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260A - 충진 노즐 - Google Patents

충진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260A
KR20180007260A KR1020160088268A KR20160088268A KR20180007260A KR 20180007260 A KR20180007260 A KR 20180007260A KR 1020160088268 A KR1020160088268 A KR 1020160088268A KR 20160088268 A KR20160088268 A KR 20160088268A KR 20180007260 A KR20180007260 A KR 20180007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member
nozzle body
opening
liqui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003B1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6008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0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4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having air-escape, or air-withdrawal,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12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movable towards or away from container or wrapper during filling or depos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 B65B2210/08Cleaning nozzles, funnels or guides through which articles are introduced into containers or wra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충진 노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충진 노즐은: 프레임에 설치되고, 액상물이 이동하도록 유입부와 배출부를 갖는 노즐헤드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갖는 노즐본체와, 노즐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기를 공급하거나 세척액을 공급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의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관과, 수용공간부에 구비되어 배출부를 개폐하고, 내부에 이동공간부를 연결관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측에 접촉단부를 구비하는 액상물개폐부재와, 이동공간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액상물개폐부재와 함께 승강하는 이동개폐부재와, 이동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결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접촉단부는 액상물개폐부재에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착탈부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액상물개폐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진 노즐{FILLING NOZZLE}
본 발명은 충진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파우치 용기의 공기를 흡입한 후 액상물을 공급하므로 액상물 공급효율을 높이고, 액상물개폐부재의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장시간 사용 후 교체할 수 있으며, 세척시 이동개폐부재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여 연통공을 통해 노즐본체 내부를 세척하거나 이동공간부를 통해 액상물개폐부재 내부와 이동개폐부재 외부를 세척할 수 있는 충진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파우트 파우치(이하, 파우치용기라 함) 등의 음료용기에 액상물(음료 포함) 정량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형 저장탱크에 액상물을 저장하고, 이를 관로를 따라 정량 흡입하고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액상물을 파우치용기에 정량 공급하게 된다.
파우치용기에 액상물을 공급하는 과정은 파우치용기를 이송하고, 충진 노즐의 배출부위에 파우치용기를 대고서 액상물을 공급하여 파우치용기에 담고, 캡(cap)으로 파우치용기의 주입구를 닫아 제품화하였다.
이와 같이, 파우치용기에 액상물을 담아주기 위해 사용되는 충진 노즐은 본체에 공기를 흡입하는 경로와 액상물을 공급하는 경로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기존의 충진 노즐은 액상물 공급과정을 거쳐 장시간 사용한 후 부품을 모두 분해해서 세척하고 다시 조립하는 등 세척과정 및 조립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상불 공급을 위한 개폐구조가 장시간 사용시 마모되는 경우, 부품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등 A/S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95103호(공개일자: 2004.11.12, 발명의 명칭: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포장 장치 및 그 방법)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노즐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파우치 용기의 공기를 흡입한 후 액상물을 공급하므로 액상물 공급효율을 높이고, 액상물개폐부재의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장시간 사용 후 교체할 수 있으며, 세척시 이동개폐부재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여 연통공을 통해 노즐본체 내부를 세척하거나 이동공간부를 통해 액상물개폐부재 내부와 이동개폐부재 외부를 세척할 수 있는 충진 노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진 노즐은,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액상물이 이동하도록 유입부(40)와 배출부(60)를 갖는 노즐헤드(180)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부(160)를 갖는 노즐본체(100); 상기 노즐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기를 공급하거나 세척액을 공급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의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관(200); 상기 수용공간부(16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60)를 개폐하고, 내부에 이동공간부(320)를 연결관(200)과 연통하는 관통공(340)이 형성되며, 하측에 접촉단부(310)를 구비하는 액상물개폐부재(300); 상기 이동공간부(320)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와 함께 승강하는 이동개폐부재(400); 및 상기 이동개폐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부(310)는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에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착탈부(70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본체(100)의 수용공간부(160)에 실링되는 실링부(350)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본체(100)의 내주면에는 세척시 상기 승강부재(600)를 상측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실링부(350)의 밀봉이 해제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여유공간부(150)가 구비되며,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에는 상기 실링부(350)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이동공간부(320)로 유입된 세척액을 상기 수용공간부(160)로 이동시키도록 연통공(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는 1차 세척시 상기 이동개폐부재(400)를 상승하여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350)가 상기 여유공간부(150)에 위치하여 개방된 경우, 세척액을 상기 연결관(200), 상기 관통공(340), 상기 이동공간부(320) 및 상기 연통공(330)을 거쳐 상기 배출부(60)로 배출시켜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외부와 상기 노즐본체(100)의 내부를 세정하고,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는 2차 세척시 상기 이동개폐부재(400)를 하강하여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350)가 상기 이동공간부(320)에 위치하여 밀봉된 경우, 상기 연결관(200), 상기 관통공(340), 상기 이동공간부(320)를 거쳐 상기 배출부(60)로 배출시켜 상기 이동개폐부재(300)의 외부와 상기 액상물개폐부재(100) 내부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본체(100)는, 상기 유입부(40)와 상기 노즐헤드(180)를 구비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지지되는 제1노즐본체(120); 및 상기 제1노즐본체(120)의 상측에 결합부재(19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연결관(200)을 구비하는 제2노즐본체(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본체(120) 내에는 상기 수용공간부(160)에 삽입되고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재(220)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220)의 하측과 상기 제1노즐본체(120) 상측 사이에는 새척액아ㅣ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액상승방지패킹(2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부(370)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부(370)에는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가 상기 수용공간부(160)에서 상하 이동할 때, 상기 노즐본체(1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부싱부재(380)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본체(100)는 제1노즐본체(120)와 제2노즐본체(1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노즐본체(120)와 상기 제노즐본체(140) 사이에는 패킹부재(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700)는,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출나사부(710); 및 상기 돌출나사부(7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접촉단부(7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함몰나사부(72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부(310)는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스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진 노즐은, 노즐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파우치 용기의 공기를 흡입한 후 액상물을 공급하므로 액상물 공급효율을 높이고, 액상물개폐부재의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장시간 사용 후 교체할 수 있으며, 세척시 이동개폐부재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여 연통공을 통해 노즐본체 내부를 세척하거나 이동공간부를 통해 액상물개폐부재 내부와 이동개폐부재 외부를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하측 부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상측 부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에서 액상물공급부재의 접촉단부를 분리형 및 일체형으로 각각 보인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에서 승강부재의 승강에 따라 세척 과정을 각각 보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하측 부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상측 부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하측 부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상측 부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에서 액상물공급부재의 접촉단부를 분리형 및 일체형으로 각각 보인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에서 승강부재의 승강에 따라 세척 과정을 각각 보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하측 부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상측 부위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은, 노즐본체(100), 연결관(200), 액상물개폐부재(300), 이동개폐부재(400) 및 착탈부(500)를 포함한다.
노즐본체(100)는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액상물이 이동하도록 유입측에 유입부(40)와 배출측에 배출부(60)를 갖는 노즐헤드(180)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부(160)를 갖도록 구성된다.
노즐본체(100)는 노즐헤드(180)의 배출부(60)에 파우치용기의 주입구가 삽입되어 액상물이 공급되거나, 연결관(200)을 통한 공기의 흡입을 통해 파우치용기에 공기를 흡입하거나, 노즐본체(100)의 수용공간부(160)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거나, 세척이 이루어진 노즐본체(100)의 수용공간부(160) 내부를 건조하기 위해 공기를 불어주도록 구성된다.
제1노즐본체(120)와 제2노즐본체(140)는 결합부재(190)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제1,제2노즐본체(120,140)의 단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볼트, 너트 및 나사 등으로 체결할 수 있다.
노즐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 노즐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유입부(40)를 통한 액상물의 유입과, 연결관(200)을 통한 공기의 흡입과, 연결관(200)을 통한 공기의 공급과, 연결관(200)을 통한 세척액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노즐본체(100)는, 유입부(40)와 노즐헤드(180)를 구비하도록 프레임(20)에 지지되는 제1노즐본체(120)와, 제1노즐본체(120)의 상측에 결합부재(19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연결관(200)을 구비하는 제2노즐본체(14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노즐본체(120) 내에는 수용공간부(160)에 삽입되고 액상물개폐부재(300)를 삽입하여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재(220)가 구비된다.
슬라이드부재(220)는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슬라이드부재(220)의 하측에는 노즐본쳬(100)의 수용공간부(120) 하측 내주면에 밀착되는 세척액상승방지패킹(270)이 구비된다.
세척액상승방지패킹(270)은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연통공(330)을 통해 수용공간부(160)로 공급되는 세척액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슬라이드부재(220)의 상하 내측 둘레에는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접촉링(230)이 구비된다
노즐헤드(180)의 배출부(60) 내측면에는 파우치용기의 주입구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연결관(200)은 노즐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기를 공급하거나 세척액을 공급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연결관(200)에는 제1개폐밸브(7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부(70)가 구비된다.
연결관(200)에는 제2개폐밸브(82)를 통해 공기를 불어주기 위한 공기공급부(80)가 구비된다.
또한, 연결관(200)에는 제3개폐밸브(92)를 통해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공급부(90)가 구비된다.
이때, 제1,제2,제3개폐밸브(72. 82, 92)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나머지 두 개가 차단되도록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액상물개폐부재(300)는 수용공간부(160)에 구비되어 배출부(60)를 개폐하고, 내부에 이동공간부(320)를 연결관(200)과 연통하는 관통공(340)이 형성되며, 하측에 접촉단부(310)를 구비한다. 관통공(340)은 수평으로 관통되는 구멍이다,
이동공간부(32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관통공(340)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접촉단부(310)는 액상물개폐부재(300)에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착탈부(70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액상물개폐부재(3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착탈부(700)는,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출나사부(710)와, 돌출나사부(7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접촉단부(7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함몰나사부(720);를 포함한다.
접촉단부(310)는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단부(310)는 하측으로 갈수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노블본체(100)의 배출부(60) 경사면에 부드럽게 밀착되는 상태로 접촉되게 해준다.
도 4의 첫 번째 도면은 접촉단부(310)가 액상물개폐부재(300)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의 두 번째 도면은 접촉단부(310)가 액상물개폐부재(300)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돌출나사부(710)는 접촉단부(310)의 상측에 형성되고, 함몰나사부(720)는 액상물개폐부재(300)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액상물개폐부재(300)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즐본체(100)의 수용공간부(160)에 접촉되어 실링되는 실링부(350)가 구비된다.
실링부(350)의 둘레에는 오링이 구비되어 밀봉을 수행할 수 있다.
노즐본체(100)의 내주면에는 세척시 승강부재(600)를 상측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실링부(350)의 밀봉이 해제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여유공간부(150)가 구비된다.
여유공간부(150)는 세척액상승방지패킹(270)의 하측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액상물개폐부재(300)에는 실링부(350)의 상측에 구비되되, 이동공간부(320)로 유입된 세척액을 수용공간부(160)로 이동시키도록 연통공(330)이 형성된다.
연통공(320)은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좌우 양측으로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첫 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액상물개폐부재(300)는 1차 세척시 이동개폐부재(400)를 상승하여 출구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실링부(350)가 여유공간부(150)에 위치하여 개방된 경우, 세척액을 연결관(200), 관통공(340), 이동공간부(320) 및 연통공(330)을 거쳐 배출부(60)로 배출시켜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외부와 노즐본체(100)의 내부를 세정하는 1차 세척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두 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액상물개폐부재(300)는 2차 세척시 이동개폐부재(400)를 하강하여 출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실링부(350)가 이동공간부(320)에 위치하여 밀봉된 경우, 연결관(200), 관통공(340), 이동공간부(320)를 거쳐 배출부(60)로 배출시켜 이동개폐부재(300)의 외부와 액상물개폐부재(100) 내부를 세정하는 2차 세척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개폐부재(400)는 이동공간부(320)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액상물개폐부재(300)와 함께 승강하는 구성이다.
이동개폐부재(40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동개폐부재(400)의 하부 측 평단면은 중심방향으로 함몰된 공기 이동용 절개면(420)이 형성된다.
절개면(420)은 이동개폐부재(400)의 외주면과 액상물개폐재(300)의 내부면 사이에 흐름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및 세척액의 이동을 여유롭게 한다.
이동개폐부재(400)의 단부에는 확장부(440)가 형성되어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이동공간부(320)의 출구 를 개폐한다.
확장부(440)는 승강시 액상물개폐부재(300)를 들어올려 이동공간부(320)를 차단하는 걸림 및 밀봉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유입부(40)를 통해 액상물을 공급하거나, 여유공간부(150)를 통해 세척액을 공급하여 노즐본체(100) 내부를 세척할 때 활용한다.
확장부(440)는 하강시 액상물개폐부재(300)가 배출부(60)에 밀착된 상태에서 더 하강하여 이동공간부(320)를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1개폐밸브(72)를 열고 공기흡입부(70)에서 파우치용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거나, 제2개폐밸브(82)를 열고 공기공급부(80)에서 공기를 불어 잔류한 액상물을 파우치용기 내부로 주입하거나, 세척시 배출구 측에 잔류한 세척액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확장부(440)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뾰족 돌기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적인 공기 및 세척액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진 노즐은 이동개폐부재(400)를 연결하고, 액상물개폐부재(300)가 배출부(60)의 내부를 차단한 후 하강하여 이동공간부(320)를 개방하는 연결부재(500)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재(500)는, 이동개폐부재(400)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부에 중심방향으로 함몰된 걸림홈부(530)가 형성되는 고정블록(520)과, 걸림홈부(530)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턱부(550)가 형성되고, 승강부재(600)의 축(620)에 연결되는 지지블록(540)와, 고정블록(520)의 저면과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상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상측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60)를 포함한다.
걸림홈부(530)의 상하 간격은 걸림턱부(550)의 두께에 비해 약간 더 크도록 틈새부가 형성됨으로써, 승강부재(60)의 축(620)에 대해 이동개폐부재(400) 중심선 사이에 편차 발생시 이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틈새부는 1mm정도 내외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크게 흔들리지 않으면서도 이동개폐부재(400)의 좌우 유동에 의해 고정블록(520)의 중심선과 지지블록(540)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를 보정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고정블록(520)과 지지블록(540)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부재(600)는 연결부재(5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결부재(50)를 승강시킨다. 승강부재(600)는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을 이용하여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의 첫 번째 도면은 승강부재(600)가 하측으로 하강하기 전 상태의 도면으로서, 확장부(440)가 이동공간부(320) 저면을 걸어줌으로써, 액상물개폐부재(300)가 이동개폐부재(400)의 지지에 의해 배출부(60)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유입부(40)로 부터 노즐헤드(180)의 배출부(60)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는 액상물은 파우치용기의 주입구를 통해 유입된다.
도 6의 두 번째 도면은 승강부재(600)가 하측으로 하강하므로 연결부재(500)의 틈새부를 줄여준다.
도 6의 세 번째 도면은, 승강부재(600)가 하측으로 1차 하강하여 확장부(440)가 이동공간부(320) 저면을 걸어줌과 동시에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접촉단부(310)가 배출부(60)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액상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의 네 번째 도면은, 승강부재(600)가 하측으로 2차 하강하여 확장부(440)가 이동공간부(320) 저면에서 더 하강하여 이동공간부(320)를 개방하여 액상물 공급과정에서 배출부(60)에 잔류한 액상물을 공기를 불어 주거나, 파우치용기에 액상물을 공급하기 전 파우치용기에 저장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제1개폐밸브(72)를 개방하고, 공기공급부(80)의 공급을 통해 연결관(200), 관통공(340), 이동공간부(320), 및 배출부(60)를 거쳐 전류된 액상물을 불어 파우치 용기로 유입시키거나, 공기흡입부(70)의 흡입을 통해 파우치용기에 저장된 공기를 이동공간부(320), 관통공(340) 및 연결관(200)을 거쳐 공기흡입부(70)로 흡입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 흡입이 이루어진 파우치용기에 도 6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유입부(40)를 통해 액상물을 공급하여 파우치용기에 충진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대부분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구성으로 설명을 대신하도록 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액상물개폐부재(300)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부(370)를 형성할 수 있다.
액상물개폐부재(300)의 내주면과 이동개폐부재(400) 외주면 사이에는 확장공간부(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확장공간부(240)는 제1개폐밸브(72)의 개방 후 공기흡입부(70)의 흡입에 의해 연결관(20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제2개폐밸브(82)의 개방 후 공기공급부(80)의 공급에 의해 연결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제3개폐밸브(92)의 개방 후 세척액공급부(90)의 공급에 의해 연결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공급되게 함으로써 공기 또는 세척액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설치홈부(370)에는 액상물개폐부재(300)가 수용공간부(160)에서 상하 이동할 때, 노즐본체(1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부싱부재(380)가 구비될 수 있다.
노즐본체(100)는 제1노즐본체(120)와 제2노즐본체(140)를 포함하되, 제1노즐본체(120)와 제노즐본체(140) 사이에는 패킹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을 이용한 액상물 공급과정은 도 5를 이용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을 이용한 액상물 공급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진 노즐은, 본 발명에 따른 충진 노즐은, 노즐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파우치 용기의 공기를 흡입한 후 액상물을 공급하므로 액상물 공급효율을 높이고, 액상물개폐부재의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장시간 사용 후 교체할 수 있으며, 세척시 이동개폐부재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여 연통공을 통해 노즐본체 내부를 세척하거나 이동공간부를 통해 액상물개폐부재 내부와 이동개폐부재 외부를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프레임 40 : 유입부
60 : 배출부 70 : 공기흡입부
72 : 제1개폐밸브 80 ; 공기공급부
82 : 제2개폐밸브 90 : 세척액공급부
92 : 제3개폐밸브 100 : 노즐본체
120 : 제1노즐본체 140 : 제2노즐본체
150 : 여유공간부 180 : 노즐헤드
200 : 연결관 220 : 슬라이드부재
240 : 확장공간부 250 : 패킹부재
270 : 세척액상승방지패킹 300 : 액상물개폐부재
310 : 접촉단부 320 : 이동공간부
330 : 연통공 340 : 관통공
350 : 실링부 370 : 설치홈부
380 : 부싱부재 400 : 이동개폐부재
420 : 절개면 440 : 확장부
500 : 연결부재 520 : 고정블록
530 : 걸림홈부 540 : 지지블록
550 : 걸림턱부 560 : 탄성부재
600 : 승강부재 700 : 착탈부
710 : 돌출나사부 720 : 함몰나사부

Claims (6)

  1.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액상물이 이동하도록 유입부(40)와 배출부(60)를 갖는 노즐헤드(180)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부(160)를 갖는 노즐본체(100);
    상기 노즐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기를 공급하거나 세척액을 공급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의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관(200);
    상기 수용공간부(16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60)를 개폐하고, 내부에 이동공간부(320)를 연결관(200)과 연통하는 관통공(340)이 형성되며, 하측에 접촉단부(310)를 구비하는 액상물개폐부재(300);
    상기 이동공간부(320)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와 함께 승강하는 이동개폐부재(400); 및
    상기 이동개폐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부(310)는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에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착탈부(70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본체(100)의 수용공간부(160)에 실링되는 실링부(350)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본체(100)의 내주면에는 세척시 상기 승강부재(600)를 상측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실링부(350)의 밀봉이 해제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여유공간부(150)가 구비되며,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에는 상기 실링부(350)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이동공간부(320)로 유입된 세척액을 상기 수용공간부(160)로 이동시키도록 연통공(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는 1차 세척시 상기 이동개폐부재(400)를 상승하여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350)가 상기 여유공간부(150)에 위치하여 개방된 경우, 세척액을 상기 연결관(200), 상기 관통공(340), 상기 이동공간부(320) 및 상기 연통공(330)을 거쳐 상기 배출부(60)로 배출시켜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외부와 상기 노즐본체(100)의 내부를 세정하고,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는 2차 세척시 상기 이동개폐부재(400)를 하강하여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350)가 상기 이동공간부(320)에 위치하여 밀봉된 경우, 상기 연결관(200), 상기 관통공(340), 상기 이동공간부(320)를 거쳐 상기 배출부(60)로 배출시켜 상기 이동개폐부재(300)의 외부와 상기 액상물개폐부재(100) 내부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100)는,
    상기 유입부(40)와 상기 노즐헤드(180)를 구비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지지되는 제1노즐본체(120); 및
    상기 제1노즐본체(120)의 상측에 결합부재(19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연결관(200)을 구비하는 제2노즐본체(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본체(120) 내에는 상기 수용공간부(160)에 삽입되고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재(220)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220)의 하측과 상기 제1노즐본체(120) 상측 사이에는 새척액아ㅣ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액상승방지패킹(2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부(370)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부(370)에는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가 상기 수용공간부(160)에서 상하 이동할 때, 상기 노즐본체(1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부싱부재(380)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본체(100)는 제1노즐본체(120)와 제2노즐본체(1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노즐본체(120)와 상기 제노즐본체(140) 사이에는 패킹부재(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700)는,
    상기 액상물개폐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출나사부(710); 및
    상기 돌출나사부(7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접촉단부(7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함몰나사부(72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부(310)는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스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KR1020160088268A 2016-07-12 2016-07-12 충진 노즐 KR101881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268A KR101881003B1 (ko) 2016-07-12 2016-07-12 충진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268A KR101881003B1 (ko) 2016-07-12 2016-07-12 충진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260A true KR20180007260A (ko) 2018-01-22
KR101881003B1 KR101881003B1 (ko) 2018-08-17

Family

ID=6109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268A KR101881003B1 (ko) 2016-07-12 2016-07-12 충진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0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128A (ko) * 2018-07-12 2020-01-22 이익재 공기 이동구조를 구비한 충진노즐
KR20210077364A (ko) * 2019-12-17 2021-06-25 김주완 액상 포장기계의 용기 주입부 세척장치
KR20210077363A (ko) * 2019-12-17 2021-06-25 김주완 액상의 내용물 충진용 주입기 노즐 조립체
KR102521370B1 (ko) * 2023-01-31 2023-04-13 이경옥 김치 정량 공급용 국물 오염방지 노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905B2 (ja) * 1989-09-30 1997-02-19 花王株式会社 定量ピストン式液体充填機
JPH1135003A (ja) * 1997-07-17 1999-02-09 Mitsubishi Heavy Ind Ltd 充填ノズル及び液体充填方法
KR101460080B1 (ko) * 2013-06-04 2014-11-10 이익재 충진 노즐
KR20160060321A (ko) * 2014-11-20 2016-05-30 이익재 수직 배치형 액상물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905B2 (ja) * 1989-09-30 1997-02-19 花王株式会社 定量ピストン式液体充填機
JPH1135003A (ja) * 1997-07-17 1999-02-09 Mitsubishi Heavy Ind Ltd 充填ノズル及び液体充填方法
KR101460080B1 (ko) * 2013-06-04 2014-11-10 이익재 충진 노즐
KR20160060321A (ko) * 2014-11-20 2016-05-30 이익재 수직 배치형 액상물 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128A (ko) * 2018-07-12 2020-01-22 이익재 공기 이동구조를 구비한 충진노즐
KR20210077364A (ko) * 2019-12-17 2021-06-25 김주완 액상 포장기계의 용기 주입부 세척장치
KR20210077363A (ko) * 2019-12-17 2021-06-25 김주완 액상의 내용물 충진용 주입기 노즐 조립체
KR102521370B1 (ko) * 2023-01-31 2023-04-13 이경옥 김치 정량 공급용 국물 오염방지 노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003B1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003B1 (ko) 충진 노즐
KR101460080B1 (ko) 충진 노즐
JP2020522299A (ja) 洗濯添加剤ケース及び洗濯機
KR20080015392A (ko)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도우징 헤드
US20150360260A1 (en) Portable parts washer
KR101966885B1 (ko)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US6364622B1 (en) Vibratory pump apparatus
KR101618122B1 (ko)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KR101329605B1 (ko)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KR100525205B1 (ko) 공기배출밸브
EP3568359B1 (en) Stopper assembly, use of a stopper assembly
JPH0688365A (ja) 加圧式水洗便器の接手
KR20090130439A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20170001498U (ko) 휴대용 소변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101904381B1 (ko) 방수형 펌프 디스펜서
KR20180023648A (ko) 액상의 내용물 충진용 주입기 노즐 조립체
KR102071316B1 (ko) 공기 이동구조를 구비한 충진노즐
JP4674719B2 (ja) 注出容器
KR1017688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451601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US9145288B2 (en) Tipless can filling valve
KR20190092634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드럼통용 펌프
KR102082325B1 (ko)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장치의 역류방지구조
KR102025927B1 (ko)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