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974A - 환경 변화 및 헤드/핸드 효과의 존재 시 가변 리액턴스 안테나 어퍼처 튜닝을 이용하여 일정한 안테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 정합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환경 변화 및 헤드/핸드 효과의 존재 시 가변 리액턴스 안테나 어퍼처 튜닝을 이용하여 일정한 안테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 정합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974A
KR20180006974A KR1020177036112A KR20177036112A KR20180006974A KR 20180006974 A KR20180006974 A KR 20180006974A KR 1020177036112 A KR1020177036112 A KR 1020177036112A KR 20177036112 A KR20177036112 A KR 20177036112A KR 20180006974 A KR20180006974 A KR 20180006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variable
capacitor
reactance
reflection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465B1 (ko
Inventor
라즈 에른스트 존슨
레이 파크허스트
폴 앤서니 주니어 토르나타
로베르토 가디
천후이 니우
Original Assignee
카벤디시 키네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벤디시 키네틱스, 인크. filed Critical 카벤디시 키네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0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2Details
    • H01Q19/021Means for reducing undesirable effects
    • H01Q19/027Means for reducing undesirable effects for compensating or reducing aperture bloc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ransmitter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갖는, 이동 전화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무선 통신 가능한 임의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변 리액턴스(용량성 또는 유도성 성분) 안테나 어퍼처 튜너(variable reactance antenna aperture tuner)를 단순한 스칼라 안테나 어퍼처 튜닝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환경적 효과 또는 헤드/핸드 효과의 존재 시 일정한 안테나 공진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다. 가변 리액턴스는,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장치의 작동 주파수에서 멀어지게 변경시킬 수 있는 외부 변수들에 대응하여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원하는 목표 주파수에서 유지되도록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외부적으로 유도된 변화에 대응하여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의 방사 효율을 유지하고, 동시에 안테나와 무선부 내의 각각의 송신/수신 경로 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이 방지하여,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 변화 및 헤드/핸드 효과의 존재 시 가변 리액턴스 안테나 어퍼처 튜닝을 이용하여 일정한 안테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 정합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간단히 장치로도 지칭되는,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갖는, 이동 전화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무선 모뎀을 갖는 임의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적인 세계에서, 장치는 항상 강하고 일정한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무선 신호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항상 변하고, 이러한 장치에 대한 이상적인 세계는 "자유 공간"에서만 발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유 공간에서는 장치는 이동하지 않고 사람과의 물리적인 상호 작용 없이 공중에 매달려 있다. 장치의 실제 사용은 전형적으로 사용자와 장치 간의 물리적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자유 공간 조건은 제조 설비 및 테스트 설비에서만 존재한다. 일단 동작 시에 그리고 사용자의 핸드에 있게 되면, 장치는 사용자가 장치에 접근함으로써 소위 핸드/헤드 효과와 같은 신호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게된다.
헤드/핸드 효과는 전형적으로 사용자의 인체 조직에 접근함으로 인해서 안테나의 용량성 부하에 의해 야기된, 해당 장치의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지칭한다. 자유 공간에서, 사용자가 없지만, 실제 사용 시에, 거의 항상 사용자가 있다. 사용자가 장치와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거나 장치에 가까이에 근접하는 순간,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된다. 따라서, 일단 동작 중인 장치의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자유 공간에서 수행되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생산 동안에 달성되고 측정되는 이상적인 전기적 특성으로는 거의 동작하지 않는다.
환경적 효과 또는 헤드/핸드 효과로 인해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이 변할 때, 무선 신호를 적절히 송신/수신하는 안테나의 능력은 심각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로써, 접속이 단절되거나, 호를 놓치거나, 메시지가 전송 또는 수신되지 않거나, 데이터 트래픽 및 인터넷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이러한 성능 저하는 안테나 방사 성능의 변화뿐만 아니라 안테나가 해당 장치의 송수신 신호 경로에 미치는 임피던스의 변화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동작 중에 안테나의 방사 및 임피던스 특성을 유지하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 및/또는 환경의 변화에 의해 야기된 임의의 변화를 보상할 필요성이 높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와 장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갖는 이동 전화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변 리액턴스(용량성 성분 및/또는 유도성 성분을 가짐) 안테나 어퍼처 튜너(variable reactance antenna aperture tuner)를 안테나에 적용하고, 이를 단순한 스칼라 반사 전력 측정 시스템과 결합시킴으로써, 환경적 효과 또는 헤드/핸드 효과의 존재 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를 유지할 수 있는 안테나가 획득된다. 가변 리액턴스는 환경 또는 헤드/핸드 효과로 인한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상쇄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상쇄 효과가 없다면 이러한 전기적 특성 변화는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킬 것이다.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외부적으로 유도된 변화가 존재할 때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이점을 갖는다. 첫째로, 안테나의 방사 효율이 유지되고, 둘째로, 안테나와 무선부 내의 각각의 송신/수신 경로 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이 방지된다. 안테나와 무선부의 나머지 부분 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피함으로써, 전송 라인에서의 신호 강도 손실이 방지되는데, 그렇지 않다면, 통상적인 전송 라인 임피던스 정합 방법들을 사용하여 안테나와 무선 프론트 엔드의 나머지 부분 간의 급전선에서의 동적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장치는 무선 프론트 엔드;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상기 무선 프론트 엔드 간의 상전송 라인에서의 전력 커플러(coupler); 및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리액턴스 변경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장치는 무선 프론트 엔드, 안테나, 안테나와 프론트 엔드 간의 전송 라인에서의 전력 커플러, 및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리액턴스 변경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의 반사 전력의 단순한 변화를 검출한 결과는 상기 리액턴스 변경 장치에서 리액턴스를 변경하는 폐쇄 루프 제어 프로세스를 위해서 사용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본 장치는 무선 프론트 엔드, 안테나, 임의의 종류의 근접 센서 또는 전계 감지 장치, 및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리액턴스 변경 장치를 포함하며, 근접도 또는 전계의 변화를 검출한 결과는 상기 리액턴스 변경 장치에서 리액턴스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임의의 것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이외의 다른 실시형태들이 기술적인 이유 때문에 목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테나 및 무선 프론트 엔드 간의 전송 라인에서 고정 임피던스 또는 가변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특징들이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들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의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서 예시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따라서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다른 동등하게 효과적인 실시예들이 허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자유 공간에서의, 본 예에서는 셀룰러 전화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그 근처에 손이 있는 장치, 본 예에서는 셀룰러 전화의 개략도이며, 이 경우에 손은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 및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기적 환경의 임의의 종류의 변화에 대한 인자이다.
도 3은 장치의 안테나의 복귀 손실 (반사 전력비로서 알려진) 측정치와, 통상적으로 안테나의 용량성 또는 유도성 부하의 증가 또는 감소로서 경험되는, 헤드/핸드 효과의 환경적 변화에 의해 야기된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로 인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안테나와 무선 프론트 엔드 간의 전송 라인에서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를 갖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본 실례에서는 단순화된 LC 공진기로서 도시 됨)의 어퍼처에 부착된 리액턴스 조절 장치를 갖는 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무선 통신 신호의 물리 계층 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어퍼처에 부착된 리액턴스 조절 장치를 갖는 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a는 3 개의 상이한 공진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하나의 안테나의 복귀 손실 플롯을 도시한다.
도 8b 내지 도 8d는 3 개의 상이한 공진 주파수들에 대한 하나의 안테나의 상이한 파형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리액턴스의 많은 가능한 예시들 중 하나인 디지털 가변 커패시터(DVC)의 개략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리액턴스로서 이용될 수 있는 밋제전자기계(MEMS)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1 내지 도 24는 헤드/핸드 효과를 보상하기 위해 본 장치의 커패시턴스를 조절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가능한 경우 도면들에 공통적인 동일한 요소들을 지정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되었다. 일 실시예의 요소들 및 특징들이 추가 한정 없이 다른 실시예들 내에 유리하게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와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갖는, 이동 전화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단한 스칼라 반사 전력 측정 시스템 내에서 가변 리액턴스(용량성 또는 유도성 성분) 안테나 어퍼처 튜너를 적용함으로써, 일정한 안테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를 유지하는 폐 루프 방식이 얻어진다. 가변 리액턴스는, 만일에 이러한 가변 리액턴스가 적용되지 않는다면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환경적 효과 및 헤드/핸드 효과와 같은 외부 변수들에 반응하여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외부적 변화 인자들이 있을 때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안테나의 리액턴스를 조절하면, 안테나 방사 효율이 유지되고 안테나 임피던스와 무선 프론트 엔드 내의 송수신 경로의 임피던스 간의 부정합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안테나의 방사 성능 저하가 억제되며, 무선 프론트 엔드의 송수신 부품의 성능 저하가 억제되며, 안테나와 무선 프론트 엔드 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으로 인한 전송 손실 등을 피할 수 있다; 만일에 리액턴스가 조절되지 않는다면, 상기 환경적 변화 또는 헤드/핸드 효과는 안테나의 방사 성능 저하, 무선 프론트 엔드의 송수신 부품의 성능 저하, 안테나와 무선 프론트 엔드 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으로 인한 전송 손실을 야기할 것이다.
도 1은 본 장치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갖는 경우에, 자유 공간 내에 있는 본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장치(100)는 장치 본체의 외부에 있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02)를 갖는다. 안테나(102)는 이렇게 외부에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달리, 안테나(102)는 장치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장치(100)는 다음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2G,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위해 할당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셀룰러 서비스와 같은 임의의 무선 접속을 통해 및/또는 일부 무선 접속 타입을 말하자면, Wi-Fi, Bluetooth, NFC 등과 같은 무선 접속을 통해서 이메일, 음성 호출, 문자 메시지, 및 인터넷 웹 페이지 및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사람과 같은 다른 물체가 장치(100)의 동작을 간섭하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자유 공간에 있다. 그러나, 인간이 장치(100)와 상호 작용할 때, 헤드/핸드 효과가 나타나고, 이로써, 안테나(102)의 전기적 특성이 변한다.
도 2는 근처에 손(202)이 있는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손(202)은 안테나(102)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치의 동작 동안 장치(100)가 노출되는 환경적 상호 작용 인자의 많은 가능한 형태 중 하나를 예시한다. 손(202)이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에 더 가깝게 이동함에 따라, 안테나(102)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손(202)은 일반적으로 안테나(102)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키는 용량성 부하를 부가하지만, 전기적 특성은 안테나의 용량성 부하의 감소 또는 안테나의 유도성 부하의 변화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도 변할 수 있다. 장치(100)가 사용자의 머리(도시되지 않음)에 가깝거나, 물리적인 물체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움직이는 물체에 근접하게 되면,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며, 이로써, 안테나(102)의 전기적 특성을 간섭할 수 있다. 손(202)이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안테나(102)의 전기적 특성이 다시 변한다. 구체적으로, 손을 장치로부터 제거하면, 통상적으로 용량성 부하가 제거되어 안테나(102)의 공진 주파수를 다시 시프트시키지만, 안테나의 리액턴스 부하에서의 다른 변화가 또한 가능하다. 실제로, 손(202)을 장치(100)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면, 원래의 상태에 가깝게 안테나(102)의 전기적 특성이 복귀되며, 이 경우에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전기적 특성 간섭 전에 존재하는 상태로 되돌아 간다. 장치의 동작 동안, 이러한 환경 및 그 변화의 특성들 및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헤드/핸드 상호 작용에 따라서, 장치(100)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는 안테나(102)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특성 변화는 커패시턴스 변화로 귀결된다.
도 3은 안테나(102)의 전기적 환경의 변화가 어떻게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RF 엔지니어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플롯을 S11 '복귀 손실' 측정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복귀 손실은 무선부의 일 부분(예를 들어, 전송 라인)에서 무선부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안테나)으로 전송되는 소정량의 신호 전력 중 얼마가, 상기 전송 라인의 임피던스가 안테나의 임피던스와 정확히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스로 복귀/반사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이렇게 전송 라인의 임피던스가 안테나의 임피던스와 정확히 동일하지 않는 경우는 임피던스 부정합으로서 종종 지칭된다. 이러한 복귀 손실 플롯은 본질적으로 스칼라이므로, 입사 신호 전력과 반사 신호 전력 간의 상대 위상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곡선 "C"는 자유 공간에서 안테나(102)의 복귀 손실을 도시한다. 도 3의 주어진 예에서, 곡선 "C"에 의해 표현된 복귀 손실은 일반적으로 안테나(102)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즉 입사 에너지의 대부분이 이어서 방사되는 안테나(102)의 상태에 대응하는 주파수 1.2GHz에서 가장 작다. 곡선 "D"는 헤드/핸드 효과가 안테나(102)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킨 경우에, 본 예에서는 증가시킨 경우에 안테나(102)의 복귀 손실을 도시하며, 이는 통상적으로 화살표 "F"로 표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102)의 공진 주파수의 하향 시프트로 이어진다. 일단 헤드/핸드 효과에 의해 야기된 전기적 변화가 안테나의 리액턴스 어퍼처 튜닝 성분에 대한 적절한 조절에 의해 보상되거나, 손과 머리가 안테나(102)로부터 물리적으로 제거된 것과 같이 환경적 간섭이 사라지면, 안테나(102)의 복귀 손실은 곡선 "C"에 의해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 간다. 마찬가지로, 곡선 "E"는 헤드/핸드 효과가 안테나(102)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킨 경우에, 본 예에서는 감소시킨 경우에 안테나(102)의 복귀 손실을 도시하며, 이는 통상적으로 화살표 "G"로 표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102)의 공진 주파수의 상향 시프트로 이어진다.
도 3에 도시된 안테나(102)의 복귀 손실 변화가 커패시턴스 변화 대신에 인덕턴스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다른 상황을 이제 고려하자. 복귀 손실 곡선 "D"로 표현된 공진 주파수의 하향 시프트는 헤드/핸드 효과로 인해 야기된, 보다 통상적인 커패시턴스의 증가 대신에, 인덕턴스의 감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복귀 손실 곡선 "E"로 표현된 공진 주파수의 상향 시프트는 헤드/핸드 간섭 제거로 인해 야기된, 보다 통상적인 커패시턴스의 감소 대신에, 인덕턴스의 증가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인덕턴스 증가는 예를 들어, 장치가 금속 표면 상에 배치되는 때에 발생한다.
헤드/핸드 효과(head/hand effect)에 의해 야기된 안테나(102) 성능 저하를 해결하는 것은 본 기술 분야에서 오래된 목표였다. 안테나의 일정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는 방법을 고안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연구원들은 대신에 안테나의 가변 임피던스에 대해 전송 라인의 임피던스를 맞추기 위한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 수년 동안 연구해왔다. 현재까지의 실제 임피던스 정합 방식은 안테나와 무선 프론트 엔드 간의 안테나 피드 라인에서 구현되어, 무선 프론트 엔드의 고정 임피던스(일반적으로 50Ω)와, 동작 중에 안테나가 노출되는 변화하는 전기적 조건에 따라서 달라지는 안테나의 가변 임피던스 간의 변수 정합을 생성하였다. 일반적인 임피던스 정합 방식은 고정형 및 가변형 인덕터들 및/또는 커패시터들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이들 중 일부는 스위칭되거나 또는 스위칭 가능하며, 이 경우에, 50Ω 피드 라인에서 이동하는 신호가 안테나의 가변 임피던스와 효율적으로 정합되도록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가 해당 피드 라인에 삽입된다. 올바른 임피던스 정합을 동적으로 생성하려면, 안테나를 향해서 이동하는 순방향 전력 파 및 안테나로부터 부분적으로 반사되는 반사 전력 파 간의 상대 진폭 및 위상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이러한 정보가 사용되어, 안테나 부하 임피던스를 유도하고, 안테나의 가변 부하 임피던스를 피드 라인의 목표 고정 값, 보통 50 옴에 정합시키도록 정합 네트워크의 가변 용량성 및 유도성 성분들(즉, 가변 리액턴스)에 대한 목표된 조절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피던스 정합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넓은 조절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 다중-요소 조절가능한 인덕턴스/커패시턴스 '정합 네트워크(matching network)'가 요구된다; 이러한 정합 네트워크는 전송 손실을 전송 경로에 부가하여, 임피던스 부정합이 없거나 거의 없는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한 전송 전력과 시스템 효율을 감소시킨다; 임피던스 정합은 빠르고 정확한 진폭 및 위상 검출을 요구한다; 임피던스 정합은 필요한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 요소 값들을 계산하기 위해 복잡한 알고리즘과 상당한 DSP 자원을 요구한다; 임피던스 정합은 일반적으로, 목표 부하 임피던스를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회로 소자들에 대한 다수의 반복 동작들 및 조절 동작들을 요구한다;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 요소들에 대한 잘못된 설정치들은 의도하지 않은 방사 성능 손실로 이어지며, 이는 통화 단절을 초래할 수 있다; 목표 부하 임피던스를 달성하는데 상당한 시간(> 100ms, 이는 10+ 3GPP LTE 프레임과 동일함)을 소비한다.
도 4는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를 갖는 장치(400)의 개략도이다. 환경 변화 또는 헤드/핸드 효과가 안테나(410)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이는 전형적으로 안테나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유도하여 안테나와 피드 라인 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발생시킬 것이기 때문에,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408)가 해당 피드 라인에 삽입된다. 임피던스 정합 기법은 전술한 임피던스 부정합만을 감소시키지만, 임피던스 정합은 안테나 자체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은 안테나(410)의 공진 주파수를 보정할 수 없으며, 이로써, 피드 라인의 임피던스가 안테나의 변경된 임피던스와 일치하더라도, 환경 변화 또는 헤드/핸드 효과의 존재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본래의 공진 주파수로부터 멀리 시프트된 채로 유지될 것이다. 장치(400)는 전송기(402), 센서(404)로 구성된 순방향 전력 및 반사 전력에 대한 전력 진폭 및 위상 센서, 및 및 프로세서(406)를 포함하며, 이러한 기능들은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장치(400)는 조절 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408) 및 안테나(410)를 더 포함한다. 동작 시에, 임피던스 부정합은 센서(404) 내에서 상기 전송된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측정함으로써 검출된다.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하기 위해, 순방향 전력 및 반사 전력의 측정된 진폭 및 위상을 사용하여 복소 공액 정합 계산을 수행하여,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올바른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 변수들을 결정한다. 이러한 계산은 시간 소모적이고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이 경우에,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의 잘못된 조절로 인해 임피던스 부정합이 더 증가하여 무선 신호가 더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조절 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408)의 존재는, 전형적으로 신호 강도를 1dB 이상만큼 감소시키는 영구 삽입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에 의해 유발되는,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의 삽입으로 인한 신호 강도의 영구적인 손실이 존재하며, 임피던스 정합으로부터의 긍정적인 이득은, 안테나와 무선 프론트 엔드 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으로 인해 발생한 신호 강도의 회복 가능한 손실이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 자체에 의해 초래된 삽입 손실을 초과할 때까지 실현될 수 없다.
안테나에 의해 경험되는 변화하는 전기적 환경에 의해 야기되는 변화하는 안테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고, 불필요하게 복잡한 측정들을 수행하고, 이러한 임피던스 정합을 달성하기 위한 복소 공액 계산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훨씬 간단하고 빠르며 더 나은 해결책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이로써 안테나 임피던스가 적절하게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며, 이로써 조절 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방식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410)가 가변 리액턴스 조절 장치(502)에 의해 일정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프론트 엔드를 갖는 장치(500)의 개략도이다. 임피던스 정합 방식과는 대조적으로, 일정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는 것은, 신호 위상을 측정 및 계산할 필요없이, 전력 커플러(404)에서의 반사 전력의 단순한 측정만을 필요로 한다. 일단 반사 전력이 알려지면, 안테나(410)의 공진 주파수는 자유 공간에서 안테나의 캘리브레이션 동안 얻어진 원래의 값과 상기 측정된 값을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전력 커플러(504)에 의해 측정된 반사 전력이 동작 주파수에서의 캘리브레이션 동안 측정된 반사 전력과 다른 경우, 안테나(410)의 공진 주파수는 목표 동작 주파수로부터 벗어 났으며, 이는 전기적 안테나(410)의 특성의 변화와 직접적으로 상관된다. 이러한 동작 중의 안테나 전기적 특성의 변화는, 전형적으로 환경적 변화 또는 헤드/핸드 효과에 의해 발생하며, 이러한 모든 변화들의 압도적인 대부분들의 경우에, 전화 사용 또는 핸들링 중에 인체 조직의 존재로 인한 안테나의 용량성 부하에 의해 야기되다. 이로써, 안테나의 반사 전력의 측정된 변화의 원인에 대한 제 1 가정적 인자는 환경적 변화 및/또는 헤드/핸드 효과에 의해 유발된 안테나의 용량성 부하이다. 도 5의 장치(500)는 일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양의 커패시턴스를 단지 제거함으로써 일정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거될 커패시턴스의 양은 안테나 생산 캘리브레이션 중에 설정된다. 일정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는 다른 확실한 방법은 안테나에 부착된 가변 리액턴스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커패시턴스 제거(또는 인덕턴스 증가)로 용량성 부하 증가(또는 유도성 부하 감소)를 억제하며, 커패시턴스 증가(또는 인덕턴스 감소)로 용량성 부하 감소(또는 유도성 부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다. 가변 리액턴스에 대한 적절한 조절치를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자유 공간에서 시작하며, 헤드/핸드 효과로 인해 초래된 동작 주파수에서의 반사 전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표준 헤드/핸드 효과 모방 조건들을 추가한다. 안테나 효율 측정치는 특정 반사 전력 변화가 안테나 효율치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에 대응하게 되는 임계 값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록된 값들은 반사 전력 측정치들과 함께, 상기 가변 리액턴스에 대한 제어 루프의 일부가 될 룩업 테이블 내에 저장된다. 가변 리액턴스를 조절하는 이러한 방법은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임계치 모니터링 피드 포워드 알고리즘(threshold monitoring feedforward algorithm)으로서 지칭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410)의 공진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변 리액턴스는 디지털 가변 커패시터(502)(DVC)이다. 장치(502)의 DVC 실시예에 추가하여서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안테나(410)의 일정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리액턴스(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 조절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안테나의 가변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보다는,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몇몇 이점들을 갖는다: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의 환경적 또는 헤드/핸드 간섭 시에 안테나 방사 효율을 유지할 수 있음; 오직 단일 가변 리액턴스만 필요함; 전송된 신호의 스칼라 반사 전력 측정(이는 근접 센서 또는 전계 센서의 판독으로 보완되거나 대체될 수 있음)만 필요함; 본 방식은 간단하고 신뢰할만한 "임계치 모니터링 피드포워드 알고리즘", "IQ 파형 판별 알고리즘"또는 "이산 판별 알고리즘"으로 구현할 수 있음; 공진 주파수가 크게 시프트하지 않고 후속하는 방사 효율 저하 및 임피던스 부정합이 성능에 영향을 주는 수준에 미치지 않도록 안테나의 전기 특성에 대해 감지된 변화를 매우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음(<< 10ms); 안테나 튜너의 가변 리액턴스 값만을 조절할 필요가 있음; 신호 위상을 결정할 필요가 없고 이와 관련된 위상 측정 정확도 및 임피던스 궤적 관련 문제가 제거됨; 피드 라인 내에서의 가변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로 인한 삽입 손실이 제거됨.
상기 장치(500)는 간단히 반사 전력을 측정 한 다음 그에 따라 안테나(410)의 리액턴스를 조절함으로써 동작하며, 이는 DVC 실시예를 사용할 때 100 마이크로 초 이내에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안테나 임피던스를 결정하고 전송기(402)에서의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의 복수 공액 정합을 도출하기 위한 복소 위상 및 전력 벡터 계산들, 및 변경된 안테나 임피던스 부하에 최적의 전력 전달을 제공하는, 가변 정합 네트워크에 대한 최상의 구성이 발견될 때까지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다수의 반복 동작들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100+ 밀리 초보다 상당히 빠르다.
도 6은 예를 들어, 4G LTE와 같은 3GPP 표준 기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전형적인 물리 계층 프레임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프레임은 10ms 길이이고 500 마이크로 초 지속 기간을 갖는 20 개의 슬롯을 갖는다. 이는 임피던스 정합이 단일 임피던스 정합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5 개 이상의 전체 LTE 프레임들을 소비하는 반면에, 본 방식에 따르면, 안테나 어퍼처에 대한 리액턴스 조절이 단일 슬롯 내에서 여러 번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로써, 프레임 내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손상되어 "연결 단절"을 유발하는 후속하는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신속한 리액턴스 조절이 환경 변화로 인해서 필요한 경우에 그러한 신속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환경적 변화 또는 헤드/핸드 변화에 대해 이러한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하는 것은 임피던스 정합 방식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퍼처 튜닝의 또 다른 주요 이점이다.
도 7은 가변 리액턴스 조절 장치(702)를 갖는 장치(700)의 개략도로서, 가변 리액턴스 조절 장치는 다른 것 중에서도, 가변 MEMS 커패시터, 가변 강유전성 커패시터, 다수의 MEMS 스위칭형 유도성 및/또는 용량성 리액턴스 소자들, 또는 다수의 반도체 스위칭형 유도성 및/또는 용량성 리액턴스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장치(700)는 가변 리액턴스 제어 엔진(706) 및 측정 신호 모니터링 유닛(708)을 포함하는 전송기(704)를 포함하고, 리액턴스 조절 제어 신호 센서(710)가 피드 라인에 삽입된다. 상기 가변 리액턴스 제어 엔진(706)은 캘리브레이션 값, 임계 값 및 측정된 값을 저장하고 상기 제안된 "임계치 모니터링 피드포워드 알고리즘", "IQ 파형 판별 알고리즘", 또는 "이산 판별 알고리즘"의 실행을 실현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컴퓨팅 유닛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자원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가변 리액턴스 제어 엔진(706)은 기존의 다목적용 프로세서 또는 베이스밴드 모뎀 내부에서 실행되는 가상 엔진일 수 있거나 독립형 마이크로제어기일 수 있다. 상기 리액턴스 조절 제어 신호 센서(710)는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순방향 전력 및 반사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안테나 공급 라인에 존재하는 상기 도시된 지향성 전력 커플러일 수 있거나, 인체 조직의 존재 또는 다른 환경적 변화요소들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근접 센서 또는 용량성 센서일 수 있거나, 해당 장치(700)를 둘러싸는 전계에서의 다른 환경적 변화들 또는 인체 조직의 존재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전계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신호 모니터링 유닛(708)은 각각의 리액턴스 조절 제어 신호 센서(710)에 의해 제공된 측정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입력 및 성능을 가질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장치의 고 대역 무선 체인과 저 대역 무선 체인 간에서 무선 신호를 이동시키는 스위치가 있다. 가변 리액턴스 조절 장치(702)에 대해 필요한 리액턴스 조절은 측정 신호 모미터링 유닛(708)으로부터의 측정 신호에 의거하여 가변 리액턴스 제어 엔진(706)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가변 리액턴스 제어 엔진(706)은 측정 신호 모니터링 유닛(708)에 의해 제공된 측정 신호의 알고리즘 분석에 기초하여 가변 리액턴스 조절 장치(702)의 유형에 따라 안테나의 용량성/유도성 부하를 조절하며, 이로써,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의 검출된 변화를 보상하며, 이로써,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무선 통신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으로 또는 그 근방으로 유지할 것이다. 가변 리액턴스 제어 엔진(706)에 구현된 제어 알고리즘의 유형에 따라, 이러한 프로세스는 측정된 신호가 캘리브레이션 중에 프로그래밍된 임계 값을 지나갈 때 또는 안테나에서의 전기적 상태에 대한 변화가 캘리브레이션 중에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적절한 시간양 동안에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미리 결정된 반복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d는 반사 전력 변화에 의해 트리거되고 반사된 스펙트럼 엔벨로프과 전송된 스펙트럼 엔벨로프(envelope) 간의 비교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리액턴스 어퍼처 튜닝 방식의 폐 루프 제어에 대한 IQ 스펙트럼 엔벨로프 판별 알고리즘의 개략도들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복귀 손실 대 주파수를 플로팅한 그래프는 곡선(802)으로 목표 공진 주파수, 곡선(804)으로 하향 시프트된 공진 주파수 및 곡선(806)으로 상향 시프트된 공진 주파수를 도시한다.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그러한 하향 시프트 또는 상향 시프트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인 용량성 또는 유도성 환경적 변화 및 헤드/핸드 효과는 도 3의 맥락에서 위에서 기술되었다. 낮은 값은 커패시턴스가 안테나에 추가 또는 인덕턴스가 제거되었을 때 발생하는 반면, 커패시턴스가 안테나에서 제거되거나 인덕턴스가 추가될 때 높은 값이 발생한다. 도 8b 내지 도 8d는 동일한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지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귀 손실 플롯들(802, 804 및 806)에 대응하는 3 개의 상이한 안테나 조건들로 동작하는 무선 신호 스펙트럼 엔벨로프의 3 개의 개략도들을 도시한다. 도 8c는 송신 주파수가 안테나 공진 주파수(802)와 같을 때 송신되는 스펙트럼 엔벨로프를 도시한다. 스펙트럼 엔벨로프는 해당 대역의 저 단부 및 고 단부에서의 사이드대역들(812 및 814)과 대칭적이다. 도 8b는 동일한 스펙트럼 엔벨로프를 도시하지만, 여기서는 공진 주파수가 하향 시프트한(도 8a의 곡선 804) 경우에 안테나로부터 반사된 스펙트럼 엔벨로프를 도시하며, 이 스펙트럼 엔벨로프는 하부 사이드대역(808)이 상부 사이드대역(810)보다 현저하게 낮은 특성 변형을 나타낸다. 도 8d는 동일한 스펙트럼 엔벨로프를 도시하지만, 여기서는 공진 주파수가 상향 시프트한(도 8a의 곡선 806) 경우에 안테나로부터 반사된 스펙트럼 엔벨로프를 도시하며, 이 스펙트럼 엔벨로프는 상부 사이드대역(818)이 하부 사이드대역(816)보다 현저하게 낮은 특성 변형을 나타낸다. 반사 스펙트럼 엔벨로프들의 왜곡된 형상은 복조된 IQ 스펙트럼 엔벨로프를 처리함으로써 분석될 수 있다. 공진 주파수가 송신 주파수 위 또는 아래에 있음으로써 야기되는 왜곡된 RF 스펙트럼 엔벨로프의 기울기에 대한 결과적인 정보는, 일정한 안테나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여 신호 전송 시에 안테나 효율 저하 및 임피던스 부정합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어퍼처 튜닝을 위해서 사용되는 조절 가능한 리액턴스의 변화 방향을 제어하는 판별자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8a로 되돌아가면, 가변 리액턴스 어퍼처 튜닝 방식의 폐쇄 루프 제어에 대한 이산 판별 알고리즘의 설명이 이루어진다. 동작 주파수에서의 복귀 손실이 측정되고, 캘리브레이션 중에 설정된 설정치들(822, 826)과 비교된다. 캘리브레이션 설정치(822)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 모두가 안테나의 양호한 방사 특성에 대응하는, 충분히 낮은 복귀 손실을 갖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복귀 손실 곡선(802)의 매우 전형적인 형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낮은 풀루어(low floor)를 갖는 밸리(valley)와 유사하고, 낮은 복귀 손실을 나타내며, 고 복귀 손실 영역들로 상향으로 기울어지는 다소 대칭적인 사이드대역들을 나타내며, 이러한 고 복귀 손실 영역들은 안테나의 불충분한 방사 특성을 나타내며, 이는 동작 동안에 억제되어야 한다. 대다수의 2G, 3G 및 4G 통신 네트워크가 30MHz 내지 90MHz의 일반적인 '듀플렉스 간격(duplex spacing)'을 사용하여,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에 개별적인 근접 이격된 주파수들을 할당하기 때문에, 송신 신호의 복귀 손실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설정치는 통상적으로, 곡선(802)의 밸리의 중심 근처에서 가장 낮은 복귀 손실을 갖지 않고, 오히려 측벽의 중간 범위의 지점에서 낮은 복귀 손실을 가지며, 이러한 지점은 통상적으로 저주파수에서 좌측 벽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의 복귀 손실 및 수신 신호의 복귀 손실이 유사한 범위 내에 있도록 선택되며, 이로써 동일하게 효율적인 신호 송수신을 보장한다. 복귀 손실 곡선(802)의 좌측 벽 상의 그러한 중간 지점을 보면, 동일한 주파수에서의 측정 가능한 보다 낮은 복귀 손실(824)이 곡선(80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하향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의 이러한 하향 시프트는 전형적으로, 헤드/핸드 효과 또는 환경적 영향에 의해 야기된 용량성 부하 인가/부하 제거(unloading) 중에 관찰된다. 비록 송신 주파수에서의 더 낮은 복귀 손실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만, 수신 주파수에서의 복귀 손실이 곡선(804)에 있어서 급격히 증가하여, 수신 신호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안테나가 환경적 변화 또는 헤드/핸드 효과로부터 야기되는 유도성 부하 증가/용량성 부하 제거에 노출되고,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곡선(80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지점(820)으로 상향 시프트하는 때에는 반대 효과가 관찰된다. 이제, 송신 주파수에서의 복귀 손실은 상당히 증가한 반면, 수신 주파수에서의 복귀 손실은 상당히 저감되며, 이로써, 송신 신호가 매우 약한 대가로 수신 신호는 강하게 된다. 어떤 종류의 안테나 부하 증감 및 공진 주파수 시프트가 발생하더라도,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의 전체 효율은 저하되고, 간단한 이산 판별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1. 계산된 설정점 복귀 손실 ± 감도 마진이 측정된 복귀 손실보다 크거나/작으면, 캘리브레이션 중에 결정된 고정된 작은 양만큼 가변 리액턴스를 통해 용량성 부하를 감소/증가시킨다(유도성 부하를 증가/감소시킨다).
2. 계산된 설정점 복귀 손실 ± 감도 마진이 측정된 복귀 손실보다 여전히 크거나/작으면, 측정된 복귀 손실이 상기 계산된 설정점 복귀 손실 ± 감도 마진 이내에 해당될 때까지, 캘리브레이션 중에 결정된 동일한 작고 고정된 양만큼 용량성 부하를 감소/증가시킨다(유도성 부하를 증가/감소시킨다).
3. 계속해서 복귀 손실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복귀 손실이 상기 계산된 설정점 복귀 손실 ± 감도 마진을 벗어날 때까지, 상기 측정된 복귀 손실을 상기 계산된 설정점 복귀 손실 ± 감도 마진과 비교하며, 그러한 경우에 단계 1로 진행한다.
도 11 내지 도 24는 헤드/핸드 효과를 보상하기 위해 장치의 커패시턴스를 조절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반사 계수(RC)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주파수 f, 등가 커패시턴스 Co 및 등가 인덕턴스 L0의 함수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공진 주파수
Figure pct00002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안테나의 안테나 등가 인덕턴스 L0은 일반적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안테나의 반사 계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주파수 f와 등가 커패시턴스 C0의 함수이다:
Figure pct00004
주파수 범위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 부근에 있을 때, (f/fo - fo/f) 부분은 부드럽고 선형에 가깝다(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음). 결과적으로, 반사 계수 크기 응답 대 등가 커패시턴스는 안테나의 주파수 응답과 비슷한 모양을 갖는다. 등가 커패시턴스가 일정한 단차(step) 크기 C0 + n * ΔC를 갖는 디지털 가변 커패시터(DVC)에 의해 튜닝될 때, 등가 커패시턴스는 DVC 상태로 선형적으로 매핑된다. 따라서, 반사 계수 크기 응답 대 DVC 상태도 역시 안테나의 주파수 응답과 비슷한 형상을 갖는다.
도 12는 800MHz에서 측정된 DVC 402R에 의해 튜닝된 PIFA 안테나의 예를 보여준다. 안테나는 750MHz 내지 950MHz에서 튜닝되며 DVC 상태 20에서 DVC를 사용하여 800MHz로 튜닝된다. 800MHz에서 측정된 DVC 상태 응답은 DVC 상태 #20에서의 주파수 응답과 유사하다. 도 12에서, 상한은 자유 상태에서 미리 정해지고, 장치가 견딜 수 있는 계산된 반사 전력이다. 하한은 자유 상태에서 장치로 장치 캘리브레이션 중에 미리 결정된다. 최적화 상태는 송신 반사 계수 크기 및 수신 반사 계수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그래프 상의 위치이다. 그러므로, 고정 주파수 대 DVC 상태로 안테나를 측정함으로써, 당업자는 안테나 주파수 응답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상향링크 주파수가 하향링크 주파수보다 45MHz 만큼 낮은 경우, 최적화된 상태는 반사 계수 크기가 약 0.4인 좌측 기울기 상태 #15에서 이다.
반사 계수 임계 값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양자를 양호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상향링크에서의 반사 계수의 크기가 너무 낮아서는 안 된다. 도 12의 DVC 상태 #20과 마찬가지로, 상향링크 반사 계수 크기는 0.1이며 하향링크 반사 계수 크기는 0.6까지 올라간다. 그러므로, 상향링크의 반사 계수의 크기는 상한과 하한을 모두 갖는다. 둘 다 너무 높거나 낮아지면 최적화 동작이 개시된다.
시간에 따른 반사 계수 모니터링
안테나가 최적화된 상태에 있을 때(도 12의 DVC 상태 #15에 있을 때), 반사 계수 크기에 대한 손(hand)의 전형적인 부하 인가 및 부하 제거에 대한 영향이 도 13에 도시된다. 손의 용량성 부하는 반사 계수의 크기를 더 높은 부하 상태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손의 부하 커패시턴스는 DVC 상태가 상태 #15에서 상태 #18, 상태 #21 및 상태 #24로 진행하는 것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는 반사 계수 크기가 먼저 내려간 다음 올라가게 할 것이다. 시간에 따른 반사 계수 크기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당업자는, 반사 계수가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손에 의한 부하 증가 및 감소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4는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다. 최적화는 손에 의한 부하 인가/부하 제거 상태에 대한 일부 지식과 함께, 임계치 초과 및/또는 미만 감지에 의해 트리거된다. 최적화 알고리즘은 반사 계수 크기 대 DVC 상태의 데이터 세트를 수집하다. 최적화는 반사 계수 크기 대 DVC 상태 응답을 추정하고 최적화 상태가 발견되었는지 확인하다. 최적화된 상태가 발견되면, 최적화 알고리즘은 잠재적 임계값 조절과 함께 종료된다. 최적화된 상태가 발견되지 않으면, 최적화 알고리즘은 반사 계수 크기 측정 반복으로 돌아간다. 수집된 각 반사 계수 크기 대 DVC 상태 데이터 포인트에 대해, 최적화 알고리즘은 상기한 추정을 실행하고 다시 확인하다. 데모 코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세트는 다음과 같다: 측정된 DVC 상태들 [S] = [S0, S1, S2, ..., Sn]; 및, 상기 측정된 DVC 상태들에서의 반사 계수의 크기들 [RC] = [RC0, RC1, RC2, ..., RCn].
초기화
곡선 추정 단계는 통상 가용한 2 개 이상의 데이터 포인트를 필요로 하므로, 반복을 개시하기 위해, 데이터 포인트들의 제 1 세트를 취하는 초기화 단계가 필요하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화를 시작하기 전에 3 개의 데이터 포인트가 수집된다. 초기 DVC 상태는 S0이고 초기 반사 계수 크기는 RC0이다. 부하 증가 조건이 최적화 알고리즘에 알려지면, 최적화 알고리즘은 DVC를 이동시켜 부하 증가의 영향을 상쇄시킨다. 손에 의해 부하가 증가할 때, 최적화 알고리즘은 커패시턴스를 저감시키기 위해 S0-1과 S0-2를 측정하다. 손을 제거하여 부하가 제거되면, 최적화 알고리즘은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S0 + 1과 S0 + 2를 측정한다. 부하 증가 또는 감소 상태를 모르는 경우, 최적화 알고리즘은 DVC 커패시턴스를 한 단계 동안 낮추고 새로운 상태에서 반사 계수 크기 RC1를 측정하다. 반사 계수 크기 RC1가 초기 반사 계수 크기 RC0보다 높으면, 세 번째 데이터 포인트는 S0 + 1에서 일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세 번째 데이터 포인트는 S0 - 1에서 일 것이다.
반사 계수(reflection coefficient magnitude) 대 DVC 상태 곡선 피팅
첫째, 필요한 경우, 데이터 세트가 부분적으로 절단되며, 최근 16 개의 측정치들만이 곡선 피팅을 위해서 사용된다. 측정치들이 다소 빈번하게, 전형적으로, '타임 슬롯' 증분 단위로, LTE의 경우에는 10ms마다 취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약 40ms마다 측정치들이 취해지면, 가장 이른 600ms가 '최근'으로서 간주된다. 이러한 데이터 부분 절단 후에, 측정된 최저 DVC 상태는 Smin으로서 정의된다. 측정된 최고 DVC 상태는 Smax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코드는 다음과 같이 RC = f(S) 곡선을 포물선 함수에 맞게 피팅한다:
Figure pct00005
이는 단순화된 관계이다. 부가 증가 또는 감소 정보 및 안테나 모델을 고려하는 보다 복잡한 피팅을 사용하면 보다 복잡한 상황을 처리할 수 있다. 피팅된 포물선에서의 최소 반사 계수 크기 DVC 상태는 도 16에서 'Di'이다.
Figure pct00006
측정된 DVC 상태들의 분포에 따라서,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화된 상태 찾기" 단계에서 3 개의 분기 지점들이 존재한다. 먼저, 기울기의 좌측에서의 모든 측정된 DVC 상태들 : Smax≤Di. 둘째, 기울기의 우측에서의 모든 측정된 DVC 상태들 : Di≤Smin. 셋째, 공진 상태가 발견됨: Smin < Di <Smax.
최적화된 DVC 상태 찾기
일례에서, 측정된 모든 DVC 상태들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의 좌측에 있다. 도 17은 임계 상태에서 측정된 DVC 상태들이 존재하는 예를 보여준다. 최적화 알고리즘은 피팅 포물선 방정식에 의해 최적화된 상태를 계산하다. 도 17의 경우, DVC 상태 #12는 계산된 최상의 상태이다. 도 17의 경우에, DVC 상태 #12가 측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 상태를 발견할 수 없음을 보고하고, DVC 상태 #12를 측정할 다음 DVC 상태로 설정한다. DVC 상태 #12이 측정되었으면, 최적화 알고리즘은 DVC 상태 #12를 최적화 상태로서 리턴시키고 종료된다.
다른 예에서, 측정된 모든 DVC 상태들은 도 18과 같이 상한보다 높다. Smax <31이면,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 상태를 찾을 수 없음을 보고하고, Smax + 1을 측정할 다음 DVC 상태로 설정한다. Smax = 31이면,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상태 = 31임을 보고하고 종료한다. 새로운 임계 값이 반사 계수 크기에 따라 DVC 상태 31로서 설정될 것이다. 이 경우에, DVC 커패시턴스는 안테나를 하향 튜닝할 정도로 충분하게 크지 않다.
다른 예에서, 측정된 모든 DVC 상태들은 도 19에서와 같이 하한보다 낮다. > 0인 경우에,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상태를 찾을 수 없음을 보고하고, Smin - 1을 측정할 다음 DVC 상태로 설정한다. Smin = 0이면,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상태 = 0임을 보고하고 종료된다. 새로운 임계 값이 반사 계수 크기에 따라 DVC 상태 0으로서 설정될 것이다. 구 임계 값은 너무 높다.
일 예에서, 측정된 모든 DVC 상태들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의 우측에 있다(즉, Smin> 0).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상태를 찾을 수 없음을 보고하고 Smin-1을 측정할 다음 DVC 상태로 설정한다. 도 21에서와 같이, Smin = 0 일 때,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상태 = 0임을 보고하고 종료된다. 새로운 임계 값은 반사 계수 크기에 따라 DVC 상태 0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 DVC 커패시턴스는안테나를 상향 튜닝할 정도로 충분히 낮지 않다.
일 예시에서, 최소 반사 계수 크기 DVC 상태가 발견된다. 도 22에서와 같이, 임계 값 범위에서 측정된 DVC 상태가 존재한다. 최적화 알고리즘은 피팅 포물선 방정식에 의해 최적화된 상태를 보간하다. 도 22의 경우, DVC 상태 #6은 계산된 최상의 상태이다. DVC 상태 #6은 도 17의 경우 측정되지 않으므로,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 상태를 찾을 수 없음을 보고하고, DVC 상태 #6을 측정할 다음 DVC 상태로 설정한다. DVC 상태 #6이 측정된 경우, 최적화 알고리즘은 DVC 상태 #6을 최적화 상태로 리턴하고 종료된다.
일 예시에서, 모든 측정된 상태들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한보다 높은 반사 계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상태 = Di임을 보고하고 종료된다. 새로운 임계 값은 최적화된 DVC 상태에서 반사 계수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다. 구 임계 값이 너무 낮다.
다른 예에서, 모든 측정된 상태들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한보다 낮은 반사 계수 크기를 갖는다. Smin > 0인 경우,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상태를 찾을 수 없음을 보고하고 Smin-1을 측정할 다음 DVC 상태로 설정한다. Smin = 0이면,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상태 = 0임을 보고하고 종료한다. 새로운 임계 값은 반사 계수 크기에 따라 DVC 상태 0으로서 설정된다. 구 임계 값은 너무 높다.
안테나를 튜닝하는데 사용되는 DVC는 MEMS 장치를 포함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자 기계 시스템(MEMS) 기반의 디지털 가변 커패시터 DVC(900)의 개략도이다. MEMS DVC는 공통 RF 범프(906)에 연결된 RF 전극(904)을 각각 갖는 복수의 캐비티(902)를 포함한다. 각 캐비티는 하나 이상의 풀-인(pull-in) 또는 풀다운(pull-down) 전극(908) 및 하나 이상의 접지 전극(910)을 갖는다. 스위칭 소자(912)는 RF 전극(904)으로부터 먼 위치 및 RF 전극(904)에 가까운 위치 간에서 이동하여, MEMS DVC(900)의 정전 용량 또는 커패시턴스를 변화시킨다. MEMS DVC(900)는 다수의 스위칭 소자(912)를 가지며, 따라서 일정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고 환경적 영향 또는 헤드/핸드 효과의 영향 하에 있는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안테나 어퍼처에 인가되거나 어퍼처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큰 가변 커패시턴스 범위를 갖는다. MEMS DVC(900)는 본질적으로 다수의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MEMS 소자들의 집합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일 실시예에 따는, MEMS DVC(900)의 복수의 캐비티(902) 내에서 복수의 스위칭 소자(912)를 생성할 수 있는 단일 MEMS 소자(10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MEMS 소자(1000)는 RF 전극(1002), 풀다운 전극(1004), 풀업 전극(1006), RF 전극(1002) 및 풀다운 전극(1004)을 덮는 제 1 유전체층(1008), 풀업 전극(1006)를 덮는 제 2 유전체 층(1010), 상기 제 1 유전체 층(1008)과 제 2 유전체 층(1010) 간에서 이동 가능한 스위칭 소자(1012)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소자(1012)는 접지 전극(1014)에 결합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MS 소자(1000)는, 스위칭 소자(1012)가 RF 전극(1002)에 가장 근접할 때, 최대 커패시턴스 위치에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MS 소자(1000)는, 스위칭 소자(1012)가 RF 전극(1002)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최소 커패시턴스 위치에 있다. MEMS 소자(1000)는 2 개의 상이한 커패시턴스 스테이지들을 갖는 가변 커패시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이러한 MEMS 소자(1000)를 단일 MEMS DVC(900)로 집적함으로써 대형 입도 및 커패시턴스 범위를 갖는 DVC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일정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고 환경 변화 또는 헤드/핸드 효과(head/hand effect)의 영향 하에 있는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리액턴스 개구 튜닝을 실행할 수 있다.
DVC와 같은 가변 리액턴스를 사용하여 안테나의 어퍼처(공진 회로)의 용량성 또는 유도성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종종 헤드/핸드 효과 또는 환경적 영향에 의해 야기되는 신호 강도의 저하가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인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하기보다는, 간단히 장치의 안테나의 리액턴스 부하를 조절하면, 헤드/핸드 효과를 직접 보상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고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5)

  1. 무선 프론트 엔드(radio front end);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무선 프론트 엔드 사이에 삽입된 전력 커플러(power coupler); 및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리액턴스 변경 장치(reactance altering device);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턴스 변경 장치는 가변 커패시터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복수의 미세 전자 기계적 커패시터, 하나 이상의 가변 강유전성 커패시터, 반도체 스위칭형 커패시터, MEMS 스위칭형 커패시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턴스 변경 장치는 가변 인덕터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인덕터는,
    조절 가능한 인덕턴스를 가진 기계적, 물리적, 또는 전기적 구성요소;
    하나 이상의 가변 커패시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인덕터;
    반도체 스위칭형 인덕터; 또는
    MEMS 스위칭형 인덕터;를 포함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 커패시터는, 복수의 미세 전자 기계적 커패시터, 하나 이상의 가변 강유전성 커패시터, 반도체 스위칭형 커패시터, MEMS 스위칭형 커패시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턴스 변경 장치는,
    가변 커패시터; 및
    가변 인덕터;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복수의 미세 전자 기계적 커패시터, 하나 이상의 가변 강유전성 커패시터, 반도체 스위칭형 커패시터, MEMS 스위칭형 커패시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 인덕터는,
    조절 가능한 인덕턴스를 가진 기계적, 물리적, 또는 전기적 구성요소;
    하나 이상의 가변 커패시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인덕터;
    반도체 스위칭형 인덕터; 또는
    MEMS 스위칭형 인덕터;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 커패시터는, 복수의 미세 전자 기계적 커패시터, 하나 이상의 가변 강유전성 커패시터, 반도체 스위칭형 커패시터, MEMS 스위칭형 커패시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셀룰러 전화, 웨어러블 장치,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장치인, 장치.
  11.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반사 계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반사 계수 크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반사 계수 크기에서의 검출된 변화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부착된 가변 리액턴스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사용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시간에 따라 상기 반사 계수의 크기들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사용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계수 크기의 변화가 사전결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면 가변 리액턴스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사용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계수 크기의 변화가 사전결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면 가변 리액턴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사용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사용 방법.
KR1020177036112A 2015-05-18 2016-05-18 환경 변화 및 헤드/핸드 효과의 존재 시 가변 리액턴스 안테나 어퍼처 튜닝을 이용하여 일정한 안테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 정합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1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3355P 2015-05-18 2015-05-18
US62/163,355 2015-05-18
PCT/US2016/033049 WO2016187283A1 (en) 2015-05-18 2016-05-18 Method and apparatus of maintaining constant antenna resonant frequency and impedance match in the presence of environmental changes and head/hand effect using variable reactance antenna aperture tu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974A true KR20180006974A (ko) 2018-01-19
KR102531465B1 KR102531465B1 (ko) 2023-05-11

Family

ID=5613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112A KR102531465B1 (ko) 2015-05-18 2016-05-18 환경 변화 및 헤드/핸드 효과의 존재 시 가변 리액턴스 안테나 어퍼처 튜닝을 이용하여 일정한 안테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 정합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18717B2 (ko)
EP (1) EP3298653B1 (ko)
JP (1) JP6817965B2 (ko)
KR (1) KR102531465B1 (ko)
CN (1) CN107636894B (ko)
WO (1) WO20161872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266B1 (ko) 2018-11-05 2020-04-20 주식회사 휴미디어 임피던스 자동매칭 기능이 부가된 선박용 무선송신기
WO2020159208A1 (ko) * 2019-01-29 2020-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의 임피던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7635A1 (en) * 2016-07-20 2018-01-25 Cavendish Kinetics, Inc Method for tuning an antenna with a dvc
US10673133B2 (en) * 2016-09-19 2020-06-02 Chi-Box, Inc. Capture and regeneration of subtle energy resonance signals
US10475317B2 (en) * 2017-01-04 2019-11-12 Tyco Fire & Security Gmbh Single-element door\window opening detector
US10373454B2 (en) 2017-08-15 2019-08-06 Tyco Fire & Security Gmbh Single-element door/window opening detector
CN108199742B (zh) * 2017-11-13 2020-12-01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自调谐方法、自调谐系统及移动终端
US10637444B1 (en) * 2018-12-21 2020-04-28 Northrop Gruman Systems Corporation Near field RFID probe with tunning
EP3973594A1 (en) * 2019-05-20 2022-03-30 Qorvo US, Inc. Antenna array pattern enhancement using aperture tuning technique
EP4002065A1 (en) * 2020-11-24 2022-05-25 Simon, S.A.U. Devices and methods for touchless actuation of electric loads
CN113394556B (zh) * 2021-05-25 2023-01-06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调谐组件及nfc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9176A1 (en) * 2013-10-21 2015-04-23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Antenna circuit and a method of optimis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1503A (en) * 1932-06-22 1936-08-18 Rca Corp High frequency transmitting circuit
US3270284A (en) * 1964-01-13 1966-08-30 William A Schanbacher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r arrangement
FR2298903A1 (fr) * 1975-01-22 1976-08-20 Thomson Csf Dispositif d'adaptation d'antenne et antenne munie d'un tel dispositif
US4335469A (en) * 1980-06-18 1982-06-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system for radiating RF power from a trailing wire antenna
US4747161A (en) * 1986-02-25 1988-05-24 Varian Associates, Inc. AM-RF transmitter with compensation for power supply variations
US5564086A (en) * 1993-11-29 1996-10-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a radio transmitter
GB2289989B (en) * 1994-05-25 1999-01-06 Nokia Mobile Phones Ltd Adaptive antenna matching
US8744384B2 (en) 2000-07-20 2014-06-03 Blackberry Limited Tunable microwave devices with auto-adjusting matching circuit
GB0209818D0 (en) 2002-04-30 2002-06-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tenna arrangement
US6727785B2 (en) * 2002-06-27 2004-04-27 Harri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single port resonant line
US6993297B2 (en) 2002-07-12 2006-01-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 and methods for tuning antenna impedance using transmitter and receiver parameters
US7167135B2 (en) 2003-09-11 2007-01-23 Intel Corporation MEMS based tunable antenna for wireless reception and transmission
JP2006180463A (ja) * 2004-11-29 2006-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US7711337B2 (en) * 2006-01-14 2010-05-04 Paratek Microwave, Inc. Adaptive impedance matching module (AIMM) control architectures
CN101388676A (zh) * 2008-10-30 2009-03-1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电小天线宽带匹配网络的优化匹配设计及其电小天线宽带匹配网络
US8233851B2 (en) * 2010-02-03 2012-07-31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edance matching for high-frequency signal transmitter
US8918067B2 (en) * 2010-05-05 2014-12-23 Silicon Laboratories Inc. Servo loop for quality-factor compensation in a capacitor array
US9014645B2 (en) * 2010-10-25 2015-04-21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594584B2 (en) 2011-05-16 2013-11-2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a communication device
CA2835432C (en) 2011-05-16 2016-09-13 Keith Ronald Manss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a communication device
KR101305597B1 (ko) 2011-08-08 2013-09-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
EP2557688B1 (en) 2011-08-11 2018-05-23 Nxp B.V. A controller for a radio circuit
US9054756B2 (en) 2011-09-19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tuning of an impedance matching circuit in a wireless device
US9002278B2 (en) 2012-02-29 2015-04-07 Htc Corporation Simple automatic antenna tuning system and method
US9325076B2 (en) 2012-04-12 2016-04-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ntenna for wireless device
US20140028521A1 (en) * 2012-07-27 2014-01-30 Rf Micro Devices, Inc. Tuner topology for wide bandwid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9176A1 (en) * 2013-10-21 2015-04-23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Antenna circuit and a method of optimisation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266B1 (ko) 2018-11-05 2020-04-20 주식회사 휴미디어 임피던스 자동매칭 기능이 부가된 선박용 무선송신기
WO2020159208A1 (ko) * 2019-01-29 2020-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의 임피던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7283A1 (en) 2016-11-24
JP6817965B2 (ja) 2021-01-20
EP3298653B1 (en) 2022-03-02
US20180277960A1 (en) 2018-09-27
EP3298653A1 (en) 2018-03-28
US10418717B2 (en) 2019-09-17
KR102531465B1 (ko) 2023-05-11
JP2018522455A (ja) 2018-08-09
CN107636894A (zh) 2018-01-26
CN107636894B (zh)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6974A (ko) 환경 변화 및 헤드/핸드 효과의 존재 시 가변 리액턴스 안테나 어퍼처 튜닝을 이용하여 일정한 안테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 정합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EP301628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antenna tuning
US8712355B2 (en) Antenna tuning on an impedance trajectory
US9680510B2 (en) Radio communication using tunable antennas and an antenna tuning apparatus
KR1024682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US8359077B2 (en) Antenna matching structure, antenna match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P2326018B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with reduced antenna correl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radio communication device
TWI466504B (zh) 行動通訊裝置與其阻抗匹配方法
JP5505242B2 (ja)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20093980A (ko) 안테나의 정합 방법 및 장치
US10333572B2 (en) Antenna tuner control circuit,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9020455B1 (en) Power control system for a receiver chain in a transceiver
KR102284069B1 (ko)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수신 성능 개선방법
RU2599781C2 (ru) Сх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енсации затухания, возникающего в антенном сигнальном соединении между оконе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антенной, а также способ компенсации
US8903333B1 (en) Adaptive antenna tuner for a transceiver
US9438279B2 (en) Wireless device with adaptively-tunable electrically-small antennas
GB2529887B (en) Antenna impedance matching circuit tuning system
FI127484B (fi) Laajakaistakäyttöinen impedanssisovituskytkentä
JP7030775B2 (ja) Dvcを用いてアンテナを調整する方法
EP2429032B1 (en) Antenna matching structure, antenna match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min et al. Tunable front-end design with a dual-band antenna for small cellular devices
KR2008008415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안테나 매칭 방법 및 장치
KR20050067297A (ko) 휴대단말기 안테나의 인체영향 최소화 장치 및 방법
KR101241773B1 (ko) 안테나 매칭 장치, 무선 통신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JP201753830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