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560A - 슬라이딩 부품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560A
KR20180008560A KR1020177035571A KR20177035571A KR20180008560A KR 20180008560 A KR20180008560 A KR 20180008560A KR 1020177035571 A KR1020177035571 A KR 1020177035571A KR 20177035571 A KR20177035571 A KR 20177035571A KR 20180008560 A KR20180008560 A KR 2018000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leakage
fluid
groove
sea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272B1 (ko
Inventor
유이치로 토쿠나가
히데유키 이노우에
와타루 키무라
테츠야 이구치
케이이치 치바
마사토시 이타다니
히카루 카토리
Original Assignee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80Labyrinth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F16J15/34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F16J15/34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 F16J15/341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with cavities
    • F16J15/34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with cavities with at least one continuous gro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64Mounting of the seal
    • F16J15/348Pre-assembled seals, e.g. cartridge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 Actuator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 있어서,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누설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방지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 유체를 트랩하는 트랩홈(10)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트랩홈(10)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부품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메카니컬 시일, 베어링, 그 외, 슬라이딩부에 적합한 슬라이딩 부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슬라이딩면에 유체를 개재시켜 마찰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밀봉환, 예를 들면 터보 차저용 혹은 항공 엔진용의 기어 박스에 사용되는 오일 시일, 또는 베어링 등의 슬라이딩 부품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부품의 일례인 메카니컬 시일에 있어서, 그 성능은, 누설량, 마모량, 및 토크에 의해 평가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메카니컬 시일의 슬라이딩 재질이나 슬라이딩면 거칠기를 최적화함으로써 성능을 높이고, 저누설, 고수명, 저토크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의 고조로, 메카니컬 시일의 추가적인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어, 종래 기술의 틀을 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러한 중에서, 예를 들면 터보 차저와 같은 회전 부품의 오일 시일 장치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회전축과,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원반 형상의 회전체와, 하우징에 고정되어, 회전체의 단면에 맞닿아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오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원반 형상의 고정체를 구비하고, 고정체의 맞닿음면에는 유체의 원심력에 의해 정압을 발생시키는 환 형상의 홈이 설치되어, 오일이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예를 들면 유독한 유체를 시일하는 회전축의 축봉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링과 케이싱에 장착된 정지(靜止) 링을 구비하고, 회전 링 및 정지 링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면에 회전 링의 회전에 의해 저압측의 액체를 고압측을 향하여 말려들게 하는 스파이럴홈이 고압측의 단부가 막다름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고, 고압측의 피밀봉 유체가 저압측에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예를 들면 터보 차저의 구동축을 압축기 하우징에 대하여 시일하는데 적합한 면 시일 구조로서, 협동(協動)하는 한 쌍의 시일 링 중, 한쪽은 회전 구성 요소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정지 구성 요소에 설치되고, 이들 시일 링은, 작동 중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에 형성된 시일면을 갖고, 시일면들의 사이에, 시일면의 외측 구역을 시일면의 내측 구역에 대하여 시일하기 위한 시일 갭이 형성되어, 시일면의 적어도 한쪽에, 가스를 반송하는데 유효한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오목부가 설치되고, 당해 오목부는 시일면의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고 있는 동시에, 오목부의 내단은 상기 시일면의 다른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되고, 비가스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 매체 중의 비가스 성분이 시일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87-117360호
[특허문헌 2]일본국 공개특허공보 1987-31775호
[특허문헌 3]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1-12610호
그러나, 상기의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 링(51)의 슬라이딩면(51a)에 회전 링(52)의 회전에 의해 저압 유체측(이하, 「누설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유체를 피밀봉 유체측(고압 유체측)을 향하여 말려들게 하는 스파이럴홈(53)의 누설측의 단부(53a)가 누설측에 직접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누설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더스트가 진입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치의 비정상(非定常)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하여 정지 링(51)과 회전 링(52)과의 시일면이 열린 경우, 액체 누설 대책이 채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누설액은 그대로 장치 외부에 유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 있어서,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누설측으로의 유체 누설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면의 밀봉과 윤활의 상반되는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첫 번째로,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 유체를 트랩하는 트랩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장치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과 고정측 밀봉환과의 슬라이딩면이 열린 경우에도 누설 유체를 트랩홈에서 트랩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슬라이딩면의 마찰 및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두 번째로,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인 액체 또는 미스트 상태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된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는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장치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과 고정측 밀봉환과의 슬라이딩면이 열린 경우에도 누설액을 트랩홈에서 트랩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슬라이딩면의 마찰 및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세 번째로,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특징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극소 간극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심플한 구성으로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네 번째로,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특징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반경 방향 경사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보다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다섯 번째로,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트랩홈은, 상기 고정측 밀봉환 및 상기 회전측 밀봉환 중 어느 한쪽에 복수, 다른 한쪽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고정측 밀봉환의 트랩홈과 상기 회전측 밀봉환의 트랩홈은 직경방향의 위치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이들 트랩홈을 구획하는 랜드부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장치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과 고정측 밀봉환과의 슬라이딩면이 열린 경우에도 누설액을 복수의 트랩홈에서 트랩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더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으로 더스트의 진입을 저지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여섯 번째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상기 트랩홈에 연통하고,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동압 발생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정상(定常) 운전 등의 회전측 밀봉환의 고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누설측으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외주측의 단부 부근에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회전측 밀봉환과 고정측 밀봉환과의 슬라이딩면에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면은 기체 윤활 상태가 되어 매우 저마찰이 된다. 동압 발생홈은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일곱 번째로, 여섯 번째 특징에 있어서, 상기 동압 발생홈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에 펌핑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내주측의 기체 및 트랩홈 내의 액체가 외주측을 향하여 펌핑되기 때문에, 트랩홈 내의 액체 및 외주측의 액체가 내주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여덟 번째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피밀봉 유체측에 연통하고, 누설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기동 시 등의 회전측 밀봉환의 저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피밀봉 유체가 적극적으로 슬라이딩면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 유체를 트랩하는 트랩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장치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과 고정측 밀봉환과의 슬라이딩면이 열린 경우에도 누설 유체를 트랩홈에서 트랩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슬라이딩면의 마찰 및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2)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된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는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장치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과 고정측 밀봉환과의 슬라이딩면이 열린 경우에도 누설액을 트랩홈에서 트랩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슬라이딩면의 마찰 및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3)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극소 간극대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심플한 구성으로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4)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반경 방향 경사홈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보다 더 저감할 수 있다.
(5) 트랩홈은, 상기 고정측 밀봉환 및 상기 회전측 밀봉환 중 어느 한쪽에 복수, 다른 한쪽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고정측 밀봉환의 트랩홈과 상기 회전측 밀봉환의 트랩홈은 직경방향의 위치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이들 트랩홈을 구획하는 랜드부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과 고정측 밀봉환과의 슬라이딩면이 열린 경우에도 누설액을 복수의 트랩홈에서 트랩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더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으로 더스트의 진입을 저지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더 저감할 수 있다.
(6)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상기 트랩홈에 연통하고,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동압 발생홈이 설치됨으로써, 정상 운전 등의 회전측 밀봉환의 고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누설측으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외주측의 단부 부근에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회전측 밀봉환과 고정측 밀봉환과의 슬라이딩면에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면은 기체 윤활 상태가 되어 매우 저마찰이 된다. 동압 발생홈은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7) 동압 발생홈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에 펌핑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에 의해, 내주측의 기체 및 트랩홈 내의 액체가 외주측을 향하여 펌핑되기 때문에, 트랩홈 내의 액체 및 외주측의 액체가 내주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8)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피밀봉 유체측에 연통하고, 누설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이 설치됨으로써, 기동 시 등의 회전측 밀봉환의 저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피밀봉 유체가 적극적으로 슬라이딩면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S)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메카니컬 시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지면(紙面) 하방의 수평 방향에 회전 중심이 존재한다. 또한 도 2(b)는, 트랩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도 3(a)는, 도 2(a)의 슬라이딩 부분을 더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지면 하방의 수평 방향에 회전 중심이 존재한다. 또한 도 3(b)는,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지면 하방의 수평 방향에 회전 중심이 존재한다.
[도 5]에서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지면 하방의 수평 방향에 회전 중심이 존재한다. 또한 도 5(b)는,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실시예 1의 도 3(b)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7]에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부품의 일례인 메카니컬 시일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메카니컬 시일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부품의 외주측을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 내주측을 누설측(기체측)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측이 누설측(기체측), 내주측이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일 경우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과 누설측(기체측)과의 압력의 대소 관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이 고압, 누설측(기체측)이 저압, 혹은, 그 반대여도 되고, 또한 양쪽의 압력이 동일하여도 된다.
도 1은, 메카니컬 시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슬라이딩면의 외주로부터 내주방향을 향하여 누설되려고 하는 피밀봉 유체, 예를 들면 베어링부에 사용된 윤활유를 밀봉하는 형식의 인사이드 형식이고, 터보 차저에 구비된 컴프레서의 임펠러(1)를 구동시키는 회전축(2)측에 슬리브(3)를 통하여 이 회전축(2)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인 원환 형상의 회전측 밀봉환(4)과, 하우징(5)에 카트리지(6)를 통하여 비회전 상태로,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인 원환 형상의 고정측 밀봉환(7)이 설치되고, 고정측 밀봉환(7)을 축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8)에 의해, 래핑 등에 의해 경면 처리된 슬라이딩면(S)끼리 밀접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메카니컬 시일은,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S)을 갖고, 서로의 슬라이딩면(S)에 있어서, 피밀봉 유체, 예를 들면 액체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이하, 액체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를 간단히 「액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슬라이딩면(S)의 외주로부터 내주측의 누설측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부호 9는 O링을 나타내며, 카트리지(6)와 고정측 밀봉환(7)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슬리브(3)와 회전측 밀봉환(4)이 별체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슬리브(3)와 회전측 밀봉환(4)을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의 재질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탄화 규소(SiC) 및 자기(自己) 윤활성이 우수한 카본 등으로부터 선정되지만, 예를 들면 양쪽이 SiC, 혹은, 어느 한쪽이 SiC이며 다른 한쪽이 카본인 조합이 가능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R1)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10)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트랩홈(10)에 연통되고,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된 동압 발생홈(11)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
트랩홈(10) 및 동압 발생홈(11)은,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에 설치되는 등,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어느 한쪽의 슬라이딩면에 설치되면 된다.
트랩홈(10)은, 장치(예를 들면 컴프레서)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의 면 개방 시에 피밀봉 유체인 액체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누설액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트랩홈(10)에 저장된 누설액은, 정상 회전 시에 있어서, 동압 발생홈(11)의 작용, 혹은, 누설액의 원심력 등에 의해 피밀봉 유체측에 되돌려진다.
도 2(a)에 있어서, 트랩홈(10)은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한 플라스크 형상의 트랩홈(10)이어도 된다. 플라스크 형상의 트랩홈(10)이면, 슬라이딩 부품이 가로로 배치된 경우에, 안쪽의 확장 부분에 누설액을 저장해 둘 수 있다. 트랩홈(10)의 형상은, 즉, 소정의 용량을 갖고, 누설액을 저류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동압 발생홈(11)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에 펌핑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다.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은, 내주측(누설측)의 입구(11a)가 트랩홈(10)에 연통되어 있지만,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11b)는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되어 있지 않고,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의 상대 슬라이딩에 의해, 누설측의 단부로부터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를 향하여 펌핑 작용을 발휘하도록 스파이럴 형상으로 경사져, 동압(정압)을 발생시킨다.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은, 도 3(b)에 있어서는, 홈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트랩홈(10)에 연통되어 있는 내주측(누설측)의 입구(11a)의 홈 폭을 확대, 즉, 입구(11a)의 둘레 방향 길이를 다른 부분보다 길게 하여, 동압 발생홈(11) 내로의 유체의 공급 효과를 증대시켜도 된다.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은, 정상 운전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고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누설측으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외주측의 단부(11b) 부근에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과의 슬라이딩면(S)에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면(S)은 기체 윤활 상태가 되어 매우 저마찰이 된다. 동시에, 트랩홈(10) 내의 액체 및 누설측의 기체가 외주측을 향하여 펌핑되기 때문에, 트랩홈(10) 내의 액체 및 외주측의 액체가 내주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은 외주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회전측 밀봉환(4)의 트랩홈(10)에서 누설측의 랜드부(R1)와,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에서 누설측의 랜드부(R2)와의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이 형성된다.
본 예의 경우,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은, 회전측 밀봉환(4)측의 랜드부(R1)와 고정측 밀봉환(7)측의 랜드부(R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소 간극대(g)에 의해 구성된다. 이 극소 간극대(g)의 간극은, 액체의 진입은 허용하지만 더스트를 구성하는 입자의 진입을 저지하는 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5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0.5mm 이하에는 0도 포함되고,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장치의 정지 시, 즉, 슬라이딩 부품의 정지 시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면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 않고, 극소 간극대(g)의 간극은 0이지만, 장치가 시동하여, 한 쌍의 슬라이딩면이 상대 슬라이딩하면, 슬라이딩면 사이에 존재하는 유체에 의해 동압이 발생하여, 한 쌍의 슬라이딩면의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이 발생하고, 극소 간극대(g)의 간극은 유한한 값이 된다. 즉, 극소 간극대(g)의 간극「0.5mm 이하」는 슬라이딩 부품의 정지 시의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0도 포함된다.
극소 간극대(g)의 간극을 유한한 값으로 할 경우, 극소 간극대(g)는,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도 되고, 혹은, 원 둘레의 일부분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원 둘레의 일부분에만 설치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중심각이 30°의 범위인 극소 간극대(g)를 6등배 설치하고, 다른 나머지의 부분은 간극 0(정지 시에 있어서 간극 0)으로 설정한다.
특히 도 3(a)에 명료하게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측 밀봉환(4)의 트랩홈(10)에서 누설측의 랜드부(R1)의 극소 간극대(g)를 구성하는 모서리부(13)는 모따기되고, 이 모따기된 모서리부(13)와 대향하는 고정측 밀봉환(7)측의 랜드부(R2)의 모서리부(14)도 모따기되어, 양쪽의 모따기된 모서리부(13, 14)로 극소 간극대(g)가 형성되어 있다. 극소 간극대(g)는, 트랩홈(10)과 트랩홈(10)의 누설측에 있어서 연통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랩홈(10)에서 누설측에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이 배치됨으로써, 우선은 트랩홈(10) 내로의 더스트의 진입이 방지되고, 또한 만일 트랩홈(10) 내에 진입한 더스트의 대부분은 트랩홈(10) 내에 머물러, 슬라이딩면(S)으로의 진입은 상당히 억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1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인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R1)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10)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인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의 트랩홈(10)에서 누설측의 랜드부(R1, R2)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장치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과의 슬라이딩면이 열린 경우에도 누설액을 트랩홈(10)으로 트랩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슬라이딩면의 마찰 및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2)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이,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트랩홈(10)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극소 간극대(g)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심플한 구성으로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3)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트랩홈(10)에 연통되고,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된 동압 발생홈(11)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고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내주측(누설측)의 입구(11a)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외주측의 단부(11b) 부근에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과의 슬라이딩면(S)에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면(S)은 기체 윤활 상태가 되어 매우 저마찰이 된다. 동시에,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에 의해 내주측의 기체 및 트랩홈(10) 내의 액체가 외주측을 향하여 펌핑되기 때문에, 트랩홈(10) 내의 액체 및 외주측의 액체가 내주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은 외주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 있어서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실시예 2)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의 슬라이딩면에 복수의 트랩홈이 설치되고, 고정측 밀봉환의 슬라이딩면에 1개의 트랩홈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의 슬라이딩 부품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여,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R3)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10-1), 및, 트랩홈(10-1)보다 피밀봉 유체측이며, 트랩홈(10-1)과는 랜드부(R4)에 의해 누설측과 반대측의 위치에 격리되어,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10-2)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누설측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트랩홈(10-2)에 연통되고,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된 동압 발생홈(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R5)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10-3)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 밀봉환(7)측의 트랩홈(10-3)은, 회전측 밀봉환(4)측의 2개의 트랩홈(10-1, 10-2)과는 직경방향의 위치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도록 이들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트랩홈(10-3)의 누설측과 반대측은 랜드부(R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트랩홈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측 밀봉환(4)에 2개, 고정측 밀봉환(7)에 1개 설치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측 밀봉환(7) 및 회전측 밀봉환(4) 중 어느 한쪽에 복수, 다른 한쪽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면 되고, 고정측 밀봉환(7)의 트랩홈과 회전측 밀봉환(4)의 트랩홈이 직경방향의 위치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면 된다.
트랩홈(10-1, 10-2 및 10-3)은, 컴프레서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의 면 개방 시에 피밀봉 유체인 액체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누설액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트랩홈(10-1, 10-2 및 10-3)에 저장된 누설액은, 정상 회전 시에 피밀봉 유체측에 되돌려진다.
또한, 트랩홈(10-1, 10-2 및 10-3)은, 도 4에 나타내는 경우와 반대로, 트랩홈(10-1, 10-2)이 고정측 밀봉환에, 또한 트랩홈(10-3)이 회전측 밀봉환에 설치되어도 된다.
회전측 밀봉환(4)의 트랩홈(10-1)에서 누설측의 랜드부(R3)와,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에서 누설측의 랜드부(R5)와의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이 형성된다.
또한 랜드부(R4)와 랜드부(R5)와의 사이, 및, 랜드부(R4)와 랜드부(R6)와의 사이에도, 각각,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 12)이 형성된다.
본 예의 경우, 3개의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 12, 12)은, 회전측 밀봉환(4)측의 랜드부(R3)와 고정측 밀봉환(7)측의 랜드부(R5)와의 사이, 및, 회전측 밀봉환(4)측의 랜드부(R4)와 고정측 밀봉환(7)측의 랜드부(R5 및 R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3개의 극소 간극대(g)에 의해 구성된다. 이 극소 간극대(g)의 간극은, 액체의 진입은 허용하지만 더스트를 구성하는 입자의 진입을 저지하는 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5mm 이하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극소 간극대(g)는,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도 되고, 혹은, 원 둘레의 일부분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원 둘레의 일부분에만 설치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중심각이 30°의 범위인 극소 간극대(g)를 6등배 설치하고, 다른 나머지의 부분은 간극 0으로 설정한다.
랜드부(R3, R4, R5 및 R6)의 극소 간극대(g)를 구성하는 모서리부는 모따기되고, 이 모따기된 모서리부의 사이에 극소 간극대(g)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트랩홈(10-1, 10-2 및 10-3)은, 3개의 극소 간극대(g)를 통하여 누설측에 연통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2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트랩홈(10-1, 10-2, 10-3)은, 고정측 밀봉환(7) 및 회전측 밀봉환(4)에 각각 설치되고, 고정측 밀봉환(7)의 트랩홈(10-3)과 회전측 밀봉환(4)의 트랩홈(10-1, 10-2)은 직경방향의 위치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이들 트랩홈(10-1, 10-2, 10-3)을 구획하는 랜드부(R3, R4, R5, R6)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12)이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과의 슬라이딩면이 열린 경우에도 누설액을 복수의 트랩홈에서 트랩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더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으로 더스트의 진입을 저지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더 저감할 수 있다.
(2)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트랩홈(10-2)에 연통되고,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된 동압 발생홈(11)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고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내주측(누설측)의 입구(11a)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외주측의 단부(11b) 부근에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과의 슬라이딩면(S)에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면(S)은 기체 윤활 상태가 되어 매우 저마찰이 된다. 동시에,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에 의해 내주측의 기체 및 트랩홈(10) 내의 액체가 외주측을 향하여 펌핑되기 때문에, 트랩홈(10) 내의 액체 및 외주측의 액체가 내주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은 외주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실시예 3)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은,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반경 방향 경사홈을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예 1의 슬라이딩 부품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여,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R7)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10-4)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트랩홈(10-4)에 연통되고,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된 동압 발생홈(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R8)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10-5)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 밀봉환(7)측의 트랩홈(10-5)은, 회전측 밀봉환(4)측의 트랩홈(10-4)과는 직경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트랩홈(10-4 및 10-5)은, 컴프레서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의 면 개방 시에 피밀봉 유체인 액체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누설액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트랩홈(10-4 및 10-5)에 저장된 누설액은, 정상 회전 시에 피밀봉 유체측에 되돌려진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측 밀봉환(7)의 랜드부(R8)의 표면에는, 트랩홈(10-5)과 누설측을 연통하도록 반경 방향 경사홈(15)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반경 방향 경사홈(15)은, 도 5(b)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고 할 경우, 트랩홈(10-5)을 기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을 향하여 더스트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반경 방향 경사홈(15)의 단면 형상을 반경 방향에 있어서 변화시켜도 되고, 예를 들면 누설측의 단면의 폭 및 깊이를 작게 하고, 트랩홈(10-5)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크게 해도 된다.
또한, 반경 방향 경사홈(15)은 고정측 밀봉환(7)에 한정하지 않고, 회전측 밀봉환(4)에 형성되어도 되고, 또한 양쪽 모두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반경 방향 경사홈(15)은,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도 되고, 원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회전측 밀봉환(4)의 랜드부(R7)의 표면과 고정측 밀봉환(7)의 랜드부(R8)의 표면은, 정지 시에 있어서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고정측 밀봉환(7)의 랜드부(R8)의 표면에 반경 방향 경사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고정측 밀봉환(7)의 트랩홈(10-5)에서 누설측의 랜드부(R8)의 표면에 형성되는 반경 방향 경사홈(15)이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을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3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R7)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10-4)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R8)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10-5)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인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의 트랩홈(10-4 및 10-5)에서 누설측의 랜드부(R7, R8)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인 반경 방향 경사홈(15)이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비정상 운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과의 슬라이딩면이 열린 경우에도 누설액을 트랩홈(10-4, 10-5)으로 트랩할 수 있고, 누설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누설측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더스트가 진입하는 것을 더 저감할 수 있고, 슬라이딩면의 마찰 및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2)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트랩홈(10-4)에 연통되고,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된 동압 발생홈(11)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고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내주측(누설측)의 입구(11a)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외주측의 단부(11b) 부근에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과의 슬라이딩면(S)에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면(S)은 기체 윤활 상태가 되어 매우 저마찰이 된다. 동시에,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에 의해 내주측의 기체 및 트랩홈(10) 내의 액체가 외주측을 향하여 펌핑되기 때문에, 트랩홈(10) 내의 액체 및 외주측의 액체가 내주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1)은 외주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실시예 4)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은,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 유체 도입홈 및 정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 상이하지만, 그 밖의 기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여,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당해 슬라이딩면(S)의 피밀봉 유체측, 즉,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통하고, 누설측, 즉, 내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16)이 설치되어 있다.
유체 도입홈(16)은,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따르도록 1개 이상 설치되고, 평면 형상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면(S)의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 피밀봉 유체측과 연통하고, 내주측과는 랜드부(R0)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유체 도입홈(16)의 원 둘레 방향의 하류측에 연통하여 유체 도입홈(16)보다 얕은 정압 발생홈(17a)을 구비하는 정압 발생 기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정압 발생 기구(17)는, 정압(동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을 증가시켜, 윤활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구이다.
정압 발생홈(17a)은, 상류측이 유체 도입홈(16)에 연통하고, 외주측과는 랜드부(R0)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정압 발생 기구(17)는, 상류측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6)에 연통하는 정압 발생홈(17a) 및 레일리 스텝(17b)을 구비한 레일리 스텝 기구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즉, 정압을 발생시키는 기구이면 된다.
도 6(a)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6) 및 정압 발생 기구(17)가 이루는 평면 형상은 대략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지금, 회전측 밀봉환(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할 경우, 외주측의 액체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유체 도입홈(16)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S)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그 때, 정압 발생 기구(17)에 의해 정압(동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이 증대되어, 윤활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4)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6)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도 6(b)는, 유체 도입홈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도 6(a)와 상이하지만, 그 외에는 도 6(a)와 같다.
도 6(b)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당해 슬라이딩면(S)의 피밀봉 유체측, 즉,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통하고, 누설측, 즉, 내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18)이 설치되어 있다.
유체 도입홈(18)은,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따르도록 설치되고, 슬라이딩면(S)의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만 연통하는 유체 도입부(18a) 및 유체 도출부(18b), 및 이들을 둘레 방향으로 연통하는 유체 연통부(18c)로 구성되어, 내주측과는 랜드부(R0)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유체 도입부(18a) 및 유체 도출부(18b)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각각, 직경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 도입홈(18)의 평면 형상은 대략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유체 도입홈(18)과 외주측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유체 도입홈(18)보다 얕은 정압 발생홈(17a)을 구비하는 정압 발생 기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정압 발생 기구(17)는, 정압(동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을 증가시켜, 윤활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구이다.
정압 발생홈(17a)은, 상류측이 유체 도입부(18a)에 연통하고, 유체 도출부(18b) 및 외주측과는 랜드부(R0)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정압 발생 기구(17)는, 상류측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8)의 유체 도입부(18a)에 연통하는 정압 발생홈(17a) 및 레일리 스텝(17b)을 구비한 레일리 스텝 기구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즉, 정압을 발생시키는 기구이면 된다.
지금, 회전측 밀봉환(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할 경우, 외주측의 액체는 대략 U자 형상의 유체 도입홈(18)의 유체 도입부(18a)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되어, 유체 도출부(18b)로부터 외주측에 배출되지만, 그 때, 기동 시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저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면(S)의 외주측에 존재하는 액체가, 적극적으로 슬라이딩면(S)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S)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그 때, 정압 발생 기구(17)에 의해 정압(동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이 증대되어, 윤활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4)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8)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도 6(b)에서는 유체 도입홈(18)의 평면 형상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유체 도입부(18a)와 유체 도출부(18b)가 내경측에 있어서 교차하는 형상, 즉, 대략 V자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4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당해 슬라이딩면(S)의 피밀봉 유체측, 즉,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통하고, 누설측, 즉, 내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16 또는 18)이 설치됨으로써, 기동 시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저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면(S)의 외주측에 존재하는 액체가, 적극적으로 슬라이딩면(S)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S)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그 때, 정압 발생 기구(17)에 의해 정압(동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이 증대되어, 윤활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4)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6 또는 18)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부품을 메카니컬 시일 장치에 있어서의 한 쌍의 회전측 밀봉환 및 고정측 밀봉환 중 어느 하나에 사용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원통 형상 슬라이딩면의 축방향 일방측에 윤활유를 밀봉하면서 회전축과 슬라이딩하는 베어링의 슬라이딩 부품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부품의 외주측을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 내주측을 누설측(기체측)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측이 누설측(기체측), 내주측이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일 경우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과 누설측(기체측)과의 압력의 대소 관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이 고압, 누설측(기체측)이 저압, 혹은, 그 반대여도 되고, 또한 양쪽의 압력이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압 발생홈(11)이 스파이럴 그루브일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리 스텝과 역 레일리 스텝의 조합이어도 되고, 즉,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동압(정압)을 발생시키는 기구이면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 4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슬라이딩 부품에 유체 도입홈을 설치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시예 2 및 3의 슬라이딩 부품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임펠러
2 회전축
3 슬리브
4 회전측 밀봉환
5 하우징
6 카트리지
7 고정측 밀봉환
8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
10, 10-1~10-5 트랩홈
11 동압 발생홈
11a 내주측의 입구
11b 외주측의 단부
12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
13 랜드부 모서리부
14 랜드부의 모서리부
15 반경 방향 경사홈
16 유체 도입홈
17 정압 발생 기구
18 유체 도입홈
S 슬라이딩면
R0~R8 랜드부
g 극소 간극대

Claims (8)

  1.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누설 유체를 트랩하는 트랩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2.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인 액체 또는 미스트 상태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누설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누설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된 누설액을 트랩하는 트랩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는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극소 간극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상기 트랩홈에서 누설측의 랜드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반경 방향 경사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홈은, 상기 고정측 밀봉환 및 상기 회전측 밀봉환 중 어느 한쪽에 복수, 다른 한쪽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고정측 밀봉환의 트랩홈과 상기 회전측 밀봉환의 트랩홈은 직경방향의 위치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이들 트랩홈을 구획하는 랜드부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누설측으로부터의 더스트의 진입을 저감하는 더스트 진입 저감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상기 트랩홈에 연통하고, 피밀봉 유체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동압 발생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압 발생홈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에 펌핑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피밀봉 유체측에 연통하고, 누설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KR1020177035571A 2015-05-20 2016-05-13 슬라이딩 부품 KR102049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2472 2015-05-20
JP2015102472 2015-05-20
PCT/JP2016/064229 WO2016186015A1 (ja) 2015-05-20 2016-05-13 摺動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560A true KR20180008560A (ko) 2018-01-24
KR102049272B1 KR102049272B1 (ko) 2019-11-28

Family

ID=5731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571A KR102049272B1 (ko) 2015-05-20 2016-05-13 슬라이딩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37560B2 (ko)
EP (1) EP3299684B1 (ko)
JP (1) JP6595589B2 (ko)
KR (1) KR102049272B1 (ko)
CN (1) CN107532725B (ko)
BR (1) BR112017023658A2 (ko)
WO (1) WO20161860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364A (ko) * 2019-02-04 2021-09-15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KR20210113365A (ko) * 2019-02-04 2021-09-15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9258B2 (ja) * 2015-06-30 2021-04-1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装置
US11391376B2 (en) 2016-08-15 2022-07-19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US11739844B2 (en) 2016-09-14 2023-08-29 Eagle Industry Co., Ltd. Mechanical seal
KR102276083B1 (ko) * 2017-01-30 2021-07-13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EP3680519A4 (en) 2017-09-05 2021-05-12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ELEMENT
WO2019059197A1 (ja) * 2017-09-20 2019-03-28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メカニカルシール
US20190186632A1 (en) * 2017-12-20 2019-06-20 Caterpillar Inc. Integrated debris barrier on metal face seals
KR102407098B1 (ko) 2018-01-12 2022-06-10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EP3748205A4 (en) 2018-02-01 2021-11-10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PARTS
JP7171694B2 (ja) 2018-02-21 2022-11-1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メカニカルシール
CN113330224A (zh) * 2019-02-04 2021-08-31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KR102610648B1 (ko) 2019-02-04 2023-12-07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및 슬라이딩 부품의 제조 방법
US11933405B2 (en) 2019-02-14 2024-03-19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CN113412369B (zh) 2019-02-14 2023-11-14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KR102646386B1 (ko) 2019-02-15 2024-03-12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EP3929454A4 (en) * 2019-02-21 2022-11-16 Eagle Industry Co., Ltd. SLIDE COMPONENT
CN115917193A (zh) * 2020-06-23 2023-04-04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机械密封件
WO2022009767A1 (ja) 2020-07-06 2022-01-1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EP4177501A1 (en) 2020-07-06 2023-05-10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9566A1 (de) * 1988-06-09 1989-12-14 Kernforschungsz Karlsruhe Spaltd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6515A (en) * 1932-09-06 Shaft packing
GB1009940A (en) * 1957-10-18 1965-11-17 Atomic Energy Authority Uk Gas viscosity plate glands
JPS6231775A (ja) 1985-07-31 1987-02-10 Ebara Res Co Ltd 軸封装置
JPS62117360U (ko) 1986-01-17 1987-07-25
JPH0614150Y2 (ja) 1988-03-17 1994-04-1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ドライ摺動型メカニカルシール
DE4119768A1 (de) * 1991-06-15 1992-12-17 Albrecht Dipl Ing Kayser Spiralnuten-axial-wellendichtring
JPH08303606A (ja) 1995-04-28 1996-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軸封装置
DE29908918U1 (de) * 1999-05-20 1999-07-29 Burgmann Dichtungswerk Feodor Gleitringdichtungsanordnung
US7377518B2 (en) * 2004-05-28 2008-05-27 John Crane Inc. Mechanical seal ring assembly with hydrodynamic pumping mechanism
CN201129462Y (zh) * 2007-11-08 2008-10-08 利茗机械股份有限公司 油封结构
WO2012046749A1 (ja) * 2010-10-06 2012-04-12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CN202327113U (zh) * 2011-11-04 2012-07-11 上海唯万密封科技有限公司 防水防尘圈
CN102518809B (zh) * 2011-12-29 2015-04-22 江苏大学 一种防固体颗粒吸入型流体动压机械密封环
WO2014112455A1 (ja) * 2013-01-16 2014-07-2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US9587745B2 (en) * 2013-04-24 2017-03-07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9566A1 (de) * 1988-06-09 1989-12-14 Kernforschungsz Karlsruhe Spaltdicht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364A (ko) * 2019-02-04 2021-09-15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KR20210113365A (ko) * 2019-02-04 2021-09-15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9684A1 (en) 2018-03-28
US10337560B2 (en) 2019-07-02
CN107532725A (zh) 2018-01-02
JP6595589B2 (ja) 2019-10-23
WO2016186015A1 (ja) 2016-11-24
EP3299684A4 (en) 2019-03-06
US20180135699A1 (en) 2018-05-17
BR112017023658A2 (pt) 2018-07-17
JPWO2016186015A1 (ja) 2018-03-08
EP3299684B1 (en) 2022-03-23
CN107532725B (zh) 2019-09-10
KR102049272B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8560A (ko) 슬라이딩 부품
KR102033394B1 (ko) 슬라이딩 부품
CN107735604B (zh) 滑动部件
KR102033410B1 (ko) 슬라이딩 부품
JP7036748B2 (ja) 摺動部品
KR102049256B1 (ko) 슬라이딩 부품
KR102276081B1 (ko) 슬라이딩 부품
CN112334690A (zh) 滑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