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165A - 조립식 핸드 레일 - Google Patents

조립식 핸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165A
KR20180008165A KR1020160090109A KR20160090109A KR20180008165A KR 20180008165 A KR20180008165 A KR 20180008165A KR 1020160090109 A KR1020160090109 A KR 1020160090109A KR 20160090109 A KR20160090109 A KR 20160090109A KR 20180008165 A KR20180008165 A KR 20180008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joint
column
prevention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005B1 (ko
Inventor
백명호
Original Assignee
유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0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5Toe boar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핸드 레일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발빠짐 방지판(500)이 설치되고, 중간 레일(200)과, 상부레일(300)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세로방향 기둥(400)과 조인트(100)에 의해 결합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발빠짐 방지판(500)은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평면부(501)가 형성되고, 평면부 상하단에 삼각형상의 볼록부(502)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설치무게가 가볍고, 작업이 간단하고 쉬우며, 작업이 안전하며, 작업시간이 짧아 경제적이며, 특히 연결부분 등에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조립해체가 용이하며, 추가적인 재료 및 설비시설 없이 안전표지판 및 작업 등 같은 부대시설의 설치조립이 가능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핸드 레일{Assembly type hand rail}
본 발명은 조립식 핸드 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발빠짐 방지판이 설치되고, 중간 레일과, 상부레일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세로방향 기둥과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어 지면이나 시설물 및 건축물에 설치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연결부분 등에 하자가 발생하지 않으며, 조립해체가 편리하며 외관이 수려한 조립식 핸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8206호의 조립식 철골계단용 볼트체결형 핸드레일에 의하면, 건축물의 계단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된다. 그런데, 이러한 콘크리트 계단은 거푸집 가설과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 같이 여러 공정이 요구되어,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각 부분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철골계단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식 철골계단은 수평의 디딤판과 수직의 챌판을 갖는 다수개의 스텝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철재 계단패널과, 이 계단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는 철재 측판과, 대략 평행사변형 형태의 프레임에 다수개의 간살이 결합된 형태로 되어 상기 계단패널의 디딤판 또는 측판에 결합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8206호의 조립식 철골계단용 볼트체결형 핸드레일에 의하면, 수평 방향의 디딤판과 수직 방향의 챌판을 갖는 다수개의 스텝을 계단형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계단패널과, 이 계단패널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측판과, 이 측판에 결합되어 직립 설치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철골계단에 있어서, 상기 측판에는 적어도 두 개소 이상에 볼트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핸드레일에는 상기 측판의 볼트공에 대응되는 볼트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핸드레일와 측판의 각각의 볼트공을 관통하도록 볼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부재에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핸드레일을 상기 측판에 볼트를 체결하여 조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골계단용 볼트체결형 핸드레일이라고 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0429호의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에 의하면, 직선형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다수개의 제 1 손잡이와, 계단의 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에서 상기 다수개의 제1 손잡이와 각각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는 'U'자형 제 2 손잡이로 구성된 조립식 손잡이 수단;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이 계단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의 하부에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지지수단; 및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 사이에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과 평행하도록 체결되고, 정전시 발광하여 비상 가이드 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식 안전망을 제공하는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라고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설치무게가 무겁고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며, 작업시간이 길어 비경제적이고, 특히 연결부분 등에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조립해체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발명은 설치무게가 가볍고, 작업이 간단하고 쉬우며, 작업이 안전하며, 작업시간이 짧아 경제적이며, 특히 연결부분 등에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조립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핸드 레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핸드 레일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발빠짐 방지판(500)이 설치되고, 중간 레일(200)과, 상부레일(300)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세로방향 기둥(400)과 조인트(100)에 의해 결합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발빠짐 방지판(500)은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평면부(501)가 형성되고, 평면부 상하단에 삼각형상의 볼록부(502)가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무게가 가볍고, 작업이 간단하고 쉬우며, 작업이 안전하며, 작업시간이 짧아 경제적이며, 특히 연결부분 등에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조립해체가 용이하며, 추가적인 재료 및 설비시설 없이 안전표지판 및 작업 등 같은 부대시설의 설치조립이 가능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하부조인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중간조인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중간조인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상부조인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상부조인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방지판의 제2실시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방지판의 제3실시도
도 10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방지판의 제4실시도
도 11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에서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중간조인트와 중간레일 및 기둥의 체결모습을 나타낸 개요도
본 발명은 조립식 핸드 레일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발빠짐 방지판(500)이 설치되고, 중간 레일(200)과, 상부레일(300)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세로방향 기둥(400)과 조인트(100)에 의해 결합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발빠짐 방지판(500)은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평면부(501)가 형성되고, 평면부 상하단에 삼각형상의 볼록부(502)가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레일(200)과 기둥(400)을 연결하는 중간조인트(110)는 단면이 사각형으로서, 중간레일(200)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측면에는 태핑스크류(111)가 체결되고, 기둥(400)이 상하로 연결되는 부분은 기둥(400)주위를 가이드(112)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112)와 기둥(400)을 셀프로킹볼트(113)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300)과 기둥(400)을 연결하는 상부조인트(310)는 단면이 T형으로서, 상부레일(300)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측면에는 태핑스크류(311)가 체결되고, 기둥(400)이 하부로 연결되는 하부는 셀프로킹볼트(312)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빠짐 방지판(500)과 기둥(400)을 연결하는 하부조인트(510)는 발빠짐 방지판 착탈부(520)와, 상기 발빠짐 방지판 착탈부(520)가 측면에 고정되는 원통형 몸체(5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빠짐 방지판 착탈부(520)는 수평덮개(521)와, 상기 수평덮개 (521)양단이 착탈되는 상하부수직고정부(522, 523)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부수직고정부(522, 523)의 끝단이 상기 하부 기둥(400) 측면에 고정되며, 또한 하부 기둥(400) 측면에 팝너트(401)를 미리 삽입해두고, 상기 팝너트(401)에 하부조인트(510)의 원통형 몸체(530)를 셀프로킹볼트(511)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셀프로킹볼트(511)는 두 개가 상하로 설치되되, 수직 중심선에서 대칭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기둥(400)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고, 하부조인트(510)의 원통형 몸체(5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절개홈에 대응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하부조인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중간조인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중간조인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상부조인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상부조인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발빠짐 방지판(500)이 설치되고, 중간 레일(200)과, 상부레일(300)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세로방향 기둥(400)과 조인트(100)에 의해 결합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핸드 레일이다.
상기 발빠짐 방지판(500)은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평면부(501)가 형성되고, 평면부 상하단에 삼각형상의 볼록부(502)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중간레일(200)과 기둥(400)을 연결하는 중간조인트(110)는 단면이 사각형으로서, 중간레일(200)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측면에는 태핑스크류(111)가 체결되고, 기둥(400)이 상하로 연결되는 부분은 기둥(400)주위를 가이드(112)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112)와 기둥(400)을 셀프로킹볼트(113)로 체결한다.
상기 상부레일(300)과 기둥(400)을 연결하는 상부조인트(310)는 단면이 T형으로서, 상부레일(300)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측면에는 태핑스크류(311)가 체결되고, 기둥(400)이 하부로 연결되는 하부는 셀프로킹볼트(312)로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발빠짐 방지판(500)과 기둥(400)을 연결하는 하부조인트(510)는 발빠짐 방지판 착탈부(520)와, 상기 발빠짐 방지판 착탈부(520)가 측면에 고정되는 원통형 몸체(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빠짐 방지판 착탈부(520)는 수평덮개(521)와, 상기 수평덮개 (521)양단이 착탈되는 상하부수직고정부(522, 523)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부수직고정부(522, 523)의 끝단이 상기 하부 기둥(400) 측면에 고정되며, 또한 하부 기둥(400) 측면에 팝너트(401)를 미리 삽입해두고, 상기 팝너트(401)에 하부조인트(510)의 원통형 몸체(530)를 셀프로킹볼트(511)로 체결한다.
상기 셀프로킹볼트(511)는 두 개가 상하로 설치되되, 수직 중심선에서 대칭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기둥(400)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홈(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하부조인트(510)의 원통형 몸체(5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절개홈에 대응하는 삽입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핸드레일의 재질은 강철(Stee) 또는 SUS로 제작되되, 상기 조인트(100)인 중간조인트(110), 상부조인트(310), 하부조인트(510)는 장소 및 여건에 따라 합성수지, 다이캐스팅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중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조인트(100)에 형성된 중공홀의 양단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중간레일(200), 상부레일(300), 기둥(4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조립식 핸드레일의 설치방법은 1단계로서 바닥면에 복수의 하부조인트(510)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1단계 설치작업 후에는 상기 복수의 하부조인트(510)의 중공홀에 각각 기둥(400)을 삽입하여 체결하도록 한다.
2단계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기둥(400)의 상단부로 각각 중간조인트(110)의 중공홀이 관통되도록 한다.
이때, 중간조인트(110)의 중공홀로 기둥(400)을 삽입시키되, 고정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400)의 상단부에 각각 상부조인트(310)를 체결하는 4단계 설치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4단계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의 중간조인트(110)와 상부조인트(310)에 각각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중간레일(200)과 상부레일(300)을 체결하여 기둥(400)에 고정하는 5단계 설치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상기 5단계 후에는 상기 복수의 하부조인트(510)에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방지판(500)을 체결하는 6단계가 더 추가되어 사용자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방지판(500)의 설치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의 하부조인트(510)의 상하단 측면에 각각 ‘L’자형 상부수직고정부(522)와 하부수직고정부(523)의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하는 6-1단계 설치작업이 진행된다.
그리고 6-2단계 설치작업으로서 상기 상부수직고정부(522)와 하부수직고정부(523) 사이에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방지판(500)을 안착시키도록 한다.
6-2단계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상부수직고정부(522)와 하부수직고정부(523)의 개구부로 수평덮개(521)의 상하단을 삽입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방지판(500)의 볼록부(502)에 수평덮개(521)의 내면이 접촉되도록 하고, 상하단은 각각 ‘L’자형 상부수직고정부(522)와 하부수직고정부(523)의 개구부 측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거치시키는 것이다.
끝으로, 상기 수평덮개(521)와 방지판(500)을 셀프로킹볼트(511)로서 관통시켜 하부조인트((5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팝너트(401)에 체결하는 6-4단계 설치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방지판(500)에는 수평의 장홀을 형성시켜 상기 장홀로 셀프로킹볼트(511)를 삽입시키는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설치시 발생하는 치수차이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셀프로킹볼트(511)와 팝너트(401)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방지판(500)은 코일형태로 감겨있는 철판을 풀면서 복수의 천공을 형성시키는 Ⅰ단계 공정, 복수의 천공이 형성된 코일철판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Ⅱ단계 공정,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철판을 롤포밍하여 복수의 볼록부(502)를 철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는 Ⅲ단계 공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지판(500)을 제작하기 위한 철판의 두께는 2.3∼3T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방지판의 제2실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판(500)의 제2실시로서는 방지판(500)의 하단을 상부로 절곡시키고. 절곡된 면을 수평덮개(521)의 하단부를 내측면에 접촉시켜 수평덮개(521)가 지지되도록 한 후, 볼트(B)로서 수평덮개(521)의 하단부와 방지판(500)의 평면부(501)를 고정하였다.
도 9는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방지판의 제3실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판(500)의 제3실시로서는 방지판(500)의 하단을 상부로 절곡시키고, 방지판(500)의 절곡된 두면 사이에 수평덮개(521)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후, 볼트(B)로서 수평덮개(521)의 하단부와 방지판(500)의 평면부(501)를 고정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의 방지판의 제4실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판(500)의 제4실시로서는 방지판(500)의 하단을 상부로 절곡시키고, 방지판(500)의 절곡된 두면 사이에 수평덮개(521)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덮개(521)는 방지판(500)의 형상을 따라 형성하는 것으로, 즉 방지판(500)의 볼록부(502)와 평면부(501)를 따라 형성하여 수평덮개(521)의 하단부와 방지판(500)의 평면부(501)를 볼트(B)로서 고정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 조립식 핸드 레일에서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중간조인트와 중간레일 및 기둥의 체결모습을 나타낸 개요도로서, 도 11의 (a)는 조립된 측면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11의 (b)는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조인트(110)를 상하로 분할하되, 분할된 중간조인트(110 사이로는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중간레일(200)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하로 분할된 중간조인트(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기둥(400)이 삽입하여 체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치무게가 가볍고, 작업이 간단하고 쉬우며, 작업이 안전하며, 작업시간이 짧아 경제적이며, 특히 연결부분 등에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조립해체가 용이하며, 추가적인 재료 및 설비시설 없이 안전표지판 및 작업 등 같은 부대시설의 설치조립이 가능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조인트 110 : 중간조인트
111, 311 : 태핑스크류 112 : 가이드
113, 312, 511 : 셀프로킹볼트
200 : 중간레일
300 : 상부레일 310 : 상부조인트
400 : 기둥 401 : 팝너트
500 : 방지판 501 : 평면부
502 : 볼록부 510 : 하부조인트
520 : 착탈부
521 : 수평덮개 522 : 상부수직고정부
523 : 하부수직고정부
530 : 몸체

Claims (3)

  1. 하부에 발빠짐 방지판(500)이 설치되고, 중간 레일(200)과, 상부레일(300)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세로방향 기둥(400)과 조인트(100)에 의해 결합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발빠짐 방지판(500)은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평면부(501)가 형성되고, 평면부 상하단에 삼각형상의 볼록부(5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 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레일(200)과 기둥(400)을 연결하는 중간조인트(110)는 단면이 사각형으로서, 중간레일(200)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측면에는 태핑스크류(111)가 체결되고, 기둥(400)이 상하로 연결되는 부분은 기둥(400)주위를 가이드(112)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112)와 기둥(400)을 셀프로킹볼트(113)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 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300)과 기둥(400)을 연결하는 상부조인트(310)는 단면이 T형으로서, 상부레일(300)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측면에는 태핑스크류(311)가 체결되고, 기둥(400)이 하부로 연결되는 하부는 셀프로킹볼트(312)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 레일.
KR1020160090109A 2016-07-15 2016-07-15 조립식 핸드 레일 KR101867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109A KR101867005B1 (ko) 2016-07-15 2016-07-15 조립식 핸드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109A KR101867005B1 (ko) 2016-07-15 2016-07-15 조립식 핸드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165A true KR20180008165A (ko) 2018-01-24
KR101867005B1 KR101867005B1 (ko) 2018-07-19

Family

ID=6102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109A KR101867005B1 (ko) 2016-07-15 2016-07-15 조립식 핸드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306A (ko)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한진기공 케이블 트레이용 핸드레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441Y1 (ko) * 2003-07-07 2003-09-29 정창선 난간용 조립식 결착구
KR20050034241A (ko) * 2003-10-09 2005-04-14 이종상 철도교의 낙하물 방지시설
KR20090122078A (ko) * 2008-05-23 2009-11-26 (주) 에스에프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잔여물 낙하방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441Y1 (ko) * 2003-07-07 2003-09-29 정창선 난간용 조립식 결착구
KR20050034241A (ko) * 2003-10-09 2005-04-14 이종상 철도교의 낙하물 방지시설
KR20090122078A (ko) * 2008-05-23 2009-11-26 (주) 에스에프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잔여물 낙하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005B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100489B4 (en) System and components for safely enclosing handrails, stairways, walkways and platforms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KR101414821B1 (ko) 조립식 계단
KR101008261B1 (ko) 조립식 계단
KR101867005B1 (ko) 조립식 핸드 레일
KR101435948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100695275B1 (ko)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KR101867332B1 (ko) 조립식 핸드 레일 설치방법
KR20180028216A (ko)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JP2013256777A (ja) 床版拡幅用ユニット
KR200445310Y1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KR100977482B1 (ko) 기존 도로 법면부에 설치가 용이한 보도교
JP3189564U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転落防止柵
KR101576542B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
KR101265098B1 (ko) 조립형 난간
US6533098B1 (e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with partition walls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KR20150015699A (ko) 조립식 도로확장장치
JP2006152705A (ja) ベランダ手摺
KR101892635B1 (ko) 걸이형 난간 서포트
KR200428187Y1 (ko) 건축물 출입용 방호 선반
KR100608096B1 (ko) 건축물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구조
KR100554473B1 (ko) 도로 절토부 비탈면의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