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600B1 -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00B1
KR102086600B1 KR1020190108375A KR20190108375A KR102086600B1 KR 102086600 B1 KR102086600 B1 KR 102086600B1 KR 1020190108375 A KR1020190108375 A KR 1020190108375A KR 20190108375 A KR20190108375 A KR 20190108375A KR 102086600 B1 KR102086600 B1 KR 10208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정규인
Original Assignee
브이에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에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K9/62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 제공되는 영상 내 상품의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 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식별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구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구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URCHASE INFORMATION OF PRODUC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유튜브(Youtube) 등과 같은 영상 제공 플랫폼, 영상 산업 등의 발전과 함께, 대중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많은 영상들이 제작 및 배포되고 있으며, 이러한 영상들에는 다수의 상품들이 노출되고 있다.
영상의 시청자들은 이러한 영상들에 노출되는 상품들 중 디자인이 좋거나, 필요한 상품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시청자들에게 상품을 노출시키는 PPL(Product Placement Advertisement) 광고들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에는 상품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나, 구매를 위한 정보들이 나타나지 않아, 시청자가 해당 상품에 관심이 있더라도 상품을 별도로 검색해야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8995호(2018.01.2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품의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 제공되는 영상 내 상품의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 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식별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구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구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 정보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상기 영상 내 특정 지점의 좌표 정보인 경우 상기 좌표 정보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의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의 획득이 실패되는 경우 상기 영역을 확장하여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음성 정보인 경우,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문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 상기 상품이 존재하는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정보 제공부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해 식별 정보 및 구매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식별 정보들 중 획득된 상기 식별 정보와 가장 유사한 식별 정보를 갖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상품의 구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분류군 정보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는, 획득된 상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분류군 정보를 갖는 상품들을 유사 상품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유사 상품들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유사 상품 구매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상품 구매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구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품의 구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구매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상품 구매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에 존재하는 상품의 구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정보 입력부(102), 식별 정보 획득부(104), 및 구매 정보 제공부(106)를 포함한다.
이때,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예를 들어, 영상을 제공하거나, 상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r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저전력 광대역 네트워크(LPWAN; Low-Power Wide-area Network) 등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정보 입력부(102)는 사용자로부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 받는다. 이때,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던 중 관심이 가는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입력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입력부(102)는 사용자로부터 상품이 출력되는 시점의 영상 내 좌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정보 입력부(102)는 예를 들어,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 중 어느 한 지점의 좌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정보 입력부(102)는 사용자로부터 상품의 출력되는 시점에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입력부(102)는 예를 들어,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음성 정보는 예를 들어, “우측 상단의 가방”, “연예인이 들고 있는 핸드폰”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정보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상표명, 회사명, 모델명, 형태, 색상, 제조 시기 등 상품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딥러닝 기반으로 영상 내에서 물체를 인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영상 내 물체 인식을 위해 기 훈련된 딥 뉴럴 네트워크(DNN; Deep Neural Network) 알고리즘 등을 수행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예를 들어, 해리스 코너 검출(Harris Corner Detection) 기법,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sform) 기법 등과 같은 특징점 검출 기법들, 또는 소벨(Sobel) 기법, 캐니(Canny) 기법, 라플라시안(Laplacian) 기법, 프리윗(Prewitt) 기법 등과 같은 다양한 에지 검출(edge detection) 기법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상품의 형태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예를 들어, 광학 문자 판독(OCR; Opitcal Character Recognition) 기법을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상표명, 회사명, 제품번호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식별 정보 획득부(104)의 식별 정보 획득방법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영상 내 특정 지점의 좌표 정보인 경우, 좌표 정보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의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범위는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범위로써, 설정된 범위의 영역은 예를 들어, 특정 지점을 중심, 5 pixel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형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의 획득이 실패되는 경우, 영역을 확장하여 영상을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점의 좌표로 (300, 400)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지점(300, 400)을 중심, 5 pixel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형 범위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 획득이 실패된 경우,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영역을 확장(예를 들어, 반지름을 5 pixel 증가)하여, 해당 지점(300, 400)을 중심, 10 pixel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형 범위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 획들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위의 작업(영역 확장 및 식별 정보 획득 시도)을 반복하여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음성 정보인 경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문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내 상품이 존재하는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종래의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정보로부터 문자 정보를 획득하고,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정보로부터 획득된 문자 정보가 “우측 상단의 가방”이라는 정보라면,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영상 내 우측 상단 영역(예를 들어, 영상을 4등분 하였을 때, 우측 상단에 위치한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품(가방)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성 정보로부터 획득된 문자 정보가 “A가 들고 있는 핸드폰”이라는 정보라면,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예를 들어, 종래의 얼굴 인식 기법들을 이용하여 A를 인식하고, A의 손 부분(예를 들어, A의 손을 중심으로 30pixel 이내의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품(핸드폰)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시점보다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 시점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시간은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예를 들어, 1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영상 내 특정 지점의 좌표 정보인 경우,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좌표 정보가 입력된 시점보다 1초 이전의 영상에서, 좌표 정보 중심의 특정 범위의 영역을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사용자가 구매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상품을 인지한 후, 정보를 입력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더 정확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시점의 영상과 해당 시점의 전 후 영상들을 모두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시점 프레임의 선행 비참조 프레임과, 사용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시점 프레임의 후행 비참조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 사이의 영상들을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선행 비참조 프레임은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시점 프레임(이하, 입력 프레임)의 이전 I 프레임(Infra frame)들 중, 입력 프레임의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의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후행 비참조 프레임은 예를 들어, 입력 프레임의 이후 I 프레임들 중, 입력 프레임의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의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행 비참조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은 후행 비참조 프레임(I frame)의 이전에 존재하는 P 프레임(Predicted frame) 또는 B 프레임(Bidirectional frame)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시점 프레임 영상에서 상품의 위치를 파악하고, 영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다른 프레임(선행 비참조 프레임부터, 후행 비참조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까지의 프레임들) 영상에서 해당 상품의 위치를 추적하고, 각 프레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이 선행 비참조 프레임 영상부터, 후행 비참조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 영상 사이에서 회전하고, 회전하는 도중 특정 프레임에서 상품의 제품 번호가 노출되는 경우, 식별 정보 획득부(104)는 노출된 제품 번호를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식별 정보 획득부(104)를 통해 획득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구매 정보를 사용자로 제공한다. 이때, 구매 정보는 상품의 구매를 위해 필요한 정보로써,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설명, 제품번호, 가격, 구매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상품별로 구매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구매 정보들 중 식별 정보 획득부(104)를 통해 획득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SSD(Solid State Driver),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카드 등에 구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해 식별 정보 및 구매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식별 정보들 중 식별 정보 획득부(104)를 통해 획득된 식별 정보와 가장 유사한 식별 정보를 갖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의 구매 정보를 사용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과 같이 상품의 구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곳과 연결되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의 구매 정보를 사용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유사 상품 구매 정보 제공부(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 정보 획득부(104)를 통해 획득된 식별 정보는 분류군 정보(예를 들어, 상품의 카테고리, 제조 회사 등)를 포함하고, 유사 상품 구매 정보 제공부(202)는 획득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 분류군 정보를 갖는 상품들을 유사 상품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사 상품들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획득부(104)를 통해 획득된 식별 정보의 분류군 정보로, “상품 카테고리 : 운동화, 상품 제조 회사 : 나이키, 상품 색상 : 하얀색”이 포함된 경우, 유사 상품 구매 정보 제공부(202)는 해당 분류군 정보와 동일한 분류군 정보를 갖는 상품들(예를 들어, 나이키에서 제조된 하얀색 운동화)을 유사 상품으로 분류하고, 유사 상품들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사 상품 구매 정보 제공부(202)는 구매 정보 제공부(106)의 구매 정보 제공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사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로 제공된 상품 구매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피드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부는 구매 정보 제공부(106)를 통해 사용자로 구매 정보가 제공된 후, 사용자로부터 해당 구매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에 대해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피드백부는 입력된 정보를 구매 정보 제공부(106)로 제공할 수 있으며,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피드백부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제공될 상품의 구매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피드백부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구매 정보 별로 만족도를 저장하고, 만족도가 높은 구매 정보를 사용자로 우선적으로 제공하거나, 만족도가 설정된 기준 이하인 구매 정보는 사용자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상품 구매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300)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 받는다(301).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302).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는 획득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구매 정보를 사용자로 제공한다(303).
한편, 도 3에 도시된 순서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400)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102: 정보 입력부
104: 식별 정보 획득부
106: 구매 정보 제공부
202: 유사 상품 구매 정보 제공부

Claims (6)

  1. 사용자로 제공되는 영상 내 상품의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 정보를 분석하되, 상기 입력 정보가 입력된 제1 시점의 제1 영상 및 상기 제1 시점보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시간만큼 이전 시점인 제2 시점의 제2 영상을 분석하되,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상품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사이의 영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에서 상기 상품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되, 광학 문자 판독(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법을 이용하여 제품 번호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식별 정보 획득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구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구매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식별 정보는 분류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분류군 정보를 갖는 상품들을 유사 상품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유사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유사 상품 구매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 획득부는,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부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좌표 정보인 경우, 상기 제2 영상 내에서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5 픽셀(pixel) 크기의 반지름의 원형 범위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의 획득이 실패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 내에서 상기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10 픽셀 크기의 반지름의 원형 범위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입력 정보가 음성 정보인 경우,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문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자 정보는 상기 제2 영상을 4분할한 서브 영상들 중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영상들 중 하나 내 상기 상품이 존재하는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영상들 중 하나 내에서 상기 상품이 존재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30 픽셀 크기의 반지름의 원형 범위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사용자로 제공되는 영상 내 상품의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를 분석하되, 상기 입력 정보가 입력된 제1 시점의 제1 영상 및 상기 제1 시점보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시간만큼 이전 시점인 제2 시점의 제2 영상을 분석하되,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상품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사이의 영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에서 상기 상품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되, 광학 문자 판독(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법을 이용하여 제품 번호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구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는 분류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분류군 정보를 갖는 상품들을 유사 상품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유사 상품의 구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좌표 정보인 경우, 상기 제2 영상 내에서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5 픽셀(pixel) 크기의 반지름의 원형 범위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의 획득이 실패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 내에서 상기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10 픽셀 크기의 반지름의 원형 범위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가 음성 정보인 경우,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문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자 정보는 상기 제2 영상을 4분할한 서브 영상들 중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영상들 중 하나 내 상기 상품이 존재하는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영상들 중 하나 내에서 상기 상품이 존재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30 픽셀 크기의 반지름의 원형 범위를 분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 구매 정보 제공 방법.
KR1020190108375A 2019-09-02 2019-09-02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8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375A KR102086600B1 (ko) 2019-09-02 2019-09-02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375A KR102086600B1 (ko) 2019-09-02 2019-09-02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600B1 true KR102086600B1 (ko) 2020-03-09

Family

ID=6980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375A KR102086600B1 (ko) 2019-09-02 2019-09-02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884B1 (ko) * 2020-04-21 2020-11-19 피앤더블유시티 주식회사 영상 콘텐츠에서 객체 인식 기반의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7078358A (zh) * 2023-10-13 2023-11-17 北京未来链技术有限公司 基于语音识别的元宇宙电商平台系统智能构建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849B1 (ko) * 2007-08-08 2008-06-10 (주)올라웍스 화상 데이터에 나타난 인물에 부착된 상품 정보를 획득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61997A (ko) * 2009-10-06 2012-06-1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콘텐츠 배달 시스템에서 이미지 매칭을 통하여 거래들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2013088906A (ja) * 2011-10-14 2013-05-13 Cyber Ai Entertainment Inc 画像認識システムを備えた知識情報処理サーバシステム
KR20180008995A (ko) 2016-07-15 2018-01-2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품 검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849B1 (ko) * 2007-08-08 2008-06-10 (주)올라웍스 화상 데이터에 나타난 인물에 부착된 상품 정보를 획득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61997A (ko) * 2009-10-06 2012-06-1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콘텐츠 배달 시스템에서 이미지 매칭을 통하여 거래들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2013088906A (ja) * 2011-10-14 2013-05-13 Cyber Ai Entertainment Inc 画像認識システムを備えた知識情報処理サーバシステム
KR20180008995A (ko) 2016-07-15 2018-01-2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품 검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884B1 (ko) * 2020-04-21 2020-11-19 피앤더블유시티 주식회사 영상 콘텐츠에서 객체 인식 기반의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7078358A (zh) * 2023-10-13 2023-11-17 北京未来链技术有限公司 基于语音识别的元宇宙电商平台系统智能构建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676B2 (en) Reducing the search space for recognition of objects in an image based on wireless signals
CN109961009B (zh) 基于深度学习的行人检测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US1039512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ying objects in video images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same
US10133951B1 (en) Fusion of bounding regions
US9721156B2 (en) Gift card recognition using a camera
EP3267362A1 (en) Machine learning image processing
US9141886B2 (en) Method for the automated extraction of a planogram from images of shelving
US20160225053A1 (en) Mobile visual commerce system
US10423827B1 (en) Image text recognition
US201901887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unterfeit product based on deep learning
US10733480B2 (en) Custom Auto Tagging of Multiple Objects
US9892437B2 (en) Digitization of a catalog of retail products
US10878024B2 (en) Dynamic thumbnails
KR102086600B1 (ko)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9220014A (ja)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95782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system for classifying images and producing a predetermined visual output
JP5480008B2 (ja) マンガコンテンツの要約を生成する要約マンガ画像生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10229320B1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the details about the product item that the user is looking for and providing the navigation map for the selected item presented in the store
US20210166028A1 (en) Automated product recognition, analysis and management
Angeli et al. Making paper labels smart for augmented wine recognition
JP2019197337A (ja) メタデータ生成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メタ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69452A1 (en) System Configuration for Learning and Recognizing Packaging Associated with a Product
US2019037087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mobile electronic retail purchases
CN118014672A (zh) 商品推荐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