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648A -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 Google Patents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648A
KR20180006648A KR1020160087263A KR20160087263A KR20180006648A KR 20180006648 A KR20180006648 A KR 20180006648A KR 1020160087263 A KR1020160087263 A KR 1020160087263A KR 20160087263 A KR20160087263 A KR 20160087263A KR 20180006648 A KR20180006648 A KR 20180006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le
port
valve
spline curve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희
김기현
조자환
Original Assignee
(주)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영 filed Critical (주)한영
Priority to KR102016008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648A/ko
Publication of KR2018000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72One-way valve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T포트 및 A포트와, 상기 T포트와 A포트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면에 상기 T포트 및 A포트와 각각 연통되는 T연통홀 및 A연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T연통홀과 A연통홀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통로가 형성되는 밸브홀더; 상기 밸브홀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통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T연통홀과 A연통홀이 곡률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Poppet valve includes a valve holder having connection-hole with curvature}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방향 제어 밸브에 해당하는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어밸브는 유체의 회로에서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때, 방향제어밸브는 전자석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조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주로 사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구조적으로 여러 종류로 분류되는데, 일반적으로는 포핏밸브, 스풀밸브, 슬라이드밸브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포핏밸브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로, 압력제어밸브, 유량제어밸브, 방향제어밸브에 범용으로 사용된다. 스풀 밸브는 주로 방향제어밸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압력제어밸브, 유량제어밸브에서 사용되는 예도 있다. 슬라이드 밸브는 그 사용예는 적지만, 방향제어밸브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핏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포핏밸브의 밸브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핏밸브는 유체가 유동하는 T포트(11) 및 A포트(12)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바디(10);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면이 상기 T포트(11) 및 A포트(12)와 각각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T포트(11)와 A포트(12)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통로(21)가 형성되는 밸브홀더(20);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통로(21)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30); 및 상기 다이어프램(30)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프링(4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다이어프램(30)은 유체가 T포트(11)에서 A포트(12)로 흐르면 개방되며 유체가 A포트(12)에서 T포트(11)로 흐르면 폐쇄되게 구성되거나, 유체가 A포트(12)에서 T포트(11)로 흐르면 개방되며 유체가 T포트(11)에서 A포트(12)로 흐르면 개방되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포핏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기 연통유로의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상시 개방밸브라고 하며, 상기 스프링이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기 연통유로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상시 폐쇄밸브라고 한다.
한편, 상기 밸브바디는 외면에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P포트(14)가 더 형성된다.
도 3은 종래의 포핏밸브의 밸브홀더를 나타낸 내부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홀더(40)는 상기 밸브바디(10)의 T포트(11), A포트(12) 및 P포트(14)가 곡률지게 형성되는데 반해, 상기 밸브홀더(20)의 제1유입홀(41), 제2유입홀(42) 및 제3유입홀이 수직하게 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밸브바디(10)의 T포트(11), A포트(12) 및 P포트(14)에서 유통되는 유체가 상기 밸브홀더(40)의 제1유입홀(41), 제2유입홀(42) 및 제3유입홀(43)의 외주면에 부딪히면서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포핏밸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985-0006597호의 제1밸브 시이트면과 제2밸브 시이트면을 지지하는 하우징요소, 상기 하우징 요소안에 가동적으로 지지된 제1 및 제2밀봉면을 각각 가지는 1쌍의 밸브들로서 상기 제1 포핏밸브 밀봉면이 상기 제1시이트면에 밀봉적으로 걸리고 안걸리게 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포핏밸브 밀봉면이 상기 제2시이트면에 걸리고 안걸리게 운동할 수 있는 1쌍의 포핏밸브들, 상기 제1 시이트면이 상기 제1밀봉면에 걸리고 상기 제2밀봉면이 상기 제2시이트면과 떨어져 있는 제1위치와 상기 제1 밀봉면이 상기 제1 시이트면과 떨어져 있고 상기 제2밀봉명이 상기 제2시이트면에 걸려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포핏밸브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작동요소로서 상기 제2 밸브면들 중의 하나가 상기 밸브들과 상기 밸브시이트면들 사이의 밀봉 걸림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각 지지요소에 대해 상대적인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밸브면들의 위치조정에 대한 제조공차를 수용할 수 있는 작동요소, 그리고 상기 상대운동면이 그 협동밸드면에 걸리지 않은 위치에 상기 포핏밸브들이 있을 때 상기 상대운동을 그 협동밸브면들 쪽으로 밀어내는 유체압력차이를 상기 상대 운동면에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직렬 포핏밸브 조립체가 제시된 적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985-0006597호(1985.10.1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바디에서 유통되는 유체가 밸브홀더로 유입되면서 부딪혀서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는 유체가 유동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T포트 및 A포트와, 상기 T포트와 A포트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면에 상기 T포트 및 A포트와 각각 연통되는 T연통홀 및 A연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T연통홀과 A연통홀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통로가 형성되는 밸브홀더; 상기 밸브홀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통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T연통홀과 A연통홀이 곡률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는 외면에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P포트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밸브홀더는 외면에 상기 P포트와 연통되는 P연통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P연통홀이 곡률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은 좌우방향 일면 및 타면이 각각 곡률진 제1곡면 및 제2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곡면 및 제2곡면은 각각 소정수의 조정점을 통과하는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은 각자의 조정점이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한 반응표면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단,
Figure pat00003
는 유체가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에서 정방향으로 흐를 때의 압력손실값, X1, X2는 상기 제1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X3, X4는 상기 제2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또한,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은 각자의 조정점이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한 반응표면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단,
Figure pat00006
는 유체가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에서 역방향으로 흐를 때의 압력손실값, X1, X2는 상기 제1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X3, X4는 상기 제2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는 밸브바디의 T포트, A포트와 밸브홀더의 제1유입홀, 제2유입홀이 모두 곡률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밸브바디에서 유통되는 유체가 밸브홀더로 유입되면서 부딪혀서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핏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포핏밸브의 밸브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포핏밸브의 밸브홀더를 나타낸 내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의 밸브홀더를 나타낸 내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플라인 곡선과 제2스플라인 곡선의 조정점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의 밸브홀더를 나타낸 내부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는 밸브바디(100), 밸브홀더(200), 다이어프램(300), 스프링(4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는 주로 내연기관의 토출 밸브 및 흡입 밸브에 사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밸브바디(100)는 본 발명의 기본 몸체로서, 유체가 유동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T포트(110) 및 상기 T포트(11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A포트(120)가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유체는 상기 T포트(110)에서 A포트(120)로 흐르거나 상기 A포트(120)에서 T포트(110)로 흐를 수 있다.
상기 밸브홀더(200)는 상기 밸브바디(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면이 상기 T포트(110) 및 A포트(120)와 각각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T포트(110)와 A포트(120)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통로(210)가 형성된다.
상기 다이어프램(300)은 버섯 모양의 구조체로서, 상기 밸브홀더(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통로(21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다이어프램(300)의 일단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다이어프램(300)이 상기 연통통로(2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300)에 탄성을 가하거나 상기 다이어프램(300)이 상기 연통통로(2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300)에 탄성을 가할 수 있다.(도면에는 상기 스프링(400)이 상기 다이어프램(300)이 상기 연통통로(2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300)에 탄성을 가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T포트(110)와 A포트(120)는 곡률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T연통홀(220)과 A연통홀(230)도 곡률진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는 밸브바디의 T포트, A포트와 밸브홀더의 제1유입홀, 제2유입홀이 모두 곡률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밸브바디에서 유통되는 유체가 밸브홀더로 유입되면서 부딪혀서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밸브바디(100)는 외면에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P포트(140)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밸브홀더(220)는 외면에 상기 P포트(140)와 연통되는 P연통홀(240)이 더 형성되며, 상기 P연통홀(240)이 곡률진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는 밸브바디의 P포트와 밸브홀더의 제3유입홀이 모두 곡률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밸브바디에서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유통되는 유체가 밸브홀더로 유입되면서 부딪혀서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은 좌우방향 일면 및 타면이 각각 곡률진 제1곡면(221, 231, 241) 및 제2곡면(222, 232, 24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번 221 및 222는 각각 상기 T연통홀(220)의 제1곡면 및 제2곡면, 도번 231 및 232는 각각 상기 A연통홀(230)의 제1곡면 및 제2곡면, 도번 241 및 242는 각각 상기 P연통홀(240)의 제1곡면 및 제2곡면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제1곡면(221, 231, 241) 및 제2곡면(222, 232, 242)은 각각 소정수의 조정점을 통과하는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플라인 곡선과 제2스플라인 곡선의 조정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곡면(221, 231, 241) 및 제2곡면(222, 232, 242)은 각각 소정수의 조정점(즉, 제어점)을 통과하는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은 소정수의 조정점을 통과하는 곡선으로 직선을 벗어난 매끄러운 곡선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은 각자의 조정점이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한 반응표면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단,
Figure pat00009
는 유체가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에서 정방향으로 흐를 때의 압력손실값, X1, X2는 상기 제1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좌우방향 좌표), y(상하방향 좌표)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의 하단 중심점 X0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X3, X4는 상기 제2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여기에서 유체가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에서 정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은 유체가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본 출원인은 상기 수학식 1을 회귀분석에 의거하여 실험적 경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의 실제 조정점(X1, X2, X3, X4)과 수학식 1에서 연산된 조정점(X1, X2, X3, X4)에 대하여 RMSE(Root Means Squared Error) 분석 결과 RMSE는 8990, R2은 0.956, R2 adj.는 0.893으로, 신뢰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은 각자의 조정점이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한 반응표면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은 각자의 조정점이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한 반응표면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단,
Figure pat00012
는 유체가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에서 역방향으로 흐를 때의 압력손실값, X1, X2는 상기 제1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X3, X4는 상기 제2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여기에서 유체가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에서 역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은 유체가 T연통홀(220), A연통홀(230), P연통홀(24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본 출원인은 상기 수학식 2를 회귀분석에 의거하여 실험적 경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의 실제 조정점(X1, X2, X3, X4)과 수학식 2에서 연산된 조정점(X1, X2, X3, X4)에 대하여 RMSE(Root Means Squared Error) 분석 결과 RMSE는 10871, R2은 0.861, R2 adj.는 0.777으로,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밸브바디
110 : T포트
111 : 제1곡면
112 : 제2곡면
120 : A포트
121 : 제1곡면
122 : 제2곡면
200 : 밸브홀더
210 : 연통통로
220 : T연통홀
230 : A연통홀
240 : 제3연통홀
221, 231, 241 : 제1곡면
222, 232, 242 : 제2곡면
300 : 다이어프램
400 : 스프링

Claims (6)

  1. 유체가 유동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T포트 및 A포트와, 상기 T포트와 A포트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면에 상기 T포트 및 A포트와 각각 연통되는 T연통홀 및 A연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T연통홀과 A연통홀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통로가 형성되는 밸브홀더;
    상기 밸브홀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통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T연통홀과 A연통홀이 곡률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외면에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P포트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밸브홀더는 외면에 상기 P포트와 연통되는 P연통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P연통홀이 곡률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은
    좌우방향 일면 및 타면이 각각 곡률진 제1곡면 및 제2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 및 제2곡면은
    각각 소정수의 조정점을 통과하는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은
    각자의 조정점이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한 반응표면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수학식 1)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단,
    Figure pat00015
    는 유체가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에서 정방향으로 흐를 때의 압력손실값, X1, X2는 상기 제1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X3, X4는 상기 제2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플라인 곡선 및 제2스플라인 곡선은
    각자의 조정점이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한 반응표면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수학식 2)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단,
    Figure pat00018
    는 유체가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에서 역방향으로 흐를 때의 압력손실값, X1, X2는 상기 제1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X3, X4는 상기 제2스플라인 곡면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X, y를 두 변수로 할 때 y를 고정한 X의 확률 밀도 함수이며 상기 T연통홀, A연통홀, P연통홀의 하단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좌우방향 좌표의 절대값)
KR1020160087263A 2016-07-11 2016-07-11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KR20180006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63A KR20180006648A (ko) 2016-07-11 2016-07-11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63A KR20180006648A (ko) 2016-07-11 2016-07-11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48A true KR20180006648A (ko) 2018-01-19

Family

ID=6102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263A KR20180006648A (ko) 2016-07-11 2016-07-11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6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043A (ko) * 2012-11-21 2015-02-09 코가네이 코포레이션 체크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043A (ko) * 2012-11-21 2015-02-09 코가네이 코포레이션 체크 밸브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현철. 공학석사 학위논문. (제1면 내지 제35면) *
김현철. 유한요소해석과 B-스플라인 모델링의 연동에 기초한 곡면 형상 최적설계. 공학석사 학위논문. 2004.02. 제1면 내지 제35면. 1부. *
송유준 외 2명.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축류 압축기의 동익형상 최적설계.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2016.04. 제19권, 제2호. 제16면 내지 제20면. 1부. *
송유준 외 2명.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제19권, 제2호(제16면 내지 제20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3086B2 (ja) 三方電磁弁
EP2309163B1 (en) Bidirectional solenoid valve
US9291280B2 (en) Actuator apparatus having internal passageways
EP2115336B1 (en) Solenoid valve having a two piece moving valve element
US9909536B2 (en) Gas valve
CN105074188A (zh) 具有可调节的密封元件的阀
MX2018009657A (es) Valvula termica accionada por resorte de torsion.
JP6090605B2 (ja) エアバイパスバルブ
JP2015224649A (ja) 二段パイロット式電磁弁
KR101790959B1 (ko) 다이어프램 방식 극저온 밸브
KR20180006648A (ko) 밸브홀더의 연통홀이 곡률진 포핏밸브
WO2020100201A1 (ja) 複合弁
JP5341433B2 (ja) 三方切換弁
TW202008094A (zh) 閥裝置、流體控制裝置、流體控制方法、半導體製造裝置及半導體製造方法
CN106609879B (zh) 用于车辆的隔膜阀
KR20180006646A (ko) 밸브바디의 포트가 곡면인 포핏밸브
CN107476899B (zh) 用于吹入气体的可电磁操纵的阀
WO2018143158A1 (ja) 切り替え弁
JPWO2020136694A1 (ja) 電磁弁
KR102643448B1 (ko) 밸브
JP6999184B2 (ja) 流路切換弁
JP2005249139A (ja) 電磁弁
JP6494456B2 (ja) ガバナ
US7654503B2 (en) Pilot valve
JP2013221543A (ja) チェック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