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885B1 -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885B1
KR101966885B1 KR1020170098894A KR20170098894A KR101966885B1 KR 101966885 B1 KR101966885 B1 KR 101966885B1 KR 1020170098894 A KR1020170098894 A KR 1020170098894A KR 20170098894 A KR20170098894 A KR 20170098894A KR 101966885 B1 KR101966885 B1 KR 10196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leaning liquid
tank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853A (ko
Inventor
양석천
Original Assignee
양석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석천 filed Critical 양석천
Priority to KR102017009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8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7Active dispensers, i.e. comprising a moving dos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5Devices connected to the actuation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액탱크에 수용된 세정액을 일정 정량공간을 갖는 정량탱크에 임시 저장하고, 수조의 수위에 따라 복수개의 제어밸브가 시간차를 두고 작동하며 수조에 물이 다시 차오르는 타이밍에 정량탱크에 저장된 일정량의 세정액을 수세식 변기의 수조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세정액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항상 정량의 세정액을 수조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는, 수세식 변기의 수조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물내림과 연동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세정액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에 있어서,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탱크와; 상기 세정액탱크의 하부로 연결되고, 상단부에 상기 세정액탱크와 연통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세정액탱크로부터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유입된 세정액을 내부에 형성된 정량공간에 저장 가능하며, 하단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정량공간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제2 통공을 통해 상기 수조 내부로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정량탱크와; 상기 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밸브부는, 상기 수조의 만수위시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을 밀폐하고, 사용자의 물내림으로 인해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가 되는 경우 상기 정량탱크에 세정액이 충진되도록 상기 제1 통공은 개방하고 제2 통공은 밀폐하며,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에서 만수위로 복귀되는 과정에 정해진 중간수위 구간 동안 상기 정량탱크의 정량공간에 저장된 세정액이 상기 수조 내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1 통공은 밀폐하고 상기 제2 통공은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FIXED QUANTITY SUPPLY DEVICE FOR TOILET CLEANING LIQUID}
본 발명은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액탱크에 수용된 세정액을 일정 정량공간을 갖는 정량탱크에 임시 저장하고, 수조의 수위에 따라 복수개의 제어밸브가 시간차를 두고 작동하며 수조에 물이 다시 차오르는 타이밍에 정량탱크에 저장된 일정량의 세정액을 수세식 변기의 수조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세정액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항상 정량의 세정액을 수조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변기의 세척용수에 세정 성분을 용해하기 위한 종래방식을 살펴보면, 수세식 변기의 수조 내부에 가용성 고체형태의 세정블록을 투입하여 일정량의 세척용수가 배출될 때마다 세정블록이 자연적으로 용해되어 흘러나와 변기나 배관의 오물을 세척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정블록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양이 줄어들어 세정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또한 장기간의 외출 등으로 변기를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수조 내부의 세척용수에 세정블록이 포화상태까지 용해되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체형태의 세정블록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액체 형태의 세척액을 사용하기도 하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341호(2003.05.16. 공고)에는 "자동유출 변기세정액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변기 및 배관내부의 오염물을 세척하는 세정액을 수용하는 용기부; 및 상기 세정액의 배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유동부;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부와 유동부는 부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세척용수 배수시 하강되었던 유동부가 다시 상승될 때까지 세정액이 계속하여 유출되는 구조로서 세정액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세척용수가 수조에 만수위를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계속하여 세척용수를 배수시킬 때 원추형패킹이 세정액 배출구를 정확하게 폐쇄시켜주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세정액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수세식 변기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물내림과 연동되어 수조에 물이 다시 차오르는 타이밍에 일정량의 세정액을 수조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는, 수세식 변기의 수조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물내림과 연동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세정액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에 있어서,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탱크와; 상기 세정액탱크의 하부로 연결되고, 상단부에 상기 세정액탱크와 연통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세정액탱크로부터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유입된 세정액을 내부에 형성된 정량공간에 저장 가능하며, 하단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정량공간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제2 통공을 통해 상기 수조 내부로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정량탱크와; 상기 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밸브부는, 상기 수조의 만수위시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을 밀폐하고, 사용자의 물내림으로 인해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가 되는 경우 상기 정량탱크에 세정액이 충진되도록 상기 제1 통공은 개방하고 제2 통공은 밀폐하며,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에서 만수위로 복귀되는 과정에 정해진 중간수위 구간 동안 상기 정량탱크의 정량공간에 저장된 세정액이 상기 수조 내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1 통공은 밀폐하고 상기 제2 통공은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량탱크는,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이 수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밸브부는,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승강로드와, 부력 및 자중에 의해 상기 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부에 구비된 부력체와, 상기 승강로드의 최대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부에 구비된 걸림스토퍼와, 상기 승강로드의 일정 상승 높이 이상에서 상기 제1 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승강로드에 구비된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승강로드의 최대 상승 높이에서 상기 제2 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밸브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드에 구비된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승강로드의 최대 하강 높이에서 상기 제2 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제2 개폐밸브 사이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드에 구비된 제3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개폐밸브는,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 이동되며 상기 제 1통공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로드의 제1 외주면의 상단부 일부 구간에 세로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 상기 제1 통공에 외접하며 상기 제1 통공을 밀폐하는 제1 밀폐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개폐밸브는,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 이동되며 상기 제 2통공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로드의 제2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2 외주면의 하단부에 상기 제2 통공을 하부에서 압착하며 밀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밀폐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개폐밸브는, 상기 제2 외주면의 외측에서 상기 승강로드를 감싸도록 체결되되 상기 승강로드의 최대 하강 높이에서 하단부가 상기 정량탱크의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제2 통공을 밀폐하는 제3 밀폐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밸브부는, 상기 승강로드가 탄성력에 의해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를 하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는, 상기 세정액탱크는, 하단부에 원통형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정량탱크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부면에 상기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제1 측벽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된 제1 용기와, 상기 제1 용기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하부면에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벽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제2 측벽부가 형성되되 상기 세정액탱크의 결합돌기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벽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용기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 사이 간격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측벽부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부의 하단부가 상기 제1 용기의 플랜지를 압착하며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는 수조에 물이 다시 차오르는 타이밍에 정량탱크에 저장된 일정량의 세정액을 수세식 변기의 수조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항상 정량의 세정액을 수조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세정액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는 각 구성요소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지 보수 및 분해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는 수세식 변기의 수조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물내림과 연동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세정액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정액탱크(10)와, 정량탱크(20)와, 제어밸브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정액탱크(10)는 변기 및 배관 내부의 오염물을 세척할 수 있는 세정액이 내부로 수용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탱크(10)는 하단부에 원통형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부(11)가 형성되어 후술할 정량탱크(2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세정액탱크(10)에 수용된 세정액을 모두 사용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세정액탱크(10)를 상기 정량탱크(20)에서 분리하여 그 내부에 세정액을 쉽게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량탱크(20)는 상기 세정액탱크(10)의 하부로 연결되고, 상단부에 상기 세정액탱크(10)와 연통되는 제1 통공(11)이 형성되어 상기 세정액탱크(10)로부터 상기 제1 통공(211)을 통해 유입된 세정액을 내부에 형성된 정량공간(20a)에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량탱크(20)는 하단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통공(221)이 형성되어 상기 정량공간(20a)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제2 통공(221)을 통해 상기 수조 내부로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정량탱크(20)는 상기 제1 통공(211) 및 상기 제2 통공(221)이 수직선 상에 배치되고, 제1 용기(21)와, 제2 용기(22)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용기(21)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부면에 상기 제1 통공(211)이 형성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제1 측벽부(212)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벽부(212)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용기(22)는 상기 제1 용기(21)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하부면에 상기 제2 통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벽부(212)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제2 측벽부(222)가 형성되되, 상기 세정액탱크(10)의 결합돌기부(11)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벽부(222)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부(11)가 상기 제1 측벽부(212)와 상기 제2 측벽부(213) 사이 간격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측벽부(213)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부(11)의 하단부가 상기 제1 용기(21)의 플랜지(213)를 압착하며 상호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어밸브부(30)는 상기 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 통공(211) 및 상기 제2 통공(221)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밸브부(30)는 도 3의 (a)상태와 같이 상기 수조의 만수위(L3)시 상기 제1 통공(211) 및 상기 제2 통공(221)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부(30)는 도 3의 (b) 상태와 같이 사용자의 물내림으로 인해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L1)가 되는 경우 상기 정량탱크(20)에 세정액이 충진되도록 상기 제1 통공(211)은 개방하고 제2 통공(221)은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부(30)는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L1)에서 만수위(L3)로 복귀되는 과정에 정해진 중간수위(L2) 구간 동안 상기 정량탱크(20)의 정량공간(20a)에 저장된 세정액이 상기 수조 내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1 통공(211)은 밀폐하고 상기 제2 통공(221)은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밸브부(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밸브부(30)는 승강로드(31)와, 부력체(32)와, 걸림스토퍼(33)와, 제1 개폐밸브(34)와, 제2 개폐밸브(35)와, 제3 개폐밸브(36)와, 탄성지지스프링(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로드(31)는 상기 제1 통공(211) 및 상기 제2 통공(221)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211) 및 상기 제2 통공(22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부력체(32)는 부력 및 자중에 의해 상기 수조의 수위(L1, L2, L3)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31)가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로드(3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걸림스토퍼(33)는 상기 승강로드(31)의 최대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승강로드(3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물내림으로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L1)가 되었을 때 상기 승강로드(31)는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걸림스토퍼(33)가 상기 제1 통공(211)의 상부에 걸리며 상기 승강로드(31)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제1 개폐밸브(34)는 상기 승강로드(31)의 일정 상승 높이 이상에서 상기 제1 통공(211)을 밀폐하도록 상기 승강로드(31)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도 3의 (a) 또는 (c)에서와 같이 상기 수조의 수위가 만수위(L2) 또는 정해진 중간수위(L2) 구간 동안 상기 제1 개폐밸브(34)에 의해 상기 제1 통공(211)은 밀폐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폐밸브(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31)가 상하 이동되며 상기 제 1통공(211)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로드(31)의 제1 외주면(311)의 상단부 일부 구간에 세로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 제1 유로(341)와, 상기 제1 유로(341)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 상기 제1 통공(211)에 외접하며 상기 제1 통공(211)을 밀폐하는 제1 밀폐면(34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3의 (b) 상태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L1)가 되며 상기 승강로드(31)가 하강한 경우 상기 제1 유로(341)에 의해 상기 세정액탱크(10)와 상기 정량탱크(20)의 정량공간(20a)이 상호 연통되며 세정액이 상기 세정액탱크(10)로부터 상기 정량탱크(2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도 3의 (a), (c) 상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의 수위가 만수위(L3) 또는 정해진 중간수위(L2) 구간 동안 상기 승강로드(31)가 일정 상승 높이 이상 상승되면 상기 제1 밀폐면(342)이 상기 제1 통공(211)에 외접되며 상기 제1 통공(211)은 밀폐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2 개폐밸브(35)는 상기 승강로드(31)의 최대 상승 높이에서 상기 제2 통공(221)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밸브(34)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드(31)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개폐밸브(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31)가 상하 이동되며 상기 제 2통공(221)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로드(31)의 제2 외주면(312)에 세로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 제2 유로(351)와, 상기 제2 외주면(312)의 하단부에 상기 제2 통공(221)을 하부에서 압착하며 밀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밀폐면(35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3의 (b), (c) 상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31)가 최대상승높이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2 유로(351)는 상기 정량탱크(20)의 정량공간(20a)과 외부가 연통되게 되고, 상기 정량탱크(20)에 저장된 세정액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만, 도 3의 (b) 상태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31)의 최대 하강 높이에서 상기 제2 통공(221)은 밀폐되는데, 이는 상기 제2 개폐밸브(35)에 의한 작용이 아닌 후술할 제3 개폐밸브(36)에 의한 작용이다.
한편, 도 3의 (a) 상태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의 수위가 만수위(L3)가 되면서 상기 승강로드(31)가 최대상승높이까지 상승된 경우 상기 제2 밀폐면(352)이 상기 제2 통공(221)의 하부를 압착하며 막아 상기 제2 통공(221)은 밀폐된게 된다.
상기 제3 개폐밸브(36)는 상기 승강로드(31)의 최대 하강 높이에서 상기 제2 통공(221)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밸브(34)와 상기 제2 개폐밸브(35) 사이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드(31)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3 개폐밸브(3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외주면(312)의 외측에서 상기 승강로드(31)를 감싸도록 체결되되, 도 3의 (b) 상태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31)의 최대 하강 높이에서 하단부가 상기 정량탱크(20)의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제2 통공(221)을 밀폐하는 제3 슬리브(361)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b) 상태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물내림으로 인해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L1)가 되는 경우 상기 승강로드(31)의 최대 하강 높이가 되는데, 이 때 상기 제2 개폐밸브(35)는 상기 제2 유로(351)에 의해 상기 제2 통공(221)은 개방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제3 개폐밸브(36)인 제3 슬리브(361)에 의해 상기 제2 통공(221)은 결국 밀폐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7)은 상기 승강로드(31)가 탄성력에 의해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31)를 하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로드(31)는 자중에 의해 하강될 수도 있지만,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7)의 구성에 의하여 보다 확실한 작동이 보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어밸브부(30)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는 사용자의 물내림과 연동되며 항상 정량의 세정액을 수조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세정액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세정액탱크
11 결합돌기부
20 정량탱크
20a 정량공간
21 제1 용기
211 제1 통공
212 제1 측벽부
213 플랜지
22 제2 용기
221 제2 통공
222 제2 측벽부
30 제어밸브부
31 승강로드
311 제1 외주면
312 제2 외주면
32 부력체
33 걸림스토퍼
34 제1 개폐밸브
341 제1 유로
342 제1 밀폐면
35 제2 개폐밸브
351 제2 유로
352 제2 밀폐면
36 제3 개폐밸브
361 제3 슬리브
37 탄성지지스프링

Claims (5)

  1. 삭제
  2. 수세식 변기의 수조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물내림과 연동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세정액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에 있어서,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탱크와;
    상기 세정액탱크의 하부로 연결되고, 상단부에 상기 세정액탱크와 연통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세정액탱크로부터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유입된 세정액을 내부에 형성된 정량공간에 저장 가능하며, 하단부에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통공과 수직선 상에 배치된 제2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정량공간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제2 통공을 통해 상기 수조 내부로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정량탱크와;
    상기 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의 개폐를 제어하되, 상기 수조의 만수위시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을 밀폐하고, 사용자의 물내림으로 인해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가 되는 경우 상기 정량탱크에 세정액이 충진되도록 상기 제1 통공은 개방하고 제2 통공은 밀폐하며, 상기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에서 만수위로 복귀되는 과정에 정해진 중간수위 구간 동안 상기 정량탱크의 정량공간에 저장된 세정액이 상기 수조 내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1 통공은 밀폐하고 상기 제2 통공은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밸브부는,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승강로드와, 부력 및 자중에 의해 상기 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부에 구비된 부력체와, 상기 승강로드의 최대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부에 구비된 걸림스토퍼와, 상기 승강로드의 일정 상승 높이 이상에서 상기 제1 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승강로드에 구비된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승강로드의 최대 상승 높이에서 상기 제2 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밸브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드에 구비된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승강로드의 최대 하강 높이에서 상기 제2 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제2 개폐밸브 사이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드에 구비된 제3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밸브는,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 이동되며 상기 제 1통공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로드의 제1 외주면의 상단부 일부 구간에 세로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 상기 제1 통공에 외접하며 상기 제1 통공을 밀폐하는 제1 밀폐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개폐밸브는,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 이동되며 상기 제 2통공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로드의 제2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2 외주면의 하단부에 상기 제2 통공을 하부에서 압착하며 밀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밀폐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개폐밸브는, 상기 제2 외주면의 외측에서 상기 승강로드를 감싸도록 체결되되 상기 승강로드의 최대 하강 높이에서 하단부가 상기 정량탱크의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제2 통공을 밀폐하는 제3 밀폐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부는, 상기 승강로드가 탄성력에 의해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를 하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탱크는, 하단부에 원통형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정량탱크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부면에 상기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제1 측벽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된 제1 용기와, 상기 제1 용기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하부면에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벽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제2 측벽부가 형성되되 상기 세정액탱크의 결합돌기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벽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용기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 사이 간격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측벽부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부의 하단부가 상기 제1 용기의 플랜지를 압착하며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KR1020170098894A 2017-08-04 2017-08-04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KR10196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894A KR101966885B1 (ko) 2017-08-04 2017-08-04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894A KR101966885B1 (ko) 2017-08-04 2017-08-04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53A KR20190014853A (ko) 2019-02-13
KR101966885B1 true KR101966885B1 (ko) 2019-04-08

Family

ID=6536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894A KR101966885B1 (ko) 2017-08-04 2017-08-04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318B1 (ko) * 2023-08-09 2024-02-14 (주) 에이와이중공업 오토그리스 주입기를 장착한 유압브레이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20B1 (ko) * 2019-12-02 2021-06-03 김정운 양변기용 세정액 자동 분배기
KR102300750B1 (ko) * 2020-04-10 2021-09-09 안나은 용액 공급 장치
KR102259276B1 (ko) * 2020-08-11 2021-06-01 (주)한국미라클피플사 좌변기 세정제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023A (ko) * 2005-04-04 2006-10-12 조우정 변기세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318B1 (ko) * 2023-08-09 2024-02-14 (주) 에이와이중공업 오토그리스 주입기를 장착한 유압브레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53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885B1 (ko)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US4429809A (en) Device for the metered release of an active ingredient
US4064572A (en) Level actuated apparatus for delivering chemicals
CN113692470B (zh) 为非电动式节水马桶供应冲洗水的装置
US10119260B2 (en) Discharge valve apparatus, flush water tank apparatus, and flush toilet
US2913734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3831205A (e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US4534071A (en) Automatic dispenser for disinfectant and bowl cleaning fluid
RU2008103035A (ru) Дозатор очищающего вещества для смывного бачка
US3945062A (en) Toilet chemical dispenser
CN206815471U (zh) 马桶清洁剂自动添加装置
JP2015063808A (ja) 洗浄水量調整装置、この洗浄水量調整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200356141Y1 (ko) 화장실용 액체 세제 투여기
KR101356397B1 (ko)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US9869080B2 (en) Cleaning liquid dispenser
KR102053458B1 (ko) 용액 공급기
US4357718A (en) Liquid dispenser
KR20060106023A (ko) 변기세정장치
WO2013022101A1 (ja) 洗浄タンク装置
KR101518264B1 (ko) 부력을 이용한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WO20071414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liquid storage vessel
WO2003044291A1 (en) Dispenser for wc cisterns
CN220336030U (zh) 一种马桶清洁剂供给装置
WO2007141704A1 (en) A dispenser for dispensing a dosing liquid into a toilet cistern
PL205320B1 (pl) Dozownik płyn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