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796A - 불판 - Google Patents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796A
KR20180007796A KR1020160089148A KR20160089148A KR20180007796A KR 20180007796 A KR20180007796 A KR 20180007796A KR 1020160089148 A KR1020160089148 A KR 1020160089148A KR 20160089148 A KR20160089148 A KR 20160089148A KR 20180007796 A KR20180007796 A KR 20180007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illing
grill
fixtur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곤
Original Assignee
김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곤 filed Critical 김영곤
Priority to KR102016008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796A/ko
Publication of KR2018000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된 판의 표면마다 설정 간격마다 침 형태의 고정구가 다수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의 상단에 구이 대상물이 고정되며, 상기 판 상에 기름 구멍이 다수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된 판의 표면에 구이 대상물을 꼽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침 형태의 고정구가 다수 구비되어 판의 바닥과 고정구에 의한 열전도를 통해 열전도율이 상승되면서 내부에 열을 가둘 수 있도록 적층 형태로 구비되므로 복사열에 따른 구이 대상물의 익는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타지 않게 하여 연료 절감이 가능하고, 고정구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홀을 통해 연기가 유동하면서 구이 대상물을 훈연하여 구울 수 있고, 판 상에 기름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구이 대상물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 배출이 원활하며, 판의 상면마다 열전도 격벽이 다수 배치되어 측방향의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을 좀 더 빠르게 익힐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판 중 고정구가 하 방향을 향하도록 뒤집은 후 그 위에 숯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측에 숯이 배치된 통상적인 불판에 안착시켜 위아래 숯에 의한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을 더욱더 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판 {Grill}
본 발명은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 대상물의 익는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그에 따라 연료 절감이 가능한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는 방법은 불에 직접 노출시켜 굽는 직화 구이 방법, 열에 직접 노출시켜 굽는 방법, 매개체(예: 불판)에 의한 전도열로 굽는 불판 구이 방법이 있다.
이렇게 불판에 의한 전도열로 고기를 굽는 방법은 보통 불판의 상면에 고기를 올려놓고 불판의 하부에서 불을 가하거나 불판 자체를 달구어 불판 상면의 고기를 굽게 된다. 불판은 상하 방향으로 막힌 구조를 이루어 불이나 열을 직접 상부로 통하지 못하게 차단하고 전도열에 의해서만 불판 상면의 고기를 굽도록 하는 구조가 있고, 일부의 불이나 열이 직접 상부로 통하도록 개구부를 갖고 동시에 개구부 이외의 막힌 부분에서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하는 불판도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1의 구이용 불판은 불판의 상면에는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기름을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다수의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의 구이용 불판은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였으나,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돌기뿐만 아니라 불판 표면에 닿게 되므로 불판에 닿는 고기의 일부분은 불판의 가열 정도에 따라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2의 구이용 불판은 중앙이 가장자리에 비해 불룩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기름 배출 및 걸쇠의 걸이용도로 사용되도록 장방형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주 불판과, 상기 주 불판이 중앙부에 안치되어 열원에 노출되도록 중앙에 불판 설치공간이 형성된 보조불판을 포함하는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상기 보조불판은, 중앙에 상기 불판 설치공간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그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도록 원주를 따라 일정 깊이로 물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분리되게 마련되어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고,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주 불판의 주연부를 받쳐주고 상측으로 떨어진 기름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갖는 받침턱이 형성되며, 그 받침턱에는 수용공간에 저장된 기름을 하방으로 떨어뜨리도록 하나 이상의 기름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상면에 구워진 고기가 올려져 데워지는 링 형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은 구운 고기를 올려놓아 데우도록 판판하게 형성되어 지되, 상기 받침턱이 형성된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표면 일부분에는 걸쇠에 걸리도록 하나 이상의 걸이구멍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의 구이용 불판은 지지부와 주 불판과의 사이가 이격 배치되어 열원에 의한 열전도율이 낮은 이유로 연료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729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76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된 판의 표면에 구이 대상물을 꼽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침 형태의 고정구가 다수 구비되어 판의 바닥과 고정구에 의한 열전도를 통해 열전도율이 상승되면서 내부에 열을 가둘 수 있도록 적층 형태로 구비되므로 복사열에 따른 구이 대상물의 익는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타지 않게 하여 연료 절감이 가능하고, 고정구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홀을 통해 연기가 유동하면서 구이 대상물을 훈연하여 구울 수 있고, 판 상에 기름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구이 대상물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 배출이 원활하며, 판의 상면마다 열전도 격벽이 다수 배치되어 측방향의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을 좀 더 빠르게 익힐 수 있게 한 불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판 중 고정구가 하 방향을 향하도록 뒤집은 후 그 위에 숯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측에 숯이 배치된 통상적인 불판에 안착시켜 위아래 숯에 의한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을 더욱더 빠르게 익힐 수 있게 한 불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된 판의 표면마다 설정 간격마다 침 형태의 고정구가 다수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의 상단에 구이 대상물이 고정되며, 상기 판 상에 기름 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불판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는 직선 형태, 지그재그 사선 형태 및 지그재그 파형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는 내부에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의 상면에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을 익힐 수 있도록 열전도 격벽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판은 중심을 기점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대향된 양쪽 단부에 결속홀과 상기 결속홀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한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된 판의 표면에 구이 대상물을 꼽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침 형태의 고정구가 다수 구비되어 판의 바닥과 고정구에 의한 열전도를 통해 열전도율이 상승되면서 내부에 열을 가둘 수 있도록 적층 형태로 구비되므로 복사열에 따른 구이 대상물의 익는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타지 않게 하여 연료 절감이 가능하고, 고정구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홀을 통해 연기가 유동하면서 구이 대상물을 훈연하여 구울 수 있고, 판 상에 기름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구이 대상물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 배출이 원활하며, 판의 상면마다 열전도 격벽이 다수 배치되어 측방향의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을 좀 더 빠르게 익힐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판 중 고정구가 하 방향을 향하도록 뒤집은 후 그 위에 숯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측에 숯이 배치된 통상적인 불판에 안착시켜 위아래 숯에 의한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을 더욱더 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불판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불판 중 실시예 별 고정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에서 고정구의 유무에 따라 열전도 격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에서 판이 절첩되는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불판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불판 중 실시예 별 고정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불판(100)은 판(110) 및 고정구(120)를 포함하며,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 형태로 구비된다.
판(110)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구비되며, 후술할 고정구(120)와 간섭받지 않은 위치마다 기름 구멍(112)이 다수 관통 형성되어 구이 대상물(M)을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원활히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판(110)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의 안착홀(114)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114)의 사이마다 축 형태의 안착부재(116)가 직립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판(110) 마다 안착홀(114)과 안착부재(116)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판(110)을 적층시킬 때 하측의 판(110)에 형성된 안착부재(116) 상에 상측의 판(110)에 형성된 안착홀(114)을 삽입 안착시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구(120)는 판(110)의 표면에 설정 간격마다 침 형태로 다수 구비되어 상단에 구이 대상물(M)이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20)는 직선 형태[도 3(a) 참조], 지그재그 사선 형태[도 3(b) 참조] 및 지그재그 파형 형태[도 3(c) 참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구이 대상물(M)을 꼽고 빼는 동작이 용이하고, 지그재그 사선 형태나 지그재그 파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구이 대상물(M)을 꼽고 빼는 동작이 어렵긴 하지만 불판(100)을 뒤집어도 구이 대상물(M)이 쉽게 빠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구(120)는 내부에 홀(12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연기가 유동하면서 구이 대상물(M)을 훈연하여 구울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불판(100)은 판(110)의 표면에 다수 형성된 고정구(120)에 구이 대상물(M)을 꼽은 상태에서 불판(100)을 적층시켜 굽는 과정에서 판(110)의 바닥에 의한 열전도와, 고정구(120)의 열전도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판(110)에 의한 열의 간접 전달과 함께 상기 고정구(120)에 의한 열의 직접 전달에 의해 열전도율이 상승되면서 내부에 열을 가둘 수 있도록 상기 판(110)을 적층 형태로 구비되어 복사열에 따른 구이 대상물(M)의 익는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타지 않게 하여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20)에 간섭하지 않는 판(110)의 표면에 기름 구멍(112)이 다수 형성되므로 구이 대상물(M)을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에서 고정구의 유무에 따라 열전도 격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200)은 판(210), 고정구(220) 및 열전도 격벽(230)을 포함하며,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 형태로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200)은 고정구(220)가 설치된 상태로 열전도 격벽(230)이 구비[도 4(a) 참조]되거나, 상기 고정구(22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열전도 격벽(230)이 구비[도 4(b) 참조]될 수 있다. 이때, 열전도 격벽(230)만 구비된 경우보다 고정구(220) 및 열전도 격벽(230)이 모두 구비된 경우가 구이 대상물(M)를 좀 더 빠른 시간 안에 구울 수 있다.
판(210)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구비되며, 후술할 고정구(220)와 간섭받지 않은 위치마다 기름 구멍(212)이 다수 관통 형성되어 구이 대상물(M)을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원활히 배출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판(210)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의 안착홀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의 사이마다 축 형태의 안착부재가 직립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판(210)을 적층시킬 때 상기 안착부재의 상단에 안착홀이 삽입되게 한다.
고정구(220)는 판(210)의 표면에 설정 간격마다 침 형태로 다수 구비되어 상단에 구이 대상물(M)이 고정되며, 내부에 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연기가 유동하면서 구이 대상물(M)을 훈연하여 구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22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선 형태, 지그재그 사선 형태 및 지그재그 파형 형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열전도 격벽(230)은 판(210)의 상면 중 고정구(220)에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상기 판(210)에 의한 열의 간접 전달과 함께 고정구(220)에 의한 열의 직접 전달 그리고 상기 판(210)들의 사이에 가두는 열에 의한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M)을 좀 더 빠르게 익힐 수 있도록 다수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열전도 격벽(230)은 판(2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판(210)과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이 평행하게 구비된 사이에 구이 대상물(M)을 위치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200)은 판(210)의 표면에 다수 형성된 고정구(220)에 구이 대상물(M)을 꼽은 상태에서 불판(200)을 적층시켜 굽는 과정에서 판(210)에 의한 열의 간접 전달과 함께 고정구(220)에 의한 열의 직접 전달에 의해 열전도율이 상승되면서 내부에 열을 가둘 수 있도록 상기 판(210)을 적층 형태로 구비되어 복사열에 따른 구이 대상물(M)의 익는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타지 않게 하여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고정구(220)에 간섭하지 않는 판(210)의 표면에 기름 구멍(212)이 다수 형성되므로 구이 대상물(M)을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배출되며, 판(210)의 상면마다 고정구(220)에 평행한 상태로 열전도 격벽(230)이 다수 구비되어 고정구(220)만 설치된 경우보다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M)을 좀더 빠르게 익힐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에서 판이 절첩되는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300)은 판(310), 고정구(320) 및 결속부(330)를 포함하며,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 형태로 구비되는데 각각의 층별로 분리한 후 접는 것이 앞선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여기서, 고정구(32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판(310)은 원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운데 부분(310a)과 상기 가운데 부분(310a)의 양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310b)을 포함하며, 일측 가장자리 부분(310b)의 단부에 결속홀(314)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 부분(310b)의 단부에 상기 결속홀(314)과 대향 위치된 결속부(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판(310) 중 가운데 부분(310a)의 양단 하부에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310b)가 상향 회전만 되고, 하향 회전은 되지 않도록 걸림턱(310a')이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결속부(330)는 하부 몸체(332), 상부 몸체(336) 및 탄성부재(338)를 포함한다.
하부 몸체(332)는 판(310) 중 일측 가장자리 부분(310b)의 단부에 형성된 나선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 외주면에 나선돌기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단에 타측 가장자리 부분(310b)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홀(314)의 저면이 안착되도록 걸림돌기(334)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 몸체(336)는 하부 몸체(332)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며 상단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속홀(314)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 중간 지점 양쪽에 관통홀이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후술할 탄성부재(338)의 승강부재(338a)가 위치된다.
탄성부재(338)는 바를 "V"자 형상으로 절곡한 상태에서 양쪽 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승강부재(338a)가 각각 구비되어 판(310)을 접을 경우 상기 승강부재(338a)를 눌러 상기 판(310)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310b) 단부에 형성된 결속홀(314)을 통과하도록 한 후 상기 승강부재(338a)를 놓으면 복원되면서 상기 결속홀(314)의 바깥쪽을 지지하고, 상기 판(310)을 펼칠 경우 상기 승강부재(338a)를 눌러 상기 판(310)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310b) 단부에 형성된 결속홀(314)에서 분리되도록 한 후 상기 승강부재(338a)를 놓으면 복원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300)은 보관이나 이동 등을 위해 판(310)을 접어야 하는 경우 상기 판(310)의 가운데 부분(310a)을 기점으로 양측 가장자리 부분(310b)을 접어 결속부(330)의 상부 몸체(336) 양측으로 돌출된 탄성부재(338)의 승강부재(338a)를 가압하면 상기 승강부재(338a)가 상기 상부 몸체(336)의 내부로 이동하며, 이때 타측 가장자리 부분(310b) 단부에 형성된 결속홀(314)을 상기 상부 몸체(336)로 삽입하여 상기 승강부재(338a)를 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결속홀(314)의 상하에 상기 승강부재(338a)와 상기 하부 몸체(332)의 걸림돌기(334)가 각각 위치되어 상기 타측 가장자리 부분(310b)과 일측 가장자리 부분(310b)을 서로 결속시킨다.
그리고 판(310)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310b)과 일측 가장자리 부분(310b)을 펼치는 경우 탄성부재(338)의 승강부재(338a)를 안쪽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타측 가장자리 부분(310b)를 잡아당겨 결속홀(314)이 승강부재(338a)에서 분리되게 하면서 진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400)은 판(410) 및 고정구(420)를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하측에 숯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부에 구이 대상물(M)이 안착된 통상적인 불판의 상부에 상기 불판(400)을 뒤집어 상기 고정구(420)가 하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 점이 상이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400)은 구이 대상물(M)을 꼽은 고정구(420)가 하방을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그 상부에 숯이 구비되어 상측의 숯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전도율이 상승되면서 구이 대상물(M)의 위쪽을 가열하고, 통상적인 불판의 하측에 구비된 하측의 숯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전도율이 상승되면서 구이 대상물(M)의 아래쪽을 가열하여 구이 대상물(M)의 위아래에서 열을 가해 빠른 시간 내에 구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300, 400: 불판 110, 210, 310, 410: 판
114: 안착홀 116: 안착부재
120, 220, 320, 420: 고정구 230: 열전도 격벽
310a: 가운데 부분 310b: 양측 가장자리 부분
330: 결속부 332: 하부 몸체
336: 상부 몸체 338: 탄성부재

Claims (5)

  1.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된 판의 표면마다 설정 간격마다 침 형태의 고정구가 다수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의 상단에 구이 대상물이 고정되며, 상기 판 상에 기름 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직선 형태, 지그재그 사선 형태 및 지그재그 파형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불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내부에 홀이 관통 형성되는 불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상면에 열전도에 의해 구이 대상물을 익힐 수 있도록 열전도 격벽이 다수 배치되는 불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중심을 기점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대향된 양쪽 단부에 결속홀과 상기 결속홀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한 결속부를 포함하는 불판.
KR1020160089148A 2016-07-14 2016-07-14 불판 KR20180007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148A KR20180007796A (ko) 2016-07-14 2016-07-14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148A KR20180007796A (ko) 2016-07-14 2016-07-14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96A true KR20180007796A (ko) 2018-01-24

Family

ID=6102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148A KR20180007796A (ko) 2016-07-14 2016-07-14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7796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415B1 (ko) 2018-06-20 2019-12-27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 입자 발생 장치용 액상 카트리지 어셈블리
KR20200030877A (ko)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입자발생기의 액상 카트리지 누액 방지 구조
KR20200030878A (ko)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이엠텍 액상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발생기
KR20200092267A (ko)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액상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및 이를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KR20200092268A (ko)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겔상 에어로졸 발생기질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및 이를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07440A (ko)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 입자 발생 장치용 액상 카트리지 어셈블리
KR20200109407A (ko) 2019-03-12 2020-09-23 주식회사 이엠텍 진동과 음향을 구현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KR20220003798A (ko)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과립형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220139846A (ko) 2019-01-24 2022-10-17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액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KR20220142974A (ko) 2019-01-24 2022-10-24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을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11757091B2 (en) 2018-09-19 2023-09-12 Lg Energy Solution, Ltd. Sulfur-carbon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sulfur-carbon composite manufactured thereby, cathode comprising same sulfur-carbon composi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athode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415B1 (ko) 2018-06-20 2019-12-27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 입자 발생 장치용 액상 카트리지 어셈블리
KR20200030877A (ko)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입자발생기의 액상 카트리지 누액 방지 구조
KR20200030878A (ko)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이엠텍 액상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발생기
US11757091B2 (en) 2018-09-19 2023-09-12 Lg Energy Solution, Ltd. Sulfur-carbon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sulfur-carbon composite manufactured thereby, cathode comprising same sulfur-carbon composi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athode
KR20220139846A (ko) 2019-01-24 2022-10-17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액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KR20220142974A (ko) 2019-01-24 2022-10-24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을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00092267A (ko)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액상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및 이를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57335A (ko) 2019-01-24 2022-11-29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겔 수용체 로드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KR20200092268A (ko)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겔상 에어로졸 발생기질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및 이를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39845A (ko) 2019-01-24 2022-10-17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액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KR20220140454A (ko) 2019-01-24 2022-10-18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을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20153534A (ko) 2019-01-24 2022-11-18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용 겔상 에어로졸 발생기질
KR20220142972A (ko) 2019-01-24 2022-10-24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겔상 에어로졸 발생기질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KR20220142973A (ko) 2019-01-24 2022-10-24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겔상 에어로졸 발생기질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KR20220151590A (ko) 2019-01-24 2022-11-15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을 위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00107440A (ko)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 입자 발생 장치용 액상 카트리지 어셈블리
KR20200109407A (ko) 2019-03-12 2020-09-23 주식회사 이엠텍 진동과 음향을 구현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KR20220003798A (ko)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과립형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7796A (ko) 불판
US9339145B1 (en) Flare reduction grill plate device
US11607076B2 (en) Waffle iron plate
US20090205629A1 (en) Barbecue grill
US20080230045A1 (en) Barbecue Grill
KR101407213B1 (ko) 휴대용 조립식 그릴
US20160183726A1 (en) Disposable grilling set
KR20100086814A (ko) 조립식 화로
US10085594B1 (en) BBQ incorporating flip down latched vent and grill cleaning plate
KR20180038688A (ko) 구이용 고체연료
KR200244899Y1 (ko)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JP6529103B2 (ja)
KR101482503B1 (ko)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200476244Y1 (ko) 복사열로 조리할 수 있는 캠핑용 화로대
KR200374012Y1 (ko) 육류 구이기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KR20170004347A (ko) 휴대용 구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 가열방법
JP3546391B2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KR200479718Y1 (ko) 다용도 불판 및 이를 이용한 불판 장치
JP2009072346A (ja) ロースター
KR102551855B1 (ko) 인아웃도어 겸용 포터블 화로대
CN219913147U (zh) 一种烧炭炉及烧烤盒
JP3110858U (ja) 立体アーチ構造を具有するグリル装置
KR20180136848A (ko) 사인파형 에어챔버가 구비된 직화구기 불판
KR200365215Y1 (ko) 숯불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