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다.
스캔부(110)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QR 코드 등의 특정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 등의 영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부(110)는 제한된 범위의 스캔 가능 범위 ⓒ를 가질 수 있다. 스캔 가능 범위 ⓒ 내에 휴대 단말기(10)가 배치되면, 스캔부(110)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는 스캔부(110)의 스캔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상품의 이미지 등을 띄어놓아야 할 것이다.
분석부(130)는 스캔부(110)의 스캔 정보를 분석해서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품을 파악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이미지에 포함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문자열,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해서 휴대 단말기(10)의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품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사용자는 인터넷 등을 이용해서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상품을 디스플레이(30)에 띄워놓은 후 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상품의 이미지는 도 2와 같을 수 있다. 해당 이미지에는 상품의 사진, 상품의 이름, 가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이미지에는 해당 상품의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상품의 사진(15)을 이용해서 상품을 파악할 수 있다. 사진을 이용해서 상품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부(130)의 검색 대상이 되는 저장부(190)에는 적어도 현재 매장에 포함된 각 상품의 사진이 저장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스캔부(11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되 사진과 저장부(190)에 저장된 사진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사진이 존재하면, 해당 사진이 부여된 상품을 파악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문자열(13)을 이용해서 상품을 파악할 수 있다. 보통 상품의 사진과 함께 표시되는 문자열에는 해당 상품의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분석부(130)는 문자열의 분석을 통해 상품을 파악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QR 코드(11)를 이용해서 상품을 파악할 수 있다. QR 코드는 상품의 정보를 정확하게 포함하고 있으므로, QR 코드의 파악에 의해 상품이 파악될 수 있다.
QR 코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QR 코드가 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품이 전시된 상품 사이트의 경우 해당 상품과 관련된 사진 또는 문자열만 존재할 뿐 QR 코드가 없는 경우가 있다. QR 코드가 없는 경우 휴대 단말기(10)는 QR 코드를 표시할 수 없으므로, 분석부(130)는 QR 코드를 이용해서 상품을 검색할 수 없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QR 코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10)에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0) 외에 생성부도 마련될 수 있다.
생성부는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이미지를 분석해서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품의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는 생성된 코드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할 수 있다. 생성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QR 코드가 표시되므로, 스캔부(110)는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130)는 QR 코드를 분석해서 상품을 파악할 수 있다.
추출부(150)는 분석부(130)에서 파악된 상품에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저장부(19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추출부(150)에서 추출된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와 별도로 마련된 표시부(170)에 표시된 상품 정보를 통해 현재 매장에 자신이 원하는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 상품의 개수, 사이즈,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표시부(170)는 스캔부(110)의 스캔 가능 범위 ⓒ에 배치된 휴대 단말기(10)에 대면되는 일면에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스캔 가능 범위 ⓒ에 휴대 단말기(10)를 배치하기 위해 사용자 역시 스캔 가능 범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70)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보기 위해 위치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70)가 스캔 가능 범위 ⓒ를 향하게 배치되므로, 스캔 가능 범위 ⓒ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표시부(170)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표시부(170)는 휴대 단말기(10)가 스캔 가능 범위 ⓒ 내에 배치된 경우에만 전력을 사용해서 온(on)될 수 있다.
도 3은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인터페이스 메뉴(180)에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 정보(181), 상품의 존재 유무 ①, 개수 ②, 해당 상품이 의류인 경우 사이즈 ③, 위치 등이 표시되는 상품 보유 정보(182), 상품 추천 정보(183)가 마련될 수 있다.
추출부(150)는 분석부(130)에서 파악된 상품에 매칭되는 상품 정보가 없으면, 해당 상품의 유사 상품으로 설정된 다른 상품의 정보를 저장부(190)로부터 추출해서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유사 상품으로 설정된 다른 상품의 정보가 상품 추천 정보(183)에 포함될 수 있다. 상품 추천 정보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에 갈음하여 다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표시부(170)에 상품의 존재 유무, 상품의 개수, 사이즈만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현재 매장에 자신이 원하는 상품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나, 어느 위치에 해당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지 알 수 없다. 설령, 해당 상품의 진열 위치가 표시된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인식하기 곤란할 수 있다.
도 4는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상품 정보에 상품의 위치 정보 P2가 포함된 경우, 표시부(170)는 스캔부(110)의 위치 P1으로부터 해당 상품의 위치 P2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이동 경로를 이용해서 상품의 위치 P2까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매장의 규모가 크고 복잡한 경우 사용자는 P2까지 도달하기 전에 이동 경로를 잊어버리거나 혼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동 경로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P1 까지 되돌아오거나 매장 직원에게 상품의 위치를 재확인해야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표시부(170)에 표시된 이동 경로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도 표시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와 상품 검색 장치 간의 통신이 단절된 상태이므로,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이동 경로는 통신망을 통해 휴대 단말기(10)로 전달될 수 없다.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이동 경로를 휴대 단말기(10)로 전달하기 위해 추출부(150)는 스캔부(110)의 위치 P1으로부터 상품의 위치 P2까지의 이동 경로를 코드화할 수 있다. 추출부(150)는 코드화된 이동 경로의 이동 코드를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이동 코드는 QR 코드와 유사하게 휴대 단말기(10)에서 광학적으로 인식된 후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변환되어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이동 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10)에는 카메라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장치는 휴대 단말기(10)와 통신적으로 단절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상품 정보를 입수해서, 스캔부(110) 등이 설치된 매장에 비치된 상품 보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매장 내에 설치된 서버와 통신할 필요없이 상품 보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통신 메뉴를 설정할 필요도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휴대 단말기 11...QR 코드
13...문자열 15...사진
30...디스플레이 110...스캔부
130...분석부 150...추출부
170...표시부 180...인터페이스 화면
181...상품 정보 182...상품 보유 정보
183...상품 추천 정보 189...이동 코드
190...저장부

Claims (7)

  1. 3차원 공간에서 스캔이 가능한 범위 내에 휴대 단말기가 배치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의 스캔 정보를 분석해서 상기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품을 파악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파악된 상품에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상품 검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QR 코드, 문자열,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해서 상기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품을 파악하는 상품 검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해서 상기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품의 QR 코드를 생성하는 생성부가 마련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QR 코드를 표시하며,
    상기 스캔부는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QR 코드를 분석해서 상기 상품을 파악하는 상품 검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캔부의 스캔 가능 범위에 배치된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면되는 일면에 상기 상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스캔 가능 범위에 배치된 경우에만 온(on)되는 상품 검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에는 상기 상품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캔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상품의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상품 검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에는 상기 상품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스캔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상품의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코드화하고, 코드화된 상기 이동 경로의 이동 코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이동 코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광학적으로 인식된 후 상기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변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품 검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분석부에서 파악된 상품에 매칭되는 상품 정보가 없으면, 상기 상품의 유사 상품으로 설정된 다른 상품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품 검색 장치.
KR1020160090009A 2016-07-15 2016-07-15 상품 검색 장치 KR20180008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009A KR20180008995A (ko) 2016-07-15 2016-07-15 상품 검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009A KR20180008995A (ko) 2016-07-15 2016-07-15 상품 검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995A true KR20180008995A (ko) 2018-01-25

Family

ID=6109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009A KR20180008995A (ko) 2016-07-15 2016-07-15 상품 검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89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600B1 (ko) 2019-09-02 2020-03-09 브이에이스 주식회사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420A (ja) * 2000-09-28 2002-04-12 Denso Corp 通信システム
KR20120108568A (ko) * 2011-03-24 2012-10-05 (주) 토브버츄얼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420A (ja) * 2000-09-28 2002-04-12 Denso Corp 通信システム
KR20120108568A (ko) * 2011-03-24 2012-10-05 (주) 토브버츄얼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600B1 (ko) 2019-09-02 2020-03-09 브이에이스 주식회사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51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guide system
JP6527029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1443158B1 (ko) 사용자 관심 기반의 상품정보 추천 시스템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JP6185216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55533B2 (en) Method for providing photographed image-related information to user, and mobile system therefor
KR20120014480A (ko)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896404B1 (ko) 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상품 추천 시스템
US201601715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products in a retail store using a mobile device
US20150279112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mode
KR20160011312A (ko)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JP5226657B2 (ja) 商品関連情報を提供するサーバ、方法及びシステム
US107196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or retrieving information relating to objects
JP2017033157A (ja)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商品情報提供方法、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管理サーバ
KR20180008995A (ko) 상품 검색 장치
KR20150142913A (ko) 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7120557A (ja) 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243557A (zh) 自助式挑选蔬果的方法及系统
KR20110137004A (ko)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검색 기반 가격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7169691A (zh) 用于信息处理的系统和方法
JP2009026112A (ja)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
JP3222958U (ja) 視覚化撮影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JP57687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19337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01387A1 (en)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guid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